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082B1 -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082B1
KR101866082B1 KR1020160143742A KR20160143742A KR101866082B1 KR 101866082 B1 KR101866082 B1 KR 101866082B1 KR 1020160143742 A KR1020160143742 A KR 1020160143742A KR 20160143742 A KR20160143742 A KR 20160143742A KR 101866082 B1 KR101866082 B1 KR 10186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extract
pear
tr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355A (ko
Inventor
김선여
조교희
강민철
윤혁준
손연경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0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도 세포의 염증 관련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PYRUS GENUS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DREDIENT}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주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아토피 피부염은 난치성 면역질환으로, 최근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도시인들의 생활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집 진드기, 먼지, 황사, 미세먼지, 꽃가루 등과 같이 면역 과민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알레르겐에 노출될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림프구, 대식세포 및 과립화된 비만세포가 병변부위에 과하게 침투됨으로써, 환자의 혈액 내의 호산구 수 및 혈청 내의 면역글로불린 E(IgE)의 수준을 증가시킨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환경적, 약리학적 및 면역학적 요인들을 모두 포함하는 복잡한 발병기전을 가지나, 특히, 염증관련 인자인 산화질소(NO), 인터루킨-6(IL-6), 인터루킨-1β(IL-1β) 등이 이에 관여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적합한 치료제는 면역억제제이며, 그중에서도 스테로이드 제제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제제를 장기간 사용하면 피부 위축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시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천연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는 크게 돌배나무(Pyrus pyrifolia Nakai),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Maximowicz) 및 콩배나무(Pyrus calleryana)의 3종류의 배가 분포한다. 이중에서, 돌배나무 및 산돌배나무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특히, 돌배나무는 남부지방에 일부 한정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산돌배나무는 전국에, 주로 북부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돌배나무, 산돌배나무 및 콩배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예로부터 산돌배나무의 열매는 구토, 개선(疥癬) 및 고열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이의 성분으로서는 잎으로부터 분리된 이소프레노이드 알코올(isoprenoid alcohol)류와 폴리페놀류가(Choinacki and Vogyman, 1984), 줄기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가 보고되어 있다(Pavlii and Makarova, 1968).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24262호는 산돌배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돌배나무의 열매는 산리(山梨)라 불리며, 갈증해소, 변비, 구토, 기침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콩배나무의 약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물질을 개발하던 중, 돌배나무, 산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 추출물이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 아토피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이의 증상을 개선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242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도 세포의 염증 관련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개선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인 산돌배나무(A), 돌배나무(B) 또는 콩배나무(C)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인 산돌배나무(A), 돌배나무(B) 또는 콩배나무(C) 추출물이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인 산돌배나무(A), 돌배나무(B) 또는 콩배나무(C) 추출물이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인 산돌배나무(A), 돌배나무(B) 또는 콩배나무(C) 추출물이 IL-1β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실험 스케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이 수분 손실량(A), 홍반(B) 및 수분량(C)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한 선그래프이다.
도 7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이 수분 손실량(A), 홍반(B) 및 수분량(C)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8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에 의한 긁는 횟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에 의한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0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임상적 육안 평가방법으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일 수 있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배나무속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된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방법에서,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껍질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줄기 또는 열매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70%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배나무속 식물의 중량 1 g당 1 내지 50 ㎖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시간은 10 내지 48시간, 15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3 내지 5회, 구체적으로는 3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배나무속 식물인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이 NO의 생성을 억제하고(도 2 참조),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2 및 3 참조). 특히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표피의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손실량 및 홍반증상을 억제하고(도 6 및 7 참조),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개선시켰다(도 8 내지 10 참조).
따라서,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1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일 수 있다. 또한,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껍질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줄기 또는 열매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자들은, 배나무속 식물인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추출물이 NO 및 염증성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도 2 내지 4 참조),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10 참조). 따라서,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목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부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서술한 추가성분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일 수 있다. 또한,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껍질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줄기 또는 열매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자들은, 배나무속 식물인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추출물이 NO 및 염증성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도 2 내지 4 참조),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10 참조). 따라서,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설페이드, 알칼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보조제로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산돌배나무일 수 있다. 또한,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껍질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잎, 줄기 또는 열매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배나무속 식물은 배나무속 식물의 잎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자들은, 배나무속 식물인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추출물이 NO 및 염증성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도 2 내지 4 참조),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도 6 내지 10 참조). 따라서, 상기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부형제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및 완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형제는 유당, 덱스트린, 전분,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스, 사카로스, 미세결정 셀룰로스,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적절히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및 에어로졸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돌배나무 추출물의 제조
먼저, 산돌배나무(강원도, 대한민국)의 잎, 줄기 또는 열매를 분쇄하였다. 상기 잎, 줄기 또는 열매의 분쇄물 500 g에 5 ℓ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지시킨 후, 농축 및 여과하여 산돌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은 동결건조시켜 파우더로 만들어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돌배나무 추출물의 제조
산돌배나무 대신 돌배나무(경기도, 대한민국)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돌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콩배나무 추출물의 제조
산돌배나무 대신 콩배나무(경기도, 대한민국)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콩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MTT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각질 형성 세포주인 HaCaT 세포주를 10% FBS, 1% 페니실린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웰 당 5x105개가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0.1, 1, 10 또는 100 ㎍/㎖)로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한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뒤, 0.1 ㎍/㎖의 MTT 시약(Sigma, 미국)을 첨가하였다. 이를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MTT 시약을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30분 동안 두었다. 반응이 끝난 세포를 마이크로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54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의 모든 추출물이 고농도인 100 ㎍/㎖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의 염증관련 인자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이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1. 산화질소( NO ) 억제 효과 확인
먼저, RAW264.7 세포주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웰 당 2x105개가 되도록 48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0.1, 1, 10 또는 100 ㎍/㎖)로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 1시간 후, 상기 세포에 1 ㎍/㎖의 LPS를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24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50 ㎕의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에 50 ㎕의 Griess 시약(Sigma, 미국)을 첨가한 뒤, 54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의 모든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2-2. 염증관련 인자 억제 효과 확인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이 염증 관련 인자인 IL-6 및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ELISA를 통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HaCaT 세포주를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웰 당 2x105개가 되도록 48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또는 콩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1, 10 또는 25 ㎍/㎖)로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다. 1시간 후, 상기 세포에 10 ng/㎖의 TNF-α 및 10 ng/㎖의 IFN-γ를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18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을 사용하여 TNF-α 및 IFN-γ의 양을 ELISA 키트(R&D system, 미국)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의 모든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IL-6 및 IL-1β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시험예 3.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산돌배나무, 돌배나무 및 콩배나무 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3-1.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준비
먼저, 5주령의 NC/Nga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대한민국)를 일주일 동안 적응기간을 갖도록 사육하고, 상기 마우스의 등을 제모한 후, 제모로 인한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상기 마우스에 아세톤 및 올리브오일이 부피비로 3:1로 혼합된 혼합물에 1% 농도로 희석된 DNCB 용액(1-chloro 2,4-dinitrobenzene, Aldrich, 미국) 200 ㎕를 등에 도포하여 알러젠에 감작시킨 뒤, 3일 후 2차 도포하였다. 1차 도포일로부터 1주일 후에 200 ㎕의 0.4% DNCB 용액을 일주일에 2회씩, 3주 동안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켰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충분히 유발되어 등 부위의 가피가 모두 벗겨지고, 이 부위에 새로운 피부염이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면 아토피성 피부염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2. 표피 수분손실량 및 수분량의 증가, 및 홍반 감소 효과 확인
상기 시험예 3-2에서 준비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등 부위에 산돌배나무의 잎 추출물을 에탄올 및 올리브오일이 부피비로 1:2로 혼합된 혼합액에 1 또는 2.5%로 희석하여 도포하였다. 추출물을 도포할 때, 0.4% DNCB로 함께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지속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0.4% DNCB 용액 또는 0.1%의 덱사메타손을 도포하였고, 모든 약물은 2일 간격으로 3회 도포하였다. 약물 도포 후, 마우스의 표피 수분 손실량, 수분량 및 홍반정도를 Dermalab® Combo system(Cortex Technology ApS, 덴마크)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의 잎 추출물을 도포한 군에서 도포 첫 주에 비해 6주째에 표피의 수분손실량과 홍반이 감소하였고, 수분량이 증가하였다.
3-3.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시험예 3-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마우스의 등 부위에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을 도포하였다. 약물 도포 후, 20분 동안 마우스를 관찰하여, 마우스가 긁는 횟수를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 등 부위의 변화를 촬영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을 도포한 군은 상기 추출물의 투여 5주 후부터 긁는 횟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을 도포한 군의 등 부위에 발생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도 개선되었다.
3-4. 임상적 육안 평가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시험예 3-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 및 방법으로 마우스의 등 부위에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을 도포하였다. 약물의 도포를 시작한지 6주째에 상기 마우스의 아토피 피부염의 심각성 정도를 일반적인 임상적 육안 평가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 항목은 홍반, 소양감 및 피부 건조, 부종 및 표피박리(excoriation), erosion, 및 태선화(lichenification)와 같은 지표항목을 확인하여 증상이 없음(0점), 약함(1점), 보통(2점), 심함(3점)으로 평가였다. 상기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최소 0점(아무 증상이 없음)부터 최고 15점(모든 증상이 심함)으로 나타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을 도포한 군이 양성 대조군인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군과 비슷한 정도의 점수를 나타냈다.
이로부터, 산돌배나무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산돌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산돌배나무의 잎, 줄기 또는 열매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산돌배나무의 잎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된, 약학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이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약학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이 70%(v/v, 부피%) 에탄올인, 약학 조성물.
  9. 산돌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산돌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산돌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1020160143742A 2016-10-31 2016-10-31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6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42A KR101866082B1 (ko) 2016-10-31 2016-10-31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42A KR101866082B1 (ko) 2016-10-31 2016-10-31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355A KR20180049355A (ko) 2018-05-11
KR101866082B1 true KR101866082B1 (ko) 2018-06-11

Family

ID=6218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742A KR101866082B1 (ko) 2016-10-31 2016-10-31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67B1 (ko) * 2018-11-07 2020-12-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돌배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83809B1 (ko) * 2020-12-16 2023-10-05 김남국 돌배 추출물 또는 돌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151A (zh) 2013-08-08 2014-03-12 马建 一种外用快速消炎止痛药的配方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317A (ko) * 2010-07-02 2012-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709619B1 (ko) * 2010-08-13 2017-02-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4262A (ko) 2010-09-06 2012-03-14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83549B1 (ko) * 2014-07-25 2016-01-08 박치호 자연 산야초가 함유된 아토피 개선을 위한 청국장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151A (zh) 2013-08-08 2014-03-12 马建 一种外用快速消炎止痛药的配方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355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153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1866082B1 (ko)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0080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469197B2 (ja) Tie2活性化剤及びTie2活性化用飲食品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8468A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큰수지맨드라미 수용성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102272637B1 (ko) 올벚나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35139A (ko) 곤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2184867B1 (ko) 산돌배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20000250A (ko) 좀깨잎나무(Boehmeria spicata Thunb)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34300B1 (ko) 새머루 또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82710B1 (ko) 장미허브 추출물, 또는 이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7043B1 (ko) 신갈나무 및 개서어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7369B1 (ko) 팔리다자주닭개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0698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가지는 개구리발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