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619B1 -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619B1
KR101709619B1 KR1020100078383A KR20100078383A KR101709619B1 KR 101709619 B1 KR101709619 B1 KR 101709619B1 KR 1020100078383 A KR1020100078383 A KR 1020100078383A KR 20100078383 A KR20100078383 A KR 20100078383A KR 101709619 B1 KR101709619 B1 KR 1017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
lo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881A (ko
Inventor
고두진
최종완
서봉석
임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10007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6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자극,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Pyrus Communis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 억제로 인한 염증 억제 효과 및 히스타민 방출 억제로 인한 알러지 억제 효과 그리고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yrus Communis Flower Extract Having Effect of soothing skin}
본 발명은 서양배꽃(Pyrus Communis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자극,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여러 가지 유해 물질 등에 의하여 자극을 받게 된다. 장기간 태양 광선에 노출되거나 화장품 제품 형성 제조에 사용되는 일부 원료 등에 의해서도 피부는 손상을 받게 되며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 뾰루지, 부종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손상 및 노화의 주요 원인의 일종으로 염증반응이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은 우리 몸에서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자극에 대한 생체의 방어 반응으로 LPS (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외부 자극원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과 같은 내부 자극원들을 매개로 한다. LPS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세포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로서 병원성 세균과 진핵생물간의 상호작용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의 또 다른 역할은 숙주로부터 방출되는 독소 물질로부터 세균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시킴으로 면역 조절 물질, 염증 유발 물질을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는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 매개 인자(inflammation mediator)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라딘 E2 (Eprostaglandin E2, PGE2)를 방출시키게 되며, 과량의 NO 및 PGE2 등의 염증 인자는 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지네이스-2(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형성되어 진다. 상기 NOS는 특성에 따라 type I, Ⅱ, Ⅲ의 3종류가 존재하며, type I (neuronal NOS; nNOS)과 type Ⅲ (edothelial NOS; eNOS)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의 세포에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constitutive NOS (cNOS)와 type Ⅱ NOS와 같이 LPS 및 내독소(endotoxin)와 같은 자극제들에 노출된 경우에만 발현되는 inducible NOS (iNOS)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NO는 생리적인 현상인 혈압 조절과 신경 전달 매개체로 작용하며, 면역 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iNOS에 의해 과발현된 NO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면역 체계의 이상을 나타낸다. COX(cyclooxygenase)는 아라키돈산을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PGs)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로 COX-1과 COX-2가 존재한다. COX-1은 cNOS처럼 세포내 계속적으로 존재하여 여러 생리적인 기능을 담당하나, COX-2는 염증 반응이 유도되었을 시 생성되어 PGE2를 방출시키게 된다. 또한 염증 반응과 그에 따른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uclear factor-κB (NF-κB)가 존재하며, 이는 inhibitory κB-α (IκB-α)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염증 반응이 진행될 경우 IκB-α가 분해되고 NF-κB는 핵내로 유입되어 iNOS, COX-2 등의 염증 반응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항염 효능은 피부 진정과 여드름, 아토피에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어지는 효능으로 피부 자극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류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항염제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비스테로이드 계통의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테로이드 계통의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티존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스테로이드 계통의 경우 피부 위축, 불면, 불안 등의 부작용을 동반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에서의 iNOS 또는 COX-2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거나, 전사단계를 조절하는 NF-κB 기전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물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 스트레스 가중 등으로 인해 1980년에 1% 미만이었던 알러지 질환 관련 환자는 현재 5% 이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알러지(allergy)란 이물질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다. 알러지 반응 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이 방출되어 알러지 반응 특유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며, 이 때 알러지를 유발하는 이물질을 알러젠(allergen)이라고 한다. 알러지의 발생 원인은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 및 보체 관여(complement-mediated) 유형에 따라 1 내지 4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즉시형 과민 반응(anaphylaxis)은 제 1형 반응이다. 즉시형 과민 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은 비만 세포 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에 기인한다(Ann. Allergy 56, 464, 1986; Eur. J. Pharmacol., 96, 227, 1983; J. Pharm. Sci., 84, 223, 1995; Biol. Pharm. Bull., 18 , 683, 1995).
알러지 반응 시에 대식세포(macrophage)가 제시한 외부 항원에 의해서 활성화된 Helper T-cell에 의해 B-cell에서 IgE가 생성되며, 생성된 IgE는 비만세포막의 고친화성 IgE항체 수용체(FcRIα)에 결합하게 된다. 결합한 복수의 IgE 항체에 진드기, 꽃가루 등의 항원이 결합하여 가교를 이루면 수용체가 응집하게 되고, 이러한 가교 및 응집에 의하여 비만세포는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세포질내의 칼슘이온 (Ca2+) 농도 등이 상승하며, 이에 의해 탈과립이 발생한다. 칼슘이온 농도의 상승은 세포막의 콜레스테롤이나 세포 골격계 등 여러 종류의 세포내 조절인자에 작용하여 과립을 세포막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과립의 공포화, 과립상호의 융합 및 과립과 세포막의 융합 등을 거쳐 탈과립 현상을 일으킨다. 이외에 세포막의 인지질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포스포리파아제 효소에 의해 칼슘이온 농도 상승이 유발된다. 탈과립시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이 비만세포에서 화학전달물질이 유리되는 것과 동시에 새로 합성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등이 함께 분비된다. 탈과립으로 유리되는 화학전달물질에는 혈관확장, 혈관투과성 항진,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분비항진 등의 작용을 갖는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및 류코트리엔 이외에 호산구나 호중구 등 염증세포의 주화성 인자로 작용하는 NCF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ECF (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PAF (platelet activating factor) 등이 있으며, 이들 화학 전달 물질에 의해서 1형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분비된 히스타민이 혈관 내피세포와 결합하면 혈관세포의 수축이 발생하고 혈액속의 플라즈마(plasma)를 조직으로 삼출(extravasation)시키며, 또한 내피세포는 혈관 근육세포를 이완시키는 프로스타사이크린(prostacyclin)과 산화질소(nitric oxide)와 같은 물질의 합성을 유도하여 혈관팽창(vasodilataion)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하여 히스타민 분비가 이루어지고 분비된 히스타민에 의해 부종(wheal), 발적(flare), 가려움(itching)의 반응을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꽃 추출물의 항자극,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를 분석하여 염증 매개 인자의 억제와 히스타민의 방출 억제를 통해 자극원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 우수함을 작용 기전에 대한 영향을 토대로 규명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염증 및 알러지 반응 유발 기전을 억제하여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양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서양배꽃 추출물 0.5 내지 90 중량% 및 화장료 부형제 10 내지 99.5 중량%를 함유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 억제로 인한 염증 억제 효과 및 히스타민 방출 억제로 인한 알러지 억제 효과 그리고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양배꽃(Pyrus Communis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양배(Pyrus Communis)는 장미과 식물로, 유럽 중부로부터 터키 일대에서 야생한 배를 기본종으로 하여 여름에 비가 적은 곳에서 개량한 것이다.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 모양의 달걀 모양으로 잎자루가 가늘고 길다. 열매는 보통 병 모양의 원뿔형이지만 변이가 많다. 성숙한 것을 따서 다시 후숙하여 먹는다. 석세포가 적고 향기와 맛이 매우 우수하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지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서양배꽃 추출물 0.5 내지 90 중량% 및 화장료 부형제 10 내지 99.5 중량%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서양배꽃 추출물이 상기의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 유의성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양배꽃 추출물은 서양배꽃에서 용매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물, C1 내지 C4의 저가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정제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을 포함하는 비타민 B6;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풀산); 비타민 C ;및 비타민 H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및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를 포함하는 비타민 E를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은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 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sphingolipid)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 중에서 두 번째로 큰 부류로, 머리부분 1개와 비극성 꼬리 2개를 가지며, 글리세롤을 가지고 있지 않다. 세포 활성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하며, 일반적으로 세라미드라는기본 단위를 가진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는 첨가제로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향료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통상적으로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Isopropyl Myristate, IPM),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Isopropyl Palmitate),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PFP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어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 (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 (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POE)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백운모에 산화티탄을 아주 얇게 도포한 운모티탄(Titanium dioxide-Coated mica),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를 포함하는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을 포함하는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린산아연, 라우린산칼슘을 포함하는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을 포함하는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을 포함하는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을 포함하는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을 포함하는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을 포함하는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및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치현추출물, 구기자추출물, 백합추출물 및 솔싹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일수소나트륨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 유액, 크림, 겔, 파우더, 스프레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클린징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크림,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양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양배꽃 추출물의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는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iNOS 억제를 통해 염증 매개 인자의 활성 억제 및 히스타민 분비 억제에 의한 알러지 유발 저해 효과가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자극원에 대한 피부 세포 보호 효과, 염증 반응의 매개 인자의 활성 및 알러지 반응의 히스타민의 방출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서양배꽃 추출물의 경우 자극원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염증 매개 인자의 활성과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가 우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서양배꽃 추출물이 염증 및 알러지 반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음을 나타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염증 매개 인자인 iNOS 활성 억제에 의해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히스타민의 방출 억제에 의해 항알러지 효과를 가진다.
이하, 제조예, 제형예 및 실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제조예, 제형예 및 실험예 등을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 제형예 및 실험예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 서양배꽃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
60℃에서 건조하여 분말화한 서양배꽃(경동시장에서 구입) 중량 1kg에 대하여 3L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20 내지 60℃에서 1 내지 3일 추출한 후 여과(Whatman NO.5, whatman international Ltd, 영국)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수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정제수를 30% 에탄올 수용액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3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정제수를 30% 글리세린 수용액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30% 글리세린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정제수를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으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30%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배양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한 세포는 ATCC (America Type Culture Collect, USA)로부터 구입한 human fibroblast cell line인 CCD-1064SK (CRL-2076), mous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TIB-71) 및 rat mast cell line인 RBL-2H3 (CRL-2256)을 사용하였다. CCD-1064SK, RAW 264.7과 RBL-2H3의 배양 배지는 각각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과 MEM (minimum essential medium)을 Gibco(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각각의 배지에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 (CCD-1064SK, RAW 264.7은 FBS 10%, RBL-2H3는 FBS 15%를 배지에 첨가)와 antibiotic-antimycotic solution(Giboco, USA) 1%를 첨가하여 세포배양에 사용하였다. 모든 세포는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 (ELITE II, Revco,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서양배꽃 추출물의 피부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 의해 제조된 서양배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방법(J. Immunol. Methods, 141(1), 15 (1991))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진행하였다. MTT 방법은 세포 증식이나 독성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숙신산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에 의해 황색 수용성염인 MTT가 불수용성인 자주색의 MTT 포마즌(formazan)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실험예 1의 방법으로 배양한 CCK-1064SK fibroblast를 1× 105 cells/well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Nunc, USA)에 접종하여 1일 배양한 후 serum-free IMDM으로 교체하고, 제조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각각 1, 5, 10μg/ml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5 mg/ml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을 0.1 ml/well로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dimethylsufoxid)를 0.5 ml/well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MTT 포마즌(formazan)을 녹인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음성대조군과 흡광도 차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 료 농도 (μg/ml) 세포생존률 (% of control)
Control 100.00 ±2.77
제조예 1 1 99.64 ±1.98
5 98.32 ±2.13
10 101.54 ±1.98
제조예 2 1 100.54 ±2.19
5 97.94 ±1.08
10 102.34 ±2.91
제조예 3 1 101.43 ±1.95
5 99.34 ±1.48
10 97.45 ±2.04
제조예 4 1 99.40 ±2.01
5 103.29 ±2.18
10 97.30 ±2.03
제조예 5 1 98.39 ±2.11
5 98.23 ±2.21
10 99.93 ±1.94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5의 서양배꽃 추출물은 피부세포인 CCK-1064SK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서양배꽃 추출물의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생성 저해 효과
실험예 1에서 배양한 RAW 264.7을 8× 105 cells/well의 밀도로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1일 배양한 후, 염증 반응 유발 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 from E.coli, Sigma, USA)가 0.1 μg/ml 함유된 phenol-red free DMEM으로 교체하고,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추출물을 각각 표 2와 같이 농도별로 첨가하여 1일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 100 μl와 Griess' reagent (Fluka, USA) 100 μl를 혼합하고 57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LPS 양성 대조군과 흡광도를 비교하여 LPS에 유도된 iNOS 활성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상기 Griess' reagent는 NO의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하므로, 지시약의 역할을 한다.)
시 료 농도 (μg/ml) iNOS 활성률 (% of LPS)
Control 35.91 ±2.84
LPS 0.1 100.00 ±1.97
제조예 1 1 59.43 ±1.52
5 40.31 ±2.40
10 27.92 ±3.71
제조예 2 1 91.74 ±2.03
5 84.67 ±2.27
10 73.71 ±2.15
제조예 3 1 93.28 ±1.97
5 83.65 ±2.01
10 75.83 ±1.93
제조예 4 1 91.09 ±1.04
5 80.58 ±2.27
10 65.78 ±1.92
제조예 5 1 90.71 ±2.14
5 78.17 ±1.80
10 67.80 ±1.97
인도메타신
(Indomethacin)
50 82.79 ±1.54
75 56.41 ±2.47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상기 추출물은 염증 매개 인자인 iNOS 활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제수를 용매로 이용한 제조예 1의 추출물은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활성을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OS 활성 억제 실험 결과, 제조예 1의 추출물이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어 하기에 기재한 실험예 4 내지 5 및 시험예 1, 2에서 제조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실험 진행하였다.
실험예 4. 서양배꽃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서양배꽃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DS (sodium dodecyl sulfate, Sigma, USA)를 자극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의 방법으로 배양한 CCK-1064SK fibroblast를 1× 105 cells/well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Nunc, USA)에 접종하여 1일 배양한 후 serum-free IMDM으로 교체하고,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μ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자극원으로서 SDS를 처리하고 실험예 2의 MTT 방법으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여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시 료 농도 (μg/ml) 세포생존률 (% of control)
Control - 100.00 ±1.39
SDS - 28.96 ±1.53
제조예 1 10 50.12 ±2.01
50 58.47 ±1.84
100 71.35 ±1.67
표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제조예 1의 서양배꽃 추출물은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서양배꽃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비만 세포 (mast cell)는 면역반응에 의해 활성화되고 알러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히스타민을 분비한다.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탈과립이 발생하면 히스타민과 함께 β-헥소사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이하 β-HEX)를 함께 방출하게 되며 이때 방출되는 β-HEX는 탈과립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Planta Med. 64, 577-578 (1998)).
실험예 1의 조건으로 배양한 RBL-2H3를 1× 105 cells/well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접종시 1차 알러지 감작를 위해 1 μg/ml mouse monoclonal IgE (Biodesign, USA)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siraganian buffer Ⅰ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25 mM PIPES, 40 mM NaOH, pH7.2) 500 ㎕로 세포를 세척한 후, siraganian buffer Ⅱ (5.6mM glucose, 1mM CaCl2, 0.1% BSA,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25 mM PIPES, 40 mM NaOH, pH7.2) 160 ㎕를 첨가하여 10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을 각각 표 4의 농도별로 첨가하고, 다시 10분 배양 후 항원으로 DNP-BSA (dinitrophenyl- bovine serum albumin, 최종농도 1 μg/ml, Sigma, USA) 20 μl를 첨가하고 10분 배양하였다. 4℃에서 10분 냉각하여 면역반응을 정지시키고, 알러지 반응액 20 μl와 기질(1 mM ρ-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Sigma, USA) 20 μl를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발색정지용액(0.1 M NaHCO3, Sigma, USA) 100 μl와 혼합하여 405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알러지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β-HEX는 알러지 반응 시 히스타민과 함께 분비되며, 따라서 β-HEX에 의해 변환된 ρ-니트로페닐-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ρ-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의 흡광도가 적게 나타난 경우 첨가된 추출물에 의한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케르세틴(quercetin, Sigma, 미국)은 황갈색의 플라보노이드로 히스타민 분비 기전을 저해하여 항알러지 기능이 강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Cheong, H., Ryu, S. Y., Oak, M. H., Cheon, S. H., Yoo, G. S., and Kim, K. M., Studies of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for the anti- allergic actions. Arch. Pharm. Res., 21, 478-480 (1989)).
상기 측정된 흡광도 결과를 하기 수식에 의해 얻은 결과인, 탈과립 억제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식]
Figure 112010052282431-pat00001
control: normal allergen-IgE에 의해서만 유도된 알러지 반응
Blank: 시료와 발색기질만 첨가
Spontaneous: allergen-IgE와 시료 첨가하지 않은 자발적 반응
시료 농도 (μg/ml) 탈과립 억제 효과 (% of control)
Control 100 ±2.26
제조예 1 1 35.78 ±2.54
5 42.07 ±2.15
10 69.35 ±1.29
케르세틴
(Quercetin)
3 90.40 ±1.37
10 98.81 ±0.98
표 4의 결과에서, 제조예 1의 추출물은 β-HEX의 방출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현상을 억제하여 알러지 유발을 저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 로션의 제조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제형예 1
하기 표 5의 원료 2, 3, 4 및 5를 일정한 온도(95 내지 100℃)에서 완전 용해하였다. 이때, 이 혼합물을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원료 1과 원료 6, 7을 혼합 용해한 후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에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습윤하여 75℃로 냉각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켰다. 그 다음 표 5의 원료 8을 일정한 온도(40 내지 50℃)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2회 통과시켰다. 그리고 원료 9, 10, 11 및 12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 1
원료 1(서양배꽃 추출물)대신 원료 13(정제수)을 첨가하여 상기 제형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1
(중량%)
비교제형예 1(중량%)
1 제조예 1의 추출물 잔량(to 100) -
2 시토 스테롤 1.7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4 세테아레스-4 1.2 1.2
5 콜레스테롤 1.5 1.5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7 농글리세린 5.0 5.0
8 선플라우어오일 10.0 10.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0 산탄검 0.3 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향료 미량 미량
13 정제수 - 잔량(to 100)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2. 크림의 제조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제형예 2
표 6의 원료 2, 3, 4 및 5를 일정한 온도(95 내지 100℃)에서 완전 용해하였다. 이때, 이 혼합물을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그리고 원료 1과 6, 7을 혼합 용해한 후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에 첨가하여 100℃에서 1시간 습윤하여 75℃로 냉각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하기 표5의 원료 8을 일정한 온도(40 내지 50℃)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2회 통과시켰다. 그리고 원료 9, 10, 11 및 12를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 2
원료 1(서양배꽃 추출물)대신 원료 13(정제수)을 첨가하여 상기 제형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중량%)
비교제형예 2
(중량%)
1 제조예 1의 추출물 잔량(to 100) -
2 시토 스테롤 4.0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3.0
4 세테아레스-4 2.0 2.0
5 콜레스테롤 3.0 3.0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7 농글리세린 5.0 5.0
8 선플라우어오일 22.0 22.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향료 미량 미량
13 정제수 - 잔량(to 100)
시험예 1.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폐쇄 첩포 실험)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서양배꽃 추출물에 대하여 자극 완화 효과는 폐쇄 첩포 실험법으로 진행하였으며, SDS (sodium dodecyl sulfate, Sigma, USA)에 의한 자극 유발과 이에 대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시험 부위 (등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정제수에 시료(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배꽃 추출물) 5%, SDS 0.08%가 되게 실험 용액을 제조하고, 20 μl의 실험 용액을 finn chamber에 적하시켰다. 각각의 핀 챔버(finn chamber)에 paper disc를 올려놓고, 핀 챔버를 시험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24시간 첩포 후 시험 부위를 표시하고 4시간 경과 후 판정을 행하였다. 판정은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분류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SDS 0.08% 20 1 2 8 9 0.75
정제수 20 0 0 3 17 0.15
SDS 0.08% +
제조예 1의 추출물
20 0 0 1 19 0.05
판정기준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수×1]+[(+)수×2]+[(++)수×3]}/피시험자수
시험예 2. 제형예 1, 2에 따른 로션, 크림의 피부 안정성 확인 시험 (폐쇄 첩포 실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의 전박부에 상기 제형예 1, 2에서 제조한 로션 및 크림에 대해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제형예 1와 2에서 제조한 로션 및 크림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24시간 후(n=20) 48시간 후(n=20) 비고
로션 0/20 0/2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크림 0/20 0/20
표 8에 나타낸 실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션 및 크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8)

  1. 서양배꽃(Pyrus Communis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서양배꽃 추출물 0.5 내지 90 중량% 및 화장료 부형제 10 내지 99.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용매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가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크림,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매개 인자인 iNOS 활성 억제에 의해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히스타민의 방출 억제에 의해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78383A 2010-08-13 2010-08-13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83A KR101709619B1 (ko) 2010-08-13 2010-08-13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83A KR101709619B1 (ko) 2010-08-13 2010-08-13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881A KR20120015881A (ko) 2012-02-22
KR101709619B1 true KR101709619B1 (ko) 2017-02-28

Family

ID=4583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383A KR101709619B1 (ko) 2010-08-13 2010-08-13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082B1 (ko) * 2016-10-31 2018-06-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87420B1 (ko) 2017-01-09 2019-06-1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2017-01-09 2019-06-1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85559Y1 (ko) 2017-06-05 2018-01-25 김동오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102085505B1 (ko) * 2018-08-27 2020-03-05 이경희 알칼리 이온수를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102124583B1 (ko) * 2018-08-27 2020-06-18 이경희 L-아르기닌을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KR102193712B1 (ko) 2020-02-17 2020-12-21 (주)에이치투엠씨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796B1 (ko) 2020-02-17 2021-11-18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80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26B1 (ko) 2020-02-25 2020-08-1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78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25028A (zh) * 2020-10-29 2022-05-03 莱阳司邦得制药有限公司 一种具有祛斑功效的渗透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15B1 (ko) 2007-05-04 2008-10-23 주식회사 생그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644A (ko) * 2003-04-07 2004-10-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8496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부자마을 피부 진정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915B1 (ko) 2007-05-04 2008-10-23 주식회사 생그린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881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619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94360B1 (ko)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문주란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047A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6240A (ko)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4150A (ko) 항염, 자극완화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갖는 복숭아 뿌리, 자두 뿌리, 매화 뿌리 및 호두 껍질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3A (ko)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3666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천연물
KR100748851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90683B1 (ko) 마삭줄, 고련피, 희첨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는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5425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7027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33610A (ko) 홍화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5156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