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20B1 -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720B1
KR101863720B1 KR1020160127060A KR20160127060A KR101863720B1 KR 101863720 B1 KR101863720 B1 KR 101863720B1 KR 1020160127060 A KR1020160127060 A KR 1020160127060A KR 20160127060 A KR20160127060 A KR 20160127060A KR 101863720 B1 KR101863720 B1 KR 10186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ixed
movable part
piec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884A (ko
Inventor
박장혁
노일환
이건화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 로웰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웰에스엠 filed Critical (주) 로웰에스엠
Priority to KR102016012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9/00Other vehicles predominantly for carrying loads, e.g. load carrying vehicles convertible for an intended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1)에 관한 것으로, 적재물을 놓도록 차체(20)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3); 및 상기 적재물의 낙하를 저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판(5,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3)은, 상기 차체(20)에 움직임 없이 고정되는 고정부(11); 및 상기 고정부(11)와 일렬로 펴져 고정되는 함 자세에서, 상기 고정부(11)와 나란하게 접혀 고정되는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판(5,6,7) 중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가동부(13)의 선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지는 앞벽판(5)은 상기 가동부(13)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종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공간이 확보되는 함 자세와, 동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 자세로 적재함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의 활용성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Seat Changeable Type Loading Box For Smart Cart}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싣도록 되어 있는 함체 구조를 동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 구조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소형 화물 차량에 적용되어 화물 적재라는 원래의 용도 데로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원하는 경우 동승자가 쉽고 편리하게 앉아 갈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알반적으로, 차량은 승객을 운송하기 위한 승용 및 승합차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화물차량 그리고 기타 특장차로 대별되는 바, 최근에는 차량의 이용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차량의 적재함과 같은 적재공간과 좌석을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특히, SUV 차량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레저차량용 적재함(등록실용 제20-0337415호)을 들 수 있다. 이 적재함(101)은 도시된 것처럼, 밑판(103), 전면판(105), 후면판(107), 및 좌우측판(109)으로 구성되는 바, 밑판(103)을 깔고 후면판(107)과 좌우측판(109)에서 도출된 체결핀(111)을 밑판(103)에 소정거리로 형성된 체결공(113)에 끼워 세우고 또한 후면판(107)과 좌우측판(109)의 벌크로테입(115)에 시트(110)를 부착시키면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적재함(101)은 적재공간(R)의 용량을 증감시키면서 화물을 차량 손상 없이 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110)만을 떼어내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소 등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트(110)를 접어 세움으로써 화물에서 누설되는 물 등의 유체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적재함(101)은 밑판(103) 등 구조 판재를 착탈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를 통해 적재공간(R)을 좌석으로 변경할 수는 없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재공간(R)의 크기 및 형태를 위와 같이 변형함에 있어 밑판(103)을 포함한 모든 구조 판재가 개별적으로 착탈되므로, 착탈에 필요한 조립 공수가 증대되어 작업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033741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적재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 카트와 같은 소형 화물차량의 화물 적재용으로 적재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적재함의 형태를 착석용 시트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적재함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적재함의 형태를 변경 또는 복원함에 있어, 적재함을 이루는 각 구조 판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함 변형에 따른 작업의 편리성이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변형 가능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함 자세에서는 적재함으로서의 기능을, 시트 자세에서는 시트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재물을 놓도록 차체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를 따라 세워져, 상기 적재물의 낙하를 저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차체에 움직임 없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와 일렬로 펴져 고정되는 함 자세에서, 상기 고정부와 나란하게 접혀 고정되는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판 중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가동부의 선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지는 앞벽판은 상기 가동부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함 자세로 펴져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상기 차체의 바닥프레임 위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앞벽판은 상기 시트 자세에서 상기 가동부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상단에 연장된 등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판 중 상기 바닥판의 측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진 측벽판은, 상기 고정부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측고정편; 및 상기 가동부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측가동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가동편은 상기 가동부 측단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함 자세에서는 상기 측고정편과 연이어 일렬로 고정되고, 상기 시트 자세에서는 상기 측고정편 내측에 나란하게 인접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가동편을 상기 가동부의 측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측방힌지는 일측 힌지팔이 상기 측가동편의 모서리면에 부착되고, 타측 힌지팔이 상기 가동부의 저면 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시트 자세로 변형될 때, 상기 측고정편에서 해제되어 피벗 회동한 상기 측가동편이 상기 가동부의 측단 모서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동부에 대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에 따르면, 화물 운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트 또는 트레일러 등과 같은 각종 소형 화물차량에 적용되어, 함 자세에서는 적재공간을 확보하여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시트 자세에서는 앞부분이 시트 형태로 변형되므로 동승자를 보다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므로, 그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적재함의 형태를 함 자세에서 시트 자세로 또 시트 자세에서 함 자세로 상호 전환함에 있어, 형태 전환에 참여하는 가동부, 앞벽판, 측가동편 등의 부재가 힌지 등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어 동시에 움직이므로, 형태 전환 시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전환 작업의 편리성, 정확성, 안전성 등 작업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옆벽판을 측고정편과 측가동편으로 분할하여, 상호 피벗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시트 자세인 때 측가동편이 측고정편과 나란하게 접혀 들어갈 수 있으므로, 옆벽판 앞쪽에 통로가 발생되어, 동승자가 통로를 통해 쉽게 시트에 착석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동승자의 승하차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도 2 적재함의 형태 전환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은 측가동편이 개방된 상태를, 도 7은 가동부가 회전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 8은 가동부가 회전을 종료하기 직전 상태를, 도 9는 가동부 등의 시트 자세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A)는 측가동편이 함 자세에 있는 상태를, (B)는 측가동편이 완전히 개방되어 가동부에 매달린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재함은 도 2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의 화물용 스마트 카트(10)에 적용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크게 바닥판(3)과 하나 이상의 벽판(5,6,7)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판(3)은 적재함(1)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 각종 적재 대상물을 올려놓도록 판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차체(20) 후방에 설치된다. 특히, 바닥판(3)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고정부(11)와 가동부(13)로 분할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부(11)는 적재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적재함(1) 뒤쪽에서 차체(20) 위에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또, 상기 가동부(13)는 함 자세 즉, 적재함(1)을 이루도록 고정부(11)와 일렬로 정렬되어 수평하게 펴져 고정된 상태에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부(11)와 함께 지면과 나란한 평평한 상태의 바닥판(3)을 이룬다.
이를 위해, 가동부(13)는 예컨대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함 자세에서 바닥판(3) 상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부(11)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간힌지(21)에 의해 연결되되, 중간힌지(21)의 한 쪽 힌지팔은 고정부(11)의 선단에, 다른 쪽 힌지팔은 가동부(13)의 후단에 각각 부착된다. 또한, 중간힌지(21)는 도 9에 도시된 시트 자세 즉, 시트(S)를 이루도록 고정부(11)와 나란하게 접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11)와 가동부(13) 선단에서 고정부(11)와 가동부(13)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중간힌지(21)는 바닥판(3) 위쪽에서 고정부(11)와 가동부(13)에 부착되므로, 가동부(13)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함 자세에서 시트 자세로 피벗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가동부(13)는 도 9에 도시된 시트 자세에서 위로 향하게 된 저면에 바닥쿠션(26)을 부착함으로써, 시트(S)의 편안함을 배가시킨다.
또한, 가동부(13)는 함 자세에서 예컨대, 측방힌지(29)에 의해 옆벽판(7)에 연결되고, 중간힌지(21)에 의해 고정부(11)에 연결됨으로써, 자중 및 적재물에 의한 하중을 지탱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적재하중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2 등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11)로부터 함 자세로 곧게 펴져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차체(20)의 바닥에 설치된 운전석 등과 같은 지지대(H)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벽판(5,6,7)은 바닥판(3)의 모서리를 따라 세워져 적재물이 바닥판(3)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3) 전방에 배치되는 앞벽판(5), 후방에 배치되는 뒷벽판(6), 및 측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옆벽판(7)으로 이루어지는 바, 특히 뒷벽판(6)은 통상의 적재함에서와 마찬가지로 후방힌지(23)에 의해 바닥판(3)의 후단 모서리에 피벗 가능하게 세워져 고정된다.
또한, 앞벽판(5)은 위와 같은 함 자세에서 바닥판(3) 선단 즉, 가동부(13) 선단의 모서리를 따라 세워지는 바, 도 3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13)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앞벽판(5)은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전방힌지(25)에 의해 가동부(13) 선단 모서리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바, 이때 전방힌지(25)는 아래쪽 힌지팔이 가동부(13) 선단 모서리면에 부착되고, 위쪽 힌지팔이 앞벽판(5) 전면의 하단에 부착된다. 따라서, 전방힌지(25)는 앞벽판(5)이 가동부(13) 선단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동하도록 한다. 또, 앞벽판(5)은 도 8과 같은 시트 자세에서 시트(S)의 등받이 역할을 하게 되는 바, 가동부(13)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더욱 편안하고 견고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단 모서리면에 등받이(27)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옆벽판(7)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3)의 측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지는 바, 다시 측고정편(31)과 측가동편(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측고정편(31)은 옆벽판(7) 중 고정부(11)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부(11) 측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측가동편(33)은 옆벽판(7) 중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힌지(29)에 의해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측가동편(33)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함 자세에서 측고정편(31)과 일렬로 정렬되도록 세워져 고정된다. 이를 위해, 측가동편(33)은 예컨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고정편(31)의 상단 모서리면 선단과 측가동편(33)의 상단 모서리면 후단에 각각 장착된 제1 클립(35)과, 등받이(27)의 측단 모서리면 하단과 측가동편(33)의 측면 선단 상측에 각각 장착된 제2 클립(37)에 의해 함 자세로 고정된다. 또한, 측가동편(33)은 도 9에 도시된 시트 자세에서 측고정편(31)과 나란하게 측고정편(31) 내측에 인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제2 클립(27)의 고리(38)와 대응하는 측고정편(31)의 측면 상단 일측에 제2 클립(37)의 걸개와 동일한 형태의 걸개(39)가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시트 자세에서 앞벽판(5)은 고리(38)와 걸개(39)의 결합에 의해 제3 클립(40)을 형성함으로써, 측고정편(3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측가동편(33)은 예컨대 측방힌지(29)에 의해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에 결합되는 바, 이 측방힌지(29)는 도 3 및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 좌측 힌지팔(41)이 측가동편(33)의 하단 모서리면에 부착되고, 우측 힌지팔(43)이 가동부(13)의 저면 측단에 부착된다. 따라서, 측가동편(33)은 함 자세에서 시트 자세로 변형될 때, 먼저 제1 및 제2 클립(35,37)을 풀어 측고정편(31) 및 앞벽판(5)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다음 도 6 및 도 10 (B)에 도시된 것처럼 측방힌지(29)를 중심으로 피벗 회동하여 가동부(13)로부터 지면을 향해 매달린다. 이때 측가동편(33)은 도 10의 (B)와 같이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가동부(13)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나서, 측가동편(33)은 중간힌지(21)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 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부(13)와 함께 회전하여 도 9의 시트 자세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측가동편(33)이 시트(S) 안으로 접힌 옆벽판(7)은 측고정편(31) 앞쪽에서 차체(20) 위에 시트 통로(P)를 형성함으로써, 동승자가 통로(P)를 통과해 시트(S)에 보다 쉽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재함(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나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소형 운반용 스마트 카트(10)에 화물 적재용으로 적용되는 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함 자세 즉, 적재함으로 사용되는 자세에서 바닥판(3)은 고정부(11)와 가동부(13)가 일렬로 정렬되어 고정됨으로써, 통상의 적재함과 다를 바 없이, 바닥판(3) 위에 벽판(5,6,7)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소정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적재함(1)을 시트(S)로 변형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동부(13)와 앞벽판(5) 그리고 측가동편(33)을 시트 자세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먼저 제1 및 제2 클립(35,37)을 풀어 측고정편(31) 및 앞벽판(5)으로부터 측가동편(33)을 분리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측가동편(33)을 측방힌지(29)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부(13) 측단 모서리에서 지면을 향해 매달리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부(13)를 중간힌지(21)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가동부(13) 선단에 전방힌지(25)로 연결된 앞벽판(5)은 전방힌지(25)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13)에 대해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만, 측가동편(33)은 가동부(13)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부(13)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계속해서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 가동부(13)는 저면에 부착된 바닥쿠션(26)이 위쪽을 향해 드러나도록 뒤집어지며, 가동부(13)에 대해 화살표(C)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앞벽판(5)은 결과적으로 뒤쪽으로 병진 이동한다.
곧이어, 도 9에 도시된 시트 자세에 이르게 된 가동부(13)와 앞벽판(5) 및 등받이(27)는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동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S)를 형성한다. 이때, 가동부(13) 양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함께 회전한 측가동편(33)은 측고정편(31)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최종적으로, 제3 클립(40)을 결합시킴으로써, 앞벽판(5)을 옆벽판(7)에 즉, 등받이(27)를 측고정편(31)에 결합하면, 시트(S)가 완성된다. 이때, 측가동편(33)이 시트(S)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므로, 동승자는 보다 편리하게 시트(S)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위와 역순으로 가동부(13)와 앞벽판(5)을 함 자세로 전환하면, 또 다시 적재함(1)을 원래의 적재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 적재함 3 : 바닥판
5 : 앞벽판 6 : 뒷벽판
7 : 옆벽판 10 : 카트
11 : 고정부 13 : 가동부
20 : 차체 26 : 바닥쿠션
27 : 등받이 31 : 측고정편
33 : 측가동편 35 : 제1 클립
37 : 제2 클립 40 : 제3 클립
H : 지지대 P : 통로
S : 시트

Claims (5)

  1. 적재물을 놓도록 차체(20) 위에 설치되는 바닥판(3); 및
    상기 바닥판(3)의 모서리를 따라 세워져, 상기 적재물의 낙하를 저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판(5,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3)은,
    상기 차체(20)에 움직임 없이 고정되는 고정부(11); 및
    상기 고정부(11)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11)와 일렬로 펴져 고정되는 함 자세에서, 상기 고정부(11)와 나란하게 접혀 고정되는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판(5,6,7) 중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가동부(13)의 선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지는 앞벽판(5)은 상기 가동부(13)의 선단 모서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시트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벽판(5,6,7) 중 상기 바닥판(3)의 측단에 모서리를 따라 세워진 옆벽판(7)은,
    상기 고정부(11)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측고정편(31); 및
    상기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측가동편(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가동편(33)은 상기 가동부(13) 측단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함 자세에서는 상기 측고정편(31)과 연이어 일렬로 고정되고, 상기 시트 자세에서는 상기 측고정편(31) 내측에 나란하게 인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13)는 상기 함 자세로 펴져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 부분이 상기 차체(20)의 바닥에 설치된 지지대(H)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벽판(5)은 상기 시트 자세에서 상기 가동부(13)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도록, 상단에 연장된 등받이(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가동편(33)을 상기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측방힌지(29)는 일측 힌지팔(41)이 상기 측가동편(33)의 모서리면에 부착되고, 타측 힌지팔(43)이 상기 가동부(13)의 저면 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함 자세에서 상기 시트 자세로 변형될 때, 상기 측고정편(31)에서 해제되어 피벗 회동한 상기 측가동편(33)이 상기 가동부(13)의 측단 모서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동부(13)에 대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KR1020160127060A 2016-09-30 2016-09-30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KR10186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60A KR101863720B1 (ko) 2016-09-30 2016-09-30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60A KR101863720B1 (ko) 2016-09-30 2016-09-30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84A KR20180036884A (ko) 2018-04-10
KR101863720B1 true KR101863720B1 (ko) 2018-06-04

Family

ID=6197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60A KR101863720B1 (ko) 2016-09-30 2016-09-30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854A (ko)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6852A (ko)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제어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4048A1 (en) * 2004-03-31 2005-12-01 Collins Harry S Seat and cargo carri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15Y1 (ko) 2003-10-15 2004-01-03 이건남 레저차량용 적재함
US8322770B2 (en) * 2009-12-29 2012-12-0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4048A1 (en) * 2004-03-31 2005-12-01 Collins Harry S Seat and cargo carri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84A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5763A (en) Rear sea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and the like
CN203793444U (zh) 车辆负载地板组件
US6698829B1 (e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movable panels mounted thereon
US3011822A (en) Folding backrest for station wagons
US20080169668A1 (en) Vehicle trunk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tructure
JP5115290B2 (ja) デッキボード及びデッキボードの取付構造
US10399501B2 (en) Concealable vehicle cargo area storage system
US10625680B1 (en) Seating assembly
BR102015006807A2 (pt) veículo com conjunto de prateleira traseira, rotativo e retrátil
KR101863720B1 (ko)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GB2456345A (en) Luggage system for a vehicle
JP2009051455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構造
US10358058B2 (en) Gap hiding structure for vehicle luggage floor
JP3137892B2 (ja)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の構造
JP2001001805A (ja) 車両用センタシートの取付構造
JPS5921965Y2 (ja) 自動車等の荷物室のパ−セルシエルフ装置
JPH078305Y2 (ja) 車両用補助シート
JPH09118159A (ja) 車両用リヤシート構造
JP2005297632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551569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4313357A (ja) 車載用ベッド構造
CN116691523A (zh) 车辆的置物机构及车辆
JPH092121A (ja) 自動車のシート支持装置
JP545883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711438U (ja) 航空機用座席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