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11B1 -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11B1
KR101863511B1 KR1020170122426A KR20170122426A KR101863511B1 KR 101863511 B1 KR101863511 B1 KR 101863511B1 KR 1020170122426 A KR1020170122426 A KR 1020170122426A KR 20170122426 A KR20170122426 A KR 20170122426A KR 101863511 B1 KR101863511 B1 KR 10186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weight
preparing
main materi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수
Original Assignee
안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수 filed Critical 안병수
Priority to KR102017012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4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은,
녹용 25 내지 40 중량% 및 당귀 25 내지 40 중량% 및 산수유 25 내지 40 중량% 및 사향류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주재료 1 내지 10 중량%와 정제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용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탕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증류 처리하며 냉각관을 통해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증류 여액에 염도 및 산도를 조절하여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소분된 상기 약침액을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멸균 후 0 내지 3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Kongjindan Injection Liquid}
본 발명은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환제 형태의 공진단을 혈맥 및 경혈 주입용 약침약으로 조제하여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쉽게 접근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며, 약침 형태의 조제를 통해 기존의 환제 조제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고대 의학 문헌에 따르면 옛날부터 내려오는 우리 전통의 한방 약재의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고, 근래에는 이들 생약재에 대한 과학적인 임상실험 등을 거쳐 그 효능이 하나 둘씩 규명되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는 양약이 해결할 수 없는 불치병에 이르기까지 한약을 복용하여 치료하는 사례가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더 나아가 근래에는 환제 형태의 한약을 약침 형태로 조제하여 이를 직접 주사하는 약침 요법이 도입되어 한의학의 발전이 이루어졌는데, 약침이라 함은 경혈이나 혈맥, 압통점 같은 특정 부위에 정제된 액체 형태의 약을 직접 주입하는 침법으로, 주사제 형태로 제조된 약물추출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경혈, 혈맥, 또는 통처에 주입함으로써 치료작용과 약리작용을 혼합하는 한방 치료법이다.
더 나아가 약침 요법은 혈을 자극함과 동시에 고유의 약리 효과를 가진 한약재의 추출물의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약을 복용하기 어려운 환자나 응급 환자에게도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약침 요법을 이용할 시 순수 한약재에서 정제, 추출한 한약제제를 경혈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침의 작용과 함께 한약의 작용을 병행할 수 있어 그 치료효과가 배가 됨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약침 요법에 필요한 약침액에 관련한 선행기술에 있어, 한국 등록특허 제 10-1423673호에 ‘산양산삼 약침액 추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한방 의료행위인 혈맥 및 경혈주입을 위한 산양산삼 약침액의 추출 시, 버블 발생에 따른 발열성 물질인 엔도톡신의 검출 방지와 유효 성분을 증대할 수 있는 산양산삼 약침액 추출 장치로서, 반응조 외부에 공급수를 채우고 히팅을 가하여 증류수의 온도, 압력, 시간을 조절하여 반응조에 전달하는 간접 가열 방식을 채택하였고, 반응조의 상층부에의 질소 주입을 통한 버블의 분산과 억제 및 반응조의 하층부에의 질소 주입을 통해 약액의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컨트럴 박스를 통하여 상한 및 하한 온도값을 설정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마그네틱 모터의 RPM을 조절하여 약액의 혼합을 증대시켰으며, 충분한 전탕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환류 냉각 방식과 이중 냉각관을 통하여 기화를 막고 완전한 액화를 통하여 원료의 손실을 줄였으며 진공 방지 및 외부 공기 유입에 대한 억제 수단으로 제균 여과 필터를 장치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약침액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스테인레스를 통한 안정적인 열전달 및 밀폐형 구조를 통한 안정적인 성분의 전달, 질소 주입을 통한 버블의 억제와 엔도톡신(발열성 물질)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 더 나아가, 단일 제제의 약침액을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제 형태의 공진단을 혈맥 및 경혈 주입용 약침약으로 조제하여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쉽게 접근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며, 약침 형태의 조제를 통해 기존의 환제 조제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더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제 형태의 공진단을 혈맥 및 경혈 주입용 약침약으로 조제하여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쉽게 접근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며, 약침 형태의 조제를 통해 기존의 환제 조제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침액을 체액과 유사한 농도로 제조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내독성 시험을 거치게 하여 미생물에 대한 근본적인 차단 및 지속적 보관을 가능케 하며, 신체 내에서의 안전성을 높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진단 약침액에 포함되는 사향의 유효 성분인 L-무스콘의 전처리를 통해 L-무스콘의 친수성을 증대시켜 약효를 배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공진단 약침액에 포함되는 당귀의 전처리를 통해 당귀의 유효 성분 함량을 높여 공진단 약침액을 통한 치료 효과를 보다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은, 녹용 25 내지 40 중량% 및 당귀 25 내지 40 중량% 및 산수유 25 내지 40 중량% 및 사향류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주재료 1 내지 10 중량%와 정제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용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탕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증류 처리하고 냉각관을 통해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증류 여액에 염도 및 산도를 조절하여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소분된 상기 약침액을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멸균 후 0 내지 3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사향류는, 사향, 목향, L-무스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주재료를 직경 0.1 내지 500 μm로 조분쇄하는 단계와, 조분쇄된 상기 주재료를 직경 1 내지 500 nm로 초미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 여액의 pH가 6.8 내지 7.5가 되도록 상기 증류 여액에 산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상기 증류 여액의 전체 중량 대비로, 5 내지 10 중량%의 소듐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은,
1) 환제 형태의 공진단을 혈맥 및 경혈 주입용 약침약으로 조제하여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에게 쉽게 접근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며, 약침 형태의 조제를 통해 기존의 환제 조제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2) 약침액을 체액과 유사한 농도로 제조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내독성 시험을 거치게 하여 미생물에 대한 근본적인 차단 및 지속적 보관을 가능케 하며, 신체 내에서의 안전성을 높였으며,
3) 공진단 약침액에 포함되는 사향의 유효 성분인 L-무스콘의 전처리를 통해 L-무스콘의 친수성을 증대시켜 약효를 배가시킴과 동시에,
4) 공진단 약침액에 포함되는 당귀의 전처리를 통해 당귀의 유효 성분 함량을 높여 공진단 약침액을 통한 치료 효과를 보다 증대시킨 효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L-무스콘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당귀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은,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및,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1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2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약침액을 여과 처리하는 단계,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소분된 약침액을 멸균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먼저, 녹용 25 내지 40 중량% 및 당귀 25 내지 40 중량% 및 산수유 25 내지 40 중량% 및 사향류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주재료를 준비한다. 녹용과 당귀, 산수유, 사향류는 공진단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여기에 추가적으로 육계, 부자, 귤피, 패모, 오미자, 인삼, 숙지황, 침향, 목향 등을 추가하여 주재료를 준비할 수도 있으나, 기본적으로 녹용과 당귀, 산수유, 사향류가 포함되어야 한다.
첫 번째 주재료인 녹용은 매화록(Cervus nippon Temminck), 마록(Cervus elaphus linne) 또는 대록(Cervus canadenis Erxleben)의 숫사슴의 털이 밀생되고 아직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이다.
두 번째 주재료인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서, 단백질, 지방, 회분, 비타민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세 번째 주재료인 산수유는 산수유나무(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의 잘익은 열매로서 씨를 제거한 것이다.
마지막 주재료인 사향류는 사향, 목향, 침향, L-무스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사향이다. 이러한 사향은 낙쟁이사향노루(Moschus berezovskii Flerove), 산사향노루(Moschus chrysogaster Hodgson) 또는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Linne)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로써 그 내용물을 꺼내어 말린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은 녹용 25 내지 40 중량% 및 당귀 25 내지 40 중량% 및 산수유 25 내지 40 중량% 및 사향류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주재료를 기반으로 하므로, 한의학적으로 간이 허하거나 진기가 약한 환자에게 처방되는 것이다.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주재료의 혼합이 완료되면, 주재료를 분쇄하여 주재료와 후술할 정제수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주재료로부터 유효 성분이 충분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주재료의 분쇄 과정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분쇄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를 상기 주재료를 직경 1 내지 500 μm로 조분쇄하는 단계와, 조분쇄된 상기 주재료를 직경 0.1 내지 500 nm로 초미분화하는 단계로 나누어 두 번 분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를 직경 1 내지 500 μm로 조분쇄하는 단계는 준비된 주재료를 믹서 등을 이용하여 1차 조분쇄 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에서 주재료의 입자 크기는 직경 1 내지 500 μm로 분쇄된다.
조분쇄된 상기 주재료를 직경 0.1 내지 500 nm로 초미분화하는 단계는, 직경 0.1 내지 500 μm 정도로 조분쇄된 주재료를 초미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초미분화함으로서, 직경 0.1 내지 500 nm로 주재료를 나노화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2차 분쇄 공정을 통해 나노 사이즈로 분말화된 주재료를 얻을 수 있어, 주재료로부터 유효 성분을 충분히 추출해낼 수 있다.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분쇄된 상기 주재료 1 내지 10 중량%와 정제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내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주재료 1000g (1kg 당) 정제수 40,000L가 투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정제수는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액은 후술할 가열 과정을 거쳐 주재료로부터 유효 성분이 우러난 전탕액으로 제조된다.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내용액의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내용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전탕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가열 시간은 가열 온도에 따라 다소 조절될 수 있으며, 가열 온도가 높을수록 가열 시간은 다소 짧아지게 된다. 전탕액 제조 과정을 통해 주재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 등이 정제수에 추출되어, 공진단 처방 구성의 약효가 충분히 우러나오게 된다.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전탕 과정이 완료되면, 전탕 과정을 통해 제조된 상기 전탕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증류 처리하며 냉각관을 통해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는 냉각 증류 방식으로서,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증류되고 있는 전탕액과 이어진 냉각관을 통해 증류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탕액에 포함된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제된 증류 여액만을 수득할 수 있다.
1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냉각 증류를 통해 얻어진 증류 여액은 엔도톡신에 대한 1차 내독성 시험을 거치게 된다. 이 때 내독성 시험은 내독소(엔도톡신, endotoxin)에 대한 시험으로서, 세균독소인 내독소의 검출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1차 내독성 시험에서는 내독소의 검출 여부를 조사하고 적합 여부를 판정하여, 내독소가 검출되지 않은 증류 여액만을 약침액으로 제조하게 된다.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증류 여액에 대한 내독성 시험이 완료되어 적합 판정을 받으면, 제조된 증류 여액의 염도 및 산도를 조절하여 약침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류 여액에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증류 여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증류 여액에 소듐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류 여액에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증류 여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 여액의 pH가 6.8 내지 7.5가 되도록 상기 증류 여액에 산도조절제를 첨가하는 과정으로서, 이 때 산도조절제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며, 증류 여액의 pH가 별다른 산도조절제 첨가 없이도 6.8 내지 7.5를 만족하는 경우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상기 증류 여액에 소듐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상기 증류 여액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 중량%를 만족하도록 소듐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공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소듐클로라이드의 중량비가 9%가 될 때까지 첨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체액과 같은 소듐클로라이드 함량 및, 체액과 유사한 pH로 조절함으로써 약침액의 신체 적합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pH 및 소듐클로라이드 함량 조절을 통해 약침액이 제조되면, 약침액에 대한 2차 내독성 시험이 이루어진다. 이는 1차 내독성 시험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2차 내독성 시험에 있어서도 내독소가 검출되지 않은 약침액만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약침액을 여과 처리하는 단계
2차 내독성 시험에서 적합 판정을 받은 약침액은 제균 여과 필터를 통해 여과 처리된다. 이 때 제균 여과 필터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0.2㎛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균 여과 필터를 통한 필터 처리를 통해 약침액 속에 남아있을 수 있는 고형분이나 미생물, 파티클 등의 오염원을 사전 차단 및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여과 처리된 약침액은 충진 탱크에 충진 처리된다.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여과 처리된 약침액은 기 설정된 양에 따라 정량 소분되는데, 이 때 소분되는 양에는 제한이 없으며, 1차 약침액 주사량에 따라 10ml 내지 1,000ml 범위에서 소분 처리될 수 있다.
소분된 약침액을 멸균 냉각 처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소분된 상기 약침액을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멸균 후 0 내지 3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냉각 처리하여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이 완성된다.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멸균을 거친 후 0 내지 3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냉각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용기에 소분된 약침액이 용기에서 터지지 않고 안전하게 멸균 및 냉각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있어 주재료인 사향류 및 당귀의 전처리를 통해 공진단의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한 전처리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L-무스콘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사향류로서 사향, 침향, 목향, L-무스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때 사향류로서 L-무스콘을 이용하는 경우, L-무스콘의 전처리를 통해 사향류의 약효를 높임과 동시에 소수성을 나타내는 L-무스콘을 친수성을 나타내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전에는, L-무스콘을 전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때 L-무스콘의 전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L-무스콘을 전처리하는 단계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혼합액을 교반 처리하는 단계와,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와, 친수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인산염 완충액과 친수성액을 혼합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미황색의 기름상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L-무스콘을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1:1 내지 1:5의 몰수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는 L-무스콘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복합체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서, 물에 난용성을 보이는 L-무스콘을 분자 내에 소수성의 공동을 가진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혼합 처리하여 L-무스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 1 내지 10 중량%와 50% 에틸 알코올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L-무스콘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은 모두 알코올에 잘 녹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에틸 알코올과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혼합액을 교반 처리하는 단계
혼합액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혼합액을 20 내지 3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 처리하여 에틸 알코올 베이스의 혼합액 상에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소수성 공동에 L-무스콘이 투입되도록 하여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L-무스콘의 복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이 때 교반 처리는 100 내지 2000 rpm 범위 내에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교반 속도는 교반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교반 처리가 완료되면, 교반 처리된 상기 혼합액을 감압 증류 처리하여 에틸 알코올이 제거된 증류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감압 증류의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에서 감압 증류를 진행하게 되며, 증류 시간은 1 내지 12시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증류액 제조를 통해 복합체 제조가 완료된 혼합액 내부에서 잔존하는 에틸 알코올을 제거하게 된다.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증류액 제조를 통해 에틸 알코올을 제거한다 해도, 증류액 속에 에틸 알코올이 존재할 수 있으며 L-무스콘과 복합체를 이루지 못한 β-사이클로덱스트린 역시 증류액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의 제거를 위해 상기 증류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여, L-무스콘과 복합체를 이루지 못한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잔존하는 에틸 알코올을 제거 처리함으로써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친수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술한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L-무스콘의 전처리 공정을 종료할 수도 있으나, L-무스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 20 내지 40 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 40 내지 70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통해 용해도가 보다 향상된 친수성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때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전처리된 L-무스콘 분말의 용해를 위한 용매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L-무스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보다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산염 완충액과 친수성액을 혼합 처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pH 7.2의 인산염 완충액 1 내지 10 중량%를 상기 친수성액 90 내지 99 중량%와 혼합 처리하여 인산염 완충액을 통해 친수성액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친수성액의 보존성을 높임과 동시에 생체 적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상술한 약침액의 제조 과정에 있어 별도의 산도조절제 첨가 없이도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귀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사향류의 전처리에 이어, 이번엔 당귀의 전처리 공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당귀의 유효 성분으로 포함된 데커신은 그 항산화 효과가 주목받고 있는데, 데커신 추출을 통한 당귀의 전처리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에 있어 항산화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주재료 준비에 있어 전처리된 당귀를 투입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당귀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참당귀를 준비하는 단계, 참당기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참당귀 건조 분말을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데커신 농축액과 당귀를 혼합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당귀를 준비하는 단계
먼저, 데커신 추출을 위한 주재료인 참당귀를 준비하도록 한다. 참당귀 준비 과정에 있어서는 참당귀의 세척이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져야 되는데, 참당귀는 2 내지 5회 정도 냉수 또는 미온수로 세척하도록 하여 잔존하는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참당귀는 신농본초경의 중품에 수재되어 있는 약재로서 한방에서 보혈강장, 조경지혈, 활혈정혈 및 어혈소산의 효능이 있어 빈혈, 혈액순환 장애로 의한 어혈 및 혈전 등에 처방된다.
참당귀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참당귀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참당귀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때 참당귀의 건조를 위해서는 건조기 등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혹은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 건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조 처리를 통해 참당귀의 잔존 수분 함량을 20 중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건조된 참당귀를 분쇄기 등을 통해 분말화하여 참당귀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참당귀 건조 분말을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이와 같이 참당귀 건조 분말이 제조되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 수득을 위해 참당귀 건조 분말을 추출기에 투입한다. 이 때 참당귀 건조 분말은 추출기의 원료주입조에 주입된다. 이 때 이용되는 추출기는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 추출기(SC-CO2 extraction recycle system)이다.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다음으로, 온도 40 내지 80℃ 및 압력 100 내지 300 bar 조건에서, 상기 추출기의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70 내지 80 ml/min가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참당귀 건조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한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 추출에 있어 추출용매를 이산화탄소로 하여 추출물을 얻는 것이다. 이 때 이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는 바람직하게 95% 이상이며, 이산화탄소의 감압팽창 후 비말 동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저장조를 더 구비하여 추출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추출물이 수득되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기 추출물로부터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게 된다. 이 때 이용되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의 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공정에 따라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게 된다.
1) 추출물을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에 주입하는 단계
먼저, 컬럼에 실리카겔을 충진한 뒤 (충진율 95% 이상),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에 추출물을 주입 처리한다.
2) 이동액을 제조하는 단계
그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내지 10 중량%와 증류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이동액을 제조한다. 이 때 이동액으로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이용하므로, 생체적합성이 높은 데커신 농축액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이동액을 상기 컬럼에 1 내지 3 ml/min으로 통과시켜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게 된다. 이 때 이동액이 컬럼을 통과하면서 추출물 속에 포함된 데커신이 함께 이동하게 되어, 컬럼을 통과한 이동액은 추출물 속에 포함된 데커신을 정제 분리시킨 데커신 농축액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데커신 농축액만을 수득하여 전처리에 이용하게 된다.
데커신 농축액과 당귀를 혼합 처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얻어진 데커신 농축액 1 내지 5 중량%와 별도로 준비한 당귀, 바람직하게는 참당귀 95 내지 99 중량%를 혼합 처리하여 당귀의 전처리를 종료한다. 더불어 이와 같이 데커신 농축액과 혼합된 당귀는 별도의 건조 처리를 더 거치게 되어, 데커신 농축액이 당귀에 흡수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함으로써 당귀에 포함된 데커신의 함량을 대폭 상승시켜 약효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예 1, 2, 3, 4 및 대조예의 공진단을 임상 실험자 500명을 대상으로 100명씩 5개의 군으로 나누어 1일 1회 복용 또는 주사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공진단 약침액은 임상 실험자에게 직접 주사되었으며, 대조예의 공진단은 1일 1회 1환 복용을 실시하였다. 임상 실험자들은 설문을 통해 활력 개선 여부에 대해 응답하였으며, 20일 연속 복용 또는 주사를 통해 활력 개선에 도움을 얻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예, 도움을 얻지 못하였다고 생각하면 아니오로 대답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으로서, 전처리된 L-무스콘 및 당귀를 주재료로서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으로서, 전처리된 L-무스콘을 이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
[실시예 3]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으로서, 전처리된 당귀를 이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
[실시예 4]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으로서, 전처리된 당귀 및 전처리된 L-무스콘을 이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
[대조예]
시판 공진단.
시험 결과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100명의 실험자 대부분은 공진단을 통해 증상 개선에 도움을 얻었으나, 대조예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실험자가 보다 높은 증상 호전율을 보였으므로 본 발명의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공진단 약침액의 직접 주사 형태가 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 내지 4 끼리의 상호 비교를 통해 L-무스콘 및 당귀의 전처리 필요성에 대해 절감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10 :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120 :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S130 :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140 :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S150 :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S160 : 1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S170 :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S180 : 2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S190 : 약침액을 여과 처리하는 단계
S200 :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S210 : 소분된 약침액을 멸균 냉각 처리하는 단계

Claims (12)

  1.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으로서,
    녹용 25 내지 40 중량% 및 당귀 25 내지 40 중량% 및 산수유 25 내지 40 중량% 및 사향류 2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주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주재료 1 내지 10 중량%와 정제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용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전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탕액을 100 내지 15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증류 처리하며 냉각관을 통해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증류 여액에 염도 및 산도를 조절하여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소분된 상기 약침액을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멸균 후 0 내지 3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향류는 L-무스콘 분말이고,
    상기 L-무스콘 분말은,
    L-무스콘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1:1 내지 1:5의 몰수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 1 내지 10 중량%와 50% 에틸 알코올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20 내지 3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 처리하는 단계와, 교반 처리된 상기 혼합액을 감압 증류 처리하여 에틸 알코올이 제거된 증류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액을 동결 건조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되고,
    상기 L-무스콘 분말을 수득한 이후에는,
    상기 수득된 L-무스콘 분말 20 내지 40 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 40 내지 70 중량%을 혼합하여 친수성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pH 7.2의 인산염 완충액 1 내지 10 중량%를 상기 친수성액 90 내지 99 중량%와 혼합 처리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주재료를 직경 1 내지 500 μm로 조분쇄하는 단계와,
    조분쇄된 상기 주재료를 직경 0.1 내지 500 nm로 초미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증류 여액의 pH가 6.8 내지 7.5가 되도록 상기 증류 여액에 산도조절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상기 증류 여액의 전체 중량 대비로, 5 내지 10 중량%의 소듐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전탕액에 대한 1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약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약침액에 대한 2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내독성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약침액을 소분 처리하는 단계 사이에는,
    2차 내독성 시험을 마친 상기 약침액을 제균 여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는,
    참당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참당귀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참당귀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참당귀 건조 분말을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온도 40 내지 80℃ 및 압력 100 내지 300 bar 조건에서, 상기 추출기의 입구 및 출구에서 유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70 내지 80 ml/min가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참당귀 건조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기 추출물로부터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데커신 농축액 1 내지 5 중량%와 당귀 95 내지 99 중량%를 혼합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로부터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에 주입하는 단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내지 10 중량%와 증류수 90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이동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동액을 상기 컬럼에 1 내지 3 ml/min으로 통과시켜 데커신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KR1020170122426A 2017-09-22 2017-09-22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KR10186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26A KR101863511B1 (ko) 2017-09-22 2017-09-22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26A KR101863511B1 (ko) 2017-09-22 2017-09-22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11B1 true KR101863511B1 (ko) 2018-05-31

Family

ID=6245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426A KR101863511B1 (ko) 2017-09-22 2017-09-22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733B1 (ko) * 2019-10-25 2021-02-09 김용수 미생물이 제거된 사향 수용액의 제조방법
KR102260281B1 (ko) * 2020-08-20 2021-06-03 광동제약 주식회사 엘-무스콘을 포함하는 액상화제의 함량저감 방지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889B1 (ko) * 1997-05-21 1999-06-15 박대규 엘-무스콘의 포접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21998A (ko)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약침용 주사액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약침용주사액.
KR20100060709A (ko) *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신을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 및 가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데커신을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7611B1 (ko) * 2013-12-30 2014-06-13 (주)약침학회 산약을 포함하는 안면신경마비 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과 그 추출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889B1 (ko) * 1997-05-21 1999-06-15 박대규 엘-무스콘의 포접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21998A (ko)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장생도라지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약침용 주사액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약침용주사액.
KR20100060709A (ko) *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신을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 및 가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데커신을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7611B1 (ko) * 2013-12-30 2014-06-13 (주)약침학회 산약을 포함하는 안면신경마비 치료용 약제의 제조방법과 그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拱辰丹 藥鍼刺戟이 血液 및 各 免疫組織의 淋巴球와 CD4+ T細砲에 미치는 影響"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년) *
"拱辰丹 藥鍼刺戟이 血液 및 各 免疫組織의 淋巴球와 CD4+ T細砲에 미치는 影響"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년) *
논문1:경희대학교 (1999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733B1 (ko) * 2019-10-25 2021-02-09 김용수 미생물이 제거된 사향 수용액의 제조방법
KR102260281B1 (ko) * 2020-08-20 2021-06-03 광동제약 주식회사 엘-무스콘을 포함하는 액상화제의 함량저감 방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223B2 (en) Methods for inhibiting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production, inhibiting fibroblast apoptosis, and/or promoting human fibroblast-collagen grating formulation using cherry blossom and cherry leaf extract
IL299047A (en) Cannabis fat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EP234541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urifing ve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63511B1 (ko) 공진단 약침액의 제조방법
DE19953829A1 (de) Nasenspray (-Tropfen) zur Behandlung von Fieber, Erkältung sowie seine Herstellung
CN107411987A (zh) 一种面部清痘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CN106822739A (zh) 一种药食同源预防和治疗老年痴呆的颗粒
CN109966379B (zh) 一种用于失眠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827563B (zh) 一种治疗偏头痛的纳米乳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2981259B1 (en) A composition for treating neuropathy, a process and a method of treatment thereof
CN102988461B (zh) 一种红景天注射液及其制备方法
CN1704113A (zh) 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丹红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713048A (zh) 固体形式的天麻醒脑中药组合物及其制法和用途
CN104721091A (zh) 一种润肤乳及其制备方法
RU2552919C2 (ru) Настойка эхинацеи пурпурно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N1679872A (zh) 射干抗病毒注射液、其制备方法及静脉给药射干抗病毒注射液
CN114617939B (zh) 一种用于治疗缺血性脑卒中的中药制剂
CN105267722A (zh) 一种止咳祛痰中成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731025B (zh) 一种用于治疗皮肤皱纹的复方皮肤用乳膏剂、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172692A (zh) 一种抗压力抗氧化防治肌肉萎缩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2631402A (zh) 黄芪注射液及其制剂工艺
RU276725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листьев гинкго двулопастного
JP2004067526A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RU208921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орастворим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сбор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KR101899832B1 (ko) 조구등 약침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