KR101866366B1 -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366B1
KR101866366B1 KR1020167036213A KR20167036213A KR101866366B1 KR 101866366 B1 KR101866366 B1 KR 101866366B1 KR 1020167036213 A KR1020167036213 A KR 1020167036213A KR 20167036213 A KR20167036213 A KR 20167036213A KR 101866366 B1 KR101866366 B1 KR 101866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ement
shoe
upper assembly
ventilation
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405A (ko
Inventor
크리스찬 비어
스탄 나베르니크
쏘르제 휘브너
토어 스트룀포르스
프랑크 옌센
한센 야콥 묄러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스칸디나비아 아베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스칸디나비아 아베,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0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bottom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8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having multilayered parts
    • B29D35/08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having multilayered parts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11)를 구비한 상부(10)과 적어도 하나의 통기층(21)을 구비한 바닥부(20)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를 포함한다. 신발은 또한, 밑창을 포함하며, 밑창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 부분(103)과 바닥 부분(103)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102)을 구비하며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그리고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61; 62; 63; 64; 65; 1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SHOE, SOLE ASSEMBLY FOR A SHO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본 발명은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및 신발용 반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업계에는 통기성 밑창 또는 통기성 갑피 조립체로 이루어진 신발이 공지되어 있다. 통기성 밑창에 의하면 신발 내부로부터 밑창을 통해 신발 외부로 수증기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 완충 능력, 패션 양상 등을 위해 가공된 복잡한 3차원 구조를 갖는 현재의 신발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접근법으로는 통기성 신발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신뢰성 있게 통기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우수한 통기성을 갖춘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적인 제조 방법을 허용하는 통기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통기성을 갖춘 통기성 신발의 간단한 제조를 허용하는 밑창 조립체와 같은 신발용 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의 특징에 따른 신발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를 구비하는 상부와 적어도 통기층을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 및 밑창을 포함하며, 상기 밑창은, 바닥 부분과 이 바닥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 내부로부터 신발 외부로의 효과적인 수증기 이송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필러로도 일컬어지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에 의하면,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여 흐를 수 있도록 보장하고, 따라서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통기층을 통해 발 바닥면으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로의 수증기 배출을 촉진할 수 있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해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히 정적인 환경에서, 예를 들어,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도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에서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수준의 수증기 배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 공기 유동은 착용자가 걷거나 뛰어 갈 때에 신발의 움직임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보행 또는 달리기 중에 2개의 유리한 효과가 발생하는데, 각각은 실제 걸음들 사이에 걸음걸이 사이클의 2개의 페이즈, 즉 실제 스탠스 페이즈와 신발 스윙 페이즈 중 하나와 주로 관련된다. 신발 스윙 페이즈 동안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내외부로 그리고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통과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한다. 보행 또는 달리기 동안 발생하는 신발 밑창의 휘어짐으로 인해 그리고 스탠스 페이즈 동안 필러 재료 또는 구조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착용자의 무게가 추가로 인가됨에 따라,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부로 밀려나간 공기는 신발 내부로부터 수증기를 함께 배출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후,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에는 다시 들어온 주위 공기가 수증기로 재충전될 수 있다.
게다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신발의 제조가 상당히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신발의 피봇부로서, 추가의 밑창 구성요소 및 갑피 조립체가 부착될 수 있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의하면, 서로 다른 다양한 실시예의 밑창 뿐만 아니라 갑피 조립체가 조합되어 신발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결합 구조에 부합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중심으로 한 결합이 상당히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신발의 바닥부에 통기성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밑창 요소가 용이하게 최소한도의 제약 조건 하에서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가되는 밑창 요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신발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 경로를 허용하는 한, 상당한 수준의 통기성을 갖춘 신발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신발 밑창의 실질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공되는 일 장점으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본질적으로 안정적인 신발용 코어 구조체를 형성함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매입 형성될 수도 있는 추가의 밑창 구성요소의 안정성 요건,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안정성 요건, 그리고 갑피 조립체의 안정성 요건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밑창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한 증강된 견인력을 제공하긴 하지만 안정성이 떨어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장점으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또한, 잘 획정된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치수와 부합하면서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선택 또는 설계가 상당히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서로 다른 디자인들은 상이한 안정성이나 완충 능력 또는 통풍성, 즉 공기 유동 요건과 같은 상이한 신발 요건에 부합할 수도 있으며, 신발의 나머지 구조의 변경 없이 통기성 신발에 채용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용 컨테이너로서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제조 유연성이 보장된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유지를 위한 하우징 또는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또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날카로운 돌출부와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몰딩되어 있는 추가의 밑창 요소에 의해 둘러싸여 있거나,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몰딩되어 있는 재료를 통해 신발의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어 있다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또한, 몰딩 재료가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일반적으로, 신발의 사용 동안 착용자의 발 둘레에 배치되는 구조체의 바닥부를 일컫는다. 갑피 조립체의 상부와 바닥부의 길이를 외측 재료와 같은 특정 신발 구성요소의 길이와 관련하여 정의하기 위해 굳이 바닥부 또는 상부와 그러한 특정 신발 구성요소를 연계시킬 필요는 없다. 상부 및 바닥부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발 둘레에 마련되는 백(bag)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바닥부가 반드시 갑피 조립체의 최하측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밑창은 독립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갑피 조립체 및/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부착 시에,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통기성 재료라는 용어는 수증기 투과성인 재료를 지칭한다. 이들 재료는 또한 공기 투과성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기능층 구조, 특히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공기 투과성이 아니라 방수 및 통기성이다. 통기층은 멤브레인 또는 기능층일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라는 용어는 통풍 창 요소가 밑창을 통풍시키기 위한 능동적 자체 추진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대신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구조는 정적인 환경에서 그리고 또한 신발의 사용 중에 착용자의 운동으로 인한 통풍 요기 요소의 환기 또는 통풍을 허용한다. 따라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또한 통풍식 컨테이너 요소 또는 환기 컨테이너 요소로서도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한 본 발명의 구조 외에 자체 추진 펌프 등과 같은 능동적 메카니즘이 존재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에 명백히 주목해야 한다.
컨테이너 요소는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수용하는 터브(tub)를 형성한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치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부착 과정 없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헐겁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가, 예를 들어 스폿 형상의 접착을 통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원래 별개의 독립체로서 제공되어, 함께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신발의 통기성 바닥부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둘레 길이는, 적어도 일부에서, 특히, 적어도 상단 부분에서,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둘레 길이보다 짧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둘레 길이는 전체 수직 길이를 따라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둘레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밑창이 서로 기능을 효과적으로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기본적으로, 신발의 통기성, 공기 유동성 및 안정성 요건을 기반으로 설계될 수도 있는 반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둘레에 배치되는 포위 창 요소는 신발 외부의 마모 및 찢김 요건 및/또는 안정성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다.
신발이 3차원 물체이므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유지하는 터브 또는 홈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3차원 컨테이너를 형성한다. 바닥에서 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은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발 바닥면의 윤곽선을 따라 위치하지만, 밑창의 윤곽선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또한, 착용자의 바닥면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특정 신발의 특정 요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과 바닥 부분이 모두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측벽은 또한, 둘레부를 따라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뒤꿈치가 착용자의 발 앞 부분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의 높이가 발 앞 부분 영역에서보다 뒤꿈치 영역에서 더 높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접착제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된다.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갑피 조립체에 접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갑피 조립체에, 특히, 스트로벨(strobel)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봉합된다.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이나 봉합을 통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갑피 조립체 사이의 신뢰성 있는 부착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취급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추가 제조가 필요한 단일 부재로서의 반제품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갑피 조립체의 부분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몰딩된 재료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된다. 몰딩 방법은 사출 성형이나 캐스팅일 수도 있다. 몰딩이라는 용어는 변형예의 사출 성형, 캐스팅 등을 포함하는 의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출 성형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마다, 변형예로서, 캐스팅이 등가의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제조 작업을 위한 특정 요건에 따라 기타 다른 성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몰딩을 통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갑피 조립체 사이의,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 사이의 강력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몰딩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사이에 시일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및/또는 갑피 조립체의 추가의 구성요소의 사이에, 특히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사이에 시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와 신발 내부 사이의 수증기 투과성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 없이, 포위 창 요소가 추가의 몰딩 단계에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갑피 조립체의 추가의 구성요소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몰드 내에서 압력을 가해 위치 설정하는 방식으로, 또는 접착/봉합을 통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며,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갑피 조립체에 포위 창 요소를 부착하는 동시에 포위 창 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일 몰딩 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부 둘레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되는 칼라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라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로부터, 상방으로, 즉 수직 방향으로 및 측방향 외측으로, 즉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측벽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칼라를 포함한다. 칼라는 갑피 조립체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착은,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일 제조 스테이션으로부터 공장 내부의 다음 스테이션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단일 유닛으로서 취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신발의 제조 과정에서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대안으로서, 칼라는 포위 창 재료 또는 접착제에 대한 배리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포위 창 재료는, 예를 들어 포위 창 요소의 사출 성형 동안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접착제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칼라는 스트로벨형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기 바닥부에 봉합될 수도 있다. 칼라는 또한,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기 바닥부에 접착 또는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칼라 섹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칼라 섹션은 부분 부착 및/또는 밀봉을 제공할 수도 있다. 칼라 섹션은 칼라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뒤꿈치 영역의 상부 둘레 가장자리 부근의 제 1 칼라 섹션과 발 앞 부분 영역의 상부 둘레 가장자리 부근의 제 2 칼라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칼라 섹션은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 조립체는 갑피 조립체의 상부와 바닥부에 걸쳐 연장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의 기능층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층 구조는 멤브레인 피스로도 일컬어지는 하나, 두 개 또는 그보다 많은 기능층 피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두 개 이상의 멤브레인 피스가 존재하는 경우, 멤브레인 피스가 방수성 및 통기성의 기능층 구조를 생성하도록 함께 나란히(잠재적으로는 약간 중첩되는 상태로) 연결 및 밀봉 배치된다. 기능층 구조는 착용자의 발을 둘러싸는 갑피 조립체의 내부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멤브레인 피스는 하나 이상의 텍스타일층과 적층될 수도 있으므로, 기능층 구조는 하나, 두 개 이상의 기능층 라미네이트 구조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 조립체의 상부는 방수성 및 통기성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연결되는 통기성 외측 재료를 포함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상기 통기층을 포함하는 통기성 및 방수성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측면 단부 영역과 상기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하단부 영역은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부에 방수성 시일이 제공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방수성 및 통기성 기능층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수성 및 통기성 갑피 조립체에 의하면, 발을 수용하고 있는 신발의 내부에 들어가는 물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이 제공되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갑피를 통한 우수한 통기성을 보장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로 이루어지는 방수성 갑피 조립체의 연결부가 방수 시일되어 외부로부터 신발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습한 조건에서도, 예를 들어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환경이나 진창길에서도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갑피 조립체는 착용자의 발 둘레 360°의 범위에 걸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다시 말해, 착용자의 발을 완전히 둘러싸는(물론,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신발 개구를 제외하고) 방수성 백을 착용자의 발의 둘레에 형성한다. 특히, 방수성 및 통기성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외측 재료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발로 물이 들어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동시에, 상부가 통기성이므로 신발 내부로부터 신발 외부로의 수증기의 운반을 촉진할 수 있다. 수증기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과함으로써 갑피 조립체의 상부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를 통해 갑피 조립체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당한 수준의 수증기 배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상기 측면 단부 영역과 상기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상기 하단부 영역은 봉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수성 시일이 상기 시임의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갑피 조립체 상에 몰딩되거나 사출 성형되는 재료에 의해 제공되거나, 상기 방수성 시일이 상기 갑피 조립체에 상기 밑창을 부착하기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제공되거나, 상기 방수성 시일이 시임 테이프에 의해 제공된다. 방수성 시일을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각각의 선택 사양과 이러한 선택 사양의 조합을 통해, 방수성의 전체 갑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라미네이트 사이의 타이트한 밀봉을 달성할 수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출 성형 재료는 밑창 재료일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하단부 영역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측면 단부 영역 사이의 연결부 내측에, 신발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연결부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신발의 중간에 가까이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출 성형 또는 몰딩 재료가 기능층 라미네이트 사이의 연결부에 도달하여 연결부를 시일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사이의 연결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 사이의 거리가 2.5mm, 특히, 3mm인 경우 이러한 허용 가능한 밀봉이 형성된다.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의 치수가 갑피 조립체의 상부와 바닥부의 치수와 별개로 결정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가 착용자의 밑창과 연관된 갑피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반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신발의 측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갑피 조립체의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갑피 조립체의 부분일 수도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성 멤브레인 또는 기능층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멤브레인 대신,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예를 들어, 스트로벨 스티치에 포함됨으로써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이 직접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인접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이들 구성요소의 사이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는 측벽 및/또는 바닥 부분에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의해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이 허용된다. 다시 말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이 달성된다. 개구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와 신발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 즉, 주위 공기의 제공을 보장하도록 포위 창 요소의 통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공기 배출과 함께, 신발 내부로부터 외부 환경으로의 수증기 배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개구는, 예를 들어, 핫 니들을 이용한 레이저, 드릴링 또는 천공에 의해, 또는 열을 이용한 기타 다른 벽 재료의 제거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몰딩 시에 몰드의 핀에 의해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이 가능하긴 하지만, 조립식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이러한 공기 연통 개구가 마련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개구는 후속 제조 단계에서, 예를 들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벽을 통과하는 핫 니들을 이용하여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드릴링하거나, 레이저 가공 또는 천공 및/또는 용융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제조 사양이 포위 창 요소의 통로에도 적용된다.
추가적으로/대안으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예를 들어 다공성 재료를 통해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비연속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는 구형의 다수의 필러 요소, 예를 들어, 필러 볼(ball)을 포함한다. 이러한 필러 요소는 컨테이너 요소에 수용된다. 필러 요소 자체는 공기 유동 또는 수증기가 내부를 관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필러 요소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는 전체적으로 필러의 내부를 관통하여 수증기 운반을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러 요소는 안정성 및 편안함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를 통한 공기 유동은 필러 요소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개방형이나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특히, 3차원 스페이서로 형성된다. 3차원 스페이서는 구조체 또는 재료가 위 아래로 배치되어 있는 층들 사이의, 특히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바닥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 또는 재료를 통한 공기 유동이 유지된다. 특히, 이러한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의 조합체의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매우 낮은 공기 유동 저항을 허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가 보행 사이클의 스탠스 페이즈 동안 완충 효과 및 더 용이한 롤링 과정을 허용함에 따라, 신발의 보행 움직임의 편안함이 증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는, 대응하는 밑창의 신발 크기에 상응하여 예상되는 신발 사용자의 최대 무게에 의해 최대 응력이 인가되는 동안, 최소한 이러한 최대 응력이 인가되는 동안에도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의 상당한 수준의 공기 유동 특성이 여전히 유지되는 정도의 탄성력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투과성 스페이서는 제 1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평평한 구조체와, 이 평평한 구조체로부터 직각으로 및/또는 0° 내지 90°의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한다. 평평한 구조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요소의 단부는 함께 평평한 구조체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2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하는 표면을 획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스페이서 요소는 손잡이로서 구성되며, 손잡이의 자유 단부는 함께 전술한 제 2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평평한 구조체를 구비하며, 이들 두 개의 평평한 구조체는 내부를 관통하여 그리고 서로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방식으로 스페이서 요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평평한 구조체는 스페이서의 두 개의 지지 표면 중 하나를 형성한다. 스페이서 구조체의 전체 표면 범위에 걸쳐 두 개의 지지 표면을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모든 스페이서 요소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특정 용례의 경우, 발의 해부학적 형태를 고려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페이서 구조체의 표면 범위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서 두께가 상이한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는 서로 별개로, 다시 말해, 두 개의 지지 표면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지지 표면 사이에서 스페이서 요소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또는 스페이서 요소가 서로 용접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열을 가하여 접착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접촉 위치 중 적어도 일부에서 스페이서 요소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는, 예를 들어, 트러스(truss) 또는 래티스(lattice)와 같은 보다 복잡한 구조체의 봉 형상의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형상의 개별 요소 또는 섹션일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는 또한, 교차 격자 형태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구조체 또는 재료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공기 투과성의 평평한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여 그리고 서로의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단일 또는 다중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는 적어도 일부가 채널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채널 구조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한다.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모든 개구가 채널 구조와 공기 연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채널 구조에 의하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 및/또는 바닥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밑면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공기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통기층을 통하여 신발 내부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채널 구조로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개구 또는 그외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재료를 통해 필러의 채널 구조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이 이루어짐으로써,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부로 공기가 유동함에 따라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의 둘레에서 외부로 또는 주위 공기 중으로 수증기가 함께 통과하여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구조를 포함하는 필러는 수증기 투과성을 갖춘 또는 갖추지 않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채널 구조는 필러의 적어도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 구조는 상기 필러에 형성되며, 상기 필러는 측벽을 포함하고, 또한 채널 구조는 복수 개의 채널로 구성된다. 이러한 채널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채널일 수도 있다. 채널 중 적어도 일부는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를 포함한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 채널이며, 다시 말해, 필러의 둘레부 또는 원주면 상으로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채널이다. 이러한 둘레 채널은 복수 개의 기타 다른 채널과 교차 형성된다. 채널과 측벽은 함께 기능적 필라(pillar)를 형성한다. 기능적 필라(Ap)의 상부 표면적 대 채널 구조의 채널(Ac)의 상부 표면적의 비율은 0.5 내지 5.0의 사이이다.
둘레 채널이 폐쇄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는 필러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장될 필요는 없다. 제 1 유형의 기능적 필라가 채널에 의해, 예를 들어, 두 개의 횡방향 채널 및 둘레 채널의 좌측 및 우측 부분에 의해, 또는 두 개의 횡방향 채널, 하나의 종방향 채널 및 하나의 둘레 채널에 의해, 또는 두 개의 횡방향 채널 및 두 개의 종방향 채널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제 2 유형의 기능적 필라가 측벽의 상기 내측 단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채널 부분에 의해 그리고 측벽의 내측 단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필러의 개개의 상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유형의 기능적 필라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인접한 횡방향 채널 사이에서 신발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둘레 채널의 인접한 부분과 측벽의 내측 단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벽은 측벽의 외면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채널 벽부, 채널 단부 또는 채널 포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상 라인과 측벽의 외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측벽은 두껍게 형성되거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측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대한 필러의 경계부를 제공한다.
채널 구조는 필러의 상부 또는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 갑피 조립체를 향한 상면에서 시작하여 필러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구조는 필러 전체에 걸쳐 또는 기타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가 필러의 측벽을 관통하는 개구에 의해 필러의 외부에 연결됨으로써, 필러의 채널 구조로부터 필러의 외부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개구는 통풍 컨테이너요소의 다공성 재료 내부 또는 이 다공성 재료를 관통하는 개구를 통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측과 공기 소통한다.
채널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적 필라의 제 1 용도는 발의 바닥면에 의해 필러 구조체에 부과되는 압력의 양호한 분배를 달성하는 것이며, 제 2 용도는 양호한 통풍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기능적 필라의 둘레에 형성되는 효율적인 공기 및 습기 수집 및 운반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 구조를 구비한 필러는 가요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필러는 특히 하나의 몰딩 단계에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필러의 채널 구조를 포함하는 필러의 외형이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필러는 캐스팅, 사출 성형 또는 가황 처리 요소일 수 있다.
0.8 내지 5.0인 채널의 상부 표면적에 대한 필라의 상부 표면적의 관계에 의해, 한편으로는 편안함, 내구성, 지지 특성 및 압력 분배 특성 간에 양호한 절충안 및 다른 한편으로는 통풍 효과가 달성된다.
채널 시스템에 관한 다수의 양태 및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며 또한 필러 구조체에 대하여서도 설명될 것이긴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 및 장점은 채널 시스템을 구비한 필러 구조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조합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경우, 필러 구조체의 "측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라의 상부 표면적 대 채널의 상부 표면적의 비율은 1.0 내지 3.0, 보다 특히 1.4 내지 2.2이다,
본 발명자들은 착용자에게 고도의 편안함을 초래하는 지지 특성과 압력 분배 특성 간의 특히 양호한 절충안과, 통풍은 필라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표면적이 채널들에 의해 획정되는 상부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더 크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양호한 절충안은 이 비율이 1.0 내지 3.0, 더 특별하게는 1.4 내지 2.2일 때에 달성된다.
이 관계는 극단을 고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편안함 관점에서, 통풍 창 요소의 채널은 전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풍 관점에서, 채널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통풍 창 요소의 개방 공간은 가능한 한 커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채널의 폭은 자의적이지 않다. 너무 좁은 채널은 적절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채널이 공기 및 습기의 충분한 수집과 운반을 허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너무 넓은 채널은 착용자가 필라의 에지를 느끼기 때문에 편안하지 않다. 채널이 넓을수록, 더 많은 에지가 위의 층들, 특히 바닥의 기능층을 누르게 된다.
이들 모든 점을 고려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관계가 특히 유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적 필라는 4 밀리미터의 최소 상부 에지 길이를 갖는다. 모든 에지는 종방향 및 횡방향 양자에서 적어도 4 mm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들의 측방향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로서 형성된다.
채널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형태를 따라갈 수 있다. 횡방향 채널의 적어도 바닥면은 횡방향 채널의 주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실질적으로 수평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채널 깊이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걸쳐 변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횡방향 채널의 바닥면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다. 채널은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의 상면에서의 채널의 폭은 2mm 내지 5mm이며, 특히 2mm 내지 3.5mm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구조는 제 1 채널 폭을 갖는 제 1 부분, 그리고 제 2 채널 폭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한 부분들에 상이한 채널 폭을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부분들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유연성 및 만곡 상태가 일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폭이 서로 다른 채널을 구비한 상기 부분은 발의 뒤꿈치 부분 및/또는 발의 앞 부분, 특히, 발의 앞 부분 볼 부분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부분에서의 채널의 폭은 채널 구조의 그외 다른 부분에서의 채널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의 공기 및 습기의 능동적인 이동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의 앞 부분에서의 인접한 횡방향 채널 사이의 거리는 뒤꿈치 부분에서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러 구조체의 발 앞 부분에서의 가요성이 뒤꿈치 부분에서의 가요성보다 커진다. 또한, 발의 상기 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뒤꿈치 영역에서보다 땀이 많이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요성을 제공함으로써, 채널의 단면적이 감소 및 확장되도록 가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채널 외부로의 공기 유동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발 앞 부분에서 횡방향 채널이 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개선된 통풍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채널의 형태는 상이한 종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은 채널 벽과 채널 바닥을 포함하고,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채널의 벽들 간의 거리는 상향 방향으로 증가한다. 그러한 채널 형태는 양호한 공기 및 습기 수집과 운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바닥은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이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채널은 본질적으로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 이등변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수평 채널 바닥과 채널 벽 사이에 경사진 바닥 천이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채널 바닥은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채널에 U자형 형태를 제공하는 원형의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채널은 예각을 갖는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와 같이 날카로운 모서리 및/또는 가장자리를 갖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 바닥의 실시예에서 90°각도가 없기 때문에, 공기 및 습기는 직사각형 형태의 채널의 경우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습기 이동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코너에서 포획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채널 형태 중 어떤 것도 예컨대 평면 V자 형태의 채널을 갖는 경우와 같이 예컨대 파손 형태의 기계적 고장이 없다. 더욱이, 간단한 V자 형태에 비해 채널 바닥의 폭 때문에, 채널은 더 많은 공기와 습기를 포획할 수 있다.
임의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는 생성되는 마찰 및 난류로 인한 기류를 감소시키고 밑창의 크랙 및 고장을 일으킨다. 이 경우는 특히 채널들의 교차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채널들의 적어도 수직 에지는 원형이고,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5 mm의 반경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필라 상측의 수평 방향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5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러 위쪽의 신발 층에 자국을 남길 위험이 적어지며 착용자의 착용 편안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후방 부분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연속적인 둘레 채널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둘레 채널에 의해 양호한 공기 및 습기 수집 및 운반이 획득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의 서로 다른 부분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속적인 둘레 채널이 제공된다. 이러한 둘레 채널은 서로 교차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둘레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양호한 공기 및 습기 수집 및 운반 기능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둘레 채널은 필러 구조체의 전방 섹션으로부터 후방 섹션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다. 이러한 지그재그 형상의 둘레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로 특히 효율적으로 공기 및 습기가 운반될 수 있다.
둘레 채널의 지그재그 형태는, 이러한 지그재그 둘레 채널의 외부 지점이 단부가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채널과 이러한 습기 및 공기 배출구 바로 내측의 위치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전체적인 채널 구조, 즉, 다양한 채널의 상호 배치 구조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 분자가 필러 구조체의 내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최대 길이가 6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는, 그외 다른 채널 부분과 비교하여,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공기와 습기를 수용하는 한편 습기 및 공기 배출구에 의해 공기와 습기를 외부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릴링, 레이저 가공, 천공 및/또는 핫 니들 등을 이용한 용융 방법을 통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에 공기 연통 개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배출구의 폭과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특히, 채널 시스템 구조의 상부에 멤브레인이나 라미네이트가 위치하는 경우에 보다 안전하게,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채널 시스템과 개구 사이의 상당히 더 신뢰성 있는, 안전하면서도 용이한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의 상면은 지지하고자 하는 발의 바닥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 전방 영역과 상부 후방 영역을 구비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필러 구조체는 필러 구조체에 의해 지지되는 발에 맞춰 인체공학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해부학적 구둣골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채널은 필러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적어도 횡방향 채널의 바닥면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러 구조체 전체에 걸쳐 채널의 깊이는 서로 다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횡방향 채널의 바닥면은 필러 구조체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량의 신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필러 구조체를, 예를 들어, 0.35g/cm3의 밀도를 갖는 저밀도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 구조체를 폴리에틸렌(PE)계 PU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 흡수를 위해 필러 구조체를 너무 경성이 아닌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쇼어 A 경도가 38 내지 45 사이인 폴리우레탄 재료가 필러 구조체용으로 바람직하다. 쇼어 경도는 경도계 시험을 통해 측정된다. 폴리우레탄의 일 지점에 힘을 인가하면, 인가된 힘에 의해 만입부가 생성된다. 이후, 상기 만입부가 사라지는 데 필요한 시간이 측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의 깊이는 2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10mm의 범위이다. 이러한 깊이에 의하면,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착용자가 느끼는 편안함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롤링 효과를 경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롤링 효과는 또한, 기능적 필라에 틸팅 토오크를 인가하여 시간이 경과할 경우 기능적 필라의 파단을 야기할 수도 있다.
채널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적 필라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특히 서로 다른 길이, 깊이 및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치수들은 필러 구조체의 표면에 걸쳐 변할 수 있다.
기능적 필라는 또한, 평면도에서 봤을 때 서로 다른 형상으로, 예를 들어, 장방형, 삼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발견한 바에 따르면, 위쪽의 갑피 조립체에 대면하는 기능적 필라의 표면 면적은 채널의 깊이와 관계가 있다. 채널의 깊이가 얕을수록 표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기능적 필라의 표면적의 통상적인 값은 0.6cm2 내지 1cm2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밑창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의 밑창 요소의 예로는, 관련 실시예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있는 포위 창 요소, 관련 실시예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있는 겉창, 밑창 컴포트층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밑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창 요소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포위 창 요소를 포함하며,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밑창의 외부, 즉, 주위 공기와의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포위 창 요소가 소망하는 형상 및 치수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밑창 내에서의 공기 유동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포위 창 요소에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주위 공기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즉,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내부 사이의 공기 연통 및 공기 유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어떠한 부분도 외부 환경에 노출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통로는, 예를 들어, 상기 밑창용 몰드 내부의 핀에 의해, 또는 핫 니들이나 그 밖에 밑창 재료를 열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한 드릴링, 천공 및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위 창 요소는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공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갑피 조립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전체 측벽의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포위 창 요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의 일부 둘레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추가적으로, 상기 밑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바닥 부분 아래에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위 창 요소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며, 상기 갑피 조립체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기 측벽에 부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발은 착용자의 발 아래에 통기성 부분을 제공할 수 있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포위 창 요소를 통한 수증기 배출이 달성된다.
신발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갑피 조립체,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반제품을 이용하여 소수의 처리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발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필러 구조체가 포함됨으로써, 통기성 관점에서의 구조적 요건 및 이들 구성요소에 부착되는 추가의 밑창 요소의 안정성 관점에서의 재료 요건이 최소한도로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위 창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 및/또는 바닥 부분의 개구와 연통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통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 및/또는 바닥 부분의 개개의 개구와 연통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위 창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로, 특히, 복수 개의 측방향 통로를 포함한다. 특히, 정적인 환경에서, 예를 들어,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동안 측방향 통로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서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수준의 수증기 배출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효과는 착용자가 걷거나 뛰고 있는 동안의 신발의 움직임에 의해 더 증대될 수도 있다. 보행 또는 달리기 동안 두 가지의 바람직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효과는 보행 사이클의 두 가지 페이즈, 즉, 실제 스탠스 페이즈 및 실제 스텝 사이의 신발 스윙 페이즈 중 하나와 주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신발 스윙 페이즈 동안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내외부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로를 통과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하며, 여기서, 측방향 통로는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전개하기에 상당히 적당하다. 이에 따라, 특히, 보행의 모든 페이즈 동안 측방향 통로의 외부 단부가 외부 환경과 공기 연통 관계에 있으므로, 항상 공기 배출과 함께 수증기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보행 또는 달리기 동안 발생하는 신발 밑창의 휘어짐으로 인해 그리고 스탠스 페이즈 동안 필러 재료 또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착용자의 무게가 추가로 인가됨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로의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부로 밀려나간 공기는 신발 내부로부터 수증기를 함께 배출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후,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에 다시 들어온 주위 공기가 수증기로 재충전될 수 있다.
측방향 통로는 밑창의 어느 장소에나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측방향 통로는 밑창의 후방부(뒤꿈치 영역) 및/또는 전방부(발가락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행 동안의 밑창의 롤링 운동으로 인해 공기와 수증기가 보다 용이하게 필러 구조체를 통해 측방향 통로의 외부로 밀려나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바닥 부분에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아래에서 연장되는 경우, 포위 창 요소를 하측으로부터 관통하여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바닥 부분까지 연장되는 수직 방향 통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바닥 부분에 수직 방향 통로나 개구가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밑창 디자인에 있어서의 상당한 유연성이 확보되며, 특히, 발의 바닥면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안정적인 방수성이면서 수증기 투과성을 갖추지 않은 밑창 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더 많이 제공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밑창의 하중 지지 효과가 밑창의 전체 면적에 걸쳐 분배될 수 있어, 덜 강성의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밑창이 보다 균일한 느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수직 방향 홀을 구비한 밑창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장점으로서, 밑창의 밑면에 오염물/먼지/진흙/모래가 축적된다 하더라도 신발의 수증기 배출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측방향 통로는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에서의, 특히, 상당히 열악한 사용 환경에서의 신발의 통기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또한, 밑창이 공기 유동을 야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로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방향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방향 통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쪽 포위 창 요소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 제공되는 외부 밑창 요소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필러 구조체의 조합체의 상면은 하부 전방 영역과 상부 후방 영역을 갖는 해부학적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지지하고자 하는 발의 바닥면을 수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조합체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에 수증기 투과성 컴포트층이 제공된다. 특히, 컴포트층은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상측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컴포트층이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 사이의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포트층은 필러 구조체나 재료보다 측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특히, 필러 구조체나 재료의 위에서 0.5mm 내지 2mm의 범위로 돌출될 수도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러 구조체나 재료의 위에서 대략 1mm의 길이로 돌출될 수도 있다. 컴포트층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필러 구조체의 불균일한 상면을 보상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나 재료가 내부를 관통하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므로, 필러 구조나 재료 및/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필러 구조체나 재료의 조합체가 서로 다른 종류일 수도 있으며, 또는 들쭉날쭉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채널 시스템 또는 채널 격자는 필러 구조체의 표면에 공극 및 중실 재료가 번갈아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컴포트층은 이러한 서로 다른 종류의 부분에 의해 신발의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가능성이 크게 감소하거나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수증기 투과성 컴포트층은 사용 동안 인가되는 하중 및 힘을 견딜 수 있으며 착용자가 상당히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개방 셀 폴리우레탄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재료는 중국에 소재하는 진 쳉 플라스틱(Jin Cheng Plastic)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폴리스포트(POLISPORT)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구조체에 컴포트층을 조립하기 전에, 컴포트층의 재료에 기계적 압력이 인가되어 컴포트층이, 예를 들어, 2mm 내지 1mm의 두께로 가압된다. 이는 재료가 더 콤팩트되게 하여 흡수되는 물의 양을 낮추도록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하게는 재료가 진균류(fungus) 등을 성장시키는 스폰지와 같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증기 투과성 컴포트층은, 특히, 통기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체 표면에 걸쳐 이루어지는 접착에 의해, 또는 스폿 형상의 또는 둘레 방향 접착에 의해,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또는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상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형태로 채널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체 표면에 걸쳐 이루어지는 접착이나 스폿 형상의 접착에 의해 필러 구조체의 증가된 공기 유동 특성이 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컴포트층은 연성의 상면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대면하는 강성의 하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강성의 하면은 부직 합성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은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컴포트층은 두 개의 별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컴포트층은 연성의 상면과 강성의 또는 휘어질 수 있을 정도의 단단한을 갖춘 하면을 구비한 단일 라미네이트형 컴포트층일 수도 있다. 하부 층이 비교적 뻣뻣하게 또는 단단하게 형성됨에 따라, 컴포트층이 1mm 이상의 필러 구조체의 채널 구조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강성이나 휨 강도가, 예를 들어, 텍스타일과 관련한 독일 DIN Norm 53864에 정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사용 동안 컴포트층이 상당한 내구성을 나타냄에 따라, 소망하는 바와 같은 컴포트층 특성을 보존할 수 있다. 연성의 상부 층은 착용자의 발이 밑창을 매우 편안하게 느끼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성의 상부 층은 0.1mm를 초과하지 않는 산마루 및 골질 부분을 포함하는 평활한 표면이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포트층의 상부 층과 하부 층 모두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상부 층과 하부 층은 핫 멜트 접착제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층과 하부 층의 재료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강성의 하부 층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다: 길이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가 400N/5cm 내지 700N/5cm(UNI EN 29073/3), 특히 500N/5cm 내지 600N/5cm, 그리고 가로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가 500N/5cm 내지 800N/5cm(UNI EN 29073/3), 특히 600N/5cm 내지 700N/5cm의 범위이다. 연성의 상부 층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다: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가 50N/5cm 내지 200N/5cm(UNI EN 29073/3), 특히 100N/5cm 내지 150N/5cm의 범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컴포트층의 두께는 2.0mm 이하이며, 물 흡수율은 < 45wt%이고, MVTR(수증기 투과율)은 > 5000g/m2/24h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8000g/m2/24h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성 및 방수성 층, 특히, 기능층 또는 멤브레인이 컴포트층의 상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컴포트층과 멤브레인의 조합체의 MVTR은 > 2000g/m2/24h, 바람직하게는 대략 4500g/m2/24h이다. MVTR은 DIN EN ISO 15496에 설명되어 있는 초산 칼륨 시험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밑면은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포위 창 요소의 밑면과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밑면은 상기 포위 창 요소의 밑면과 비교하여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위 창 요소는 제 1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제 2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다. 제 2 폴리우레탄이 제 1 폴리우레탄보다 연성이다. 특히, 제 2 폴리우레탄의 쇼어 A 값은 35-45의 범위이다. 이에 따라,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가 너무 단단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우수한 충격 흡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위 창 요소 및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가 동일한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다. 쇼어 경도는 경도계 시험을 통해 측정된다. 폴리우레탄의 일 지점에 힘을 인가하면, 인가된 힘에 의해 만입부가 생성된다. 이후, 상기 만입부가 사라지는데 필요한 시간이 측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밑창 요소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겉창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겉창 요소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추가의 밑창 요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추가의 밑창 컴포트층과 같은 추가의 층이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겉창 요소가 상기 포위 창 요소와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위 창 요소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서 연장된다. 상기 포위 창 요소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창 요소는 겉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겉창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겉창 요소는 상기 포위 창 요소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겉창 요소가 포위 창 요소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추가의 밑창 컴포트층과 같은 추가의 층이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가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 상기 포위 창 요소의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포위 창 요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는 또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아래에 배치되는 겉창 요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밑창은 접착제에 의해, 즉, 접착에 의해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며, 또는 상기 밑창은 상기 갑피 조립체에 몰딩되거나 사출 성형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과 갑피 조립체 사이의 부착은 적어도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갑피 조립체 상에 몰딩되는 포위 창 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38의 특징에 따른 밑창 조립체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 부분과 상기 바닥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을 구비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신발용 밑창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조립체는 상기 밑창 조립체가 장착되어 있는 신발 외부로의 수증기의 효과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신발 밑창을 통한 발의 밑면으로부터의 수증기 배출을 촉진한다. 신발의 갑피 조립체에 통기성 바닥부가 장착되는 것을 전제로, 신발의 내부로부터 통기성 바닥부를 통해,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통해, 존재한다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해, 그리고 포위 창 요소를 통해 수증기가 배출된다. 공기 유동 및 수증기 배출에 관한 전술한 세부 사항들은 밑창 조립체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밑창 조립체에 의해 통기성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밑창 조립체는 또한, 신발이 상당히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돕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구비한 잘 획정된 반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는 신발의 마감 처리 제품을 획득하기 위한 다수의 사양을 허용하지만, 통기성이 높은 신발을 획득하기 위한 갑피 조립체의 요건을 완화시키는 신발용의 구조적 베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밑창 조립체와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이 부착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신발의 선회축을 형성한다. 이러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의하면, 밑창 요소와 갑피 조립체의 서로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신발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밑창 조립체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조합체는 높은 안정성을 보장함으로써, 다양한 갑피 조립체가 엄격한 안정성 기준을 충족하지 않고서도 밑창 조립체와 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밑창 조립체는 다양한 통기성이 높은 신발의 제조를 허용하는 베이스를 형성한다.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신발의 밑창의 전체 측방향 길이에 걸쳐 또는 그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도 있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밑창 조립체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포위 창 요소를 포함하며,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밑창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구비하며, 또는 상기 포위 창 요소가 다공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밑창 조립체는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상측에 제공되는 수증기 투과성 컴포트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밑창 조립체는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의 위에, 특히, 상기 컴포트층의 상측에 제공되는 통기성 및 방수성 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신발에 관한 전술한 수정예 및 장점은 일반적으로, 밑창 조립체에 제공된 통풍 컨테이너 요소 뿐만 아니라 밑창 조립체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42의 특징에 따른 반제품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를 구비하는 상부와 적어도 통기층을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와; 바닥 부분과 이 바닥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는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포함하는 신발용 반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제품은 전술한 유리한 특성을 갖춘 통기성이 높은 신발을 생산하기 위한 소수의 제조 단계를 통해 완성될 수 있는 취급이 용이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신발 및 밑창 조립체에 관한 전술한 장점 및 수정예는 신발용 반제품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43의 특징에 따른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 부분과 이 바닥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을 구비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내부를 관통하여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측벽 및/또는 바닥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거나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 외부와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구비하거나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밑창 조립체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포위 창 요소를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은 몰드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및 몰드를 폐쇄하고 포위 창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45 및 청구항 46의 특징에 따른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전술한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를 구비한 상부와 적어도 하나의 통기층을 구비한 바닥부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에 상기 밑창 조립체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를 구비하는 상부와, 적어도 통기층을 구비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바닥 부분과 이 바닥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와,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도록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 공간에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과 갑피 조립체 간의 부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과 갑피 조립체 사이의 부착을 제공하는 단계는 갑피 조립체 및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포위 창 요소를, 특히, 포위 창 요소의 사출 성형을 통해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구비하거나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신발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과 갑피 조립체 사이의 부착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 수행되며, 제 2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갑피 조립체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포위 창 요소를 성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구비하거나 다공성으로 형성되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신발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 제조 방법은 방수성 및 통기성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 수행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과 갑피 조립체 사이의 상기 부착은 동시에, 신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방수성 및 통기성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 그리고 통기성 갑피 조립체 사이의 시일로서 작용하고, 신발 제조 방법은 몰드에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배치하는 단계와, 제거 가능한 인서트 상에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와, 몰드 내에 구둣골 상의 갑피 조립체를 배치하여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맞대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몰드를 닫고 제 1 사출 성형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위 창 요소 부착 단계는 몰드를 개방하는 단계와, 구둣골 상의 갑피를 들어 올리는 단계와,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구둣골 상의 갑피를 몰드로 하강시키는 단계와, 몰드를 닫고 제 2 사출 성형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사출 성형 단계에서 동일한 몰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제거 가능한 인서트에 의해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만 시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량의 사출 성형 재료를 이용하여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당히 정밀한 시일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일에 의해 제 2 사출 성형 단계에서 다량의 사출 성형 재료가 통기성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밑창 조립체와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밑창 조립체 및 신발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수정예에 따라 수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추가의 밑창 조립체/ 신발 구성요소/ 특징부에 대응하는 제조 단계가 제조 방법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양태에 따른 신발 또는 밑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설명된 부착 단계가 전술한 부착 단계로만 한정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또한, 주어진 구성요소 사이의 추가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과정에서 신뢰성 있게 통기성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의 통기성 신발을 가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통기성 신발의 간단한 제조를 허용하는 밑창 조립체와 같은 신발용 반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주요 구성요소의 3차원 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밑창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당 업자라면 다양한 변경이나 개작이, 적절한 경우에 한하여, 개개의 신발 구성의 특정 필요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300)의 주요 구성요소가 3차원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 구성요소에는, 분해도에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겉창(90), 생크(shank)(172), 필러 구조체(60)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컴포트층(40), 포위 창 요소(80), 그리고 갑피 조립체(8)가 포함되며, 갑피 조립체의 외측 재료는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 1의 기본적인 용도는 후속 도면들에 대한 배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평선 Y-Y를 포함하는 수직 평면의 위치는 후속 도면들에 도시된 단면 평면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후속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신발(300)과 상이한 신발을 다루고는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개개의 수직 단면 평면의 위치 및 시야 방향은 수평선 Y-Y 및 시야 방향으로 나타내는 관련 화살표로부터 추론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겉창(90)은, 보행 동안 신발의 그립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하면이 트레드(tread) 구조나 파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생크(172)는 신발(300)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가다. 이러한 생크(172)는 금속이나 기타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172)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필러 구조체(6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주목할 점은, 생크(172)는 대부분의 실시예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선택적인 구성요소라는 점이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경우, 내부에는 필러 구조체(6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의 측방향 가장자리에는 칼라(collar)(101)가 마련되어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는 복수 개의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는 포위 창 요소(8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측방향 통로(50)와 공기 연통 관계에 있다. 포위 창 요소(80)는 원주면이 전체적으로 가변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측방향 통로(5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열되어 있다. 측방향 통로(50)를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한 이유는, 착용자의 발의 위치와 보행 동안의 발의 위치를 고려하여 내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표면이 불균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필러 구조체(60)의 상면에는 채널 구조, 특히 채널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채널 구조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개구(114)와 공기 유동 연통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채널 구조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81로 나타내어진, 횡방향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횡방향 채널(181)과 교차하는 채널(18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채널(184) 중 최외측 채널은, 필러 구조체의 둘레 부분에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둘레 채널로 일컬어질 수도 있다. 도 1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둘레 채널은 필러 구조체의 둘레부를 따라 루프(loop)를 형성한다. 나머지 채널(184)은 종방향 채널로 일컬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상이한 신발의 구성 설명에 있어서, 간명성을 위해, 단면도에 도시된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둘레 채널에 속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채널(184)은 종방향 채널을 일컬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일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단면도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신발의 U자형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발의, 특히 발의 앞 부분 영역의 상단은 폐쇄되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301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신발(301a)은 상부(10) 및 바닥부(20)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그리고 공기 유동이 통과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필러 구조체(61)를 포함한다.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도 2 내지 도 7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조립체의 상부의 하단부 영역들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특히, 바닥부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시임(30)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갑피 조립체의 하부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갑피 조립체의 하부 영역의 어느 하나의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또한, 시임이 바닥부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바닥부가 시임을 초과하여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는 갑피 조립체의 측부의 부품까지도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체 도면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 조립체의 상부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 사이의 한계가 반드시 연결부(30)에 의해 정의될 필요는 없다.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는 갑피 조립체의 하부 부품, 특히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은 인접한 갑피 조립체의 측벽 바닥부 및 착용자 발의 발바닥과 연관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전문 용어 중에서, 도 2 내지 도 7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포위 창 요소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 전체를 통해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소(10)에만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요소(10, 20) 모두에 부착될 수도 있긴 하지만,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부(10)는,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순서대로, 상부 재료로도 일컬어지는 통기성 외측 재료(11), 메쉬(12), 상부 멤브레인(membrane)(13), 그리고 텍스타일 라이닝(14)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쉬(12), 상부 멤브레인(13), 그리고 텍스타일 라이닝(14)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로도 일컬어지는, 라미네이트(17)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상부 멤브레인은 통기성 및 방수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상부 재료(11), 메쉬(12) 그리고 텍스타일 라이닝(14)이 모두 통기성, 즉 수증기 투과성을 갖추고 있다면, 상부(10)는 전체적으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춘 부분이다.
상부 재료(11)는 가죽, 스웨이드, 텍스타일 또는 수공업 직물 등과 같은 신발 외부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임의의 통기성 재료일 수도 있다.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는,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W.L. Gore & Associates)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고어-텍스(GORE-TEX®) 라미네이트와 같은, 적당한 방수성 및 통기성을 갖춘 라미네이트일 수도 있다.
외측 재료(11)의 하부는 네트밴드(15)로 구성된다. 네트밴드(15)는, 예를 들어, 봉합 또는 접착과 같은 적당한 연결 방법을 통해 외측 재료(11)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밴드(15)는 도시된 바와 같은 봉합 연결 라인(16)을 통해 외측 재료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네트밴드라는 용어가 추천되고 있으며, 따라서 외측 재료의 해당 부분이 연속적인 재료가 아니라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밑창 재료를 통한 유체 통과를 허용하는 공극이 형성된 재료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네트밴드를 제공하는 대신, 또한 하부가 상부 재료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외측 재료의 하부를 천공하여 공극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적어도 상기 하부가 접착제 또는 몰딩 재료가 침투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부(20)는,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하부 멤브레인(21)과 지지 텍스타일(22)로 이루어져 있다. 텍스타일은, 예를 들어, 상품명 캠브렐(Cambrelle®)의 텍스타일로서, 직조 방식, 부직 방식, 또는 편물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하부 멤브레인(21)과 지지 텍스타일(22)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로도 일컬어지는, 라미네이트(24)로서 제공된다. 하부 멤브레인(21)은 방수성 및 통기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지지 텍스타일(22)이 통기성이라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도 전체적으로 통기성 및 방수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예를 들어,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고어-텍스(GORE-TEX®) 라미네이트와 같은 적당한 라미네이트일 수도 있다.
상부(10)과 바닥부(20)는 개개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하단부 영역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측면 단부 영역에 연결된다.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는 또한 네트밴드(15)의 단부 영역을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및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그리고 네트밴드는 함께, 예를 들어, 스트로벨 스티치(strobel stitch) 또는 지그재그 스티치에 의해 봉합된다. 이에 따라, 봉합 시임 형태의 연결부(30)가 형성되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상부 재료(11)의 네트밴드 그리고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시임(30)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밑창 재료에 의해 방수 시일 처리되며, 이에 따라 상부(10)과 바닥부(20)에 의해 방수 구조가 형성된다.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연결되어 시일되기에 앞서, 서로 단부가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양 라미네이트가 하방으로 휘어질 수도 있어, 개개의 라미네이트의 상면 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라미네이트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봉합을 통해 상이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 영역이 시일될 수 있다. 외측 재료(11)의 네트밴드(15)는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에 대응하도록, 즉 단부 대 단부 관계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중첩되거나 휘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어, 연결부(30)는 또한, 네트밴드(15)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및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에 연결할 수도 있다. 네트밴드(15)는 또한, 다공성 구조이므로 연결부(30)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를 시일하기 위한 기타 다른 방법에는, 예를 들어, 방수 시일을 형성하도록 중첩 영역을 가열한 다음 이들 영역을 서로 맞대어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는 방법, 또는 이들 라미네이트를 함께 용접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연결부(30)를 형성하기 위한 이러한 상이한 선택 사양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있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사이의 연결부(30)는 착용자의 발 바닥면을 지지할 의도로 마련되어 있는 신발(301a) 내측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에 배치된다. 도 2a의 단면도에서, 연결부는 상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의 측방향 단부에 가까이 위치하며, 다시 말해, 발 무게 지지 부분이 신발 측벽으로 이행되는 지점에 가까이 위치한다. 신발(301a)의 특성상,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실질적으로 발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체이며,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는 둘레를 따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이라는 용어는 신발이 평평한 지면 상에 밑창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 전체에 걸쳐 신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위로 도시되어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의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a의 단면도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과 측벽(102)은 장방형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과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61)가 배치된다. 신발은 3차원 물체이므로, 컨테이너 요소(113)는 필러 구조체(61)를 유지하는 터브(tub) 또는 홈통(trough)으로서 이해될 수도 있는 3차원 컨테이너를 형성한다. 하측에서 보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이 실질적으로 착용자의 발바닥의 윤곽선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긴 하지만, 발바닥의 윤곽선보다 다소 작을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착용자의 발 바닥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도 있다. 특정한 신발에 맞춘 특정 요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바닥 부분 뿐만 아니라 측벽이 지면에 대해 일정하지 않은 높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측벽은 또한, 그 둘레를 따라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뒤꿈치가 착용자의 발 앞 부분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필요한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은 발 앞 부분 영역에서의 높이보다 뒤꿈치 영역에서의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는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a의 단면도에는 이러한 개구 중 2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개구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특히, 필러 구조체(61)의 내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외부와의, 경우에 따라서는 주위 공기와의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기 위한 치수로 형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용으로 사용되는 바람직한 재료에는, 성형 가능한 폴리우레탄(PU), 폴리아미드(PA), 폴리에스테르(PE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에틸렌 비닐 클로라이드(EVA),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VC), 또는 고무와 같은 폴리머 재료가 포함된다.
필러 구조체(61)는 필러 구조체(61)의 상면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제공되어 있는 개구(114)의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채널 구조 또는 채널 시스템(160)을 포함한다.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시스템(160)은 신발(301a)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종방향 채널(184), 그리고 신발(301a)의 횡방향, 즉, 신발의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횡방향 채널(181)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7의 단면도에는 도 1의 수평선 Y-Y를 따라 취한 채널 구조(160)의 횡방향 채널(181)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 절취선이 개방된 채널을 통과하기 때문에, 필러 구조체(61)의 횡방향 채널(181)은 음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반면에,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구조(160)의 아래 부분,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은 포위 창 요소(81) 및 그외 다른 구성요소는 음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a의 단면도는 이러한 신발 구성요소를 관통하여 절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단면도에서, 종방향 채널(184)은 필러 구조체(61)의 상면으로부터 필러 구조체(61)의 대략 중앙까지 이어지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필러 구조체(61)의 종방향 채널 사이의 부분은 음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며, 그 이유는 도 2a의 단면도의 해당 부분에서는 재료 절취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도 2a의 단면도에 절취 도시된 횡방향 채널(181)은 단면도의 뒤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있는 종방향 채널(184) 사이의 부분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종방향 채널(184)은 도 2a의 단면도의 뒤쪽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U자형 종방향 채널을 둘러싸고 있는 필러 구조체(61)의 음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횡방향 경계를 형성한다. U자형 종방향 채널(184)만이 도 2a의 단면도 전방 및 후방의 추가의 횡방향 채널에 대한 종방향 공기 연결부를 형성한다.
종방향 채널(184)과 횡방향 채널(181)이 U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유체 연통에 충분한 채널 체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강성의 필러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무게와 지면 및/또는 포위 창 요소(81) 사이의 양호한 절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측벽이 곡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성형 작업 후 필러 구조체(61)와 몰드 사이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사출 성형 필러 구조체(61)의 경우, U자형 채널의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채널 형상에 의하면, 특히 내구성이 높은 채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필러 구조체(61)의 채널의 경우, 효율적인 공기 이송을 허용하며 이에 따라 필러 구조체(61)의 상면으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로의 수증기의 이송을 허용하는 어느 적당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동시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필러 구조체(61)의 조합체는 신발 코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소망하는 특성을 갖춘 채널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채널의 단면적이 길이를 따라 가변적일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2a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필러 구조체(61)의 폭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5개의 종방향 채널(184)을 포함한다. 또한, 종방향 채널들이 서로 폭이 다를 수도 있으며, 및/또는 필러 구조체(61)의 폭을 가로질러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채널이 신발(301a)의 종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적당한 채널 구조(1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외측의 종방향 채널들은, 적어도 하나의 둘레 채널 또는 원형 둘레 채널을 형성하도록, 예를 들어, 발가락 및 발꿈치 영역에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횡방향 채널(181)은 종방향 채널(184)을 서로 연결하는 한편, 종방향 채널(184)을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에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횡방향 채널의 측방향 단부에는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가 마련되어 있다.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는 측방향으로 최외측의 종방향 채널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특히,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는 횡방향 채널(181)의 바닥에 형성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 횡방향 채널(181)의 바닥 중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가 형성된 영역이, 횡방향 채널(181)의 바닥의 나머지 영역보다, 필러 구조체(161) 내로 깊게 파여 있다.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182)는 신발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습기/수증기가 효율적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증기가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로부터 개구(114)와 횡방향 통로(5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외부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 횡방향 채널(181)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 서브세트의 횡방향 채널(18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가 도 2a의 실시예에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외 다른 실시예의 채널 시스템의 채널에도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가 제공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모든 횡방향 채널이 또는 일 세브세트의 횡방향 채널만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횡방향 채널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개구(114)와 공기 연통 관계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막다른 부분에서 종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61)의 횡방향 채널(181)(도 2a에는 하나 만이 도시됨)에 의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외부와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 사이의 공기 연통이 허용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이 통기성인 경우,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통해 신발 내부로부터 갑피 조립체의 하부 측방향 외부로의, 즉, 주위 공기 중으로의 수증기의 이송이 보장된다.
횡방향 채널(181)은 종방향 채널(184)과 동일한 높이에, 또는 더 높거나 더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채널은 필러 구조체(61)의 상측으로부터 필러 구조체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홈(groove) 또는 트렌치(tren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채널이 필러 구조체(61)의 일부분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러 구조체(61)의 상측에서 볼 경우 쉽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종방향 채널 또한 마찬가지로, 필러 구조체(61)의 상면에 보이지 않게 숨겨진 도시된 바와 같은 홈 또는 채널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은 채널 격자이다. 채널 격자를 구성하는 채널은 필러 구조체(61)의 상측으로부터 필러 구조체의 내부로 연장된다. 채널은 서로 공기 연통하도록 교차 형성되는 종방향 채널 및 횡방향 채널일 수도 있다. 채널은 또한, 필러 구조체의 상측에서 보아 대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격자가 종방향, 횡방향 및 대각선 채널의 조합체일 수도 있다. 신발의 나머지 부분의 기타 다른 모든 구성에서도 채널 구조가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특히, 기타 다른 모든 밑창 구성 및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과 관련된 기타 다른 모든 구성과 조합되어 채널 구조가 구체화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또한, 칼라(collar) 또는 원형 립(lip)(101)을 포함한다.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방향 상단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3차원 구조체이므로,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상부 둘레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방향 상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원형이라는 용어가 반드시 원 형상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칼라라는 용어가 원형을 의미할 의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칼라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또는 루프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용어가 반드시 폐쇄형 립 또는 칼라 구조체를 필요로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칼라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둘레를 따라 분포되는 복수 개의 이격 배치된 립 섹션 또는 칼라 섹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칼라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나머지 부분의 측방향 상부 가장자리에 바로 부착될 필요는 없다. 칼라가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벽(102) 또는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원주 방향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칼라(101)는 아래에 설명되고 있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101)는 연결부(30)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칼라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약간의 각을 이루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연결부(30)에 칼라(101)가 포함됨으로써, 연결부에 의해 상부(10), 바닥부(20) 뿐만 아니라 필러 구조체(61)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스트로벨 스티치(30)에 의해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상부 재료(11)의 네트밴드(15),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그리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칼라(101)가 연결될 수도 있다. 칼라(101)에 의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일체형 갑피 조립체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갑피 조립체의 개개의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전술한 부착 과정은, 아래에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은, 포위 창 요소(81)를 통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부착하는 과정과는 독립적이다. 상부(10), 바닥부(20)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컴포트층(40), 그리고 필러 구조체(61)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로 이루어지는 잘 형성된 반제품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갑피 조립체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칼라(101)는 단일 부분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일체형 부품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제조 단계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61)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특히, 칼라(101)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일 제조 단계, 예를 들어, 사출 성형을 통해 생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칼라(101)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보장함으로써, 전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칼라(101)를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또는 칼라(101)의 영역에서, 특히, 칼라(101)의 영역에서만 이루어지는 국소 사출 성형 작업을 통해 칼라(101)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를 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칼라(101)를 포함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부착할 수 있다.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외부를 향한 측방향, 즉, 수평 방향 및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로부터 상방으로의 수직 방향을 포함하는 어느 한 방향 그리고 이러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신발(301a)은 컴포트층(40)을 추가로 포함한다. 컴포트층(40)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필러 구조체(61)의 위에 배치된다. 컴포트층(40)은 전술한 위치에 헐겁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신발의 추가 제조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착은 스폿 형태로의 접착 또는 둘레 방향 접착에 의해, 또는 통기성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어, 신발 내부로부터 필러 구조체(61)로의 수증기의 유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또한, 필러 구조체(61)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접착제가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도의 요변성(搖變性) 접착제가 사용되어야 한다. 컴포트층(40)은 사용자가 보행 중에 부드러운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사용자가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으로 인해 거추장스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다. 신발(301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컴포트층의 측방향 길이가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의 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칼라(101)의 위쪽에서 약간 연장된다. 그러나, 컴포트층(40)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에 부착되는 칼라(101)의 측방향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컴포트층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 필러 구조체의 조합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측방향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컴포트층의 측방향 치수가 필러 구조체의 측방향 치수와 동일할 수도 있다.
신발(301a)의 밑창은 포위 창 요소(81)를 포함한다. 신발의 사용 동안, 포위 창 요소(81)에 의해 신발(301a)과 지면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포위 창 요소는 측방향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둘러싸고 있으며, 통풍 컨테이너 요소보다 수직 방향 길이가 더 길다. 구체적으로, 포위 창 요소의 일부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보다 낮은 높이로 연장되며 나머지 부분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보다 높은 높이로 연장된다. 포위 창 요소(81)의 상부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칼라(101)의 위에 위치하며, 네트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외측 재료(11)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 수평 방향으로 및 수직 방향으로 갑피 조립체의 상부(10)의 멤브레인(13)에 인접한 위치, 또한 하부 멤브레인(21)에 인접한 위치로 배치된다. 포위 창 요소(18)의 재료는 사출 성형 동안 시임(30) 내부 및 위쪽으로 뿐만 아니라 네트밴드와 메쉬 재료(12)를 통과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도달한다. 다시 말해, 포위 창 요소(81)는 착용자의 발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신발 내부를 제공하는 갑피 조립체의 모서리 둘레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포위 창 요소(81)는 지면으로부터 갑피 조립체의 상부(10)의 측방향 하면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과 갑피 조립체의 상부(10)의 하부 영역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에 의해 또한, 연결부(30)를 통한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사이의 부착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고도로 안정된 신발 구성이 제공된다.
신발(301a)의 포위 창 요소(8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신발(301a)의 측방향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측방향 통로(50)를 구비한다. 도 2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방향 통로(50)는 수평 방향의 횡방향 통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측방향 통로라는 용어가 이러한 구성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측방향 통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과 포위 창 요소(81)의 측방향 외부, 즉, 신발(301a)의 밑면이 아닌 포위 창 요소(81)의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통로일 수도 있다. 특히, 측방향 통로(50)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특히, 측방향 통로의 내부 단부가 측방향 단부의 외부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진 구성의 장점은, 필러 구조체(61)/포위 창 요소(81)의 내부로부터의 보다 용이한 배수 작용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수평 방향의 횡방향 통로의 경우에는,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필러 구조체(61)를 통과하여 포위 창 요소의 우측으로부터 포위 창 요소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또는 그 반대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통로의 경우, 공기 및 수증기의 유동에 적당한 경로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측방향 통로(50)는 또한, 측방향 통로의 외부 단부가 측방향 통로의 내부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섬세한 멤브레인(21)의 손상 위험 없이, 예를 들어, 드릴링(drilling)이나 레이저 작업을 이용하여 측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굴뚝 형태의 이러한 경사진 측방향 통로는 착용자의 체온으로 인해 따뜻해진 공기 및 수증기가 효과적인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신발의 바닥에서 보면, 측방향 통로(50)는 신발의 종방향, 신발의 횡방향, 또는 이러한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의 전방 또는 후방을 기준으로 할 경우, 측방향 통로가 실질적으로 신발의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방향 통로(5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위 관련 사양들은 설명되고 있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신발(301a)은 다수의 단계의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제 1 단계로서, 필러 구조체(61)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사출 성형 또는 캐스팅을 통해,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몰드를 이용하여 생산된다. 폴리우레탄은 내부에 필러 구조체(61) 및 채널 구조체(160)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적당한 복수 개의 재료 중 하나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필러 구조체는 사용 중에, 예를 들어, 보행 중에 사용자의 무게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전달하기 위한 높은 안정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보행 동안 사용자의 편안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약간의 가요성도 갖추고 있다. 신발의 우선적인 사용 용도에 따라, 적당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적당한 재료의 일 예로서, 독일 소재 엘라스토그란 게엠베하(Elastogran Gmhb)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상품명 엘라스톨란(ElastollanTM)이 있다. 이 재료가 바람직한 이유는 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필러 요소(61)의 사출 성형을 위해,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PVC(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TR(열가소성 고무)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61)는 예비 성형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배치된다. 이후, 컴포트층(40)이 필러 구조체(61) 및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측에 배치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필러 구조체 및 통풍 컨테이너 요소에 부착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그리고 외측 재료(10)가 제공되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필러 구조체(61) 그리고 컴포트층(40)에 대해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외측 재료(11)의 네트밴드(15) 그리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칼라(101)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통해 서로 상대적인 위치에 고정된다. 연결부(30)는 도 2a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트로벨 스티치이다. 또한, 서브세트 구성요소 사이에 복수의 연결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그리고 외측 재료는 스트로벨 스티치(30)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는 반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국소 사출 성형 작업을 통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복수 개의 원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반제품이 성형되며, 이들 구성요소는 모두 추가 처리를 위해 단일 복합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이후, 전술한 반제품은 몰드 내부의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둣골에 배치되며, 몰드 내에서 포위 창 요소 재료가 갑피 조립체 상에 사출 성형된다. 이에 따라, 포위 창 요소(81)는 갑피 조립체의 상부(10)뿐만 아니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부착되어, 포위 창 요소(81)의 밑창 재료를 통해 이들 구성요소의 영속적인 일체형 연결이 달성된다. 포위 창 요소용으로 적당한 재료는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열가소성 고무(TR),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이다.
포위 창 요소(81)의 밑창 재료는 네트밴드(15)를 통해, 스트로벨 스티치(30)를 통해, 그리고 메쉬(12)를 통해, 상부 재료(11) 상으로, 칼라(101)의 적어도 일부 둘레에서, 상부 멤브레인(13) 상으로, 그리고 하부 멤브레인(21) 상으로 침투한다. 이렇게 침투한 밑창 재료는 한편으로는, 스트로벨 스티치(30)를 방수 시일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을 서로 부착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시일을 통해 갑피 조립체가 완전히 방수 처리되며, 이러한 방수 특성은 신발 내부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서로 방수 시일된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에 의해 달성된다. 밑창 둘레 재료는 또한, 연결부(30)를 통하여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상면으로 침투한다. 특히, 밑창 둘레 재료는 두 개의 라미네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방으로 침투한다. 밑창 둘레 재료는 또한, 칼라(101)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사이의 공간에도 약간 침투한다. 이에 따라, 밑창 둘레 재료가 스트로벨 스티치(30)의 전체 영역에 침투하여, 스트로벨 봉합 작업을 통해 상부 멤브레인(13)과 하부 멤브레인(21)에 형성된 모든 개구가 밑창 둘레 재료에 의해 신뢰성 있게 시일된다.
소량의 밑창 둘레 재료가 밀봉 목적으로 칼라(101)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사이의 공간에 침투되어 있긴 하지만, 칼라(101)가 또한, 사출 성형 동안 포위 창 요소(81)의 밑창 재료용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칼라(101)는 포위 창 요소(81)의 일부 밑창 재료는 칼라(101)의 최상측 지점까지 침투하지만 나머지 밑창 재료는 필러 구조체(61)의 상면 및/또는 컴포트층(40)에는 침투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칼라(101)는 밑창 재료가 과다하게 필러 구조체(61)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사이의 영역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넓은 면적에 걸쳐 수증기 투과성이 보장되며, 갑피 조립체의 통기성이 보장된다.
칼라(101)가 포위 창 요소(81)의 사출 성형 동안 배리어 기능을 충족할 수 있도록,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적당한 압력/고정력에 의해 몰드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피스톤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갑피 조립체가 구둣골로 충전되는 동안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해 피스톤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10)에 맞대어 가압된다.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10)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 사이의 압력은, 소망하는 양의 밑창 재료가 이들 구성요소 사이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측방향 길이가 연결부 영역(30)에 못 미치는 경우, 칼라(101)는 밑창 재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칼라는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에 맞대어 가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압 공정 동안 돌출 립/칼라의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어, 후속 사출 성형 단계용의 조밀한 배리어가 형성된다.
도 2a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밴드(15)가 상부(10)의 모서리, 즉, 상부(10)의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상부 재료(11)의 네트밴드가 실질적인 수평 방위로부터 실질적인 수직 방위로 휘어지는 부분의 둘레를 감는 상태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수직 방위를 갖는 부분이 착용자의 발에 대한 측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포위 창 요소(81)의 밑창 재료가 네트밴드(15)를 통하여 상부 멤브레인의 밑면 및 측면으로부터 상부 멤브레인에 침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위 창 요소(81)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사이의 강력한 다중 방향 부착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17, 24) 사이의 양호한 시일이 제공된다.
상부 재료(11), 메쉬(12), 상부 멤브레인(13) 그리고 텍스타일 라이닝(14)이 도 2a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설명되고 있는 그외 다른 실시예의 4층 라미네이트로서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2b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1b)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1b)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301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도 2b에는, 상부 재료(11), 메쉬(12), 상부 멤브레인(13), 텍스타일 라이닝(14), 바닥 멤브레인(21), 지지 텍스타일(22), 컴포트층(40),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필러 구조체(61), 그리고 포위 창 요소(81)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취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신발(301b)의 필러 구조체(61)는 신발(301a)의 필러 구조체(61)와 상이하다. 신발(301b)의 필러 구조체(61)는 필러 구조체(61)의 상면으로부터 필러 구조체(61)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채널(181) 및 종방향 채널(184)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필러 구조체(61)의 채널은 필러 구조체(61)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에 따라, 수증기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밑면으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추가하여,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까지 이동할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바닥 부분(103)뿐만 아니라 측벽(102)에 개구(114)를 구비한다. 바닥 부분(103)의 개구(114)의 위치는 종방향 채널(184)의 위치와 일치하며, 측벽(102)의 개구(114)의 위치는 횡방향 채널(181)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에 따라, 개구(114)에 의해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이 허용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는 밑창 부분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의 개구(114)에 의해 외부 환경과의 직접적인 공기 연통 및 외부 환경으로의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는 포위 창 요소(81)의 측방향 통로(50)와 공기 연통 관계로 형성되어, 밑창 측면으로의 공기 유동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신발 내부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모든 방향으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도 2b는 신발(301b)의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의 횡방향 채널(18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신발(301b)의 내부로부터 필러 구조체(61)로 들어간 수증기는 일부는 채널 구조체(160)의 종방향 채널(184)과 횡방향 채널(181)을 통해 신발의 밑면으로부터 배기되며 일부는 측방향 통로(50)를 통해 배기되고, 또한 횡방향 채널(181)은 필러 구조체(61)의 채널 시스템(160)과 측방향 통로(50)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횡방향 채널 및/또는 종방향 채널은 필러 구조체(61)의 높이 방향으로 특정 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도 있으며, 특히, 필러 구조체(61)의 상측으로부터 필러 구조체의 내부로 전체 높이에 걸쳐 또는 일부 높이에 걸쳐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필러 구조체의 채널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본 경우, 신발(301b)의 종방향과 신발(301b)의 횡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신발의 밑창을 관통하는 수평 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채널은 필러 구조체(61) 내부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또한, 신발(301b)의 경우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수증기의 배출이 전적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의 개구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위 창 요소(81)의 측방향 통로(50)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즉, 포위 창 요소(81)가 중실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61)가 개개의 종방향 블록으로 형성되어, 이들 블록이 개별적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종방향 블록의 사이에 횡방향 리브(rib)가 마련되어 형성되는 단일체형 필러 구조체(61)가 가능하며, 이러한 필러 구조체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횡방향 리브가 채널의 전체 종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채널의 수증기 배출 능력을 절충하는 기능이 없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칼라(101)는 연결부(30)를 기준으로 신발의 중앙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칼라가 바닥 멤브레인(21)에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포위 창 요소(81)의 사출 성형 동안 필러 구조체(61)에 대면하는 칼라(101)의 측면과 바닥 멤브레인(21)의 사이에서 밑창 둘레 재료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필러 구조체(61)/컴포트층(40)의 상면 전체가 밑창 둘레 재료와 무관하게 유지됨으로써, 수증기 배출을 위한 비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3a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2a)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2a)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2a에 도시된 신발(301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2a)의 밑창은, 포위 창 요소(82)에 추가하여, 겉창(92)을 포함한다. 신발(302a)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포위 창 요소(82)의 측벽 사이에서 연장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포위 창 요소(82)는 밑면이 동일한 높이에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겉창(92)은 신발(302a)의 밑창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겉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포위 창 요소(82)의 밑면 모두를 덮도록 형성된다. 균일한 표면 상에서의 신발(302a)의 정상 사용 동안, 신발(302a)의 구성요소 중 겉창(92)만이 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겉창용으로 특히 적당한 재료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포위 창 요소(82)의 요건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필러 구조체(62), 그리고 포위 창 요소(82)의 재료는, 사용 중에 지면에 대한 밑창의 연속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밑창의 마모 및 찢김을 걱정할 필요 없이, 순전히 사용자의 편안함, 밑창의 안정성, 접합 특성 등과 같은 요인에 기초하여 신발(302a)의 제조 과정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겉창(92)은 사용 중에 신발의 그립 특성 제공에 유리한 트레드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겉창(92)에는 신발(302a)의 보행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요철 패턴이 마련되어 있다. 설명되고 있는 모든 실시예에서 트레드 구성요소가 밑창의 밑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신발(302a)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칼라(101)가 수평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신발(301a)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상이하다.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으로부터 연결부(30)까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부에서 스트로벨 봉합을 통해 외측 재료(10)의 네트밴드,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그리고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연결된다. 이러한 수평 방위에 의해, 칼라(101)는 바닥 멤브레인(22)을 따라 세장형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연결부(30)의 시일을 위해 칼라(101)의 상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밑창 둘레 재료의 침투 과정과 밑창 둘레 재료가 컴포트층(40) 상으로 및/또는 채널 시스템(160) 내로 및/또는 채널 시스템(160) 위쪽의 바닥 멤브레인(21) 상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 형성 과정 사이의 우수한 균형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신발(302a)의 필러 구조체(62)는 신발(301a)의 필러 구조체(61)와 상이하다.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구조체(62)는 장방형 단면 형상을 갖는 네 개의 종방향 채널(184)을 포함하며, 이러한 종방향 채널(184)은 필러 구조체(62) 내로 상측으로부터 대략 30% 내지 40%까지 연장된다. 신발(302a)의 종방향 채널(184)은 횡방향 채널(18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에 연결되어 있다. 횡방향 채널(181)(도 3a의 단면도에는 이중 하나의 배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음)은 종방향 채널(184)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종방향 채널(184)과 동일한 수직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채널(181)이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또한, 횡방향 채널에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 및 습기 방출 포트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필러 구조체(62)의 상측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특히 개구(114) 사이의 유체 연통을 달성할 수 있다.
신발(302a)의 컴포트층(40)은 필러 구조체(62)의 측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그러나, 컴포트층이 필러 구조체(62)의 전체 폭을 가로지르는 한편 필러 구조체(62)에 인접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특정한 칼라 디자인과 같은, 특정한 디자인으로 인해 또는 제조 공정상의 결함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는 필러 구조체(62)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사이의 불연속적인 부분이 컴포트층(40)에 의해 덮어질 수도 있어, 이러한 불연속 부분으로 인한 착용자의 착용 편안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컴포트층이 또한, 도시된 그외 다른 실시예에서도 필러 구조체를 초과하여 연장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3b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2b)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2b)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3a에 도시된 신발(302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2b)의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3층 라미네이트로서, 바닥에서부터 상측까지 순서대로, 메쉬(23), 방수성 및 통기성 바닥 멤브레인(21), 그리고 지지 텍스타일(22)로 구성되어 있다. 메쉬(23)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외 다른 실시예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 또한, 신발(302b)에서와 같이 3층 라미네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3c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2c)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2c)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3a에 도시된 신발(302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2c)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포위 창 요소(82)의 사이에 위치하며 포위 창 요소(82)의 수직 연장부의 상부에 걸쳐 연장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수직 방향 높이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인접한 포위 창 요소(82)의 부분의 수직 방향 높이의 대략 절반값이다. 이에 따라, 신발(302c)의 필러 구조체(62)의 높이는 신발(302a)의 필러 구조체(62)의 높이의 대략 절반값이다. 신발(302c)의 필러 구조체(62)의 채널 시스템(160)은 도 3a에 도시된 신발(302a)의 필러 구조체(62)의 채널 시스템(160)과 유사하지만, 측방향 연장부가 더 길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중창(122)으로도 일컬어지는 밑창 컴포트층(122)이 제공되어 있다. 밑창 컴포트층(122)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측방향 치수가 동일하다.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의 밑창 컴포트층은 공기 연통 채널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외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기 연통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아래에 마련되는 2층 구조 밑창, 즉, 서로 위 아래로 배치되는 밑창 컴포트층(122)과 겉창(92)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 소정 작업들에 있어 상당히 적당한 복수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특히, 겉창(92)용 재료는 그립 및 연마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으며, 밑창 컴포트층(122)용 재료는 편안함 및 완충 성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밑창 구성요소를 통해 신발의 바닥부가 여러 가지 작업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및 필러 구조체(62)로 이루어지는 조합체용 재료가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위해 제공되는 채널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안정성 제공 성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논의되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접착, 사출 성형 또는 기타 적당한 기술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개구(114)가 효과적인 공기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인접한 측방향 통로(50)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3d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2d)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2d)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도 3c에 도시된 신발(302c)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2d)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는, 다공성 재료와 같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필러 재료(112)가 충전되어 있다. 필러 재료(112)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전체 체적에 걸쳐 연장 형성된다. 필러 재료(112)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밑면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12)에 형성된 개구(114)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러 재료 또는 구조체(112)는, 신발의 사용 동안 착용자의 무게 중 소망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그리고 공기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적당한 재료 또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구조체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필러 요소로 이루어져, 필러 요소 사이의 공극에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일 예로서, 구형 요소일 수도 있으며,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러 요소 사이의 공극을 통해 물이 유동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필러 재료 또는 구조체(112)가, 고유의 공기 투과성을 갖는 스페이서(spacer)와 같은, 연속적인 3차원의 개방형 또는 다공성 재료 또는 구조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는, 대만 소재 쿤 후앙 엔터프라이즈사(Kun Huang Enterprises Co., Ltd.)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발포 폴리우레탄 상품명 폴리유(PoliYou®) 또는 폴리스포트(PoliSport®)가 있다.
그외 다른 실시예의 필러 구조체가 전술한 바와 같은 필러 재료 또는 구조체(112)로 대체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 및/또는 바닥 부분(103)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를 통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재료, 예를 들어, 개방형 또는 다공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과 외부 사이에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 경우, 바닥 부분(103) 및/또는 측벽(102)에 개구가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제공은 또한, 논의되고 있는 그외 다른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신발(302d)의 경우, 필러 재료(112)의 상측에 컴포트층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2d)이 전술한 바와 같은 컴포트층을 포함하여, 컴포트층이 필러 재료(112)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칼라(101)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될 가능성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그외 다른 실시예에서도 컴포트층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3e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창 조립체(202a)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밑창 조립체(202a)는 겉창(92), 측방향 통로(50)가 제공되어 있는 포위 창 요소(82),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부분(103)과 측벽(102)으로 이루어진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채널 구조(160)를 구비하는 필러 구조체(62), 그리고 컴포트층(40)을 포함한다. 밑창 조립체(202a)의 이들 구성요소는 도 3a에 도시된 신발(302a)의 개개의 구성요소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간명성을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그러나, 밑창 조립체(202a)의 상기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 상태로 함께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용의 잘 획정된 반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제품은 다양한 갑피 조립체와 용이하게 조합되어, 통기성 밑창 구조체를 구비한 신발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갑피 조립체가 통기성 밑면이나 바닥부를 구비하는 한, 신발의 내부로부터 채널 구조(160)와 측방향 통로((50)를 통해 밑창 외부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접착, 사출 성형, 또는 기타 다른 적당한 부착 기술에 의해 밑창 조립체(202a)와 갑피 조립체 사이의 부착이 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3)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갑피 조립체의 상부(10),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 그리고 그 연결부(30), 컴포트층(40), 그리고 필러 구조체(63)는 도 3c에 도시된 신발(302c)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매우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간명성을 위해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신발(303)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는 칼라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4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필러 구조체(63)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부분(103)과 측벽(102)에 추가하여, 컴포트층(4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단순히 필러 구조체(63)용 컨테이너의 역할을 하며, 추가의 특징부 없이 벽/바닥으로 이루어진 필러 구조체(6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포위 창 요소(83)를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 단계 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바닥부(20) 사이의 국소 부착부를 형성하는 별개의 사출 성형 단계에서, 또는 그 밖에 갑피 조립체에 대한 접착에 의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포위 창 요소(83)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측방향으로 둘러싼 다음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포위 창 요소(83)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과 측벽(102)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포위 창 요소(83)의 내부에 매입되어 있다. 포위 창 요소(83)는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측방향으로 인접하는 갑피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의 아래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갑피 조립체의 측벽 하부 영역 둘레에서 측방향으로도 배치된다. 이에 따라, 포위 창 요소(83)가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으며, 바닥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 부분의 하측 영역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포위 창 요소(83)에는 측방향 통로(50)가 마련되어, 필러 구조체(63)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통해 그리고 측방향 통로(50)를 통해 신발(303)의 밑창 측방향 외부로 공기와 함께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포위 창 요소(83)에는 지지 부재(133)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133)는 포위 창 요소(83)를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포위 창 요소(83)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신발(303)의 종방향 연장부에 따라, 지지 부재(133)는 리브 또는 지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지지 부재(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연장부와 종방향 연장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또는 종방향 연장부가 횡방향 연장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길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가 횡방향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33)의 제조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 부재(133)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지지 부재(133)는 하나의 사출 성형 단계에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포위 창 요소(83)는 이후, 후속 사출 성형 단계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지지 부재(133)의 둘레에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재(133)가 별개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는, 포위 창 요소(83)의 사출 성형에 앞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몰드 내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33)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상승된 위치에 유지하여, 포위 창 요소 재료(83)가 사출 성형 동안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a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4a)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4a)의 다수의 구성요소는 신발(303)의 개개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4a)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가변적인 측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도시된 횡방향을 기준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단은 신발(304a)의 폭의 대략 60~70%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측방향 연장부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높이 방향으로 대략 상부 절반부에 걸쳐 일정하다. 상부 절반부 아래, 즉,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절반부에 걸쳐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신발(304a)의 거의 전체 횡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된다. 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은 계단형이다.
필러 구조체(64)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내부 공간에 충전되어 있다. 필러 구조체(64)의 채널 구조(160)는 도 3b에 도시된 신발(302b)의 채널 구조(160)와 유사하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는 또한, 필러 재료 또는 복수 개의 필러 요소가 충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필러 재료 또는 필러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로 주입될 수도 있고, 이후 측벽의 형상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제공되는 하부 측방향 포켓 내로 유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필러 구조체(64)는, 필러 구조체 폭이 더 넓은 하부 부분이 상기 하부 측방향 포켓 내로 압착되는 방식으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충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압착은 필러 구조체(64)의 탄성으로 인해 가능하다.
포위 창 요소(84)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폭이 더 넓은 부분에서 측벽(102)을 둘러싸는 밑창 요소를 형성한다. 또한, 포위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바닥 부분(103)의 외부를 덮어싸도록 형성되어, 지면과의 신발(304a) 접촉면을 형성한다. 포위 창 요소(84)는 또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갑피 조립체의 상부(10)/바닥부(20) 사이의 측방향 포켓에 충전되어,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의 강력한 부착 및 갑피 조립체의 상부(10)과 바닥부(20) 사이의 방수 시일을 형성한다.
포위 창 요소(84)는 필러 구조체(64)의 채널 시스템(160)과 공기 연통 관계의 측방향 통로(50)를 구비한다. 측방향 통로(50)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방향 연장부가 변하는 위치의 다소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포위 창 요소(84)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134)를 포함한다. 포위 창 요소(84)에는 트레드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신발(304a)에 의하면, 체적 증가의 덕택으로 필러 구조체(64)의 완충 성능 및 편안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으면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포위 창 요소(8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균일한 신발 외관을 달성할 수 있고, 밑창의 모든 외벽에 걸쳐 내구성 있는 외측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신발(304a)에 의하면, 포위 창 요소(84)용으로 소량의 밑창 재료만이 필요하게 된다. 체적이 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별개로 생산됨에 따라, 포위 창 요소(84)의 사출 성형 단계가 신속하게 효과적인 제어 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단계는 신발 제조에 있어 마지막 마감 처리 단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5b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4b)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구성요소가 이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된 개개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신발(304b)의 갑피 조립체는 상부 재료(11)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로 이루어진 상부(10) 그리고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포함하는 바닥부(20),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러 구조체(64), 그리고 필러 구조체(64)의 상측에 배치되는 컴포트층(40)을 포함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착용자의 밑창과 연관된 갑피 조립체의 전체 수평 방향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또한,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착용자의 발 측면과 연관된 갑피 조립체의 측벽까지로 약간 더 연장 형성된다.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는 상기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 부분 사이의 천이부까지 하방으로 완전히 연장하도록 형성되지는 않는다. 상부 재료(11)의 네트밴드(15)는 하방으로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까지 연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b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밴드(15)는 착용자의 발의 측면과 연관된 상기 측벽의 바닥 단부까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5b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개개의 가장자리는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어, 스트로벨 스티치(30)에 의해 이들 구성요소가 함께 연결된다. 스트로벨 스티치(30)는 또한, 네트밴드(15)를 상기 구성요소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컴포트층(40)의 아래에 배치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40)의 수평 방향 부분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30)가 갑피 조립체의 측벽에 배치됨으로 인해 추가의 공간이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수직 방향에 대해 약간 각도를 이루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칼라(101)를 구비한다.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에 대해 외측으로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칼라에 의해 사출 성형 동안 포위 창 요소(84)의 재료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고도로 효과적인 배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칼라(101)가 외측 방향으로 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 인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상부에서 약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신발(304b)의 내부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배치되어 있는 필러 구조체(64)로의 수증기 배출에 기여하는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면적이 최대가 된다. 필러 구조체(64)와 컴포트층(40)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부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이러한 증가된 단면적은 신발(304b)의 모든 단면에서 보여질 수도 있으며, 또는 신발의 일 부분에서만 보여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단면적 치수는 소정의 높이에서만 일정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단면적 치수는 수직 방향 연장부를 따라 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면들마다 단면적 치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신발(304b)의 필러 구조체(64)의 채널 구조(160)는 도 5a에 도시된 신발(304a)의 필러 구조체(64)의 채널 구조(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신발(304b)의 측방향 치수 대부분에 걸쳐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제공함으로써,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큰 면적으로 인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수증기 배출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포위 창 요소(84)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 뿐만 아니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밑면 일부 그리고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하단부와 외측 재료(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포위 창 요소(84)의 밑창 재료는 네트밴드(15)를 통하여 그리고 스트로벨 스티치(30)를 통하여 침투되어, 갑피 조립체의 상부(10)과 바닥부(20) 사이의 연결 영역을 시일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포위 창 요소(84)의 아래에 겉창(94)이 마련되어 있다.
도 6a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5a)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외측 재료(11),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의 연결부(30)는 신발(304b)의 개개의 구성요소와 거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간명성을 위해 생략된다.
그러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포위 창 요소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으며 신발의 하측 영역에서 신발의 전체 측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전술한 신발(305a) 뿐만 아니라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신발(305b, 306a, 306b)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는 개구(114)가 제공되어 있다. 개구(114)는 외부 환경, 특히, 신발(305a)의 하부 부분의 측방향 외측과 직접 공기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내부로부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통하여 상당히 효과적으로 수증기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305a)에는 겉창(9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겉창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와 측방향 연장부가 동일하며, 또한 하부 영역이 신발(305a)의 전체 측방향 연장부를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겉창에 트레드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필러 구조체(65)가 바닥 부분(103)과 측벽(102)에 의해 형성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필러 구조체(65)는 채널 시스템(160)을 포함하며, 신발(305a)의 내부로부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통해 채널 시스템(160)으로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필러 구조체(65)의 채널 구조(160)가 실질적으로 신발의 수평 방향 부분 전체에 걸쳐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내부로부터의 수증기 배출이 신발(305a) 내부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 전체에 걸쳐 발생하게 된다.
컴포트층(40)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필러 구조체(6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둘레 연결 요소(85)는 신발(305a)의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영역을 둘러싸는 한편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면의 측방향 단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 연결 요소(85)는 갑피 조립체 뿐만 아니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면의 측방향 단부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둘레 연결 요소(85)에 의해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둘레 연결 요소(85)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둘레 연결 요소(85)는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사이에 단지 부착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컴포트층(40)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갑피 조립체에 다른 방식으로 접착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둘레 연결 요소(85)의 재료는 네트밴드(15)를 통하여 신발(305a)의 갑피 조립체의 상부(10)과 바닥부(20) 사이의 연결 영역(30)으로 침투한다. 이에 따라, 둘레 연결 요소(85)는 연결 영역(30)에, 특히, 스트로벨 스티치(30)에서 방수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 연결 요소(85)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방향 연장부를 초과하여 연장되는 측방향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추가 밑창 재료는 사용 중에 둘레 연결 요소(85)에 인가된 응력이 지탱함으로써, 내구성이 높은 구성이 달성된다.
또한,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 사이의 연결부(30)가, 예를 들어, 밀봉 테이프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시일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둘레 연결 요소(85)는 갑피 조립체에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부착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도입될 수도 있다.
도 6b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5b)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둘레 연결 요소(85)를 제외하고는, 신발(305b)은 신발(305a)과 동일하다. 신발(305b)의 둘레 연결 요소(85)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둘레 방향 상부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되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14) 위쪽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 부분과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면의 측방향 단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사이의 강력한 다중 방향 부착이 달성된다. 신발(305b)의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가 신발의 겉창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겉창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또한, 겉창을 별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a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6a)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신발(306a)의 갑피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재료(11)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를 구비한 상부(10), 그리고 통기성의 또는 천공형 안창(25)과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구비한 바닥부(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순서대로, 방수성 및 통기성의 하부 멤브레인(21)과 지지 텍스타일(22)을 포함한다.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는 스트로벨 스티치(30)를 통해 안창(25)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방수 접착성 밀폐제(sealant)(28)를 통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바닥에 접착된다. 방수 접착성 밀폐제(28)가 메쉬(21)에 침투함으로써, 방수 접착성 밀폐제(28)를 통해 하부 멤브레인(21)과 상부 멤브레인(13) 사이의 방수 시일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방수성 및 통기성의 갑피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또한, 하부 멤브레인(21)의 상측에 메쉬를 구비한 3층 라미네이트 유형일 수도 있으며, 방수 접착성 밀폐제(28)가 상기 메쉬를 침투함으로써 두 개의 멤브레인 사이에 방수성 시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하부 멤브레인(21)의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텍스타일(22)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지지 텍스타일은 방수 접착성 밀폐제(28)가 침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 재료(11)는 영속성을 갖는 접착제(26)를 통해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부 재료(11)의 중첩 부분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아래에 배치된다.
안창(25)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봉합 또는 접착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은 이들 라미네이트 사이의 연결 영역이, 예를 들어, 방수 밀폐제를 사용하여 시일하는 방법, 밀봉 재료를 시임 내외부로 침투시켜 연결 영역으로 주입하는 방법, 또는 방수 시임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방수 시일된다. 그외 다른 방식으로, 안창이 방수 연결된 라미네이트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신발(306a)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겉창(96)을 추가로 포함한다. 겉창(96)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아래에 실질적으로 전체 측방향 연장부에 걸쳐 배치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필러 재료(112)를 포함한다. 필러 재료(112) 대신, 전술한 바와 같은 채널 시스템을 구비한 필러 구조체가 제공될 수도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는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 필러 재료(112)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이 달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신발(306a)의 전체 측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 형성되므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에 형성된 개구(114)에 의해 신발(306a)의 측방향 외부 환경과 필러 재료(112) 사이의 공기 유동이 허용된다. 신발 내부로부터 안창(25)을 통과하여,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통과하여, 필러 재료(102)를 통과하여, 그리고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의 개구(114)를 통과하는 수증기 배출 경로가 형성된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밑창 접착제 또는 시멘트(27)를 통해 갑피 조립체에 접착된다. 밑창 접착제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부 둘레 부분, 즉 측벽(102)에 인접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상면 일부와 상부 재료(11)의 구둣골 배치 부분 사이에 마련된다.
도 7b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306b)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필러 재료(112) 그리고 겉창(96)은 도 7a에 도시된 신발(306a)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신발(306b)의 갑피 조립체는 신발(306a)의 갑피 조립체와 상이하다. 신발(306b)의 갑피 조립체는 갑피 조립체의 전체 내면에 걸쳐 배치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 멤브레인(18)을 포함한다. 이 멤브레인(18)은 착용자의 발 주변에 방수성 및 통기성 백(bag)을 형성하는 3차원 멤브레인/기능층이다. 구체적으로, 멤브레인(18)은 갑피 조립체의 상부(10) 뿐만 아니라 바닥부(20)에 걸쳐서도 연장 형성되며, 특히 착용자의 발 바닥면과 연관된 갑피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 뿐만 아니라 갑피 조립체의 측면 부분에 걸쳐서도 연장된다. 또한, 멤브레인(18)은 갑피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 부분에서 멤브레인(18)의 아래에 배치되는 안창(25)에 접착제(28)를 통해 접착된다. 접착제(28)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걸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통기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안창(25)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 또는 스폿 형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갑피 조립체는 또한, 안창(25)의 측방향 단부에 걸쳐 배치되어 영속성을 갖는 접착제(26)를 통해 안창에 접착되는 외측 재료(1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밑창 접착제(27)를 통해 갑피 조립체에 접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멤브레인(18) 대신, 기능층 라미네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방수성 및 통기성의 멤브레인과 지지 텍스타일 및/또는 메쉬를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7b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갑피 조립체의 상부(10) 및 바닥부(20)에 걸쳐 연장되는 기능층 구조는 단지 하나의 기능층(또는 하나의 기능층 라미네이트)만을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기능층 구조가 상부 멤브레인(13)과 바닥 멤브레인(21)에 의해, 특히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와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갑피 조립체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통기성 바닥부의 유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방수성을 나타내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포위 창 요소 또는 기타 다른 밑창 요소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가 또한, 방수성을 갖추지 않은 신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수정 예로서, 사출 성형 대신, 기타 다른 기술이 전술한 실시예들의 밑창 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시스템을 구비한 필러 구조체가 캐스팅 공정에서 몰드에 도입될 수도 있다. 다른 잘 알려진 밑창 생산 공정으로는 가황 처리 공정이 있다.
또 다른 수정예는 전술한 2층 구조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하부 멤브레인 위 또는 아래의 제 3 층을 구비한 3층 구조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밑창 요소 또는 부착 수단이 사출 성형되는 경우, 제 3 층은 멤브레인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사출 성형 동안 재료의 침투를 허용함으로써 상부 멤브레인과 하부 멤브레인 사이의 시일이 형성될 수도 있도록 하는 메쉬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멤브레인 위 또는 아래의 메쉬 대신 지지 텍스타일을 2층 구조의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에 제공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기능층 사이에 방수 시일이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동안 밀봉/부착 재료가 지지 텍스타일을 침투하도록 구성되며, 또는 갑피 라미네이트와 바닥 라미네이트가 함께 접착되는 동안 접착제 또는 밀폐제가 지지 텍스타일에 침투할 수도 있다.
또한, 신발의 특정한 안정성 요건에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두께 및 재료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착용자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적합한 하중 지지 구조체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단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내부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 외부를 서로 기능적으로 깨끗히 분리하기 위한 경계부일 수도 있다. 또한,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는 신발의 코어 부분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용으로 선택되는 두께 및 재료가 또한, 개개의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갑피 조립체/ 밑창 조립체/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수정예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필러 구조체가 별개의 공정을 통해 사전 제작된다. 필러 구조체는 통풍 채널을 구비한 폐쇄형 셀 구조의 폴리우레탄 격자일 수도 있다. 이른바 PU 차단부(blocker)가 몰드의 바닥 피스톤의 상측에 배치되거나, 대안으로서, PU 차단부 대신 특정한 바닥 피스톤이 사용될 수도 있다. PU 차단부는 공구이거나, 보다 정확하게는 플레이스 홀더(placeholder)로서, 몰드 내부의 소망하는 영역으로의 폴리우레탄의 유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에 필러 구조체가 배치되어 있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PU 차단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구둣골이 몰드 내로 하강되고 나면 몰드가 폐쇄된다.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폴리우레탄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칼라를 2층 라미네이트 및/또는 네트밴드에 시일/고정하는 폴리우레탄에 의해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다. 상부에서 보면, 제 1 사출 성형으로부터 얻어진 폴리우레탄 시일은 통풍 컨테이너 요소 둘레의 칼라의 형상에 대응하는 세장형의 O자형 시일이다. 제 1 사출 성형에 의하면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폴리우레탄에 완전히 매입되지는 않으면서 칼라만이 폴리우레탄에 의해 덮이는 상태로 성형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밴드의 폭은 8mm이며, 이 중 4mm는 제 1 사출 성형 단계에서 얻어진 폴리우레탄에 의해 덮여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폴리우레탄은 칼라와 2층 구조의 바닥 라미네이트 사이만을 시일하도록 형성된다. 다음, 몰드가 개방되어, 갑피 조립체와 함께 구둣골이 들어 올려지며, 이 상태에서 통풍 컨테이너 요소는 갑피 조립체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갑피 조립체의 마감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후, PU 차단부가 몰드으로부터 제거되며, 고무 겉창이 몰드의 바닥 피스톤의 상측에 놓여 진다. 갑피 조립체와 구둣골이 하강된 다음, 측면 프레임에 핀을 구비한 몰드가 다시 폐쇄되며, 제 2 PU 사출 성형이 수행되어 포위 창 요소가 형성된다. 측방향 통로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개구를 통한 공기 유동 덕트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벽으로부터 열을 이용하여 여분의 재료를 제거하는 핫 니들(hot needle)이나 기타 몇몇 수단을 구비한 로봇에 의해 기계적으로 또는 레이저에 의해 제련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수정예에 따르면, 개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로에 최초 사용 이전에 제거될 수 있는 인서트(insert)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인서트는 개구 또는 측방향 통로의 둘레 재료, 특히,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또는 포위 창 요소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의 경우 부착력은 약한 수준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국소 부착 지점만을 포함할 수도 있어, 착용자가 손으로 인서트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적 및 판매 과정에서 개구 또는 측방향 통로를 오염 위험 없이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개구 또는 측방향 개구를 용이하게 마무리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인서트는, 예를 들어, 신발의 이후 형성될 측방향 통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 형성되어 있지는 않은 중공 핀을 구비한 포위 창 요소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단부에서 포위 창 요소에 연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부착 영역, 즉, 핀의 길이와 측방향 통로 연장부 사이의 차이는 사용자가 삽입부를 잡아당겨 상기 부착을 해제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핀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다시 말해, 개구 또는 측방향 통로 없이 중실형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또는 포위 창 요소를 형성하며, 이후 형성될 개구 또는 측방향 통로의 내부 영역에서 재료를 제거하지 않고 개구 및/또는 측방향 통로의 외부 둘레를 따라 통풍 컨테이너 요소 및/또는 포위 창 요소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둘레를 따라 이루어지는 절단은 사용자가 거의 노력을 들이지 않고 개구 또는 측방향 통로의 나머지 제료를 제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능층/멤브레인의 정의
기능층은, 예를 들어, 멤브레인 또는 이에 대응하여 처리된 또는 마감 가공된,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된 텍스타일과 같은 재료 형태의 수증기 투과성 및 방수성 층이다. 하부 멤브레인으로도 일컬어지는 하부 기능층과 상부 멤브레인으로도 일컬어지는 상부 기능층은 다층, 일반적으로, 2층, 3층 또는 4층 라미네이트의 일부일 수 있으며; 하부 기능층과 상부 기능층은 밑창측에서 샤프트 구조의 하부 영역에서 방수 처리되도록 시일되고; 하부 기능층과 상부 기능층은 또한,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성 및 수증기 투과성의 기능층용으로 적절한 재료는, 특히, US A 4,725,418 및 US A 4,493,870에 설명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그리고 폴리에테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및 그 적층체이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기능층은, 예를 들어, US A 3,953,566 및 US A 4,187,390에 설명된 바와 같은 미소다공성, 발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 구성되며, 친수성 함침제 및/또는 친수성 층이 제공된 발포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으로 형성된다(예를 들어, US A 4,194,041 참조). 미소다공성 기능층은 평균 유효 기공 크기가 0.1㎛ 내지 2㎛인,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인 기능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라미네이트의 정의
라미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상호 접착 또는 밀봉에 의해 함께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다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합성물이다. 기능층 라미네이트에서, 방수성 및/또는 수증기 투과성 기능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층이 제공된다. 여기서는, 2층 라미네이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3층 라미네이트는 두 개의 텍스타일층에 매입되어 있는 방수성 및 수증기 투과성의 기능층으로 구성된다. 기능층과 적어도 하나의 텍스타일층 사이의 연결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수증기 투과성 접착제 층에 의해,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접착제 또는 접착제 층에 의해 달성된다. 일 변형예에 있어서, 기능층과 하나 또는 양 텍스타일층 사이에 접착제가 점(spot) 형태의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수증기 투과성을 갖추지 않은 접착제로 전면 층을 형성할 경우 기능층의 수증기 투과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접착제는 점 형태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도포된다.
방수성의 정의
기능층/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1 x 104 Pa의 물 유입 압력을 보장하는 경우, 기능층/ 기능층 라미네이트에 제공되는 시임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방수성"으로 간주한다. 기능층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1 x 105 Pa를 초과하는 물 유입 압력을 견딜 수 있다. 그 후, 물 유입 압력은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20±2℃의 증류수를 100cm2의 기능층의 시료에 도포하는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물의 압력 증가율은 분당 60±3cm H2O이다. 이때, 물 유입 압력은 시료의 타측에 물이 나타나는 압력에 상응한다. 절차에 관한 세부 사항은 1981년 이후 ISO 표준 0811에 규정되어 있다.
신발이 방수성인지의 여부가, 예를 들어 US A 5,329,807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형의 원심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될 수 있다.
수증기 투과성/통기성의 정의
150m2 x Pa x W-1 미만의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경우, 기능층/ 기능층 라미네이트는 "수증기 투과성"으로 간주한다. 수증기 투과성은 호헨스테인 스킨 모델(Hohenstein skin model)에 따라 시험된다. 이러한 시험 방법은 DIN EN 31092 (02/94) 및 ISO 11902 (1993)에 설명되어 있다.
공기 유동의 허용/공기 연통의 정의
공기 유동은 수증기 농도 구배 및 온도 구배, 압력 구배에 좌우된다. 용어 "공기 유동의 통과의 허용" 및 "공기 연통"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최소 풍속으로 인해, 보행 동작으로 인해, 또는 발의 움직임으로 인해, 다량의 공기 전달이 최소 압력차(<1000Pa, 구체적으로는 <100Pa, 보다 구체적으로는 <10Pa이지만 1Pa 이상)에서 이미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채널 구조체, 스페이서 재료, 또는 별개의 필러 요소 사이의 공극은 내부 관통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구조체/재료이다. 대조적으로, 거의 모든 재료가 고압에서 내부 관통 공기 유동(전문 용어가 아님)을 허용한다. 수증기는 저압에서 미소다공성 재료 또는 공기와 같은 소정의 재료를 통과하여 확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산 자체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통한 배출을 달성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신발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동이 필요하다. 또한, "언로드(unloaded)" 공기는 신발 내로 유동하여,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 내부의 수증기를 흡수할 수 있으며 수증기를 신발 외부로 운반할 수 있다.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를 통한 수증기의 확산이 유리할 수도 있긴 하지만, 본 발명의 의미에서 공기 유동을 구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10: 상부 11 : 외측 재료
17 : 가능성 갑피 층 라미네이트 20 : 바닥부
21 : 통기층 24 :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
40 : 컴포트층 50 : 측방향 통로
61, 62, 63, 64, 65, 112: 필러 구조체 101 : 칼라
80, 81, 82, 83, 84 : 포위 창 요소 102 : 측벽
90, 92, 94, 95, 96 : 겉창 요소 103 : 바닥 부분
113 : 통풍 컨테이너 요소 114 : 개구
133, 134: 지지 부재 160 : 채널 구조체

Claims (22)

  1. 신발로서,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11)를 구비하는 상부(10)와, 적어도 통기층(21)을 구비하는 바닥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10)와 상기 바닥부(20)에 걸쳐 연장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의 기능층 구조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 및
    밑창
    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부(10)는 통기성 및 방수성의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연결된 통기성 외측 재료(11)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는 통기층(21)을 포함하는 통기성 및 방수성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측면 단부 영역과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하단부 영역은 방수성 시일이 마련된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안창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는 별도의 안창을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밑창은, 바닥 부분(103)과 이 바닥 부분(103)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102)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하는 필러(filler) 구조체 또는 재료(61; 62; 63; 64; 65; 112)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창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창 요소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는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를 포함하고, 상기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밑창의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50)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112)는 개방되거나 또는 다공성인 것인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112)는 3차원 스페이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112)는 비연속적인 것인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구조체(112)는 이 필러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에 채널 구조(160)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적어도 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의 일부에서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보다 짧은 둘레를 갖는 것인 신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접착제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거나,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갑피 조립체에 스티칭되는 것인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일부에 몰딩되거나 사출 성형된 재료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갑피 조립체와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일부에 몰딩되거나 사출 성형된 재료에 의해 갑피 조립체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는 이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둘레 방향 상부 가장자리의 부근에 배치되는 칼라(1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101)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로부터 수직인 상향 그리고 수평인 측방향 외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향과 측방향 외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신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101)는 측벽(102)의 상부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102)으로부터 측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신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50)는 복수 개의 측방향 통로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갑피 조립체에 몰딩되거나 사출 성형되고, 상기 밑창과 갑피 조립체 간의 부착은 적어도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갑피 조립체 상에 몰딩되는 상기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신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는 상기 측벽(102) 또는 상기 바닥 부분(103)에 복수 개의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적어도 일부는 다공성인 것인 신발.
  15. 신발을 제조하는 신발 제조 방법으로서,
    발을 둘러싸기 위한 외측 재료(11)를 구비하는 상부(10)와, 적어도 통기층(21)을 구비하는 바닥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10)와 상기 바닥부(20)에 걸쳐 연장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의 기능층 구조를 포함하는 갑피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바닥 부분(103)과 이 바닥 부분(103)을 둘러싸고 있는 측벽(102)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제공하는 단계;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내부 공간에 필러 구조체 또는 재료(61; 62; 63; 64; 65; 112)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과 갑피 조립체 간의 부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의 상부(10)는 통기성 및 방수성의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와 연결된 통기성 외측 재료(11)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의 바닥부(20)는 통기층(21)을 포함하는 통기성 및 방수성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의 측면 단부 영역과 상부 기능층 라미네이트(17)의 하단부 영역은 방수성 시일이 마련된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바닥 기능층 라미네이트(24)는 상기 갑피 조립체의 안창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갑피 조립체는 별도의 안창을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의 측벽(102)과 갑피 조립체 간의 부착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갑피 조립체 및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에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위 창 요소(80; 81; 82; 83; 84)는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를 적어도 측방향으로 둘러싸고 상기 통풍 컨테이너 요소(113)와 신발 외부 사이의 공기 연통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50)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 제조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7036213A 2010-09-03 2010-09-03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KR101866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2977 WO2012028207A1 (en) 2010-09-03 2010-09-03 Shoe, sole assembly for a sho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519A Division KR101737163B1 (ko) 2010-09-03 2010-09-03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05A KR20170000405A (ko) 2017-01-02
KR101866366B1 true KR101866366B1 (ko) 2018-06-12

Family

ID=439280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519A KR101737163B1 (ko) 2010-09-03 2010-09-03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KR1020167036213A KR101866366B1 (ko) 2010-09-03 2010-09-03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519A KR101737163B1 (ko) 2010-09-03 2010-09-03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138028B2 (ko)
EP (1) EP2611320B1 (ko)
JP (1) JP5923091B2 (ko)
KR (2) KR101737163B1 (ko)
CN (2) CN103298362B (ko)
AU (1) AU2010360090B2 (ko)
CA (1) CA2809327C (ko)
DK (1) DK2611320T3 (ko)
ES (1) ES2726427T3 (ko)
PL (1) PL2611320T4 (ko)
RU (1) RU2560301C2 (ko)
UA (1) UA106442C2 (ko)
WO (1) WO2012028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5953S1 (en) 2017-09-14 2019-08-13 Puma SE Shoe sole element
USD953709S1 (en) 1985-08-29 2022-06-07 Puma SE Shoe
KR101700441B1 (ko) * 2009-08-25 2017-0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복수의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US9320312B2 (en) 2012-08-30 2016-04-26 Nike, Inc. Composite upper for shoe with selectively disposed bonding agent
US9572398B2 (en) * 2012-10-26 2017-02-21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alternating spring and damping layers
DE102013202291B4 (de) * 2013-02-13 2020-06-18 Adidas Ag Dämpfungselement für Sportbekleidung und Schuh mit einem solchen Dämpfungselement
ITAN20130081A1 (it) * 2013-05-02 2013-08-01 Giuseppe Olivieri Fondo bi-materiale per calzature con inserto in gommapiuma.
US20150230553A1 (en) * 2014-02-14 2015-08-20 W. L. Gore & Associates, Gmbh Conformable Booties, Shoe Inserts, and Footwear Assemblies Made Therewith, and Waterproof Breathable Socks
US10226906B2 (en) * 2014-04-14 2019-03-12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assembly formed of multiple preforms
CN104161354B (zh) * 2014-07-31 2015-11-11 黑金刚(福建)自动化科技股份公司 节省使用空间的鞋类自动化生产线及鞋类自动化制作方法
CN104188269A (zh) * 2014-08-31 2014-12-10 四川卡美迪鞋业有限公司 一种对制鞋过程中拉腰帮的改进工艺
CN104432960A (zh) * 2014-11-06 2015-03-25 际华三五一五皮革皮鞋有限公司 一种新型内底及其制备工艺
DE102015204268A1 (de) * 2015-03-10 2016-09-1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owie deren Herstellung
US20160302519A1 (en) * 2015-04-17 2016-10-20 Adidas Ag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160302517A1 (en) * 2015-04-17 2016-10-20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WO2017031432A1 (en) 2015-08-19 2017-02-23 W. L. Gore & Associates, Inc. Conformable seamless three dimensional articles and methods therefor
ITUB20153437A1 (it) * 2015-09-07 2017-03-07 Geox Spa Calzatura traspirante
KR101650447B1 (ko) * 2015-11-23 2016-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수 및 투습성 신발 및 그 제조방법
WO2017097315A1 (de) * 2015-12-07 2017-06-15 Puma SE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KR20180117647A (ko) * 2016-02-24 2018-10-29 에코 에스코 에이/에스 신발 부분 생산 기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725358A (zh) * 2016-03-23 2016-07-06 温州巨纳鞋业有限公司 一种防臭透气的舒适型鞋子
USD808132S1 (en) * 2016-06-03 2018-01-23 Ecco Sko A/S Footwear
KR101848900B1 (ko) 2016-10-24 2018-04-16 김태목 교정용 중창
CN110167749A (zh) * 2016-12-05 2019-08-2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覆模制直接附接式鞋底
US20180153254A1 (en) * 2016-12-07 2018-06-07 Nike, Inc. Rigid Sole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EP3556545B1 (en) * 2016-12-16 2021-09-22 Simplicity Works Europe, S.L.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items with flexible walls
USD850766S1 (en) 2017-01-17 2019-06-11 Puma SE Shoe sole element
IT201700044532A1 (it) * 2017-04-24 2018-10-24 Geox Spa Calzatura con tomaia almeno parzialmente impermeabilizzata
KR101979998B1 (ko) * 2017-07-24 2019-05-21 주식회사 이랜드리테일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US11291273B2 (en) 2017-08-11 2022-04-05 Puma SE Method for producing a shoe
USD975417S1 (en) 2017-09-14 2023-01-17 Puma SE Shoe
CA3082849A1 (en) * 2017-11-17 2019-05-23 Stedfast Inc. Multilayer textile assembly for use in footwear
JP2019017977A (ja) * 2018-02-28 2019-02-07 富士ゴムナース株式会社 通気孔を有する靴底及び該靴底を備えた靴
US11026456B2 (en) * 2018-04-06 2021-06-08 Asma Smith One-piece looped scarf
CN112074205A (zh) 2018-04-27 2020-12-11 彪马欧洲股份公司 尤其是运动鞋的鞋
CN108813806A (zh) * 2018-08-09 2018-11-16 康奈集团有限公司 内嵌式叠加型缓震换气鞋
US11064764B2 (en) * 2018-10-26 2021-07-20 Vanbestco Ltd. Hidden drainage system for shoes
JP7157880B2 (ja) * 2018-12-18 2022-10-20 プーマ エス イー 靴、特に運動靴、及び該靴を作製する方法
CA3162193A1 (en) * 2019-12-16 2021-06-24 Safir BELLALI Footwear artic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 footwear article
USD929095S1 (en) * 2020-01-31 2021-08-31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sole
FI12645U1 (fi) * 2020-02-26 2020-05-15 Sievin Jalkine Oy Tuulettuva jalkine
WO2021168739A1 (zh) * 2020-02-27 2021-09-02 魏照明 减震透气增强型鞋底及其制备方法
USD997531S1 (en) * 2020-08-31 2023-09-05 Us Footwear Holdings Llc Boo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04U (ko) * 1989-11-11 1991-07-10
JP3023584U (ja) * 1995-10-06 1996-04-23 モリト株式会社 換気性靴底
JP3109001U (ja) * 2004-11-29 2005-04-28 錫良 林
JP2009542267A (ja) * 2006-07-06 2009-12-03 ジェオックス エス.ピー.エー. 防水通気性靴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8412A (en) * 1936-06-16 1937-11-09 Us Rubber Prod Inc Rubber soled footwear
CA962021A (en) 1970-05-21 1975-02-04 Robert W. Gore Porous products and process therefor
US4421742A (en) 1977-02-08 1983-12-20 Dr. Werner Freyberg Chemische Fabrik Delitia Nachf. Phosphine producing pesticid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194041A (en) 1978-06-29 1980-03-18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laminate
DE2930807A1 (de) * 1979-07-28 1981-02-26 Natec Inst Naturwiss Einstueckiger, wasch- und sterilisierbarer kunststoffschuh
CA1191439A (en) 1982-12-02 1985-08-06 Cornelius M.F. Vrouenraets Flexible layered product
BR8305086A (pt) * 1983-09-19 1984-03-20 Antonio Signori Dispositivo de amortecimento aplicavel a calcados em geral
US5329807A (en) 1993-06-18 1994-07-19 W. L. Gore & Associates, Inc. Centrifuge test apparatus for footwear and apparel
RU2118501C1 (ru) 1994-04-25 1998-09-10 Владимир Петрович Касаткин Вентилируемая обувь
JP3023584B2 (ja) * 1994-07-25 2000-03-21 株式会社東京精密 位置検出方法
BR9500679A (pt) * 1995-02-17 1995-08-01 Calcados Azaleia S A Sistema de transferência unidirectional de ar para calçados
IT239378Y1 (it) 1995-02-21 2001-02-26 Gore W L & Ass Srl Calzatura con tomaia e suola impermeabili in grado di consentire latraspirazione del vapore verso l'esterno
US6305100B1 (en) * 1995-06-07 2001-10-23 Eugene Komarnycky Shoe ventilation
IN189119B (ko) * 1995-10-13 2002-12-21 Nottington Holding Bv
IT1293474B1 (it) 1997-05-09 1999-03-01 Nottington Holding Bv Calzatura traspirante perfezionata
FI974317A0 (fi) 1997-11-25 1997-11-25 Sievin Jalkine Oy Skodons sulkonstruktion
FR2794005B1 (fr) * 1999-05-26 2001-06-29 Imp Ation De Diffusion Ou Dist Semelle de chaussure
DE19948545A1 (de) * 1999-10-08 2001-04-12 Globus Berkemann Gmbh & Co Kg Orthopädische Schuheinlage
IT1317329B1 (it) * 2000-04-13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Calzatura traspirante.
JP3432207B2 (ja) 2000-10-27 2003-08-04 株式会社ミヤタ 靴 底
IT1317377B1 (it) * 2000-10-31 2003-06-16 Nottington Holding Bv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US6802138B2 (en) * 2002-02-08 2004-10-12 Wolverine World Wide, Inc.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100471531B1 (ko) * 2002-05-06 2005-03-08 유용돈 체력 단련용 운동화
US7401419B2 (en) * 2002-07-31 2008-07-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ructural element for a shoe sole
AU2003279268A1 (en) * 2002-10-11 2004-05-13 Jeffrey S. Brooks, Inc.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US6857202B2 (en) * 2003-05-05 2005-02-22 Phoenix Footwear Group, Inc. Footwear construction
DE10321491A1 (de) * 2003-05-13 2004-12-09 W.L. Gore & Associates Gmbh Wasserdichtes Schuhwer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ITPD20030166A1 (it) 2003-07-22 2005-01-23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particolarmente ma non esclusivamente per calzature di tipo aperto quali sandali, sabo' e simili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US7503130B2 (en) * 2003-12-04 2009-03-17 Genesco, Inc. Water draining shoe
US20050133544A1 (en) 2003-12-23 2005-06-23 Tadlock Charles C. Functional dip tube for cosmetic dispensers
US6948260B2 (en) * 2003-12-24 2005-09-27 Hsi-Liang Lin 3D air-pumping shoe
ITPD20030312A1 (it) * 2003-12-30 2005-06-30 Geox Spa Suola traspirante ed impermeabile per calzature
ITPD20040014A1 (it) * 2004-01-22 2004-04-22 Geox Spa Calzatura con suola e tomaia traspiranti ed impermeabili
US8474155B2 (en) * 2004-06-04 2013-07-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ITPD20040208A1 (it) 2004-07-30 2004-10-30 Geox Spa Suola impermeabile e traspirante per calzature
DE102004038674A1 (de) * 2004-08-10 2006-02-23 Dürr, Jürgen Matte aus einem flexiblen Material
US20080066342A1 (en) 2004-11-12 2008-03-20 Park Jang W Shock-Absorbing Device for Shoes
US7178266B2 (en) * 2004-12-07 2007-02-20 The Rockport Company, Llc Air circulating shoe
CN1332623C (zh) * 2004-12-13 2007-08-22 林忠信 双层发泡鞋底的制法
US20060130363A1 (en) 2004-12-17 2006-06-22 Michael Hottinger Shoe sole with a loose fill comfort support system
JP4139400B2 (ja) * 2005-05-20 2008-08-27 株式会社ミヤタ 通気靴
TWM288116U (en) * 2005-06-29 2006-03-01 Shi-Liang Lin Air penetration structure for footwear
ITPD20050228A1 (it) * 2005-07-26 2007-01-27 Geox Spa Calzatura impermeabile all'acqua e permeabile al vapore acqueo
JP3127140U (ja) * 2005-09-02 2006-11-24 林重仁 換気可能な靴中敷の構造
US7543398B2 (en) * 2006-02-16 2009-06-09 Mjc Probe Incorporation Waterproof and breathable insole
KR20120051749A (ko) 2006-03-03 2012-05-22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복합체 슈즈 밑창, 이로 구성된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DE202007000668U1 (de) 2006-03-03 2007-03-29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ohlenstabilisierungsmaterial
US8281501B2 (en) * 2006-05-29 2012-10-09 Geox, S.P.A. Vapor-permeable and waterproof sole for shoes, shoe manufactured with the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ole and the shoe
JP2009540916A (ja) * 2006-06-20 2009-11-26 ドクター フォー ド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空気循環式衝撃緩和靴及び靴の中敷
US20080229623A1 (en) * 2007-03-23 2008-09-25 Giorgio Ferretti Aeration system and device for shoes
ITPD20070141A1 (it) * 2007-04-17 2008-10-18 Geox Spa Calzatura con dispositivo combinato di traspirazione e circolazione forzata di aria
KR100770564B1 (ko) * 2007-05-07 2007-10-26 (주) 디유티코리아 다탄성(多彈性) 신발 안창의 구조
EP2132999B1 (en) * 2008-06-11 2015-10-28 Zurinvest AG Shoe sole element
IT1395217B1 (it) * 2008-09-22 2012-09-05 Foch Italia S R L Scarpa aerata avente effetto ammortizzante per il piede, equipaggiata con un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 flusso d'aria in entrata e in uscita su tutta la superficie della suola.
US20100083534A1 (en) * 2008-10-03 2010-04-08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Multilayer laminate footwear insole
US20100126041A1 (en) * 2008-11-17 2010-05-27 Altama Footwear Foot-Bed
US8069587B2 (en) * 2008-11-20 2011-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insulated shoe footbed and method of making an insulated footbed
US8316558B2 (en) 2008-12-16 2012-11-27 Skechers U.S.A., Inc. Ii Shoe
IT1393642B1 (it) * 2009-04-08 2012-05-08 Gruppo Meccaniche Luciani Srl Calzatura con sistema di aerazione ottenuto con processo ad iniezione diretta su tomaia
US20110061269A1 (en) * 2009-09-11 2011-03-17 Wolverine World Wide, Inc. Water barrier for footwear
US8296970B2 (en) * 2009-09-29 2012-10-30 W. L. Gore & Associates, Inc. Waterproof breathable footwear having hybrid upper construction
IT1396032B1 (it) * 2009-10-15 2012-11-09 Geox Spa Suola per calzature impermeabile e traspirante e calzatura realizzata con detta suola
IT1398094B1 (it) * 2010-02-10 2013-02-07 Geox Spa Calzatura con tomaia e suola impermeabili
UA108666C2 (uk) * 2010-09-03 2015-05-25 Водонепроникний, дихаючий предмет взуття і спосіб виробництва предмета взуття (варіант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404U (ko) * 1989-11-11 1991-07-10
JP3023584U (ja) * 1995-10-06 1996-04-23 モリト株式会社 換気性靴底
JP3109001U (ja) * 2004-11-29 2005-04-28 錫良 林
JP2009542267A (ja) * 2006-07-06 2009-12-03 ジェオックス エス.ピー.エー. 防水通気性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42267호(2009.12.03.) 1부.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23584호(1996.04.2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298A (ko) 2014-03-04
CN103298362A (zh) 2013-09-11
CA2809327C (en) 2015-12-29
US20160007675A1 (en) 2016-01-14
PL2611320T3 (pl) 2019-08-30
DK2611320T3 (da) 2019-05-20
US20130152430A1 (en) 2013-06-20
JP5923091B2 (ja) 2016-05-24
KR20170000405A (ko) 2017-01-02
CA2809327A1 (en) 2012-03-08
EP2611320B1 (en) 2019-02-13
RU2013114807A (ru) 2014-10-10
RU2560301C2 (ru) 2015-08-20
PL2611320T4 (pl) 2019-08-30
KR101737163B1 (ko) 2017-05-17
US9138028B2 (en) 2015-09-22
JP2013536707A (ja) 2013-09-26
US9854867B2 (en) 2018-01-02
ES2726427T3 (es) 2019-10-04
AU2010360090A1 (en) 2013-04-18
WO2012028207A1 (en) 2012-03-08
UA106442C2 (ru) 2014-08-26
CN106666922A (zh) 2017-05-17
CN106666922B (zh) 2021-11-30
CN103298362B (zh) 2017-03-01
EP2611320A1 (en) 2013-07-10
AU2010360090B2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366B1 (ko) 신발, 신발용 밑창 조립체, 밑창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신발 제조 방법
CA2809543C (en) Ventilating sole element for a shoe as well as sole assembly and waterproof, breathable shoe comprising the same
JP5767329B2 (ja) 防水性且つ通気性の靴及び靴の製造方法
JP6346217B2 (ja) 靴、靴用のソール組立体、ソール組立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靴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