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26Y1 - 멀칭비닐 천공기 - Google Patents

멀칭비닐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26Y1
KR200424926Y1 KR2020060010966U KR20060010966U KR200424926Y1 KR 200424926 Y1 KR200424926 Y1 KR 200424926Y1 KR 2020060010966 U KR2020060010966 U KR 2020060010966U KR 20060010966 U KR20060010966 U KR 20060010966U KR 200424926 Y1 KR200424926 Y1 KR 200424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ching vinyl
fixed
connecting rod
discharge
perf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식
Original Assignee
(주)동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동우하이텍
Priority to KR2020060010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45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with piercing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원고안은 멀칭비닐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고안에 따른 멀칭비닐 천공기는, 하부쪽에 하향 개방되게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개방홈의 끝단에 중앙으로부터 외주까지 2 갈래로 하향 경사진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봉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재의 경사진 천공날을 통해 멀칭비닐의 표면을 천공함으로써, 천공부위를 균일하고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멀칭비닐, 천공기, 천공날, 경사, Y농작물

Description

멀칭비닐 천공기{boring machine of mulching vinyl}
도 1은 본원고안의 멀칭비닐 천공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원고안인 멀칭비닐 천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원고안인 손잡이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천공부재 110 : 개방홈
120 : 천공날 130 : 문양표시부
200 : 손잡이부재 210 : 연결봉
211, 211', 511 : 관통홀 211' : 장홀
220, 330 : 손잡이부 221 : 보조 연결봉
222, 530 : 고정볼트
300 : 배출부재 310 : 배출판
320 : 이동봉
400 : 고정부재
500 : 조절부재 510 : 이동편
520 : 고정편 540 : 리브
550: 절단날
본원고안은 멀칭비닐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랑에 멀칭비닐을 씌우고 상기 멀칭비닐의 표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농작물의 육모를 이식하기 위한 멀칭비닐 청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토양의 수분과 영양소가 증발되지 않도록 이랑에 멀칭비닐을 씌우고, 상기 멀칭비닐의 표면을 절개하여 이 절개된 부분에 농작물의 육모가 이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농작물의 이식작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비닐하우스 등의 묘상에 농작물의 씨앗을 파종시킨 다음, 농작물이 적절한 크기로 성장할 때 육모시킨다. 이후 농작물 재배를 위한 본 토양에 피복(멀칭비닐)을 씌운 다음, 상기 피복(멀칭비닐)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천공하게 된다.
상기 피복(멀칭비닐)을 천공하는 방법은 소정 길이의 로프를 매듭지어서 로프 길이를 따라서 매듭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 다음, 멀칭할 토양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로프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서 고정시킨다, 연속해서 매듭들에 상응하 는 위치의 피복(멀칭비닐)을 천공하여 피복 천공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천공되어 외부로 노출된 토양에 모종을 이식하게 되며, 이때 상기 천공면적 및 천공위치 간의 간격은 해당 농작물의 성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피복(멀칭비닐) 천공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지 못하여 삽이나 호미 등의 농기구를 사용하여 천공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천공부위가 균일하지 못하여 농작물의 성장조건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고안은, 멀칭비닐의 표면을 천공하는 천공부재와 상기 천공부재를 이동 및 고정하게 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는 멀칭비닐 천공기를 구비하여 멀칭비닐의 표면에 천공부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멀칭비닐 천공기의 내부에 배출부재를 구비하여 멀칭 비닐 천공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흙, 천공된 멀칭비닐 돌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멀칭비닐 천공기의 외주면에 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라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고안은, 멀칭비닐 천공기에 있어,
하부쪽에 하향 개방되게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개방홈의 끝단에 중앙으로부터 외주까지 2 갈래로 하향 경사진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위쪽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봉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천공날은 직선 경사진 상태로 마주보는 상태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재의 개방홈 내부에는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판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천공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판을 승하강시키는 이동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의 이동봉은 상기 연결봉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판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봉의 내부를 통해 외측면에 형성된 장홀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의 배출판 표면에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는 천공날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이동편을 통과하고 천공부재의 표면에 가압되어 이동편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는 천공날이 삽입되는 깊이를 식별하기 위한 문양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고정편 저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재의 손잡이부는 그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연결봉을 통해 상기 연결봉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원고안의 멀칭비닐 천공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칭비닐 천공기는 이랑에 씌워진 멀칭비닐(1)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시키기 위한 것으로, 멀칭비닐(1)의 표면에 구멍을 천공시키게 되는 천공부재(100)와, 상기 천공부재(100)를 고정 및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부재(100)는, 일측면에 하향 개방되게 개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홈(110)의 끝단에 원주면을 따라 천공날(120)이 형성되며, 상기 천공날(120)을 통해 멀칭비닐(1)의 표면에 구멍을 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천공날(120)은 개방홈(110)의 중앙으로부터 외주까지 2 갈래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천공날(120)은 중앙으로부터 대칭되게 직선 경사져 있어, 전체적으로는 역(逆) "V"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멀칭비닐의 표면에 구멍을 보다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00)는 상기 천공부재(100)를 고정 및 이동시키기 위해 파 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천공부재(100)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연결봉(210)과, 상기 연결봉(210)의 끝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봉(2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봉으로, 상기 천공부재(100)의 타측면에 용접고정 또는 나사결합(미도시)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220)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봉(210)의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패드(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삽입하게 되며, 상기 고무패드를 통해 미끄럼 방지 및 파지시 안정감을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재(200)의 손잡이부(220)는 그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연결봉(221)을 통해 상기 연결봉(21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210)의 관통홀(21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22)를 통해 위치 고정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재(100)의 개방홈(110) 내부에는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30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부재(300)는 상기 천공부재(100)를 통해 멀칭비닐(1)의 표면에 천공시 개방홈(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흙, 천공된 멀칭비닐 및 돌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홈(1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판(310)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3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천공부재(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판(310)을 승하강시키는 이동봉(3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개방홈(1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에 의해 배출판(310)이 이물질이 유입된 만큼 승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이동봉(320)을 하강시키게 되면 이동봉(320)과 연결된 배출판(310)이 유입된 이물질을 가압하게 되어 개방홈(110)이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300)의 이동봉(320)은 상기 연결봉(21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400)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이동봉(320)을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면이 상기 연결봉(210)의 하측부와 상측부에 용접 또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되고, 상면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며, 이 중공을 통해 상기 이동봉(320)이 관통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이동봉(320)의 끝단은 수평하게 절곡되어 손잡이부(330)를 형성하게 되며, 이 손잡이부(330)는 상기 고정부재(400)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봉(320)이 하향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300)의 배출판(310) 표면에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별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공기 배출공(311)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천공날(120)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500)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조절부재(500)는 상기 천공부재(100)가 멀칭비닐(1)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천공부재(100)의 외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을 갖는 이동편(510)과, 상기 이동편(5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편(520)과, 상기 이동편(510)의 관통홀(511)을 통과하고 상기 천공부재(100)의 외측표면에 가압되어 이동편(510)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볼트(530)로 이 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천공날(120)이 멀칭비닐(1)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식별하기 위한 문양표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문양표시부(130)를 통해 상기 조절부재(500)의 높이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문양표시부(130)는 문자, 문양 및 기호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이동편(510)과 고정편(520)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리브(540)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540)를 통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고안인 멀칭비닐 천공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고정볼트(530)를 푼 다음, 조절부재(500)의 이동편(510)을 천공부재(100)의 외주면 내에서 승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편(510)의 승하강 높이는 농작물의 품종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문양표시부(130)와 고정편(520)의 저면을 맞춤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편(510)의 승강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고정볼트(530)를 통해 다시 이동편(510)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손잡이부재(200)의 손잡이부(220)를 파지한 다음, 멀칭비닐(1)의 표면에 천공부재(100)의 천공날(120)을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잡이부(22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천공날(120)이 멀칭비닐(1)의 표면을 천공한 다음 토양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편(520)이 멀칭비닐(1) 표면에 밀착되면서 위치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천공날(120)이 삽입되는 깊이만큼 개방홈(110) 내부로 천공된 멀칭비닐, 토양 및 돌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며, 상기 이물질에 의해 배출부재(300)의 배출판(310) 및 이동봉(320)이 승강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천공날(120)을 멀칭비닐(1)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때 이동봉(320)의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부(330)를 파지한 다음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봉(320)이 하강함과 동시에 그와 연결된 배출판(310)이 개방홈(110)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가압하게 되어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멀칭비닐(1)의 표면에 다수개의 균일한 천공을 간편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 본원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원고안인 멀칭비닐 천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재(300')는 상기 개방홈(1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판(310')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3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봉(210')의 내부를 통해 외측면에 형성된 장홀(211')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봉(3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봉(320')이 상기 연결봉(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장 홀(211')의 내에서 승하강하게 되어 시각적인 미려함과, 별도의 고정부재(300)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원고안인 조절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부재(500)의 고정편(520) 저면에는 이동편(51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의 내주면을 따라 "+"자 형상으로 절단날(5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날(120)을 통해 멀칭비닐(1)의 표면에 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절단날(550)을 통해 상기 천공의 외주면에 "+"자로 절개할 수 있어 농작물의 품종에 따라 편의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원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원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고안인 멀칭비닐 천공기를 통해 멀칭비닐의 표면을 천공함으로써 천공부위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농작물의 성장조건이 균일하게 맞출 수 있으며, 더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청공부재를 형성하는 천공날을 개방홈의 중심에 대하여 아래쪽으 로 경사지게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멀칭비닐 천공기의 내부에 배출부재를 구비하여 멀칭 비닐 천공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흙, 천공된 멀칭비닐 돌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칭비닐 천공기의 외주면에 조절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라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농작물의 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부재의 저면에 내주면을 따라 절단날을 형성함으로써 농작물의 품종에 따라 별도로 천공의 외주면을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멀칭비닐 천공기에 있어서,
    하부쪽에 하향 개방되게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개방홈의 끝단에 중앙으로부터 외주까지 2 갈래로 하향 경사진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부재;
    상기 천공부재의 위쪽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봉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천공날은 직선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개방홈 내부에는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배출판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천공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출판을 승하강시키는 이동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이동봉은 상기 연결봉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배출판 표면에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개방홈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표면에 공기 배출공을 갖는 배출판과, 일측은 상기 배출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봉의 내부를 통해 외측면에 형성된 장홀에 승하강 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는 천공날이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이동편을 통과하고 천공부재의 표면에 가압되어 이동편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외주면에는 천공날이 삽입되는 깊이를 식별하기 위한 문양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고정편 저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절단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의 손잡이부는 그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 연결봉을 통해 상기 연결봉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을 관통하는 고정볼트를 통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칭비닐 천공기.
KR2020060010966U 2006-04-24 2006-04-24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24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66U KR200424926Y1 (ko) 2006-04-24 2006-04-24 멀칭비닐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966U KR200424926Y1 (ko) 2006-04-24 2006-04-24 멀칭비닐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26Y1 true KR200424926Y1 (ko) 2006-08-29

Family

ID=4177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966U KR200424926Y1 (ko) 2006-04-24 2006-04-24 멀칭비닐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47B1 (ko) 2012-04-18 2013-10-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종장치
KR200485559Y1 (ko) * 2017-06-05 2018-01-25 김동오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20180075775A (ko) * 2016-12-26 2018-07-05 이경태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47B1 (ko) 2012-04-18 2013-10-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종장치
KR20180075775A (ko) * 2016-12-26 2018-07-05 이경태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KR101891899B1 (ko) * 2016-12-26 2018-08-27 이경태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KR200485559Y1 (ko) * 2017-06-05 2018-01-25 김동오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23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nursery stock in subterranean containers
US5245878A (en)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US6374758B1 (en) Manually manipulated rotatable digging blade
KR101891899B1 (ko) 이랑 멀칭 비닐천공기
KR20042492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85559Y1 (ko) 농업용 멀칭필름 천공기구
KR200419460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200427406Y1 (ko) 멀칭비닐 천공기
KR101878948B1 (ko) 고추작물 재배용 보조구
CN210382026U (zh) 园艺植物透气排水组件
US20090260283A1 (en) Fertilizer spike injection tool
CN207284119U (zh) 瓜菜苗定植用打孔器
JP2007236316A (ja) 植林用ブロック
JP2007174934A (ja) 緑化工法
KR20170126096A (ko) 이랑에 깔려진 비닐의 천공과 동시에 수거하는 멀칭 비닐천공기
KR101878122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JP2006288293A (ja) 園芸用支柱
CN212138538U (zh) 一种松土花盆
CN217363746U (zh) 一种可调节式土壤打孔装置
JP4063809B2 (ja) 園芸用簡易鉢
CN219628299U (zh) 一种便于排土的甜瓜种植用播种打孔器
CN215302022U (zh) 一种用于果蔬的多功能器具
KR100574293B1 (ko) 용기묘 식재기
KR200185751Y1 (ko) 비닐 고정기
CN217020568U (zh) 一种地布开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