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525B1 -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525B1
KR101864525B1 KR1020167036717A KR20167036717A KR101864525B1 KR 101864525 B1 KR101864525 B1 KR 101864525B1 KR 1020167036717 A KR1020167036717 A KR 1020167036717A KR 20167036717 A KR20167036717 A KR 20167036717A KR 101864525 B1 KR101864525 B1 KR 10186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and
pressure plate
spring
load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324A (ko
Inventor
요에르크 베르너트
에케하르트 하인리히
아놀드 라트케
Original Assignee
리제가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제가 에스이 filed Critical 리제가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7002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1Wound springs with means for modifying the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8Attachments or mountings with motion-limiting means, e.g. with a full-length guide element or ball joint connections; with protective oute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 압력 플레이트(5), 로드 파이프(6) 및 압력 스프링(7)을 포함하며 그리고 로딩 방향(X)으로 요소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계된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2)은 스탠드 측(A)과 상부 측(B)을 포함하며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5)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또한 하우징(2) 내에서 로딩 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압력 스프링(7)은 압력 플레이트(5)와 스탠드 측(A)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로딩 방향(X)으로 상부 측(B)을 향하는 스프링 력을 압력 플레이트(5)에 스프링 력을 가한다. 로드 파이프(6)는 압력 플레이트(5)에 연결되고 그리고 하우징(2)의 상부 측(B) 상에 배치된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압력 플레이트(5)의 각 위치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하우징(2)은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을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스탠드 하우징(4)을 향하여 로딩 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스탠드 하우징(4)은 스탠드 측(A)을 갖고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Telescopable spring suppor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텔레스코핑 가능한(telescopable) 스프링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로딩(loading) 방향으로의 요소의 탄성 지지를 위하여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 또는 파이프 라인 건설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스프링 지지체의 사용은 특히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상에서 요소에 의하여 가해지는 로딩력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이러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며 그리고 탄성 항복이 로딩력에 대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로딩 방향으로의 요소의 팽창에 의한 변위의 경우이다. 다른 온도에서 파이프라인의 각각의 다른 팽창 거동이 얻어질 때 그리고 따라서 파이프라인의 팽창에 의한 변위가 로딩 방향으로 발생할 때 이러한 요구 조건은 특히 파이프라인 구조에 존재한다.
스프링 지지체가 요소의 부하를 운반하도록 요소들이 스프링 지지체 상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사용된다. 요소는 요소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체 상에서 로딩 방향을 따라서 자체 중량을 통하여 로딩력을 가한다. 스프링 지지체가 요소의 탄성 지지를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프링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압력 스프링이 프리텐션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요소의 하중은 프리텐션된 압력 스프링 상에 놓여진다. 압력 스프링의 스프링 특성 곡선에 따라, 스프링 지지체 상에서 요소에 의하여 가해지는 로딩력이 특정 양만큼 변화한다면 압력 스프링은 로딩 방향으로의 지지된 요소의 변위의 특정 경로를 허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요소를 옮길 수 있으며 그리고 요소의 팽창 거동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그 결과로서 각 요소를 갖는 시스템 내의 허용할 수 없는 큰 인장 및 파괴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체의 적용에서 스프링 지지체가 10㎜까지의, 부분적으로 20㎜까지, 그리고 심지어 부분적으로 30㎜까지의 변위의 경로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보통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변위의 경로는 파이프라인 구조에서는 스프링 특성 곡선 및 파이프라인 구조에 전형적으로 제공된 요구 조건으로부터 얻어지며, 여기서 위의 요구 조건은 스프링 지지체 상의 파이프라인에 의하여 가해지는 로딩력이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모든 환경에서 25% 이상까지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보통 스프링 지지체 상에 상당한 로딩력을 가하는 요소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전형적으로 약 0.2 내지 400kN, 특히 0.5 내지 100kN 범위의 로딩력에서 사용된다.
스프링 지지체가 하우징, 압력 플레이트, 로드 파이프 그리고 압력 스프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형성된다. 하우징은 스탠드 측과 상부 측을 포함한다. 개구가 상부 측에 제공된다. 압력 플레이트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여기서 압력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와 스탠드 측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 상에 스프링력을 가한다. 그 때문에, 하우징 내의 압력 플레이트의 각 위치에서 압력 스프링은 로딩 방향으로 프리텐션되며, 따라서 압력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를 하우징에 대하여 상부 측을 향하여 로딩 방향으로 항상 누른다. 로드 파이프는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의 각 위치에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만일 요소가 로드 파이프 상에 위치한다면, 압력 스프링이 압력 플레이트 상에 스프링 력을 가하고 그리고 로드 파이프가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요소는 탄성 방식으로 지지된다.
특정 로딩력을 가하는 특정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적용을 위하여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는 하기 방식으로 제조된다; 로드 파이프는 먼저 요소의 특정의 예상된 로딩력을 로딩 방향으로 받으며, 그 결과 로드 파이프에 연결된 압력 플레이트는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측을 향하여 특정 위치를 취한다.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는 그러면 차단 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요소는 그후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스프링 지지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압력 플레이트 그리고 또한 로드 플레이트 없이 특정 로딩력을 갖고 요소를 위치시킨 후에, 스프링 지지체의 하우징에 대한 각 위치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킨 후에 차단 장치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로딩 방향으로의 높이는 스프링 지지체 상에 로딩 방향으로 작용하는 로딩력 또는 스프링 지지체를 설정하기 위한 로딩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수의 공지된 스프링 지지체의 경우, 압력 플레이트에 대한 로드 파이프의 각 위치가 로딩 방향으로 특정 부분에서 보통 10 내지 30㎜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각 로딩력에 관계없이 로딩 방향으로의 스프링 지지체의 높이의 약간의 변화가 가능하다. 이는 원하는 설치 환경에 대하여 약간의 높이 조정을 허용한다.
스프링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지지체가 큰 범위의 부하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지지체가 탄성 지지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로딩력은 보통 스프링 지지체가 유사하게 탄성 지지가 가능한 최대 로딩력의 1/2보다 작다. 긴 코일 스프링이 로딩 방향으로의 압력 스프링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러한 넓은 범위의 적용이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 내에서 실현되며, 그 프리텐션은 하우징 내에서 원하는 로딩력에 대하여 압력 플레이트를 변위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각 높이로 이어지며, 이는 압력 스프링의 가장 낮은 가능한 프리텐션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압력 플레이트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의 이 구성은 따라서 다수의 적용 분야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예를 들어, 스프링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파이프 라인 아래에 약간의 공간이 존재하는 것은 파이프라인 구조에서 흔한 경우이다. 이것은 흔히 매우 높은 스프링 강성의 스프링 지지대가 사용되는 방식으로 대응되며, 이는 그러면 한편으로는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낮은 높이를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큰 스프링 강성으로 인한 로딩력의 변화의 경우 하중 방향으로의 매우 낮은 변위 경로만을 제공한다. 이는 지지된 요소 내에서의 그리고 따라서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 내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인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3,000,600A호에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가 개시된다. 이 스프링 지지체는 압력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스프링 지지체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여기서 압력 플레이트는 로드 파이프와 연결되며, 그리고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에 힘을 가한다. 하우징의 상부 측과 스프링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된 거리 요소(distance element)는 스프링의 프리텐션을 결정한다. 또한, 텔레스코핑 하우징을 갖는 공지의 스프링 유니트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457,196호는 2개의 부품을 갖는 하우징 내에 캡슐화된 스프링 유니트를 개시하며, 여기서 스프링 유니트는 펀칭 기계 내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설계된다. 독일특허공개 DE2664816A2는 2개의 요소의 탄성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 스프링을 개시하며, 여기서 스프링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의 불리한 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
본 기술적 목적의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텔레스코핑 가능하며 그리고 하우징, 압력 플레이트, 로드 파이프 그리고 압력 스프링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탠드 측과 상부 측을 포함한다. 상부 측은 스탠드 측에 대하여 로딩 방향으로 오프셋되어있다. 상부 측은 특히 스탠드 측과 반대 측이다. 하우징은 특히 내부가 실질적으로 중공이며, 따라서 하우징 내에 압력 플레이트, 압력 스프링 그리고 로드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위한 충분한 자유 공간이 제공된다. 하우징은 특히 중공 원통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탠드 측은 제1 베이스 영역을 나타내며 그리고 상부 측은 원통 형상의 제2 베이스 영역을 나타낸다. 압력 플레이트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로딩 방향으로의 변위 동안에, 예를 들어 압력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상부 측과 베이스 측 사이에서 연장된 하우징의 측벽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내에서의 로딩 방향으로의 변위의 전체 경로 동안에 압력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측벽에 기댈 수 있거나 약간 이격되며, 따라서 로딩 방향으로의 변위의 잠재적인 경로에 걸쳐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가 보장된다. 예를 들어 측벽은 적어도 일부 부분에서 로딩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력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와 스탠드 측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 상에 스프링 력을 가한다. 이 스프링 력은 상부 측을 향하여 부하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압력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서 로딩 방향으로 프리텐션 하에 있으며, 따라서 이들 위치 각각에서 압력 플레이트에 스프링 력을 가한다. 압력 스프링에 의하여 가해지는 스프링 력의 크기는 로딩 방향으로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에 명백하게 좌우되며 따라서 압력 스프링이 받는 프리텐션에 좌우된다. 특히 압력 스프링은 스프링 방향이 로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로드 파이프는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의 모든 가능한 위치에서 (하우징의 상부 측 상에 배치된)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하우징 내에서의 변위 경로를 따라 연장한다. 이는 특히 스프링 지지체의 작동 준비 상태에서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특히 압력 스프링의 스프링 력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압력 플레이트가 개구를 통해 외부에 도달할 수 없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상부 측에 제공된 개구는 압력 플레이트의 크기로 조정된다. 따라서 상부 측은 압력 플레이트가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측으로부터 가질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제한한다. 로드 파이프가 압력 플레이트의 각 위치에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로드 파이프 상의 부하는 항상 상부 측에서 스프링 지지체 상으로 가해질 수 있으며 이는 그후 압력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로드 파이프는 예를 들어 압력 플레이트에 고정된 위치로 영구적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파이프는 또한 압력 플레이트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서로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의 다른 위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 간의 이러한 연결이 가능하며, 여기서 서로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의 위치는 로딩 방향으로의 다양한 위치에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는 하우징이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스탠드 하우징에 대하여 로딩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스탠드 하우징은 스탠드 측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개구를 포함한다.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의 하우징의 하우징 요소이다. 스프링 지지체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과 스탠드 하우징의 변위성(displaceability)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로딩 방향으로 텔레스코핑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연장과 그리고 따라서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높이는 2개의 하우징 요소의 변위성을 통하여 가변적이다. 스프링 지지체의 하우징은 따라서 텔레스코핑 가능하다. 이는 특히 스탠드 하우징이 스탠드 측을 포함하고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이 개구 및 따라서 상부 측의 적어도 한 부분을 포함한다는 점에 의하여 달성된다. 스탠드 하우징은 이동 가능한 하우징 내에 예를 들어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스탠드 하우징 내에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 하우징은 스탠드 측과 반대의 그의 종단에서 로딩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압력 스프링은 스탠드 하우징을 지나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측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압력 플레이트가 스탠드 하우징 내에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압력 플레이트가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통로를 스탠드 하우징이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하우징의 스탠드 측에 반대의 측은 개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압력 플레이트의 각 위치는 또한 압력 스프링의 각 프리텐션(pretension) 또는 로딩(loading)을 명확하게 수반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에 대한 스탠드 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는 차단 장치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로딩 방향으로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가 로딩 방향으로의 서로에 대한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서로에 관하여 안내된다. 예를 들어, 개구가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측에서 가장 작은 가능한 거리를 갖는 스탠드 하우징 내에 압력 플레이트가 배치될 때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서로에 대하여 제1 상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압력 플레이트가 스탠드 하우징 밖에서 로딩 방향으로 배치될 때 스탠드 측으로부터의 개구의 거리는 증가될 수 있으며 스탠드 측으로부터의 압력 플레이트의 거리는 증가한다. 특히,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로딩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서로에 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 하우징은 원통형 가이드를 포함하되, 원통형 가이드는 내부 공간을 향하는 스탠드 표면의 측부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의 원통형 축이 로딩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가이드는 로드 파이프 내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로드 파이프를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로드 파이프가 가이드를 따라서 그의 원통형 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원통형 가이드가 형성된다. 로드 파이프는 가이드를 통하여 그의 가능한 위치 각각에서 확실한 방식으로 유지되고 그리고 안내된다. 예를 들어, 요소에 의하여 로드 파이프의 경사진 로드 하에서의 로드 파이프의 틸팅은 가이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예를 들어, 원통형 가이드는 스탠드 측에 용접된다. 어떠한 경우에,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원통형 가이드는 스탠드 하우징의 스탠드 측에 연결된다. 로드 파이프의 안내에 더하여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는 원통형 가이드를 통하여 보장되며, 또는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는 스프링 지지체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압력 플레이트가 로드 파이프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특별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는 하우징의 높이가 로딩 방향으로 가변적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는 이러한 적용 분야에 특히 유리하며 또한 요소를 지지하기 위하여 요소 하부에 약간의 공간만이 존재하는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로딩 방향으로 어떠한 과도하게 큰 하우징의 높이를 생성시키지 않고 스프링 지지체 상에 큰 로딩력을 로딩 방향으로 가하는 요소의 탄성 지지를 위하여 낮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스프링 지지체가 또한 지지체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더 제공한다.
이 경우에 압력 스프링의 길이가 로딩 방향으로 감소된다는 점에서 로드 또는 프리텐션이 증가함에 따라 하우징의 높이가 감소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가 특히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개구가 단지 스탠드 측으로부터 로딩 방향으로 적은 거리를 가지고 그리고 따라서 하우징의 높이가 낮은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 플레이트의 각각의 위치 그리고 따라서 스탠드 하우징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각각의 변위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무거운 요소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리고 낮은 스프링 상수로 인한 충분한 변위 경로를 보장할 수 있는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낮은 높이를 갖는 스프링 지지체의 제공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넓은 로딩력 범위 내에서 특정 스프링 상수를 갖는 압력 스프링의 사용을 허용하며, 이는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종류의 압력 스프링의 잦은 사용성으로 인하여 스프링 지지체의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는 최대 로딩력 또는 최대 스프링 력의 30% 내지 100% 범위에 있는 로딩력의 탄성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 각각은 중공 원통형 부분을 가지며, 특히 2개의 중공 원통형 부분은 그들의 원통형 축들이 일치되고 그리고 로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하우징 요소의 중공의 원통형 부분은 튜브형 부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중공 원통형 부분이 다른 중공 원통형 부분 내에서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2개의 하우징 요소의 중공 원통형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2개의 하우징 요소의 안내는 중공 원통형 부분을 통한 스탠드 하우징에 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변위 동안에 보장된다. 2개의 하우징 요소 내의 중공 원통형 부분의 제공은 따라서 하우징 요소들 간의 안내를 보장하기 위하여 유리할 수 있으며, 특히 2개의 하우징 요소의 균일하게 양호한 안내는 스탠드 하우징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전체 가능한 변위 경로에 걸쳐 서로에 대하여 보장될 수 있다. 더욱이, 특히 튜브형 부분을 통하여 중공 원통형 부분을 구현할 때 중공의 원통형 부분을 갖는 2개의 하우징 요소의 생산은 특히 간략해질 수 있다.
스탠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제1 록킹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제1 록킹 돌출부를 포함하되, 2개의 록킹 돌출부는 로딩 방향으로의 스탠드 하우징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변위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로딩 방향으로 최대인 스탠드 측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거리에서 록킹 돌출부들이 서로 기대는 방식으로 2개의 록킹 돌출부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록킹 돌출부는 상부 측을 향하는 스탠드 하우징의 종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록킹 돌출부는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측과 반대인 스탠드 하우징의 종단에서 통로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록킹 돌출부는 스탠드 측을 향하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종단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록킹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로딩 방향으로 연장된 각 하우징 요소의 측벽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로딩 방향과 직교적인 방향으로 측벽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측으로부터의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최대 거리가 로딩 방향으로 결정된다는 점에서 스탠드 하우징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변위성은 2개의 록킹 돌출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로딩 방향으로의 스프링 지지체의 과도한 연장의 경우에 이는 스프링 지지체의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록킹 돌출부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이 스탠드 하우징에 대하여 단단히 유지된다는 안도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로드 파이프 상의 로드가 갑자기 감소하는, 예를 들어 요소가 스프링 지지체에서 갑자기 빠져 나가는 경우에 아직 유효하다. 이 경우에, 압력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력 플레이트는 스탠드 측으로부터 로딩 방향으로 멀리 튀어 나간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하우징 요소가 부서지고 그리고 주변 환경으로, 예를 들어 압력 플레이트와 압력 스프링과 함께 튀어나갈 수 있다는 것이 록킹 돌출부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지지될 높은 로딩력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필요한 압력 스프링의 높은 스프링 력으로 인해 이는 특히 적절하고 유리하다.
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상부 측을 향하는 그의 종단에 유지 돌출부를 포함하되, 이 유지 돌출부는 로딩 방향에 직교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개구를 제한한다. 중공 원통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을 형성할 때, 이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축방향 종단에 관한 것이며, 유지 돌출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유지 돌출부에 의하여 개구를 제한함에 의하여, 압력 플레이트가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확실하게 도달할 수 없는 크기로 개구는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압력 플레이트가 상부 측을 향하여 로딩 방향으로 압력 스프링의 큰 스프링 력으로 눌려지고 따라서 개구의 에지에 대해서 그리고 따라서 유지 돌출부에 대하여 눌려질 때에도 가능하지 않다.
스탠드 하우징 및/또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튜브형의 중공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며, 록킹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유지 돌출부는 튜브를 형성함에 의하여 형성된다. 튜브를 형성함에 의하여 각 돌출부는 특히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형성은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돌출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또한 각 중공 원통 부분 상에 용접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돌출부의 형상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그리고 높은 안정성을 보장함에 의하여 돌출부의 제조 또한 간단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스탠드 하우징 내에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스탠드 하우징의 상대적으로 큰 연장 그리고 스탠드 측 상에서의 스프링 지지체의 안정적인 세워짐(stand)이 보장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하우징 요소의 변위성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 스프링과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는 특별하게 유리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 내에서 그리고 스탠드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단일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압력 스프링은 특별하게 안전한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된 변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압력 스프링의 특별하게 양호한 안내가 보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스탠드 하우징의 스탠드 측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그의 측부에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압력 플레이트는 스탠드 측을 향하는 그의 측부에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되, 하우징 내에서의 특히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압력 스프링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정 돌출부는 압력 스프링 내에 또는 외부에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고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탠드 측 또는 압력 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 돌출부는 일체 압력 플레이트에 일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돌출부는 예를 들어 스탠드 측에 용접될 수 있다. 고정 돌출부는 예를 들어 환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스프링은 고정 돌출부에, 특히 원주적으로 고정 돌출부 상에 기대어질 수 있다. 압력 스프링이 하우징 내에 안전하게 안내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고정 돌출부를 통하여 스프링 지지체의 안정성은 특별하게 유리한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 상의 고정 돌출부에 의하여 압력 플레이트와 압력 스프링 간의 특별하게 양호한 안내가 보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로딩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의 측벽을 통한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는 압력 스프링의 안내를 수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역으로 압력 스프링의 안내는 압력 플레이트의 안내를 생성할 수 있다.
삭제
한 실시예에서, 압력 플레이트는 로드 파이프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요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드 파이프는 압력 플레이트의 양 측 상에서 부하 방향으로 연장하며, 이는 따라서 특히 로드 파이프와 압력 플레이트의 양호한 안내를 보장할 수 있다. 요부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나선부를 포함하며, 이 내부 나선부는 로드 파이프의 외부측에 배치된 외부 나선부에 대응하고, 여기서 로드 파이프는 대응하는 외부 및 내부 나선부를 통하여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압력 플레이트의 특정 위치에서의 스탠드 측으로의 로드 파이프의 특정 거리는 로딩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스탠드 측까지의 로드 파이프의 거리가 설정된 방식으로 로딩 방향으로의 스프링 지지체의 높이는 로딩 방향으로의 하우징의 높이의 가변성에 더하여 더 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의 더 넓은 큰 적용 분야를 허용한다. 이 점에 있어서, 압력 플레이트가 가동 하우징의 상부 측에 기댈 때 로딩 방향으로 하우징의 최소한으로 조절 가능한 높이의 경우에서도 로드 파이프가 스탠드 측에 놓이지 않는 정도까지만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 상의 나선부가 로드 파이프와 스탠드 측 간의 거리를 줄이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 로드 파이프 그리고 하우징은 서로에 대하여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 지지체가 로딩 방향으로 로딩될 때 이 위치에서도 충분한 스프링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 상의 내부 및 외부 나선부는 예를 들어 30㎜까지, 특히 20㎜까지의 단면 범위에서 서로에 대해 압력 플레이트와 로드 파이프의 상대적 변위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비를 포함하되, 로딩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가 내부 공간을 향하는 하우징의 상부 측에 기댈 때 비드는 압력 플레이트의 함몰부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압력 플레이트는 이 목적을 위하여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부 측의 부분에 기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플레이트는 이 목적을 위하여 개방을 제한하는 유지 돌출부에 기댈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의 함몰부 내에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비드를 배치함에 의하여 스프링 지지체의 특별하게 안정적인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예를 들어, 스탠드 하우징의 스탠드 측으로부터 로드 파이프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에 관하여 로드 파이프의 상대적인 비틀림을 확실하게 허용한다.
압력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스탠드 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로드 파이프의 축 방향 종단에 배치된다. 로드 파이프는 로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요소의 상당한 로드를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요소와 로드 플레이트 사이에 어떠한 마찰 그리고 스프링 지지체의 어떠한 비틀림 또는 파손을 야기함이 없이 슬라이딩 요소는 압력 플레이트 상에서의 요소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로드 파이프는 스탠드 측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축 방향 종단에 적어도 하나의 보어 홀을 포함하며, 이 보어 홀은 로드 파이프를 통하여 로딩 방향에 직교적으로 연장된다. 로드 파이프는 따라서 예를 들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하우징에 대하여 비틀림이 가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스탠드 하우징은 그 측벽 상에 로딩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요부를 포함하되, 요부들 각각은 로딩 방향(X)으로 스탠드 하우징의 연장부의 적어도 1/2에 걸쳐 연장되고 그리고 차단 장치를 수용할 수 있으며, 차단 장치는 서로에 대한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 상에 배치된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각 차단 장치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압력 스프링의 프리텐션을 설정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 지지체는 요소의 예상되는 로딩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에 관한 압력 플레이트의 상대적인 위치의 고정은 흔히 일반적인 스프링 지지체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압력 플레이트는 유지 장치가 작용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다른 접근을 추구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여기서 압력 스프링의 프리텐션은 스탠드 하우징에 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위치를 통하여 설정된다. 위에서 언급된 제2 록킹 돌출부는 예를 들어 이러한 돌출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외부 측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외부 측상에 용접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은 스탠드 하우징 내에서 로딩 방향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 하우징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상대 위치의 특별하게 간단한 고정 그리고 따라서 압력 스프링의 프리텐션의 특별하게 간단한 고정이 스탠드 하우징 내의 각 요부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요부가 스탠드 하우징의 상호 반대 측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탠드 하우징에 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균일한 고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차단 장치가 요부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요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들의 유지 장치가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돌출부 상에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차단 장치는 스탠드 하우징의 측벽을 통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요부는 로딩 방향으로 스탠드 하우징의 연장부의 적어도 70%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압력 스프링의 프리텐션이 넓은 범위 내에서 고정된다.
하기의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실시예의 반단면도.
도 2는 도 1a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a는 차단 장치를 갖는 도 1a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차단 장치를 갖는 실시예의 개략적인 반단면도.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스프링 지지체(1)는 하우징(2)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으로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생기는 하우징(2)의 2개 부분 구성은 일반적으로 유리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간단할 수 있다. 스탠드 하우징은 중공 원통 방식으로 형성된다. 작동 위치에서 스프링 지지체(1)가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체(1)의 스탠드 측(A)은 스탠드 하우징(4) 상에 배치된다. 스탠드 하우징(4)은 홀(46)이 제공된 베이스 플레이트(45)를 포함하며,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45)는 지면에 견고하게 볼트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돌출부(42), 원통형 가이드(43) 그리고 튜브형 부분(44)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용접된다. 튜브형 부분(44)은 중공 원통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약 200㎜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상부 측을 향하는 종단에서, 스탠드 하우징(4)은 제1 록킹 돌출부(41)를 포함하며, 제1 록킹 돌출부는 튜브형 부분(44)의 내측으로 형성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탠드 하우징(4)은 상부 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따라서 직경이 제1 록킹 돌출부(41)에 의하여 제한된 통로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스탠드 하우징(4)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스탠드 하우징(4) 내의 통로를 통하여 로딩 방향(X)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이는 통로의 양 측 상에서 로딩 방향(X)으로 배치된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다른 중공 원통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이 중공 원통형 부분 상에 제2 록킹 돌출부(32) 그리고 유지 돌출부(31)가 배치된다. 중공 원통형 부분은 튜브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유지 돌출부(31)는 튜브의 내측으로 형성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록킹 돌출부(32)는 링의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튜브형 부분 상에 용접된다. 여기서, 제2 록킹 돌출부(32)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로딩 방향(X)과 직교적으로 연장된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중공 원통형 부분을 형성하는 튜브형 부분은 약 185㎜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스탠드 하우징(4) 내의 통로의 직경은 약 190㎜이며, 따라서 스탠드 하우징(4)에 관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실질적으로 마찰 없는 변위성이 가능해진다. 제2 록킹 돌출부(32)는 약 195㎜이다. 따라서, 스탠드 하우징(4)에 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변위성이 제한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하우징(3) 그리고 스탠드 하우징(4)은 그들의 록킹 돌출부(41, 32)를 갖고 형성되며, 여기서 스탠드 하우징(4)의 스탠드 측(A)으로부터의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최대 이동 거리는 사전 결정되며, 스탠드 측(A)으로부터의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최대 이동 거리에 도달할 때 그들의 록킹 돌출부(41, 32)는 서로 받쳐진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 그리고 스탠드 하우징(4)의 슬라이딩 떨어짐(sliding apart)은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딩 파이프(8) 상에 작용하는 로딩력의 갑작스러운 증가의 경우에 이동 가능한 하우징(3) 및/또는 압력 스프링(7) 및/또는 압력 플레이트(5)가 떨어져 뛰어 오르고 그리고 손상을 야기한다는 점이 배제된다.
압력 스프링(7)이 이동 가능한 하우징(3) 내에 그리고 또한 스탠드 하우징(4) 내에 로딩 방향(X)과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압력 스프링(7)은 항상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5) 측에서 스탠드 측(A)을 향하는 압력 플레이트(5) 측까지 연장된다. 압력 스프링(7)은 스탠드 하우징(4)의 베이스 플레이트(45) 상의 제1 고정 돌출부(42)를 통해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5) 상의 제2 고정 돌출부(53)를 통해 안내된다. 이는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으로의 압력 스프링(7)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그리고 스프링 지지체(1)의 높은 안정성이 보장된다. 제1 고정 돌출부(42)는 환형 방식으로 형성된 반면에, 제2 고정 돌출부(53)는 압력 플레이트(5) 내의 돌출부로서 일체로 제공된다. 2개의 고정 돌출부(42, 53) 각각은 압력 스프링(7) 내에 반경 방향적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압력 스프링(7)의 반경 방향 안쪽 측부에 받쳐진다.
압력 스프링(7)의 결과로서, 압력 플레이트(5)는 그의 가능한 위치 각각에서 하우징(2) 내에서 로딩 방향(X)을 따라 스프링 력으로 가압되며, 이 스프링 력은 로딩 방향(X)으로 하우징(2)의 상부 측(B)을 향하여 작용한다. 압력 플레이트(5)는 내부에 로드 파이프(load pipe; 6)가 배치되는 요부를 포함한다. 내부 나선부(51)가 압력 플레이트(5)의 요부 내에 제공되며, 이 내부 나선부는 로드 파이프(6) 상에 제공된 외부 나선부(61)에 대응한다. 로딩 방향(X)으로의 압력 플레이트(5)와 로드 파이프(6)의 상대적인 위치는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가변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나선부(51)와 외부 나선부(61)는 약 20㎜만큼의 로딩 방향(X)으로의 압력 플레이트(5)에 관한 로드 파이프(6)의 변위성(displaceability)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우징(2) 내에서의 압력 플레이트(5)의 특정 위치에서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과 스탠드 하우징(4)의 서로에 대한 특정 위치에서, 로딩 방향(X)으로의 스프링 지지체(1)의 높이는 로드 파이프(6) 비틀림에 의하여 압력 플레이트(5)에 관하여 위에서 언급된 약 20㎜의 양만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지지체(1)의 높이는 특히 작동 환경에 잘 적응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로드 파이프(6) 내에 2개의 보어 홀(62)이 제공되되, 이 보어 홀은 로드 파이프(6)를 통하여 로딩 방향(X)과 직교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로드 파이프(6)는 보어 홀을 통하여 압력 플레이트(5)에 대하여 용이하게 비틀려질 수 있다.
로드 파이프(6)는 원통형 가이드(43)에 의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로드 파이프(6)가 변위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는 것이 원통형 가이드(43)를 통하여 보장되며, 따라서 스탠드 하우징(4)의 베이스 플레이트(45)에 대한 로드 파이프(6)의 기울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는 스프링 지지체(1)의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압력 플레이트(5)가 하우징(2)의 상부 측(B)에 얹혀있는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서, 압력 플레이트(5)의 센터링 돌출부(52)는 평평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유지 돌출부(31) 상에 얹혀 있다. 이는 특별하게 하우징(2)에 대하여 압력 플레이트(5)의 양호한 안내를 보장하며, 스프링 지지체(1) 상에 구성 요소가 위치할 때 이는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스프링 지지체(1)와 요소 간의 접촉을 위하여 로드 플레이트(8)가 더 구비되며, 로드 플레이트는 로드 파이프(6) 상에서 스프링 지지체(1)의 종단에 배치되고, 스프링 지지체(1)의 종단은 로딩 방향(X)으로 스탠드 측에서 멀어지게 향한다. 요소에 의하여 로드 플레이트(8)로 가해지는 힘의 균일한 전달이 로드 플레이트(8)를 통하여 로드 파이프(6) 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로드 플레이트(8) 상에서 약 3 내지 10kN의 로딩력을 가하는 요소를 지지할 수 있다. 로딩 방향 (X)으로의 하우징의 높이는 특정 로딩력으로의 압력 플레이트(8)의 로딩에 따라 특정 양을 취한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드 플레이트(8)는 약 5kN의 로딩력으로 로딩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하우징(2)의 스탠드 측(A)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되며, 그러면 로딩 방향(X)으로의 하우징의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유발한다.
완전한 단면도 형태로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하여, 스프링 지지체(1)는 반단면도인 도 1b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b는 압력 플레이트(5), 로드 파이프(6) 그리고 슬라이딩 가이드(43)를 원주적으로 둘러싸는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2개의 튜브형 부분을 분명하게 도시한다. 스탠드 하우징(4)이 2개의 요부(441)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도 1a 및 도 1b에 더 도시되며, 이 요부는 로딩 방향(X)으로의 스탠드 하우징(4)의 연장부의 상당한 부분, 본 경우에서는 연장부의 약 80% 이상에 걸쳐 로딩 방향(X)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 요부(441)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며 그리고 이 요부는 차단 장치(10)가 요부(441) 내로 도입될 수 있다는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과 스탠드 하우징(4)의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제2 록킹 돌출부(32) 상에 고정될 수 있다는 목적을 위하여 형성된다. 차단 장치(10)의 배치와 효과가 도 3a 및 도 3b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에 포함된 비드(9)가 도 1b로부터 더 인식될 수 있다. 도 1b에는 도시되지 않은 바와 같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위치에서 압력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에 관련하여 압력 플레이트(5)의 상대적인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드(9)는 압력 플레이트(5) 상의 함몰부 내에 배치된다.
도 2는 스프링 지지체가 압력 플레이트(8) 상에서 로딩 방향(X)으로 큰 로딩력을 받는 상태의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를 완전한 단면도 형태로 도시하며, 여기서 큰 로딩력은 도 2의 도면에서 약 9kN이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른 도면과 비교하여 로딩 방향(X)으로의 하우징의 높이가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점을 도시한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스프링 상수를 갖는 압력 스프링(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압력 스프링은 낮은 설치 높이, 즉 로딩 방향(X)으로의 스프링 지지체(1)의 높이에서 큰 로딩력을 로딩 방향(X)으로 운반하기 위한 큰 부하 용량을 보장한다. 압력 플레이트(5)가 아직 이동 가능한 하우징(3)에 대하여 로딩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이 스탠드 하우징(4)의 베이스 플레이트(45)에 기대어 있다면 스탠드 하우징(4)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5)의 상대적인 변위는 주로 또한 가능하다. 로딩력을 갖는 스프링 지지체(1)의 로딩 방향(X)으로의 최대 가능한 로딩은 압력 스프링(7)에 의하여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45) 상의 로드 파이프(6)의 제한 멈춤부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음이 도시되며, 여기서 서로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3)과 스탠드 하우징(4)의 상대적인 위치는 차단 장치(10)에 의하여 고정된다. 차단 장치(10)는 볼트(11) 및 블레이드(12)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블레이드(12)들은 볼트(11)와 함께 너트(13)를 볼트 결합함에 의하여 서로에 관하여 고정된다. 도 3a 그리고 도 3b는 블레이드(12)가 유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도시하며, 블레이드는 스탠드 하우징(4)의 내부 측에서 스탠드 하우징(4)의 측벽 내의 개구(441)를 통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스탠드 하우징은 로딩 방향(X)으로 연장하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외부 벽까지 로딩 방향(X)으로 연장된다. 제2 록킹 돌출부(32)의 높이에 배치된 블레이드(12)는 차단 장치(10)의 나머지 블레이드(12)와 비교하여 굽어져 있으며, 따라서 제2 차단 돌출부(12)가 배치된 나머지 블레이드(12)들 사이에 간극이 얻어진다. 스탠드 하우징(4)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상대적인 위치는 요부(441) 내의 차단 부재(10)의 배치 그리고 블레이드(12)에 의하여 보장된 제2 록킹 돌출부(32)와의 유지 장치의 클램핑에 의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지지체(1)는 요소 아래에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차단 장치(10)와 함께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2) 내의 압력 스프링(7)의 프리텐션은 차단 장치(10)에 의하여 설정되며 이는 요소의 예상된 로딩력으로 조절된다. 요소가 그의 로딩력으로 로드 플레이트(8)에 작용하자마자, 차단 장치(10)는 제2 록킹 돌출부(32)로부터 너트(13)를 해제함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으며 그리고 로딩 방향(X)으로의 스프링 지지체(1)의 어떠한 실질적인 높이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스프링 지지체(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체(1)의 이점이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확하게 설명된다. 스프링 지지체(1)의 하우징(2)이 로딩 방향(X)으로 텔레스코핑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 지지체(1)는 넓은 부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큰 로딩력을 갖는 스프링 지지체(1)가 로딩될 때 스프링 지지체(1)의 하우징의 낮은 높이는 보장된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스탠드 하우징(4)이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약 100 내지 350㎜, 특히 120 내지 320㎜의 외경을 가지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약 100 내지 300㎜, 특히 125 내지 290㎜의 외경을 갖는 스프링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이 스탠드 하우징(4) 내에서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이 특히 개괄적으로 유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이 방향으로의 외경은 스탠드 하우징(4)의 각 외경의 약 90 내지 95%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2개의 하우징 요소의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마찰이 없는 변위를 보장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스프링(7)과 압력 플레이트(5)는 물론 로드 파이프(6)와 원통형 가이드(43)를 위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3) 내에 충분한 간극을 보장할 수 있다.
1: 스프링 지지체
2: 하우징
3: 이동 가능한 하우징
4: 스탠드 하우징
5: 압력 플레이트
6: 로드 파이프
7: 압력 스프링
8: 로드 플레이트
9: 비드
10: 차단 장치
11: 볼트
12: 블레이드
13: 너트
31: 유지 돌출부
32: 제2 록킹 돌출부
41: 제1 록킹 돌출부
42: 제1 고정 돌출부
43: 원통형 가이드
44: 튜브형 부분
45: 베이스 플레이트
46: 홀
51: 내부 나선부
52: 센터링 돌출부
53: 제2 고정 돌출부
61: 외부 나선부
62: 보어 홀
441: 요부
A: 스탠드 측
B: 상부 측
X: 로딩 방향

Claims (15)

  1. 하우징(2), 압력 플레이트(5), 로드 파이프(6) 및 압력 스프링(7)을 포함하며 그리고 로딩 방향(X)으로 요소의 탄성 지지를 위하여 형성되되, 하우징(2)은 스탠드 측(A)과 상부 측(B)을 포함하며, 압력 플레이트(5)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하우징(2) 내에서 하우징(2)에 대해 상대적으로 로딩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하고, 압력 스프링(7)은 압력 플레이트(5)와 스탠드 측(A)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로딩 방향(X)으로 상부 측(B)을 향하는 스프링 력을 압력 플레이트(5) 상에 가하며, 로드 파이프(6)는 압력 플레이트(5)에 연결되고 그리고 하우징(2)의 상부 측(B) 상에 배치된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압력 플레이트(5)의 각 위치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하우징(2)은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을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스탠드 하우징(4)에 대하여 로딩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하고, 스탠드 하우징(4)은 스탠드 측(A)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개구를 포함하고, 스탠드 하우징(4)은 원통형 가이드(43)를 포함하되, 원통형 가이드는 내부 공간을 향하는 스탠드 표면의 측부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의 원통형 축이 로딩 방향(X)으로 연장되며, 원통형 가이드(43)는 로드 파이프(6) 내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로드 파이프(6)를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압력 플레이트(5)는 로드 파이프(6)가 관통하여 연장하는 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요부는 내부 나선부(51)를 포함하되, 이 내부 나선부는 로드 파이프(6)의 외부측에 배치된 외부 나선부(61)에 대응하고, 로드 파이프(6)는 대응하는 외부 및 내부 나선부(51, 61)를 통하여 압력 플레이트(5)에 연결되며, 압력 플레이트(5)의 특정 위치에서의 스탠드 측(A)으로부터의 로드 파이프(6)의 특정 거리는 로딩 방향(X)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2.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 각각은 중공 원통형 부분을 갖는 스프링 지지체(1).
  3.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 하우징(4)은 제1 록킹 돌출부(41)를 포함하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제2 록킹 돌출부(32)를 포함하되, 2개의 록킹 돌출부(32, 41)는 로딩 방향(X)으로의 스탠드 하우징(4)에 대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변위성(displaceability)을 제한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로딩 방향(X)으로 최대인 스탠드 측(A)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거리에서 록킹 돌출부들이 서로 기대는 방식으로 2개의 록킹 돌출부(32, 41)가 하우징(2)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4.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상부 측(B)을 향하는 그의 종단에 유지 돌출부(31)를 포함하되, 이 유지 돌출부는 로딩 방향(X)에 직교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개방을 제한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5.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 하우징(4) 또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튜브형의 중공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며, 록킹 돌출부(32, 4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유지 돌출부(31)는 튜브를 형성함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에 대하여 스탠드 하우징(4)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7.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프링(7)은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3) 내에 그리고 스탠드 하우징(4)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8. 제1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향하는 스탠드 하우징(4)의 스탠드 측(A)의 측부 또는 스탠드 측(A)을 향하는 압력 플레이트(5)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 돌출부(42, 53)를 포함하되,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 스프링(7)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돌출부는 로딩 방향(X)에 직교적인 방향에 관하여 압력 스프링(7)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은 적어도 하나의 비드(9)를 포함하되, 로딩 방향(X)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3)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5)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5)가 내부 공간을 향하는 하우징(2)의 상부 측(B)에 기댈 때 비드는 압력 플레이트(5)의 함몰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12. 제1항에 있어서, 로드 플레이트(8)는 스탠드 측(A)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로드 파이프(6)의 축 방향 종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13. 제1항에 있어서, 로드 파이프(6)는 스탠드 측(A)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축 방향 종단에 적어도 하나의 보어 홀(62)을 포함하며, 이 보어 홀은 로드 파이프(6)를 통하여 로딩 방향(X)에 직교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14. 제1항에 있어서, 스탠드 하우징(4)은 그 측벽 상에 로딩 방향(X)으로 연장된 적어도 2개의 요부(441)를 포함하되, 요부들 각각은 로딩 방향(X)으로 스탠드 하우징(4)의 연장부의 적어도 1/2에 걸쳐 연장되고 그리고 차단 장치(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차단 장치는 서로에 대한 스탠드 하우징(4)과 이동 가능한 하우징(3)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하우징(3) 상에 배치된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1).
  15. 삭제
KR1020167036717A 2014-06-02 2015-06-02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 KR101864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7701.6A DE102014107701A1 (de) 2014-06-02 2014-06-02 Teleskopierbare Federstütze
DE102014107701.6 2014-06-02
PCT/EP2015/062298 WO2015185574A1 (de) 2014-06-02 2015-06-02 Teleskopierbare feder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324A KR20170028324A (ko) 2017-03-13
KR101864525B1 true KR101864525B1 (ko) 2018-06-04

Family

ID=5339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717A KR101864525B1 (ko) 2014-06-02 2015-06-02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84538B2 (ko)
EP (1) EP3149354B1 (ko)
JP (1) JP6397512B2 (ko)
KR (1) KR101864525B1 (ko)
CN (1) CN106662272B (ko)
DE (1) DE102014107701A1 (ko)
ES (1) ES2737713T3 (ko)
RU (1) RU2659375C1 (ko)
WO (1) WO20151855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792B2 (en) 2021-07-15 2024-01-16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Platform for a tower of a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TWI834209B (zh) 2021-07-15 2024-03-01 丹麥商西門子歌美颯再生能源公司 用於風力渦輪機的塔架之平台及風力渦輪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5507B (zh) * 2016-01-22 2019-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支架
DE102016118047B4 (de) 2016-09-23 2022-10-13 Minebea Intec GmbH Hygienischer Höhenausgleichsfuß
JP6733498B2 (ja) * 2016-10-31 2020-07-29 富士通株式会社 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サーバ装置
CN107300092A (zh) * 2017-08-11 2017-10-27 无锡市宏源弹性器材有限公司 抗冲击碟簧基座
CN107482847B (zh) * 2017-08-28 2019-05-24 永坤电动卷门机(深圳)有限公司 电机及使用该电机的液压动力总成
KR200488958Y1 (ko) * 2017-09-01 2019-04-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라쳇핸들 지그
SE1950439A1 (sv) * 2019-04-08 2020-10-09 Masonite Beams Ab Anordning för montering av bjälklag
KR102028865B1 (ko) * 2019-05-14 2019-10-04 이안세 천정형 내진 충격 완충 유닛
RU2721449C1 (ru) * 2019-07-23 2020-05-1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формационные спутниковые системы»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М.Ф. Решетнёва»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упругая опора
CN110630683A (zh) * 2019-09-16 2019-12-31 山东智汇新谷科技企业孵化器有限公司 一种抗震自动化设备框架
RU2734383C1 (ru) * 2020-01-10 2020-10-15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НХП" Опора постоянного усилия
CN111578048B (zh) * 2020-05-27 2021-09-07 嘉兴博睿创业服务有限公司 具有减震效果的经编机地脚
RU2747532C1 (ru) * 2020-05-28 2021-05-06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НХП" Опора постоянного усилия
US11268709B1 (en) * 2020-07-07 2022-03-08 James Zeeff Vibration-dampening support for an HVAC unit
CN113339451B (zh) * 2020-09-25 2024-05-21 怀化市中三源电子有限公司 一种变压器减震装置
JP7479304B2 (ja) 2021-01-07 2024-05-08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粘弾性ダンパで配管を支持する支持構造
CN113199991B (zh) * 2021-05-07 2022-03-11 宁波金晟芯影像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减震型车用摄像头
WO2023048304A1 (ko) * 2021-09-24 2023-03-30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탄소성 배관 지지 장치
CN114321650B (zh) * 2021-12-09 2022-09-02 中国水利水电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水轮机安装用载重底座
JP7371290B1 (ja) 2023-03-28 2023-10-30 日本発條株式会社 支持構造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863A1 (de) * 1994-09-09 1996-03-14 Marcus Kracht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Höhenausgleich von Auflageflächen eines auf einem Untergrund aufstehenden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Möbelstücks
KR200311970Y1 (ko) * 2003-02-14 2003-05-01 주식회사 엔.에스.브이 밀폐형스프링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65189A (en) * 1942-11-26 1944-10-31 Gen Spring Corp Improvements in spring suspension devices for piping systems
US2540525A (en) * 1947-05-09 1951-02-06 Grinnell Corp Spring support
US2981511A (en) * 1959-05-20 1961-04-25 Bergen Pipesupport Corp Sway brace for piping
US3000600A (en) * 1959-05-20 1961-09-19 Bergen Pipesupport Corp Floor type spring support
DE7014786U (de) * 1970-04-22 1970-12-23 Isoliertechnik Grassmann H Stahlfederisolator
JPS5424182B2 (ko) 1971-09-21 1979-08-18
DE2417728C2 (de) * 1974-04-11 1980-10-02 Witzenmann Gmbh Metallschlauch- Fabrik Pforzheim, 7530 Pforzheim Federstütze mit gleichbleibender Stützkraft
JPS5424182Y2 (ko) * 1976-01-31 1979-08-16
JPS52102582A (en) 1976-02-25 1977-08-27 Hitachi Ltd Electronic parts
US4069992A (en) * 1976-09-13 1978-01-24 Corner & Lada Co., Inc. Travel stop
PL123472B1 (en) 1977-05-10 1982-10-30 Inst Chemii Przemyslowej Apparatus for absorbing mechanical energy in particular very strong impact energy
JPS5559899A (en) 1977-09-14 1980-05-0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Anaerobic digesting method
JPS54141962A (en) * 1978-04-27 1979-11-05 Tsubakimoto Chain Co Shock absorber
JPS5559899U (ko) * 1978-10-18 1980-04-23
JPS5623788A (en) 1979-07-31 1981-03-06 Fujitsu Ltd Semiconductor light receiving element
JPS5623738U (ko) * 1979-08-01 1981-03-03
US4457196A (en) * 1980-12-17 1984-07-03 Houdaille Industries, Inc. Punch press assembly including a preloaded encapsulted spring
DE3334136A1 (de) * 1983-09-16 1985-03-28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Federtopf
JPH0473631A (ja) 1990-07-13 1992-03-09 Olympus Optical Co Ltd 遠隔レリーズ装置付カメラ
JPH0473631U (ko) * 1990-11-07 1992-06-29
DE10053576C1 (de) * 2000-10-28 2002-03-21 Mannesmann Sachs Ag Federbein mit einstellbarem Federteller
US8544820B2 (en) * 2009-06-30 2013-10-01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Biasing apparatus for use with actuators
US8356807B2 (en) * 2010-06-24 2013-01-22 Miner Elastomer Products Corporation Dual rate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 suspension system of a heavy off-road vehicle
RU2437010C1 (ru) * 2010-07-12 2011-12-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рансЭлКон"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телескопический демпфер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494295C1 (ru) * 2012-04-03 2013-09-27 Олег Савдаханович Гильмханов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телескоп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US9188184B2 (en) 2012-05-14 2015-11-17 Barnes Group Inc. Telescoping str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863A1 (de) * 1994-09-09 1996-03-14 Marcus Kracht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Höhenausgleich von Auflageflächen eines auf einem Untergrund aufstehenden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Möbelstücks
KR200311970Y1 (ko) * 2003-02-14 2003-05-01 주식회사 엔.에스.브이 밀폐형스프링마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792B2 (en) 2021-07-15 2024-01-16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Platform for a tower of a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TWI834209B (zh) 2021-07-15 2024-03-01 丹麥商西門子歌美颯再生能源公司 用於風力渦輪機的塔架之平台及風力渦輪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7512B2 (ja) 2018-09-26
EP3149354A1 (de) 2017-04-05
US10184538B2 (en) 2019-01-22
US20170261130A1 (en) 2017-09-14
EP3149354B1 (de) 2019-04-24
JP2017517699A (ja) 2017-06-29
KR20170028324A (ko) 2017-03-13
ES2737713T3 (es) 2020-01-15
CN106662272B (zh) 2018-11-16
CN106662272A (zh) 2017-05-10
DE102014107701A1 (de) 2015-12-03
WO2015185574A1 (de) 2015-12-10
RU2659375C1 (ru)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525B1 (ko) 텔레스코핑 가능한 스프링 지지체
EP1306573B1 (en) Resilient bush and method of pressure-insertion of a resilient bush
KR101729915B1 (ko) 가구용 댐퍼
KR20020097285A (ko) 제동력을 갖는 현가 지주
US6676101B2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JP5825731B1 (ja) 伸縮装置
US6964411B2 (en) Column unit
US20210123257A1 (en) Structural connector
KR102031291B1 (ko) 스프링 장치
US5360210A (en) Pipe restraint
US9202641B2 (en) Electrical equipment comprising a mobile part having improved dynamics
US7354032B2 (en) Plate spring, which is prevented from being axially displaced on a circular cylindrical surface of a receiving body
CA3016937A1 (en) Frame element with a support head, and building scaffold comprising such a frame element
KR200488131Y1 (ko) 자동 조심형 슬리브를 구비하는 파이프 서포트
JP3845062B2 (ja) 変位制限機能付落橋防止装置
US10598243B2 (en) Spring carrier
EP0951029A2 (de) Abbrandschaltanordnung
US20130000430A1 (en)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6569073B1 (ja) 制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建築材
JP6456045B2 (ja) ロッド固定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伸縮ロッドユニット
RU2584783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пружинный
JPH06287949A (ja) Frpケーブルの定着装置
WO2005047728A1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JPH0924753A (ja)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WO2001066960A1 (en) Device for the anchorage of a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