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808B1 - 분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808B1
KR101865808B1 KR1020160125436A KR20160125436A KR101865808B1 KR 101865808 B1 KR101865808 B1 KR 101865808B1 KR 1020160125436 A KR1020160125436 A KR 1020160125436A KR 20160125436 A KR20160125436 A KR 20160125436A KR 101865808 B1 KR101865808 B1 KR 10186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charge pipe
lower chamber
valv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412A (ko
Inventor
조명률
Original Assignee
조명률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률,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명률
Priority to KR102016012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8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분체의 이송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와,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된 분체와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기와 진공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분리기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진공부로 이루어지는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분리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메인프레임과, 공간부 상에 설치된 상부챔버-상부챔버는,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는 상기 진공호스와 연결되는 진공관이 구비됨-와, 상부챔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된 하부챔버와, 상부챔버와 하부챔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를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상부밸브와, 하부챔버와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챔버와 배출관을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하부밸브와,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체 이송장치{Power Transfer Apparatus}
본 개시는 제조 현장에서 각종 원료로 사용되는 분체를 진공상태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이송하는 분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조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원료는 분체(粉體 : 미세한 가루 상태부터 직경이 수 cm에 이르는 고형체인 경우까지 다양한 경우를 통칭함)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분체의 이송은 버켓 컨베이어 또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체의 종류로는 미립자 형태의 파우더, 곡물과 같은 과립, 오/폐수처리장치의 여과모래 또는 슬러지 및, 정유공장 또는 석유화학공장의 폐촉매 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특1999-030365호에 "이동식 자동 촉매 교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촉매의 배출과 투입을 제어하는 진공차량과, 진공차량에 연결된 고압호스에 연결된 하단에 호퍼가 설치된 분리기와, 진공호스를 통해 분리기에 촉매를 공급하는 드럼과, 호퍼가 설치된 분리기에 연결된 연결호스를 통해 반응조에 촉매를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분리기의 내부가 항상 진공상태로 유지되어야지만 반응조와 연결된 흡입관을 통해 폐촉매가 분리기의 내부로 흡입되어 채워진 후, 분리기의 내부에 폐촉매가 일정 중량을 초과해야지만 분리기의 하부에 마련된 개폐기가 작동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분리기의 내부에 채워진 폐촉매가 배출되는 순간 분리기의 진공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배출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분체의 이송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분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와,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된 분체와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기와 진공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분리기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진공부로 이루어지는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분리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메인프레임과, 공간부 상에 설치된 상부챔버-상부챔버는,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는 상기 진공호스와 연결되는 진공관이 구비됨-와, 상부챔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된 하부챔버와, 상부챔버와 하부챔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를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상부밸브와, 하부챔버와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챔버와 배출관을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하부밸브와,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가 설치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보조 지지구가 설치되되, 보조 지지구는,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체와, 복수개의 탄성체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걸림고리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 각각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투시창이 구비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배출관의 하부에는 저장부를 메인프레임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마련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분체의 이송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출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클램프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밸브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장치는 분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12)와, 흡입호스(12)를 통해 흡입된 분체와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기(100)와, 분리기(100)와 진공호스(22)를 통해 연결되어 분리기(100)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진공부(2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기(100)는 메인프레임(110), 상부챔버(120), 하부챔버(130), 배출관(140), 상부 및 하부밸브(150, 160), 저장부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10)은 내부에 공간부(112)가 구비되도록 복수개의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부챔버(120)는 메인프레임(110)에 구비된 공간부(112)에 설치되고,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흡입관(122)이 구비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진공관(124)이 구비된다.
여기서, 흡입관(122)에는 분체가 저장된 저장조(10)의 내부에 일단이 위치되는 흡입호스(12)의 타단이 결합되고, 진공관(124)에는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체가 흡입호스(12)를 통해 상부챔버(1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상부챔버(120)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진공부(20)에 구비된 진공호스(22)가 결합된다.
하부챔버(130)는 상부챔버(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배출관(140)이 구비된다.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 각각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S.G)이 구비된다.
하부챔버(1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부챔버(13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하부밸브(160)의 밸브판(164)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에어벤트 관(132)이 설치되고, 배출관(140)의 내부에는 일단이 배출관(14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하부밸브(160)의 밸브판(164)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 에어벤트 관(140)이 설치된다.
이때, 제1 에어벤트 관(132)의 타단과 제2 에어벤트 관(142)의 타단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는 하부밸브(160)의 밸브판(164)이 구동부(166)에 의해 원활하게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제1 에어벤트 관(132)과 제2 에어벤트 관(142)의 각각의 타단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에 설치되는 이유는 흡입호스(12)를 통해 상부챔버(120)의 내부로 흡입되었다가 하부챔버(130)로 이송된 분체가 배출관(140)을 통해 후술하는 저장부의 내부로 공급될 때 저장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분체와 함께 저장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하부챔버(13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저장부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여기서, 제1 에어벤트 관(132)의 타단과 제2 에어벤트 관(142)의 타단이 상호 마주보면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 저장부(17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하부챔버(130)의 내부로 이동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저장부의 내부에 분체가 공급될 때 저장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순간적으로 큰 압력을 갖는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상부밸브(150)는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를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킨다.
하부밸브(160)는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을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밸브(150, 160)는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각각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 사이 및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바디(152, 162)와, 밸브바디(152, 16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판(154, 164)과, 밸브판(154, 164)을 작동시키는 구동부(156, 166)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가 사용된다. 이때, 구동부(1156, 166)는 에어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및 하부밸브(150, 160)는 상부챔버(120)의 상부에 구비된 제어부(126)에 의해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cycle time)으로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어 상부챔버(120)의 내부만을 진공상태가 되게 하거나,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가 동시에 진공상태가 되게 한다.
즉, 상부밸브(150)가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한 경우에는 상부챔버(120)의 내부만이 진공상태가 되고, 상부밸브(150)가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가 연통되도록 작동을 하고, 하부밸브(160)가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한 경우에는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의 내부가 동시에 진공상태가 된다.
저장부는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는 분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투입구(172)가 구비된 톤백(170) 또는 상부에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저장탱크(미도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로서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저장탱크가 사용되는 경우, 배출관(140)에는 슈트관(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배출관(140)을 통해 저장탱크의 내부로 분체가 공급될 때 각종 먼지나 이물질 등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배출관(14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180)가 설치되는데, 이 클램프(180)는 전술한 톤백(170)의 상부에 구비된 투입구(172) 또는 배출관(140)의 단부에 구비되는 슈트관을 배출관(140)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한다.
이러한, 클램프(180)는 배출관(14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182)와, 지지부(182)의 하부면에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고정핀(184)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밴드(186, 188)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밴드(186)의 타단에는 체결구(186a)가 구비되고, 제2 밴드(188)의 타단에는 체결구(186a)가 체결되는 체결고리(188a)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배출관(140)에는 원주면을 따라 걸림턱(144)이 클램프(180)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클램프(180)에 의해 배출관(140)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된 투입구(172) 또는 슈트관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출관(14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보조 지지구(19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보조 지지구(190)는 저장부로 사용되는 것이 톤백(170)이 경우 톤백(170)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걸림부(174)에 걸림되어 톤백(17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보조 지지구(190)는 배출관(140)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192)와, 지지플레이트(192)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체(194)와, 복수개의 탄성체(194)의 단부에 결합되어 톤백(170)의 외측면에 구비된 걸림부(174)에 걸림되는 걸림고리(196)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배출관(140)의 하부에는 저장부를 메인프레임(110)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부(200)는 배출관(14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구동스프로킷(214)이 구비된 구동모터(212)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210)과, 베이스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피동스프로킷(224)이 구비된 복수개의 롤러(222)가 설치된 지지프레임(220)과, 복수개의 롤러(222)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면에는 저장부가 안착되는 이송받침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롤러(222) 중 두 개의 롤러(R1, R2)의 양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 중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은 구동스프로킷(214)과 구동체인(216)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은 두 개의 롤러(R1, R2)와 인접되게 위치된 롤러(R3)의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과 피동체인(226)을 통해 연결된다.
복수개의 롤러(222) 중 앞에서 설명하지 않은 나머지 롤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롤러(R1, R2)와 인접되게 위치된 롤러(R3)의 다른 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에 또 다른 피동체인을 통해 좌우 번갈아가면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복수개의 롤러(222)는 구동모터(212)의 구동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고, 복수개의 롤러(222)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222)의 상부에 위치된 이송받침대(230)는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체 이송장치의 작동을 도 7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리기(100)의 상부챔버(120)의 상부에 구비된 흡입관(122)이 저장조(10)의 내부에 일단이 위치되는 흡입호스(12)와 연결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에 구비된 진공관(124)이 진공부(20)에 구비된 진공호스(22)와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진공부(20)를 구동시키면 상부챔버(12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진공호스(22)를 통해 진공부(20)로 흡입되면서 상부챔버(12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분체는 흡입호스(12)를 통해 상부챔버(120)의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상부밸브(150)는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가 연통되지 않게 닫혀 있고, 하부밸브(160)도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이 연통되지 않게 닫혀 있다.
계속해서, 저장조(10)의 내부에 저장된 분체가 일정시간 동안 상부챔버(120)의 내부로 흡입되어 채워지면 상부밸브(150)가 제어부(126)에 입력된 사이클 타임에 따라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가 연통되도록 개방이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챔버(120)의 내부에 채워진 분체는 하부챔버(130)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밸브(150)가 개방되어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가 연통이 되더라도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의 내부는 계속해서 진공상태가 유지되는데, 그 이유는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을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하부밸브(160)가 닫혀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일정시간 동안 상부챔버(120)의 내부에 채워진 분체가 하부챔버(130)로 공급되면 상부밸브(150)는 제어부(126)에 입력된 사이클 타임에 따라 닫혀 상부챔버(120)의 내부만 진공상태가 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밸브(160)가 하부챔버(130)와 배출관(140)이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하부챔버(130)의 내부에 채워진 분체가 배출관(140)을 통해 저장부로 공급된다. 이때, 하부챔버(13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저장부의 내부에 분체가 가득 채워지게 되면 저장부가 톤백(170)인 경우에는 톤백(170)의 투입구(172)를 배출관(140)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180)를 해제하여 투입구(172)를 결속 끈을 통해 매듭을 지은 다음 톤백(170)의 외측면에 구비된 걸림부(174)에 걸림되어 있는 보조 지지구(190)의 걸림고리(196)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이송부(200)를 작동시켜 톤백(170)을 메인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아울러, 저장부가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저장탱크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저장탱크의 내부에 단부가 삽입된 슈트관을 저장탱크의 외부로 빼낸 후 이송부(200)를 작동시켜 저장탱크를 메인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부챔버(120)와 하부챔버(130)의 내부가 상부 및 하부밸브(150, 160)의 작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진공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분체의 연속적인 이송 및 분리 배출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장조
12; 흡입호스
20; 진공부
22; 진공호스
110; 메인프레임
120; 상부챔버
122; 흡입관
124; 진공관
126; 제어부
130; 하부챔버
140; 배출관
150; 상부밸브
160; 하부밸브
180; 클램프
190; 보조 지지구
200; 이송부

Claims (9)

  1. 분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와, 상기 흡입호스를 통해 흡입된 분체와 공기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와 진공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분리기의 내부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진공부로 이루어지는 분체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메인프레임;
    상기 공간부 상에 설치된 상부챔버-상기 상부챔버는,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흡입관이 구비되고, 외주면 소정 위치는 상기 진공호스와 연결되는 진공관이 구비됨-;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배출관이 구비된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를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상부밸브;
    상기 하부챔버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챔버와 배출관을 상호 연통 또는 폐쇄시키는 하부밸브; 및,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밸브가 열리면, 상기 상부챔버에서 상기 하부챔버로 분체가 이송되고,
    상기 상부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부밸브가 열리면,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저장부로 분체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부에 개구부가 구비된 저장탱크 또는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된 톤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보조 지지구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 지지구는,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체와,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의 단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각각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투시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부를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 소정 위치에 구동스프로킷이 구비된 구동모터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에 피동스프로킷이 구비된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롤러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저장부가 안착되는 이송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두 개의 롤러의 양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 중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은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구동체인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은 상기 두 개의 롤러와 인접되게 위치된 롤러의 어느 한쪽 단부에 구비된 피동스프로킷과 피동체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밸브는,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 사이 및 상기 하부챔버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판과, 상기 밸브판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챔버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밸브의 밸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에어벤트 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배출관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밸브의 밸브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 에어벤트 관이 설치되되,
    상기 제1 에어벤트 관의 타단과 상기 제2 에어벤트 관의 타단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이송장치.
KR1020160125436A 2016-09-29 2016-09-29 분체 이송장치 KR10186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36A KR101865808B1 (ko) 2016-09-29 2016-09-29 분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436A KR101865808B1 (ko) 2016-09-29 2016-09-29 분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12A KR20180035412A (ko) 2018-04-06
KR101865808B1 true KR101865808B1 (ko) 2018-06-11

Family

ID=6197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436A KR101865808B1 (ko) 2016-09-29 2016-09-29 분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8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50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탈기기능을 갖는 분체 포장장치 및 방법
KR102561122B1 (ko) * 2023-03-23 2023-07-27 박도균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비산 방지 및 분체 정량 공급장치
US11713201B1 (en) 2022-02-18 2023-08-01 Sk On Co., Ltd. Vacuum-type powd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222B1 (ko) * 2019-12-06 2021-07-30 황병열 혼합분체 배출시스템
KR102526331B1 (ko) * 2022-08-31 2023-04-26 유재춘 전지전극용 스크랩 회수장치
KR102530395B1 (ko) * 2022-08-31 2023-05-08 유재춘 전지전극용 더블 싸이클론식 스크랩 회수장치
KR102632521B1 (ko) * 2023-10-05 2024-02-02 조인형 활성탄 흡입 및 집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66Y1 (ko) * 2001-11-30 2002-02-21 문 원 박 분체이송장치용 배출밸브
KR200349075Y1 (ko) * 2004-02-16 2004-04-29 주식회사 세원공업 선박 화물탱크용 에어벤트
KR20120102892A (ko) * 2011-03-09 2012-09-19 이민용 분체 냉각 계량 이송장치 일체형 사이로
KR20150091069A (ko) * 2012-12-04 2015-08-07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분말을 운송하고 가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18U (ko) * 1999-03-24 1999-08-05 박희빈 사료 운반차량용 약품 공급장치
KR100851150B1 (ko) * 2001-12-24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이송용 컨베이어부의 파손방지장치
KR100626352B1 (ko) * 2004-12-18 2006-09-21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중량물용 호이스트 슬링의 분리 장치
KR100668144B1 (ko) * 2005-02-16 2007-01-16 조선덕 연마분리장치
KR20110138972A (ko) * 2010-06-22 2011-12-28 장순주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KR20160082227A (ko) * 2014-12-31 2016-07-08 한덕환 중장비용 밸런스 웨이트 및 그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66Y1 (ko) * 2001-11-30 2002-02-21 문 원 박 분체이송장치용 배출밸브
KR200349075Y1 (ko) * 2004-02-16 2004-04-29 주식회사 세원공업 선박 화물탱크용 에어벤트
KR20120102892A (ko) * 2011-03-09 2012-09-19 이민용 분체 냉각 계량 이송장치 일체형 사이로
KR20150091069A (ko) * 2012-12-04 2015-08-07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분말을 운송하고 가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50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탈기기능을 갖는 분체 포장장치 및 방법
KR102457693B1 (ko) * 2020-10-30 2022-10-2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탈기기능을 갖는 분체 포장장치 및 방법
US11713201B1 (en) 2022-02-18 2023-08-01 Sk On Co., Ltd. Vacuum-type powd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11897709B2 (en) 2022-02-18 2024-02-13 Sk On Co., Ltd. Vacuum-type powd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2561122B1 (ko) * 2023-03-23 2023-07-27 박도균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비산 방지 및 분체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412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808B1 (ko) 분체 이송장치
JP2000266000A (ja) 自動空圧ポンプ
AU20032519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slurried material
US20060123745A1 (en) Vacuum truck solids handling apparatus
RU2013125441A (ru) Способ и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KR100984267B1 (ko)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CN112888642B (zh) 在物料输送系统中搬运物料的方法、分离装置设备和物料输送系统
KR101185621B1 (ko) 이젝터 및 에어탱크를 이용한 슬러지 준설 장치
KR20200023394A (ko) 슬러지 탈수 장치 및 방법
JP6527526B2 (ja) 物質搬送システム内の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物質搬送システムの投入点、および物質搬送システム
KR101532336B1 (ko)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JP2007098989A (ja) 特装車
KR200204010Y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배출장치
CN208530718U (zh) 可排气的污泥厢
JP6169064B2 (ja) 空気輸送方法、空気輸送システム
KR20040037631A (ko)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CN107905749A (zh) 一种钻井泥浆不落地处理系统和方法
JP2006306627A (ja) 粉体の空気輸送方法
CN210905650U (zh) 防止旋流器堵塞的烧结机脱硫系统
KR101586802B1 (ko) 노후관의 갱생을 위한 쇼트블라스트장치
US6213139B1 (en) Hybrid solids conveying system
KR101145828B1 (ko) 집진설비의 분진 이송장치
CN218201012U (zh) 上料系统
CN216425512U (zh) 一种新型授料斗辅助出料装置
JP5479186B2 (ja) 吸引装置および吸引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