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972A -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972A
KR20110138972A KR1020100059178A KR20100059178A KR20110138972A KR 20110138972 A KR20110138972 A KR 20110138972A KR 1020100059178 A KR1020100059178 A KR 1020100059178A KR 20100059178 A KR20100059178 A KR 20100059178A KR 20110138972 A KR20110138972 A KR 20110138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uction
pipe
tube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주
Original Assignee
장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주 filed Critical 장순주
Priority to KR102010005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972A/ko
Priority to PCT/KR2011/004520 priority patent/WO2011162533A2/en
Publication of KR2011013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36Devices for emptying from the top
    • B65G65/38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65B1/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1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acting from above on containers or wrappers open at their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4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pneumatic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65B39/004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 B65B39/005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moving linearly transverse to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6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aspira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종래 오거스크류 충진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충진기에 구비된 진공펌프(ejector) 흡입관이 미세분말을 흡입하여 이송하는 과정에 있어 흡입관에 특별히 장치가 준비되지 않아 작업자에 의한 인위적인 방법으로 진행한다.
또 정상적인 계량장치에 의한 정상적인 계량방식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여 편법적인 계량방법으로 계량하여 발생되는 편차문제와 또 미세분말 충진과정에 발생되는 파우더 부피팽창에 따른 탈기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의 사용없이도 분진의 원인인 공기만을 제거하므로써 분진 발생없이 충진할 수 있는 파우더이송장치(출원번호1020070013731)를 기초로 개량하여 진공펌프(벤추리관. conveying pump) 흡입관에 미세분말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를 마련하였고 챔버 토출관 하단에 pinch밸브를 설치하여 정상적인 전자저울에 따른 정밀한 계량을 실현하였으며 충진 후 곧 바로 탈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탈기장치를 구비한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omitted}
본 발명은 미세 분말 충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분말 이송장치 및 충진기에 이용되는 진공펌프 흡입관에 자동으로 미세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와 미세분말 충진기의 정량계량 장치와 미세분말의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분말을 충진하기 위하여 사용된 종래의 기술은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거 스크류방식의 충진기로 그 구성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공급챔버(49)와 저장챔버(50)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공급챔버 중앙 상부에 구비된 진공펌프(47)는 원료용기로부터 미세분말을 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공급챔버(49)에 이송한다.
따라서 공급챔버 내에 이송된 미세분말은 주기적으로 일정량 공급밸브(53)를 통해 저장챔버(50)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그리하여 저장 챔버에 저장된 미세분말은 저장챔버내부 중앙에 구비된 오거 스크류(51)의 구동으로 스크류 날개를 따라 토출되어 정량용기(46)에 충진되는 방식이다.
상기 충진기의 문제점은 오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미세분말인 경우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여 고가의 원료가 손실된다.
또 상기 이유로 토출구 양측면 소정거리에 별도의 분진 흡입시설(44)을 구비해야 한다.
상기 분진 흡입시설은 미세분말 파우더가 배관 중간에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의 흡입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어 집진시설에 대형의 필터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미분인 경우 미립자가 필터조직 틈새에 삽입되어 성능과 수명에 악영향을 끼쳐 수시로 필터를 교체해 주어야한다.
따라서 별도의 시간과 비용과 인력과 복잡한 설비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인체에 해로운 성분인 경우 그 문제점은 더 심각하다.
또 다수의 오거 스크류 충진기의 경우 원료인 미세분말을 저장챔버(50)에 이송하는 수단으로 작업자가 직접 원료인 미세분말을 삽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이송한다.
그 이유는 진공펌프(47)를 구비하게 되면 진공펌프가 흡입하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48)가 충진기에도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분진 흡입시설에 사용되는 필터와 함께 충진기에 사용되는 필터도 수시로 교체 하여야하는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며 , 작업자가 이송하다보니 이송 과정에 실수로 인하여 낙물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진공펌프가 마련되어 필터를 구비한 오거 스크류 충진기(도6)에도 진공펌프 흡입관에 파우더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작업자가 미세분말에 흡입관을 삽입하여 작업하며 특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미세분말이 아닌 경우 상기 흡입관에 용기를 구비하여 용기하단에 흡입관을 연결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을 이송 및 충진 되는 방식이 적용되나 미세분말의 경우 용기로 이송하는 과정에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로 사용되지 못한다.
또 정량계량에 있어서 기존 오거 스크류 방식은 저장챔버(50)에 저장된 미세 분말이 자연낙하되는 낙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구 끝단에 캡(45)을 장착 한다.
하지만 구비된 캡에 의해 토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수시로 발생되어 정량 제어장치인 밸브를 구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전자저울을 이용한 계량 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차선책으로 선택한 오거스크류(51) 회전수에 따른 토출량 계량 방식은 저장챔버(50)내에 저장된 파우더중량의 무게에 따라 토출량의 차이가 발생되어 중량 편차가 심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 미세 분말을 정량용기에 충진하는데 있어서 미세분말의 낙하과정에 공기가 유입되어 침적된 내용물은 부피가 팽창되어 저장된다.
상기 내용물을 압축하기 위한 탈기수단은 기존 오거 스크류 충진기의 경우 토출구 하단에 필터를 장착하여 토출되는 분말파우더속의 공기를 미리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탈기된 상태의 파우더가 토출된다.
따라서 탈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량용기 바닥과 필터의 하우징 끝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충진이 시작되어 파우더 토출량에 비례하여 정량용기도 하향 이동되어 충진된다.
따라서 필터 하우징 삽입이 불가능한 투입구가 좁은 프라스틱 저장용기에는 사용이 제한되어 그 경우 별도의 탈기장치나 바이브레이션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여 비용문제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분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밀한 계량과 모든 공정이 완전자동화된 충진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토너회수장치(출원번호 2020040005100): 미세분말 파우더인 토너 충진과정에 비산되어 분진 형태로 존재하는 토너를 회수해 재활용에 이용할 수 있는 장치.
상기와 같이 기존 어거 스크류 충진기(도6)는 비산에 의한 분진이 발생된다.
또 기존 오거 스크류 충진기의 경우 원료인 미세분말 파우더를 저장챔버(50) 내부에 저장하기위한 이송수단으로 작업자가 직접 이송하거나 진공펌프(47)를 구비하여 진공펌프의 흡입관(43)을 통해 이송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충진기 흡입관에는 분말 파우더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급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흡입관에 파우더를 지속적으로 유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흡입관(43) 위치를 변경하거나 저장용기 자체를 흔들어야 되는 작업자 투입 공정이 이 경우도 필요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이 기존 오거스크류 충진기의 계량은 계량오차로 인하여 충진 후 재계량하는 추가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상기 캡(45)에 의한 낙물제어의 불충분으로 제품의 오염이 심각하였다.
또 상기와 같이 탈기 공정을 별도로 진행하거나 정량용기 속 침적된 내용물의 부피가 팽창된 상태로 저장되어 세균 오염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거회전에 의한 분진발생이 존재하지 않는 파우더 이송장치(출원번호1020070013731)를 개량한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도1)가 제공된다.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도1)에는 미세분말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 진공펌프(2)흡입관에 파우더가 지속적으로 유입 될 수 있도록 공급 스크류(10,10a)와 수평피스톤(7,7a) 수직피스톤(8,8a)이 결합되어 구성된 공급부(도2)와 원료용기(30)를 상승시킬 리프트(16)와 리프트를 제어할 센서장치 배관부(6)가 결합되어 구성된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도2,도3)를 설치하였다 .
또 계량방식에 있어서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도1)의 경우 챔버 토출관(25) 끝단에는 미세분말 파우더를 완전하게 제어 할 수 있는 pinch밸브(26)를 마련하였다.
pinch 밸브는 미세분말과 작동부(36)가 고무튜브(35)에 의해 완전 분리된 상태로 개폐되어 작동부에 미세분말 파우더가 유입되어 발생되는 고장없이 낙물 방지와 전자저울에 따른 정밀한 정량계량을 실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챔버(1)의 토출관(25)하단에 패킹이 부착된 패킹지지대(27)를 구비하여 정량용기 투입구(21a)가 밀착 후 밀폐되고, pinch밸브(26)가 폐쇄되면, 탈기관(24)을 통해 탈기필터(23)를 구비한 흡배기관(22)이 탈기를 할 수 있도록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파우더 부피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오거 스크류 충진기(도6) 방식에 있어서 작동과정에 작업자가 투입되는 공정을 탈피하여 완전자동화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고,
또 전자저울에 따른 정밀한 정량계량이 실현되었다.
그리고 오거 스크류의 충진방식(도6)은 정량용기 투입구가 토출구에 밀착되면 정량용기(46)속의 공기가 밀폐되어 배기가 불가능하여 정량 용기속에 파우더가 투입되지 못한다 .
하지만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도1)의 경우 구비된 집진팬(17)의 효과로 정량용기 투입구(21a)가 토출관(25)에 마련된 패킹지지대(27)의 패킹과 밀착 후 밀폐되어도 배기가 가능하여 충진과정에 인체에 해로운 파우더와 작업자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보다 더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 충진후 pinch밸브(26)가 작동하여 토출관(25)이 폐쇄됨에 따라 정량용기(21)도 밀폐되어 탈기관(24)을 통한 즉각적인 파우더 탈기공정이 가능하며 낙물오염에 따른 제품의 오염이 방지되어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또 필터가 불필요하여 친환경적인 완전 자동화 다기능미세분말 충진기가 제공 된다.
[도 1]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의 전체구성에 대한 개략적 도면
[도 2] 비산장치 및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와 센서장치 배관부 단면도.
[도 3]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의 공급스크류와 개량흡입관의 단면도.
[도 4] 토출관에 부착된 pinch 밸브 동작모드 와 패킹지지대 및 탈기관의 단면도.
[도 5] 삽날의 상세도 및 복수삽날의 구성도.
[도 6] 기존 오거스크류충진기의 개략적인 도면.
본 발명의 기초인 파우더 이송장치(출원번호1020070013731) 특성을 개략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 형상의 챔버(1) 상단 중앙에 위치한 벤추리관(2)을 이용하여 원료용기(30)로부터 정량용기(21)에 직접 충진하는 방식이다.
상기 벤추리관(2)은 파우더 흡입부와 파우더 배출부와 공기 투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에는 이송관(4)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끝단에는 흡입관(5)이 존재하며, 배출부에는 토출되는 압을 훨씬 낮추기 위해 배출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진 배출관(3)이 수직 연장 구성된다.
상기 벤추리관 공기 투입부에는 컴프레샤(29)가 연결되어 플렉시블한 튜브관을 통해 공기가 투입되면 벤추리관(2) 내부에 부압이 생성되는데 그 부압의 진공도는 투입되는 공기의 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벤추리관 공기 투입부에 고압의 공기를 투입하게 되면 고진공도가 발생되어 미세분말파우더 흡입에는 유리하나 투입된 고압의 공기는 미세분말 파우더와 혼합되어 다량의 분진이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벤추리관 흡입관(5)에는 벤추리관 공기투입부에 저압(3bar)의 공기가 투입되어 저압의 진공도가 발생되어도 미세분말 파우더(39)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비산장치가 마련된다.
그러면 비산장치에 의해 공중 부양된 미세분말은 저압의 흡입력으로도 용이하게 이송된다.
그 구성은 흡입관 상부에 위치한 모터(34)와 흡입관 내부중앙을 관통하는 모터의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회전축 끝단에는 4개의 비산 날개(33)가 구비되며 날개형상은 경사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구동하게 되면 미세분말을 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원료용기(30)에 저장된 미세분말은 벤추리관흡입관(5)에 마련된 비산장치에 의해 공중에 부양되어 벤추리관(2)공기 투입부에 저압의 공기가(3bar)투입되어 벤추리관 내부에 저압의 진공도가 발생되어도 미세분말은 용이하게 벤추리관의 배출관(3)의 끝단까지 공기와 함께 이송된다.
그러나 이때까지는 배출관(3)의 큰 지름으로 압은 저압이나 공기와 파우더가 혼합된 상태이므로 충진자체가 불가능한 분진상태이다.
이러한 분진 상태의 혼합물에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분진의 원인인 공기만을 분리 배출하는 것이 이 기술의 핵심으로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집진팬(17)이 파우더를 흡입할 수 있는 압을 가지는 흡입력의 범위는 집진팬 전방 일정거리 선상에서 부채꼴 형상의 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체적내에서는 파우더를 흡입할 수 있는 압이 존재하여 공기가 파우더를 이송할 수 있으나 그 범위를 벗어난 체적에 있는 공기는 파우더를 이송할 수 있는 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집진팬(17)이 미세분말 파우더를 흡입할 수 있는 압이 존재하는 범위에서 벗어난 범위에 배출관(3)의 끝단이 존재하면 배출관에서 토출되는 분진상태의 혼합물에서 파우더는 자기 중량으로 낙하하여 토출관(25)을 통해 정량용기(21)에 충진되고 공기는 미진과 함께 집진팬(17)의 파우더 이송능력을 가진 영역속 공기와 대체되어 배출되는 원리이다.
또 상기파우더는 집진팬(17)에 의해 역행되어 흡입되는 공기로 인해 자중 무게보다 가벼워진 상태로 충진되어 자연낙하에 의한 방식보다도 분진발생이 적다
또 상기 집진팬(17)의 회전속도는 벤추리관 공기투입부에 투입되는 공기압에 따라 슬라이닥스로 조절된다.
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내부 하단부에 위치한 배출관(3) 끝단이 파우더 흡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챔버(1)가 호퍼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배출관(3)이 토출관(25)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야 하며,
또 챔버 상부에 연결된 배관덕트(18)의 연결부가 챔버 하단에 구비된 토출관(25) 중앙의 수직선상과는 직각의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부를 가진 덕트(18)상에 집진팬(17)이 존재하게 되면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기와 미진만을 집진팬이 흡입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파우더이송장치를 개량한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로 그 구성은 첨부된 도면 1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호퍼형 챔버(1) 하부에는 토출관(25)을 구비하고, 챔버 상부 중앙에는 벤추리관(2)이 구성된다.
도5를 참조하여 토출관(25) 하단에는 pinch밸브(26)가 장착되며 밸브 하단에는 탈기관(24)이 존재하고 그 하단에는 패킹 지지대(27)로 구성된다.
벤추리관(2) 배출부는 챔버(1)내부에 연통되어 배출관(3)과 연결되어 챔버내부 중앙에 존재하며, 벤추리관 공기투입부에는 컴프레샤(29)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할 밸브와 레규레이터와 필터가 함께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벤추리관 흡입관(5)에 구비된 비산장치의 회전축 하단에는 흡입력 증진을 위한 4개의 흡입날개(32)를 추가로 구비하여 비산작용과 흡입력이 동시에 발생되어 벤추리관의 흡입력에 시너지효과를 유발시킨다.
흡입날개도 흡입력 발생이 용이하도록 각이 주어진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비산날개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완전 자동화된 충진기 구성을 위해 도입된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흡입관(5)에는 공급 스크류와 피스톤이 결합하여 미세분말을 공급할 흡입관 파우더공급부(도2,도3)가 추가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도2,도3)의 지지대(31)는 직각 형상으로 수평부 일측은 리프트(16)몸체 상단과 연결되고 수직부 일측은 스프링(37)과 중앙에 센서(38)가 내장된 센서장치 배관부(6)와 결합된다.
상기 배관부(6) 끝단 내부에는 흡입관(5)상부 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하였고, 내장된 스프링(37) 하중에 의해 흡입관 파우더공급부(도2,도3)의 이동이 제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 원료 용기속 모든 파우더(39)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원료용기(30)를 상승시킬 리프트로 상기 흡입관 파우더공급장치(도1)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5)에는 흡입관 양측면 하단에 삽입구멍(42,42a)이 1개씩 존재하고 흡입관하단 내부에는 삽입구멍을 통해 공기만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를 가진 내부관(41)이 추가 형성되어 비산된 파우더가 포함된 공기만이 흡입될 수 있도록 개량된 흡입관(5)이 마련되었고,
또 개량된 흡입관에 파우더를 공급하기 위해 중심축에 날개가 부착된 공급스크류(10,10a)가 흡입관 하단 양측면에 직각상태로 구비되며,
공급 스크류중심축에는 중심축을 구동할 모터(11,11a)가 결합되었고,
공급 스크류몸체의 끝단은 흡입관 삽입구멍(42,42a)에 소정거리 삽입되어 구동되는 비산날개에 파우더가 원활하게 비산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모터(11,11a)에는 모터를 고정할 모터커버(12,12a)가 마련되며 모터커버상부에 연결된 모터커버지지대(40,40a)는 직각 형상으로 흡입관(5)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스크류(10,10a) 날개는 모터커버와는 이격되어 모터커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공급스크류에 파우더를 모아줄 피스톤은 로드방향이 반대로 향한 한쌍의 피스톤(7,7a)이 흡입관(5) 상부에 수평상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수평상태의 수평피스톤(7,7a) 로드끝단에는 또 다른 수직피스톤(8,8a)이 수직상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수직피스톤(8,8a)로드 끝단에도 파우더 삽입과 모집이 용이하도록 삽날(9,9a)이 공급 스크류(10,10a)와는 평행상태로 부착된다.
도4는 삽날을 도시한 도면으로 삽날(9,9a)은 길이가 긴사각형 형상이며 수평피스톤 행정거리를 줄이기 위해 복수로도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은 볼스크류나 에추레이터같은 직선운동장치가 대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진팬이 위치할 덕트(18)는 연결부가 챔버(1) 상부에 위치하고 챔버 하단에 구비된 토출관(25)의 중앙의 수직선상과는 직각의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되도록 위치하였으며, 덕트(18)는 다기능 파우더충진기 지지대로 구성하였다.
또 집진팬(17)은 상기 덕트(18)상에 구비하였고,
그리고 원료용기를 상승시킬 리프트는 구동모터(15)와 볼스크류가 본체에 내장되어 구성되고 볼베어링(13)에는 작업대(14)가 부착되어 원료용기를 상승 이송하며, 구동모터(15)는 거리 및 근접센서(3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작업이 시작되면 정량용기(21)가 위치한 계량로드셀이 구비된 작업대(19)의 피스톤(20)이 상승, 정량용기의 투입구(21a)가 토출관(25)에 준비된 패킹지지대(27)하단 고무패킹에 밀착 후 밀폐되면 계량로드셀의 인디게이트(28)에 영점 테이터가 처리된다.
처리된 영점 테이터를 수신 받은 중앙제어장치의 신호에 따라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도2,도3)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역방향 구성된 한 쌍의 수평피스톤(7,7a)이 행정거리로 이동되면 로드 끝단에 부착된 수직피스톤(8,8a)이 작동하여 로드끝단의 삽날(9,9a)이 소정거리 파우더(39)에 삽입된다.
이때 수평피스톤(7,7a)의 복귀운동이 시작되면 양방향으로부터 다량의 파우더(39)가 모집되어 공급스크류(10,10a)에 공급하고, 공급을 마친 수평피스톤(7,7a)이 원점 복귀되면 끝단의 수직피스톤(8,8a)의 로드도 신속히 수직상승 원점복귀 되는 공정이 반복된다.
상기 공정과 동시에 공급스크류(10,10a)와 흡입관 비산장치도 작동되어 원료용기(30)속의 파우더가 비산되면,
벤추리관(2) 공기투입부에 저압의 공기(3bar)가 투입되어 벤추리관에 저압의 진공도가 발생되어도 비산된 파우더는 공기에 실리어 벤추리관을 통해 배출관(3)에 용이하게 이송된다.
상기 배출관(3)의 큰 지름에 의해 압이 낮아진 분진상태로 이송된 공기와 파우더의 혼합물은, 작동중인 집진팬(17)에 의해 분리가 시작되어 공기와 미분은 집진팬(17)에 흡입되고, 파우더는 자중무게로 토출관(25)을 통해 정량용기(21)에 충진된다.
상기 공정을 통해 정량이 충진되면 중앙제어장치의 신호로 pinch밸브(26)가 작동되어 토출관(25)이 폐쇄되고 흡배기관(22)이 작동하여 정량용기(21)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탈기가 이루어진 후 계량로드셀의 작업대(17)가 원점복귀되면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도2,도3)에 파우더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프트(16)가 상승 작동된다.
또 리프트(16)의 과도한 상승으로 센서장치 배관부(6)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37)이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흡입관 파우더공급부(도2,도3)가 과도하게 상승되면 센서(38)와의 거리 근접이 발생되어 거리 및 근접센서(38)가 작동하여 리프트(16)의 구동모터(21)에 신호를 줌으로써 과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이다.
1.챔버 2.진공펌프(벤추리관conveying pump) 3.배출관 4.이송관 5.흡입관 6.센서장치 배관부 7,7a.수평피스톤 8,8a.수직피스톤 9,9a.삽날 10,10a.공급스크류 11,11a.공급스크류 구동모터 12,12a.공급스크류 구동모터커버 13.리프트 볼베어링 14.리프트 작업대 15.리프트 구동모터 16.리프트 17.집진팬 18.덕트 19.계량로드셀 작업대 20.계량로드셀 작업대 피스톤 21.정량용기. 21a.정량용기 투입구 22.탈기 흡배기관 23.탈기 필터 24.탈기관 25.토출관 26.pinch 밸브 27.패킹지지대 28.인디게이트 29.컴프레샤 30.원료용기 31.흡입관 파우더공급부 지지대 32.흡입날개 33.비산날개 34.비산장치구동모터 35.pinch 밸브고무튜브 36.pinch 밸브작동부 37.스프링 38.근접 및 거리센서 39.파우더 40,40a.공급스크류커버지지대 41.흡입관내부관 42,42a.삽입구멍 43.진공펌프 흡입관 44.분진 흡입시설 45.캡 46.정량용기 47.진공펌프(ejector) 48.필터 49.공급챔버 50.저장챔버 51.오거스크류 52.오거스크류 구동모터 53.공급밸브

Claims (6)

  1. 벤추리관 배출부에 압을 낮추기 위해 배출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진 배출관이 수직 연장구성된 벤추리관과,
    벤추리관 흡입관에 마련되어 벤추리관의 흡입력에 시너지효과를 유발시키는 비산장치와.
    상기 흡입관에 파우더가 지속적으로 유입 될 수 있도록 공급스크류와 수평피스톤과 수직피스톤이 결합된 공급부와 리프트와 리프트를 제어할 센서장치 배관부가 개량된 흡입관에 결합되어 구성된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와.
    상기 배출구 끝단이 파우더 흡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호퍼형상의 챔버와,
    또 챔버 상부에 연결된 배관덕트의 연결부가 챔버 하단에 구비된 토출구의 중앙의 수직선상과는 직각 방향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된 연결부를 가진 덕트와,
    상기 덕트상 내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 집진팬과,
    상기 챔버의 토출관하단에 패킹이 부착된 패킹지지대와 탈기관과 흡배기관으로 구성된 탈기장치와,
    챔버의 토출관 하단에 pinch 밸브가 구비되고 전자저울이 구비된 정밀한 계량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충진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개량된 흡입관은 흡입관 양측면 하단에는 삽입구멍이 1개씩 존재하고 공기만 흡입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를 가진 내부관이 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비산장치는 개량된 흡입관 상부에 위치한 구동모터와 개량된 흡입관 내부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회전축 하단에 마련된 4개의 흡입날개와 회전축 끝단에 마련된 4개의 비산날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의 공급스크류 날개는 모터 커버와는 이격되어 모터커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파우더 공급부의 수평피스톤과 수평피스톤 로드 끝단에 부착된 수직 피스톤과 수직피스톤 로드 끝단에 부착된 삽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파우더 공급장치의 센서장치 배관부는 중앙에 근접 및 거리센서가 위치하고, 스프링이 내장되고, 배관부 끝단 내부에는 흡입관 상부 끝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파우더 충진기.
KR1020100059178A 2010-06-22 2010-06-22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KR20110138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78A KR20110138972A (ko) 2010-06-22 2010-06-22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PCT/KR2011/004520 WO2011162533A2 (en) 2010-06-22 2011-06-21 Multi-functional fine powder fil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178A KR20110138972A (ko) 2010-06-22 2010-06-22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972A true KR20110138972A (ko) 2011-12-28

Family

ID=4537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178A KR20110138972A (ko) 2010-06-22 2010-06-22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38972A (ko)
WO (1) WO2011162533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12B1 (ko) * 2012-05-10 2013-08-16 장순주 미세분말 정량계량 충진장치
KR20180030324A (ko) * 2016-09-13 2018-03-22 장순주 동일중량 공급 충진장치
KR20180035412A (ko) * 2016-09-29 2018-04-06 조명률 분체 이송장치
US20220119136A1 (en) * 2018-10-02 2022-04-21 Haver & Boecker Ohg Filling box and method for filling packages
CN117985268A (zh) * 2024-04-03 2024-05-07 浏阳市名之味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自动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6760A1 (de) * 2011-07-05 2013-01-10 Khs Gmbh Verfahren sowie Linearanlage zum Füllen von Behältern mit einem Füllgut
CN103879574A (zh) * 2014-04-06 2014-06-25 赵东顺 一种包装秤的无尘称量装置
JP6358467B2 (ja) * 2014-12-12 2018-07-18 住友電工焼結合金株式会社 粉末充填装置および粉末充填方法
CN105775182A (zh) * 2016-05-13 2016-07-20 芜湖飞尚非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钻井泥浆自动吨包系统
CN106091840B (zh) * 2016-06-24 2017-06-16 湖南千山制药机械股份有限公司 开包药灌装机
CN107309426A (zh) * 2017-06-26 2017-11-03 西安铂力特激光成形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增材制造设备的半自动供粉装置
CN108584378A (zh) * 2018-04-25 2018-09-28 浙江创璞节能材料有限公司 一种外墙装饰仿石板原材料的提升装置
CN110949704A (zh) * 2019-12-13 2020-04-03 会稽山绍兴酒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计量出料设备
CN111994654B (zh) * 2020-08-08 2022-04-08 湖南新威凌新材料有限公司 计量给料机的限量供给装置
CN112454815A (zh) * 2020-11-29 2021-03-09 武汉林溯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用输料系统
CN113772187B (zh) * 2021-09-15 2022-12-09 黄超 氧化铝粉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903A (ja) * 1998-06-05 1999-12-21 Mitsubishi Chemical Engineering Corp 粉粒体充填方法及び装置
KR200356272Y1 (ko) * 2004-02-21 2004-07-15 김재수 에어흡입토출식저장고구조
KR100902107B1 (ko) * 2006-02-10 2009-06-15 장순주 파우더 이송장치
KR200423775Y1 (ko) * 2006-05-25 2006-08-10 장순주 파우더 이송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12B1 (ko) * 2012-05-10 2013-08-16 장순주 미세분말 정량계량 충진장치
WO2013168999A1 (ko) * 2012-05-10 2013-11-14 Jang Soon-Ju 미세 분말 정량 계량 충진 장치
KR20180030324A (ko) * 2016-09-13 2018-03-22 장순주 동일중량 공급 충진장치
KR101878558B1 (ko) * 2016-09-13 2018-07-16 장순주 동일중량 공급 충진장치
KR20180035412A (ko) * 2016-09-29 2018-04-06 조명률 분체 이송장치
US20220119136A1 (en) * 2018-10-02 2022-04-21 Haver & Boecker Ohg Filling box and method for filling packages
CN117985268A (zh) * 2024-04-03 2024-05-07 浏阳市名之味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自动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62533A3 (en) 2012-03-15
WO2011162533A2 (en) 2011-12-29
WO2011162533A9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8972A (ko) 다기능 미세분말 충진기
CN204688443U (zh) 一种储罐分料系统
CN110758827A (zh) 一种海工用混凝土制品自动包装机
CN201729281U (zh) 铁听奶粉计量充填机
CN200978011Y (zh) 粉体灌装机
CN109665168A (zh) 拆包装置及拆包投料系统
CA2964204A1 (en) Dust control in pneumatic particulate handling applications
CN204473878U (zh) 一种粉末物料称重单元
CN204688438U (zh) 转盘式滤芯封装机的碳粉灌装机构
CN111924151B (zh) 食品运输设备上的放料装置
CN204473881U (zh) 一种粉末物料输送装置
KR101297512B1 (ko) 미세분말 정량계량 충진장치
CN209530774U (zh) 一种粉料制备过程自动配料装置
CN201780458U (zh) 一种小型粉仓灌粉机
CN218319455U (zh) 一种适用于粉粒状物料气力输送系统的给料装置
CN208454007U (zh) 一种面粉输送与计量系统
CN104555443A (zh) 一种粉末物料输送装置
CN215515798U (zh) 一种药物组合物生产用真空上料机
CN210544579U (zh) 一种可调节放料能力的称重式混料机
CN107499551A (zh) 一种双杆气缸控制的陶瓷柱塞灌装装置
CN211055429U (zh) 一种粉剂灌装机
CN204473925U (zh) 一种粉末物料储料送料单元
CN208944341U (zh) 一种碳化硼冶炼物料自动配料装置
CN208878363U (zh) 活性碳粉末自动加料装置与系统
CN210162273U (zh) 一种防堵粉剂填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