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854A -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854A
KR20210126854A KR1020200044414A KR20200044414A KR20210126854A KR 20210126854 A KR20210126854 A KR 20210126854A KR 1020200044414 A KR1020200044414 A KR 1020200044414A KR 20200044414 A KR20200044414 A KR 20200044414A KR 20210126854 A KR20210126854 A KR 2021012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ata
time
ser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범
김진성
손정은
남서영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854A/ko
Publication of KR2021012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작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공기를 조화하며,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관리되는 공기조화기의 이상 유무 판단을 클라우드 서버에서 진행할 때, 최적의 데이터 송수신 및 진단 로직을 제공하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데이터 전송으로 이상 진단을 수행하도록 시간차를 두고 데이터를 감지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에러 발생 시에 즉각적이고 정확한 이상 진단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상을 진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내 가전 기기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를 소비자가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기기의 성능과 동작 조건에 따라 가전 기기들 중 해당 이상 여부 감지가 가능한 기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기기들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10-2015-0103136호 에는 각 가전 기기가 자체적으로 발생한 오동작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전류 패턴 등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에러 코드 발생 및 전류 이상 패턴 발생 시에 주요 부품 소손 진행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일 수 있어 진단 자체의 정확성에 신뢰성이 떨어진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10-2020-7002899호의 경우, 음성으로 기기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음성을 판독하여 불량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이미 이상 여부를 발견하고 음성으로 외부 서비스센터에 통신망을 통해 고장 여부를 전송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고, 이상 발생 시점과 발견 시점의 차이에 의한 장치 소손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가전 기기에 대한 서버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클라우드 서버로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기기의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 특허 10-2018-0036884호는 각 가전의 전력 사용 측정 및 누적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여 이를 매시간마다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에너지 관리는 매시간마다 해당 가전의 전력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연산 부하가 급증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5-0103136호 (공개일 : 2017년 02월 02일) 한국 공개 특허 10-2012-7002899호 (공개일 : 2012년 06월 12일) 한국 공개 특허 10-2018-0036884호 (공개일 : 2019년 10월 22일)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36884호에서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산이 매시간에 걸쳐 전송되고 연산됨으로써 트래픽 및 연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큰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관리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데이터 송수신 및 진단 로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공기조화기의 에러 발생 시에 즉각적이고 정확한 이상 진단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과제는 최소한의 데이터 전송이 충족될 때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상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과제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기기의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알림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기기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작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공기를 조화하며,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구동 유닛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시작 명령을 수신 후 감지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 읽어들이고, 상기 초기 데이터 이후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 읽어들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초기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로부터 이상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초기의 상기 감지데이터와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초기 데이터와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상 감지 로직을 구동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에러가 없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동작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소정 시간 동안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시간이 120 시간 이상인 것을 충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누적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기조화기 제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공기조화기가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 수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시작 명령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여 동작 데이터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초기 데이터와 상기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진단 로직을 실행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된 이상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초기 데이터와 상기 감지 데이터 중 동일 센서의 감지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에러가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동작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소정 시간 동안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읽어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이 있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관리되는 공기조화기의 이상 유무 판단을 클라우드 서버에서 진행할 때, 최적의 데이터 송수신 및 진단 로직을 제공하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데이터 전송으로 이상 진단을 수행하도록 시간차를 두고 데이터를 감지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에러 발생 시에 즉각적이고 정확한 이상 진단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기기의 다양한 기능에 대하여 알림함으로써 사용자의 적극적인 기기 활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이상 진단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서 공기조화기의 미사용 기능 안내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미사용 기능 안내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클라우드 서버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기(200)를 구비하여 집 등의 규정된 장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가정 등에서 지정된 장소의 공기 순환 및 냉난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조화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공기조화기(200)는 포함하는 기능 블럭에 따라 제습, 공기순환, 냉방, 난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조화기(200) 및 복수의 인공지능 공기조화기(200)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원격에서 복수의 공기조화기(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을 판단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조화기(200)를 이용하여 더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복수의 로봇 청소기(100) 및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조화기(200) 및 서버(100)는 PC,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300) 및 외부의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조화기(200) 및 서버(100)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100)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배치되는 영역 내의 공유기 등을 통해 외부의 서버(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공기조화기(200)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로봇(100) 및/또는 서버(100)와 무선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가 5G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경우, 실시간 응답 및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PC, 이동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300)을 통하여 공기조화기 시스템 내의 공기조화기(10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는 클라우드(cloud) 서버(100)로 구현되어, 공기조화기(100)에 클라우드 서버(100)가 연동되어 공기조화기(200)를 모니터링, 제어하고 다양한 솔루션을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 기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제공하는 서버(100)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관제 서버(100)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를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제어하거나, 개별 공기조화기(200) 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100)는, 복수의 서버로 정보, 기능이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기조화기(200) 및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실내 배치되는 공유기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의 제어 및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배포가능하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00)로서 적용되는 PC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의 다양한 전자제품을 동시에 제어하고 관리 감독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SmartThinQ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스마트 가전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10), 실내기들(210)에 연결되는 실외기들(25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실내기(210) 및 실외기(250) 이외에도,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규모에 따라 칠러, 공조유닛, 냉각탑 등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각 유닛이 상호 연결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200)는 건물 내, 이동장치, 보안장치, 경보장치 등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는, 복수의 실내기와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공유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50)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50)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10)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50)는 실내기(210)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21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250)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250)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이때, 실외기(250)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210)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250)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0)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210)는 복수의 실외기(25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10)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는 공유기(280)와 별도의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실내기(210)는 내부에 메인제어부(25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40)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표시장치, 전계표시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현가능하며, 기능 설정 유무 항목, 모드 명칭 항목, 각 모드별 난방 희망 온도 항목, 냉방 희망 온도 항목, 운전 온/오프 항목, 희망 풍량 항목 등을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각 항목에 대한 설정 명령을 직접 수신 가능하다.
각 항목은 버튼,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으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1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소정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40)와 유닛의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는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유닛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저장부(230)에는, 각 기능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설정에 대한 통신데이터, 외부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감지되는 동작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30)는 유닛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소정 시간 동안 누적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의 히스토리가 누적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2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는 수신부(221)와 송신부(222)를 포함한다.
센싱부(26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26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습도센서, 유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는 복수로 구비되어, 실내온도, 실외온도, 실내열교환기 온도, 실외열교환기 온도, 배관온도를 감지하여 메인제어부(25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입출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메인제어부(250)로 입력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뿐 아니라, 수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260)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실내기(210)가 배치된 공조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실내기(210)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인식하여 사용자, 물체, 공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250)의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제어대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그 구동을 제어한다.
메인제어부(250)는 예를 들어, 베인 구동, 팬 구동, 실내기(210) 팬 구동, 하나 이상의 베인 구동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작 시작 명령에 따라 소정 시간에 걸쳐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고, 이를 저장하며 설정에 따라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250)는 통신부(220)를 통해 실내 배치되어 있는 공유기(280)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서버(100)와 송수신함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능하며, 클라우드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구동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메인제어부(250)는 데이터전송 판단부(251) 및 누적시간 판단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외부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초기 데이터 전송 판단을 수행하고, 초기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제1 시간 경과를 카운트하여 제1 시간 경과 후의 감지 데이터를 읽어 동작 데이터로서 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초기 데이터 전송과 동작 데이터 전송 사이의 제1 시간 경과를 카운트함으로써 초기 데이터 이후의 제1 시간 경과한 때의 데이터 값과 초기 데이터 값의 비교에 의해 현재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주기적으로 센싱부(26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지 않고, 시작 시점에서 한번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고, 시작 지점 이후로 소정 시간 경과한 이후의 감지 데이터를 수득함으로써 두 개의 감지 데이터만의 비교를 통해 본 공기조화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한번의 시작 명령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를 추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감지 및 전송의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최적 시점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시작 명령이 수신된 시작 시점 이후로부터 동작 종료시까지의 동작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시간을 이전 동작 시간에 누적하여 누적 동작 시간을 연속적으로 카운트한다.
이때,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누적된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고, 공기조화기(200)의 누적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되면, 이때, 통신부(220)를 통해 누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적시간 판단부(253)가 전송하는 누적 데이터는 소정 시간동안 사용한 공기조화기(200)의 기능에 대한 정보, 즉 동작 히스토리로서, 각 기능 사용 시간 및 사용 결과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적시간 판단부(253) 및 데이터 전송 판단부(251)의 동작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200)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서버(10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실외기(250) 및 실내기(21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복수의 실내기(210)에 연결되어 실내기(210)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및 이상 검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서버(100)는 복수의 공기조화기(2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각 공기조화기(200)에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100)의 이상 검진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소정 조건이 충족될 때 발생함으로써, 데이터 트래픽을 줄이고, 연산 부하를 줄이면서도 최적화된 데이터만으로 이상 여부를 검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클라우드 서버(100)를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공기조화기(200)의 이상 여부를 검진하기 위하여 저장부(110), 로직 진입 판단부(120), 제어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각 제품, 즉 공기조화기(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10)는 각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와 함께 수신하는 시간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각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에 대하여 이전의 동작 데이터를 히스토리 정보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상 발생 역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로직 진입 판단부(120)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시작 명령이 전송된 이후에 초기 데이터가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상 진단 로직에 돌입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로직 진입 판단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시작명령을 발송한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에 매칭되는 아이디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초기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작동 누적시간 판단 시에도 해당 공기조화기(200) 아이디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로직 진입 판단부(120)로부터 초기 데이터의 수신이 확인되어 로직 돌입 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진단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아이디의 공기조화기(200)에 대한 동작 이상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도 4와 같이 이상 작동 진단부(151) 및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작동 진단부(151)는 초기 데이터와 작동 제이터를 모두 수신할 때, 이와 같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해당 공기조화기(200)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하는 초기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는 소정 기간 경과된 시점의 데이터값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초기 데이터는 해당 공기조화기(200)에 대한 시작 명령이 발송된 후 처음 전송되는 데이터 값으로 정의할 수 있고, 동작 데이터는 초기 데이터 수신 이후 소정 기간 경과 후의 데이터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값은 공기조화기(200)의 실내기(210) 및 실외기(250) 각각에 대한 감지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감지 데이터는 실내 온도, 실내 배관 온도, 실외 온도, 실외 배관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작동 진단부(151)는 이와 같이 2개의 데이터를 수령하는 때에 진단 로직을 수행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후에는 동작 종료 시까지 추가적인 진단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는 작동 누적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되면, 소정 시간 내의 데이터를 저장부(110)로부터 읽어들여 소정 기간 동안 공기조화기(200)의 기능 중 사용하지 않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이상 작동 진단부(151)와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로부터 현재 기능 수행 중의 이상이 발생하는지 여부 및 소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를 위해 메시지 생성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 작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이상 진단의 종류에 따라 특정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60)로 전달한다.
한편, 미사용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사용 유도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60)로 전달한다.
출력부(160)는 메시지 생성부(155)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상 작동 진단부(151) 및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는 각각의 기능 블록으로서, 알고리즘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각각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독립된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50)는 로직 판단 주기를 고정으로 가질 수도 있으나, 각 기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즉, 모든 공기조화기(200)에 대하여 시작 명령 전송하고 초기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제1 시간 경과 후 수신되는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 정의하며, 이때의 제1 시간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3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으로 세팅 가능하다. 또한, 기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제1 시간이 경과되면 동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누적 데이터에 대하여도 제2 시간 경과 후에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할 때, 제2 시간은 100 내지 150 시간, 구체적으로는 120 시간을 충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시간 역시 기기에 따라 개별적으로 세팅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진단 및 미사용 기능 판단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공기조화기(200) 시스템의 이상 진단 동작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의 공기조화기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이상 진단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공기조화기(200)가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S10),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한다(S11).
이와 같은 감지 데이터는 실내기(210) 및 실외기(250)의 각각의 센서를 통한 배관 온도 및 실내 온도와 실외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는 이와 같이 수득된 감지 데이터를 조기 데이터로서 서버(100)로 전송한다(S12).
서버(100)는 저장부(110)에 해당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때, 해당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 및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S13).
다음으로,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1 시간이 경과하면(S14), 공기조화기(200)는 다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한다(S15).
이때, 제1 시간은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10분 내지 30분의 경과 시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분일 수 있다.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각 센서들로부터 수득한 감지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 정의하여 서버(100)에 전송한다(S16).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200)의 동작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은 도 6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공기조화기(200)는 수신부(221)를 통해 리모컨으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240)의 터치 등을 통해 시작 명령을 수신한다(S50).
메인제어부(250)는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각 구동부를 구동하여 공기조화기(200)의 작동을 명령한다. 이때, 공기조화기(200)가 동작을 시작하면 각 센싱부(26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한다(S52).
이와 같은 감지 데이터는 실내기(210) 및 실외기(250)의 각각의 센서를 통한 배관 온도 및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00)의 메인제어부(250)는 송신부(222)를 통해 이와 같이 수득된 감지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서 서버(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로 제1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시간을 계수한다(S53).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제1 시간 내에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54). 이때 발생하는 에러로는 공기조화기(200)의 특정 유닛의 전원 오프 등의 오작동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 경우, 카운트를 종료하고 해당 에러 발생을 서버(100)로 전송하면서 전체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에러 없이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1 시간이 경과하면(S55), 데이터전송 판단부(251)는 다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한다(S56).
이때, 수득하는 감지데이터는 초기 데이터와 동일한 센서들에 대한 감지 데이터로서, 실내기(210) 및 실외기(250)의 각각의 센서를 통한 배관 온도 및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은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10분 내지 30분의 경과 시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분일 수 있다.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각 센서들로부터 수득한 감지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 정의하여 서버(100)에 전송하고, 이번 시작 명령에 대한 이상 동작을 진단하기 위한 동작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서버(100)는 동작 데이터까지 수득하여 저장부(110)에 해당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와 함께 저장한다.
다음으로, 동작 데이터까지 수득되면, 서버(100)는 로직 진입 판단부(120)가 이를 판단하여, 이상 진단 로직을 수행한다(S17)(S100).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로직 진입 판단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시작 명령을 발송한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에 매칭되는 아이디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초기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해당 공기조화기(200)에 대하여 초기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가 모두 수신된 경우, 이상 작동 진단 로직을 진행하도록 결정한다(S120).
제어부(150)는 로직 진입 판단부(120)로부터 초기 데이터의 수신이 확인되어 로직 돌입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진단 로직을 수행하여 해당 아이디의 공기조화기(200)에 대한 동작 이상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은 진단 로직으로는 실내기(210)의 온도 및 실외기(250)의 온도와 실내 온도 및 실외 온도의 초기 데이터와 동작 데이터 값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공기조화기(200)의 동작에 이상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130),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 내에 먼저 발송한 알림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40).
이때, 소정 시간은 하루, 즉 24시간일 수 있으나 이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먼저 발송한 알림 메시지가 없는 경우, 제어부(150)의 메시지 생성부(155)는 현재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출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S160).
이때, 생성되어 전송되는 메시지는 도 6과 같이 특정 영역의 이상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과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공기조화기(200)에 대하여 "에어컨 실내기(210) 차폐를 확인해주세요"라는 문구로 알림할 수 있다(S18).
저장부(110)는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저장하며 이때, 해당 공기조화기(200)의 아이디 및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검토하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시작 명령 수신 이후로 이상 검진과 함께 미사용 기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서 공기조화기의 미사용 기능 안내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5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미사용 기능 안내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5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공기조화기(200)는 시작명령 수신 이후로 현재까지의 작동 시간을 연속적으로 누적한다(S19).
이때, 누적 시간은 기 미사용 기능 판단 이후로 리셋되어 카운트될 수 있다.
이대, 지난 미사용 기능 판단 이후로 작동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경과한 경우, 공기조화기(200)는 해당 시점의 누적 데이터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20).
서버(100)는 이와 같은 시점의 누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공기조화기(200)에 대하여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여(S21), 사용자 단말(300)로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S22).
구체적으로, 도 9를 참고하면, 먼저 공기조화기(200)는 수신부를 통해 리모컨으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240)의 터치 등을 통해 시작 명령을 수신한다(S300).
메인제어부(250)는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각 구동부를 제어하여 공기조화기(200)를 작동시킨다.
이때,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공기조화기(200)가 작동하면,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로 작동 경과 시간을 계수한다(S320).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지난 작동 누적 시간에 연속하여 현재 작동 경과 시간을 누적하여 카운트하며, 누적된 작동 누적 시간이 제2 시간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30).
제2 시간은 100 내지 150 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120 시간일 수 있다.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작동 누적 시간이 제2 시간보다 커지는 때에 제2 시간 동안의 누적 데이터를 저장부(230)로부터 읽어들여 송신부(222)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한다(S340).
이때, 누적 데이터는 소정 기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동작 히스토리로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소정 기간 동안의 동작 데이터는 일 예로 한달 동안의 동작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누적시간 판단부(253)는 누적 데이터를 전송하면 작동 누적 시간을 리셋하고 다음 시작 명령을 수신하는 때부터 다시 작동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세팅한다(S350).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서버(100)의 로직 진입 판단부(120)는 작동 누적 시간 경과 후의 누적 데이터를 수신하면(S200), 해당 공기조화기(200)에 대한 소정기간의 동작 데이터를 모두 읽어들여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미사용 기능 판단 로직을 시작한다.
즉,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는 로직 진입 판단부(120)로부터 로직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부(110)로부터의 소정 기간, 일 예로 이전 한달 동안의 동작 데이터를 동작 히스토리로서 모두 읽어들인다(S210).
이 기능 미사용 감지부(153)는 동작 히스토리를 검토하여 한달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한달 동안 공기조화기(200)의 다양한 기능 중 전혀 사용하지 않은 기능이 존재하는 경우(S220), 제어부(150)는 소정 기간 내에 기능 추천 알림이 없었는지 판단한다(S230).
즉, 사용자 단말(300)로 이와 같은 미사용 기능 추천에 대한 알림이 있었는지 판단하고, 기능 추천 알림이 없는 경우, 해당하는 미사용 기능 추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출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S240).
이때, 생성되는 미사용 기능 추천 알림 메시지는 도 11과 같이,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 가능하며, 미사용 기능이 공기 청정 기능인 경우, "공기 청정 기능은 어떠세요? 미세먼지 많은 날 사용해 주세요."라는 문구로 표시 가능하다.
이때, 도 8과 달리 별도의 소리 또는 발광 등의 추가적인 알림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해당 알림 수행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해당 시점부터 제2 시간을 리셋하여 해당 리셋 정보를 공기조화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200)를 제어하는 서버(100)의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공기조화기(2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때, 이를 통해 이상 진단을 수행한다. 이때, 주기적으로 이상 진단을 수행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사용되고, 주기마다 읽어들인 데이터 기반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매우 많은 수효의 판단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진단의 경우, 동작 시작 명령 수신 시점의 초기 데이터와, 초기 데이터 전송 이후 제1 시간 경과된 시점의 동작 데이터만을 수령하면 해당 동작 시작 명령에 대한 이상 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상 진단은 1회에 한정되며, 동작 이상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동일한 로직을 반복함으로써 발생하는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데이터와 소정 시간 경과 후의 동작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동작이 제대로 진행되는지 가장 효율적으로 진단 가능하여 불필요한 반복 진단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이상 진단을 위한 데이터 수신과 함께, 시간 카운트를 통해 소정 시간 내의 기능 사용에 대한 히스토리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대한 알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시간 계수를 진행하면서 부가적인 판단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에 대한 소개 및 적절한 시기의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이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빌딩설비 에너지 관리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클라우드 서버 110: 저장부
120: 로직 진입 판단부 150: 제어부
160: 출력부 250 : 메인제어부
251: 데이터전송 판단부 253: 누적시간 판단부
200: 공기조화기 210: 실내기
250: 실외기 300: 사용자 단말

Claims (20)

  1. 시작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공기를 조화하며,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시점의 감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서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구동 유닛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시작 명령을 수신 후 감지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 읽어들이고, 상기 초기 데이터 이후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동작 데이터로 읽어들이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초기 데이터 및 상기 동작 데이터를 상기 제어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이상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초기의 상기 감지데이터와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초기 데이터와 제1 시간 경과 시점의 상기 동작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상 감지 로직을 구동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에러가 없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동작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소정 시간 동안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시간이 120 시간 이상인 것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누적시간을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공기조화기 제어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3. 공기조화기가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로 수득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시작 명령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여 동작 데이터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초기 데이터와 상기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진단 로직을 실행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공기조화기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된 이상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초기 데이터와 상기 감지 데이터 중 동일 센서의 감지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에러가 없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시작 명령 이후의 동작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 상기 감지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누적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 때의 상기 감지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소정 시간 동안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미사용 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읽어 상기 미사용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사용 기능에 대한 알림이 있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044414A 2020-04-13 2020-04-13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6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14A KR20210126854A (ko) 2020-04-13 2020-04-13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414A KR20210126854A (ko) 2020-04-13 2020-04-13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54A true KR20210126854A (ko) 2021-10-21

Family

ID=7826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414A KR20210126854A (ko) 2020-04-13 2020-04-13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4778A (zh) * 2021-12-27 2022-04-08 深圳市兴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教室灯具的空气循环消毒净化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136A (ko) 2013-02-28 2015-09-09 인텔 코포레이션 상이한 상호접속 프로토콜을 위한 하나의 상호접속 프로토콜의 열거 및/또는 구성 메커니즘의 레버리징
KR20180036884A (ko) 2016-09-30 2018-04-10 (주) 로웰에스엠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136A (ko) 2013-02-28 2015-09-09 인텔 코포레이션 상이한 상호접속 프로토콜을 위한 하나의 상호접속 프로토콜의 열거 및/또는 구성 메커니즘의 레버리징
KR20180036884A (ko) 2016-09-30 2018-04-10 (주) 로웰에스엠 스마트 카트용 시트 가변식 적재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4778A (zh) * 2021-12-27 2022-04-08 深圳市兴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教室灯具的空气循环消毒净化方法及系统
CN114294778B (zh) * 2021-12-27 2023-11-14 深圳市兴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教室灯具的空气循环消毒净化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63B2 (en) HVAC analytics
EP360725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64792A1 (ja) 監視システム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2009014233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管理システム
JP2008232531A (ja) リモート性能監視装置及びリモート性能監視方法
EP236695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518208B2 (ja) 空気調和装置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遠隔管理方法
US10782040B2 (en) Heat pump system with fault detection
CN114877488A (zh) 一种空调系统及其脏堵确定方法
KR20210126854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6196978A (ja)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US11739965B2 (en) Thermostat with segmented display
JP582193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210126853A (ko) 공기조화기 제어 서버
KR1015882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시운전 결과 출력방법
JP430006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31805B1 (ko) 공조 시스템의 통신장애 복구방법, 이를 이용하는 공조 컨트롤러 및 공조 시스템
KR201200337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6852A (ko) 공기조화기 제어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22295A (ko) 공기조화기 제어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JP2011242085A (ja) 空気調和機
KR20070060337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KR2021009441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2585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