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59Y1 -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 Google Patents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59Y1
KR200485559Y1 KR2020170002825U KR20170002825U KR200485559Y1 KR 200485559 Y1 KR200485559 Y1 KR 200485559Y1 KR 2020170002825 U KR2020170002825 U KR 2020170002825U KR 20170002825 U KR20170002825 U KR 20170002825U KR 200485559 Y1 KR200485559 Y1 KR 200485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ion
mulching film
cup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오
Original Assignee
김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오 filed Critical 김동오
Priority to KR2020170002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자 출아작업 시 멀칭필름을 완전히 절단하지 않고 남겨둠으로써 천공된 비닐을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출아된 감자싹이 손상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감자 출아작업용 멀칭필름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천공부; 상기 천공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끝에는 양방향 손잡이가 설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는 하란 림 부위에 톱니와 같은 절단날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마련되는 천공컵; 상기 천공컵이 일정한 깊이까지만 박혀 천공컵 높이 2/3에 해당하는 천공컵 상단 빈 공간이 출아된 감자싹을 보호할 수 있는 공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막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Punching Apparatus For Mulching Film For Agriculture}
본 고안은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감자 출아(出芽)작업 시 어린 감자싹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며 간편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천공된 비닐이 천공기 안쪽에 쌓이거나 밭에 흩날려 다시 수거할 필요가 없어 쓰레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감자 출아작업 등의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기온이 낮은 시기에 심게 되는 봄감자(중부지방 기준 2월하순~3월상중순경 파종)는 보온을 위해 감자종자를 15~20cm깊이로 심은 다음 구멍이 없는 투명 비닐필름으로 멀칭을 한다. 통상 감자는 4℃이상 지온이 확보되어야 생장이 가능하며, 봄감자는 지온을 높게 관리해야 생육에 유리하기 때문에 보온을 위해 구멍이 뚫린 비늘을 쓰지 않는다. 감자의 지온 상승과 싹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투명필름으로 멀칭을 하는데, 이 경우 잡초방제를 목적으로 배색필름(가운데 부분만 흰색)을 쓰기도 한다.
감자를 심은 후 약 30~40일이 경과하면 감자싹이 출현하는 데 이 과정을 출아(出芽)라고 하며, 출아와 동시에 비닐에 구멍을 내어 주어야 고온에 의해 감자싹이 타 죽는 현상(日燒現象)을 막을 수 있으며, 감자싹이 지상으로 정상 생장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출아작업이라 한다. 일소현상에 의해 감자싹이 타버리면 생육이 매우 불량해져 수량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통상 감자 출아작업은 갈고리 모양의 도구로 하게 되는데 감자싹 하나를 출아작업하기 위해서는 보통 1~3회의 손질이 필요하며, 모양도 불규칙하게 된다. 특히 ‘一’자로 비닐을 찢어 줄 경우 고온피해는 입지 않으나 감자싹이 성장하면서 비닐을 뒤집어쓰고 성장하기 때문에 감자싹이 기형이 되고 비닐이 들뜨면서 생간 공간에는 잡초 발생이 증가하고 북주기 작업 시 들뜬 공간을 다시 손질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코자 원형의 구멍을 뚫는 작업을 시행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멀칭필름 천공기이다. 기존의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는 절단날이 원형으로 360°로 배열되어 있어 멀칭필름이 완전히 절단된다. 이 경우 절단된 멀칭필름 조각이 천공기 안쪽에 쌓여 천공능률을 떨어뜨리거나 천공된 멀칭필름 조각이 밭에 떨어져 절단된 멀칭필름 조각을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부 멀칭필름 천공기의 경우 천공기 안쪽에 천공된 멀칭필름 회수하기 위해 뾰족한 핀이 부착된 경우가 있으나 이는 감자 출아작업 시 감자싹을 손상시키므로 감자 출아작업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특허문헌으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0966호가 있다. 이는 하부쪽에 하향 개방되게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홈의 끝단에 중앙으로부터 외주까지 2갈래로 하향 경사진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봉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재의 경사진 천공날을 통해 멀칭비닐의 표면을 천공함으로써, 천공부위를 균일하고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15881호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멀칭필름에 사전에 천공을 함으로써, 밭에 설치 후 천공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천공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도 없는 멀칭필름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멀칭필름을 설치할 때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구멍의 크기나 간격이 일률적이어서 사용상 불편이 따를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096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1588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효율적인 감자 출아작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단하고 경량이며, 단 1회의 천공작업으로 1개의 감자싹에 대한 출아작업을 효율적 완료할 수 있어 농작업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야 하며, 감자싹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천공된 비닐을 다시 수거할 필요가 없는 감자 출아작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천공부; 상기 천공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끝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천공부는 하단 림 부위에 톱니와 같은 절단날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마련되는 천공컵;
상기 천공컵이 땅속으로 일정한 깊이까지만 박힘으로써 상기 천공컵의 상판이 출아된 싹을 다치지 않게 하도록 상기 천공컵 측벽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막이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천공컵의 측벽이 "∩"의 형태로 절개됨으로써 상기 절단날이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절단날은 원호각 270 ~300°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막이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막이판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천공컵의 측벽에 연결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한 멀칭필름 천공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이 확실하고 쉽게 이루어지며, 천공시 멀칭필름이 분리되지 않아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땅에 박히는 깊이를 제한하여 새싹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의 사용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를 사용한 후의 멀칭필름의 변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는 멀칭필름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부(20)와, 이 천공부(20)를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천공부(20)의 후단(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에 연결되는 연장부(10)를 포함한다. 천공부(20)의 상판(24)과 연장부(10)의 하단부 볼트, 나사, 용접, 끼워맞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또는 분리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나사못(24)으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연장부(10)는 스틱과 손잡이(11)로 구성될 수 있다. 스틱은 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2파이프(12,13)로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10)의 상단에는 티(T)자 형태로 손잡이(11)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11)는 노브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10)의 스틱은 등산지팡이와 같이 일(一)자형으로 하고 스트립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1,2파이프(12,13)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통상의 등산지팡이와 같이 하여도 무방하다.
천공부(20)는 천공컵(21)과 깊이제한수단(30)을 포함한다. 천공컵(21)은 직경이 10 ~20cm가 되는 원통형 용기, 예를 들어 통조림깡통을 엎어놓은 것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천공컵(21)의 하단 림 부위에는 톱니와 같은 절단날(23)이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단날(23)을 천공컵(21)의 림부위 중 일부 구간에만 마련된다. 절단날(23)은 원호각 270 ~300°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절단날(23)은 천공컵(21)의 측벽에 "∩" 형태의 공간(22)이 마련되도록 절개됨으로써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깊이제한수단(30)은 막이판(31)을 포함한다. 막이판(31)은 천공컵(21)이 땅속으로 일정한 깊이까지만, 예를 들어 천공컵(21) 전체 길이에 대해 2/3 정도만 박힐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천공컵(21)의 측벽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막이판(31)은 천공컵의 상판(24)이 출아된 싹을 다치지 않게 하도록 한다. 막이판(31)은 천공컵(21)의 중간 부위에, 특히 천공컵(21)의 측벽 중 절개되지 않은 부분에 마련된다. 천공컵(21)의 하단에서 막이판(31) 까지의 거리가 천공컵(21)이 땅에 박히는 깊이(D)에 해당하게 될 것이다. 이 구성은 멀칭필름(110)을 땅에 설치하기 전에 씨앗을 파종한 경우에 있어서, 천공컵(21) 상단의 빈 공간이 출아된 싹을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막이판(31)은 그와 직각을 이루는 측판(33)을 통해 천공컵(21) 측벽에 고정된다. 스폿용접, 나사못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측판(33)이 천공컵(21)의 측벽에 고정된다. 막이판(31)이 측판(33) 내지 천공컵(21)의 측벽과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측판(33) 또는 천공컵(21)의 측벽과 막이판(31) 사이에는 브래킷(32)이 설치된다. 브래킷(32)은 삼각 형태의 판재로서 측판(33)을 사이에 두고 천공컵(21)에 고정된다. 이들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칭필름(110)이 씌워진 땅(100)에 대고 천공컵(21)을 위에서 누르면 절단날(23)은 멀칭필름(11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태로 절개하게 된다. 천공컵(21)이 삽입되는 깊이(D)는 깊이제한수단(30)으로서의 막이판(31)에 의해 제한된다. 막이판(31)은 천공후 천공컵(21)을 위로 들어올려 땅(100)에서 뺄 때 멀칭필름(110)을 지긋이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칭필름의 천공부분(111)은 해치와 같이 바닥에 깔려있는 멀칭필름(110)으로부터 위로 들려지고 따라서 식재 및 새싹의 성장을 위한 원형의 구멍이 생기게 되는 것이며 천공부분(111)은 멀칭필름(110)에 붙어 있기 때문에 바람에 날아다니면서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천공부분(111)은 수확 후 멀칭필름(110)을 제거할 때 함께 수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공컵은 녹방지를 함으로써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P 또는 PE와 같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깊이제한수단(30)과 천공컵(21)을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천공컵의 상판(24) 저면 중앙에는 천공컵의 하단, 즉 절단날(23) 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는 삽입대(미도시됨)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삽입대는 텐트를 설치하기 위해 땅에 박는 팩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파이프 또는 봉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대는 또한 끝이 뾰족한 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삽입대는 필요에 따라 커팅컵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천공컵 상판 저면에는 암나사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고 삽입대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대는 멀칭필름을 천공함과 동시에 땅에는 천공된 지점의 중앙에 씨앗이나 모종을 심기 위한 구멍을 만들 수 있다.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모종을 식재하거나 씨앗을 파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장부 11 : 손잡이
12,13 : 제1,2파이프 20 : 천공부
21 : 천공컵 23 : 공간
30 : 깊이제한수단 31 : 막이판
32 : 브래킷 33 : 측판
100 : 땅 110 : 멀칭필름
111 : 천공부분

Claims (4)

  1. 원통형의 용기 형상으로 일측벽이 "∩"의 형태로 절개되어 공간(22)이 형성되고, 하단 림 부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절단날(23)이 마련되는 천공컵(21)이 구비되며, 상기 천공컵(21)의 상부에는 상판(24)이 구비된 천공부(20);
    상기 천공부(20)의 상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 1, 2파이프(12, 13)가 연결되며, 상단에는 손잡이(11)가 설치되는 연장부(10);
    상기 천공부(20)의 천공컵(21)이 땅속으로 일정한 깊이까지만 박힘으로써 천공컵(21)의 상판(24)이 출아된 싹을 다치지 않게 하도록 천공컵(21) 측벽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막이판(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판(31)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막이판(31)과 직각을 이루면 천공컵(21)의 측벽에 고정되는 측판(33)이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막이판(31)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측판(33)에 연결되는 브래킷(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2020170002825U 2017-06-05 2017-06-05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200485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5U KR200485559Y1 (ko) 2017-06-05 2017-06-05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25U KR200485559Y1 (ko) 2017-06-05 2017-06-05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59Y1 true KR200485559Y1 (ko) 2018-01-25

Family

ID=6127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25U KR200485559Y1 (ko) 2017-06-05 2017-06-05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1614A (zh) * 2018-06-17 2018-11-13 杭州仙珑宇盈科技有限公司 栽树系统及控制方法
CN108811992A (zh) * 2018-06-30 2018-11-16 安徽泾县百川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用地膜打孔装置
CN116889168A (zh) * 2023-09-11 2023-10-17 安徽农业大学 穴播器电热式破膜孔装置
CN117480979A (zh) * 2023-11-08 2024-02-02 昆明理工大学 基于深度学习的膜下烟苗智慧破孔与残膜回收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26Y1 (ko) * 2006-04-24 2006-08-29 (주)동우하이텍 멀칭비닐 천공기
KR20120015881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70774Y1 (ko) * 2011-04-26 2014-01-15 한재묵 멀칭비닐의 유통부 열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26Y1 (ko) * 2006-04-24 2006-08-29 (주)동우하이텍 멀칭비닐 천공기
KR20120015881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70774Y1 (ko) * 2011-04-26 2014-01-15 한재묵 멀칭비닐의 유통부 열커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1614A (zh) * 2018-06-17 2018-11-13 杭州仙珑宇盈科技有限公司 栽树系统及控制方法
CN108811992A (zh) * 2018-06-30 2018-11-16 安徽泾县百川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用地膜打孔装置
CN116889168A (zh) * 2023-09-11 2023-10-17 安徽农业大学 穴播器电热式破膜孔装置
CN116889168B (zh) * 2023-09-11 2023-12-05 安徽农业大学 穴播器电热式破膜孔装置
CN117480979A (zh) * 2023-11-08 2024-02-02 昆明理工大学 基于深度学习的膜下烟苗智慧破孔与残膜回收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559Y1 (ko)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US8381440B1 (en) Pot cover and method of use
US52223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nursery stock in subterranean containers
KR101891899B1 (ko)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KR200469843Y1 (ko) 농업용 비닐천공 및 모종이식홈 성형구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JP5457223B2 (ja) 穴開け種まき兼用装置
US6138769A (en) Root cutting tool
KR20170126096A (ko) 이랑에 깔려진 비닐의 천공과 동시에 수거하는 멀칭 비닐천공기
KR20160119479A (ko) 흙 이탈판이 구비된 육묘이식 및 파종기
KR20150114836A (ko)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KR20042492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02953Y1 (ko) 수목 밑동의 제초용 패드
US10136585B1 (en) In-ground seed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US4617713A (en) Nursery pot cutting tool
CN210745954U (zh) 一种马铃薯原原种覆膜种植除膜打孔器
JP2009284910A (ja) 栽培用袋及び栽培用袋支持具
KR200419460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2740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US2839982A (en) Garden tool
JP4063809B2 (ja) 園芸用簡易鉢
KR200484541Y1 (ko) 멀칭비닐 천공기
CN209134768U (zh) 一种草莓种植地膜打孔装置
CN215302022U (zh) 一种用于果蔬的多功能器具
KR102418882B1 (ko) 잡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