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328B1 -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328B1
KR101862328B1 KR1020170085300A KR20170085300A KR101862328B1 KR 101862328 B1 KR101862328 B1 KR 101862328B1 KR 1020170085300 A KR1020170085300 A KR 1020170085300A KR 20170085300 A KR20170085300 A KR 20170085300A KR 101862328 B1 KR101862328 B1 KR 10186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frames
decorative members
decorative member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한
Original Assignee
이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한 filed Critical 이병한
Priority to KR102017008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3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by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mechanical waves
    • B27K5/005Laser-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포인트 부분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되, 입체감의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편리한 제작으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가구를 제작하고 남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등 재활용성의 향상에 따른 자원의 절감을 가져오며, 이에 따른 원가의 절감 및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게 하며,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변경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취급상의 편리함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a decorative plate and furniture Decoration plate}
본 발명은 가구용 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도어나 서랍, 침대 머리판, 장식장 등 가구의 포인트 부분에 적용하여 가구의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제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 화장대, 장식장, 침대 등의 각종 가구들은 물건의 수납 등은 주거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이러한 가구들이 어떠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의 인테리어 용도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주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각종 가구의 표면에 광택 마감재를 도포하거나, 문양 등을 통해 장식효과를 주고 있다.
그러나, 패널의 전면을 직접 가공하는 방법은 입체적 모양을 표출할 수 있어 미려하고 품위가 있으나 가공이 어려워 많은 시간이 소비되므로 가격이 고가인 단점을 지니며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기가 어렵고 사용 중 입체 모양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면에 직접 인쇄 또는 문양이 인쇄된 필름지를 붙이는 것은 다양한 문양을 고급스럽게 표현할 수는 있으나 사용 중 목재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과 외부의 충격 또는 긁힘 등으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쇄면의 표면에 유리를 덮어 그 무늬의 보호 및 장식효과를 증대시키는 패널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쇄 문양 등은 표면적인 효과의 특성상 쉽게 식상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인쇄의 불량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등 그 제작이 불편하였으며, 유리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 그 유리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제작 과정을 통해 제작되는 특성상 부득이 원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291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구의 포인트 부분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되, 입체감의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편리한 제작으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구를 제작하고 남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등 재활용성의 향상에 따른 자원의 절감을 가져오며, 이에 따른 원가의 절감 및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게 하기 위한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변경 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취급상의 편리함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양측 대칭되는 한 쌍의 각재로 된 가로프레임; 및
양단이 양측 가로프레임에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장식부재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목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전면에는 투명의 코팅면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이웃하는 장식부재가 서로 다른 종을 이루게 연속하여 양측 가로프레임에 결합되게 구성하되,
장식부재는,
가로프레임에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구조 또는 볼트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며,
단면상 사각형을 이루는 목재바를 서로 대칭되는 길이를 이루게 절단하여 두개 한 쌍의 가로프레임을 제작하는 가로프레임 준비공정;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목재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장식부재를 제조하는 장식부재 준비공정;
얻어진 장식부재의 전면을 코팅하여 코팅면을 형성 및 색상과 무늬를 보호하는 장식부재 코팅공정; 및
한 쌍의 가로프레임을 나란히 두고, 가로프레임과 장식부재의 후면이 동일면을 이루게 한 상태로 다수의 장식부재의 양단을 양측 가로프레임의 대항면에 결합하는 장식부재 조립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되,
장식부재 코팅공정에서는,
코팅면은 투명 도료의 코팅 또는 투명 필름을 열 압착하여 되며,
장식부재 조립공정에서,
이웃하는 장식부재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게 배열 조립하여되며,
가구의 포인트판 전면에는 장식판이 내재되도록 전면으로 개방되는 장식판 삽입홈을 형성하되,
장식판 삽입홈에는 장식판이 삽입 및 포인트판의 후면에서 장식판의 가로프레임에 볼트 체결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및 그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는, 다양한 폭과 두께를 이루는 목재를 이용하여 된 것인바, 입체감의 부여에 따른 장식판의 미려한 연출이 가능하며 특히 조립식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목재의 특성상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손이 방지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구를 제작하고 남는 목재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재활용성의 향상에 따른 자원이 절감되며, 재활용 목재의 사용으로 인한 제작 원가의 절감 및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이 덜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변경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의 가로프레임 준비공정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의 장식부재 준비공정 간략도.
도 9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의 코팅공정 간략도.
도 10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의 조립공정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 결합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의 상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1)은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로 구성된다.
먼저 가로프레임(100)(100')은, 목재로 구성하되, 단면상 사각 형태를 이루며 서로 동일한 길이를 이루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식부재(200)(200')는, 다수개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양단이 상기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을 연결하게 구성되며, 각각은 이웃하게 연속 배열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각형 목재바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집성원목 또는 솔리드원목 등 다양한 목재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의 전면에는 투명의 코팅면(201)이 구성되어 각각의 색상 및 무늬의 보호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를 연속하여 배열함에 있어서는 이웃하는 장식부재(200)(200')가 서로 다른 종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1)은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을 기초로 하여 다수열의 장식부재(200)(200')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를 이루어 입체 형상을 이루는 한편, 서로 다른 색상 및 무늬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와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결합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의 결합은 도 4를 참조하여 볼트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각각의 가로프레임(100)(100')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장공(110)이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장공(110)은 외측으로부터 볼트의 머리부가 걸림 안치될 수 있도록 안치홈(111)을 이루고, 그 안치홈(111)과 연장되는 내측에는 관통공(112)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공(110)은 가로프레임(100)(100')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에는 양단에 상기 장공(110)과 연통되는 너트체(210)가 매설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너트체(210)는 장식부재(200)(200')의 후면이 가로프레임(100)(100')의 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위치에서 장공(110)과 연통되는 위치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는 볼트(B)를 이용한 장공(110)의 관통 및 너트체(210)에 체결을 통해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의 후면은 동일면을 이루게 구성되며, 이에 반대로 전면에 해당하게는 각기 다른 돌출 정도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볼트(B)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장식부재(200)(200')의 배열을 변경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의 볼트 조립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먼저,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에 장공(110)의 관통공(112)과 연통되는 한편 가로프레임(100)(100')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방되는 장식부재 결합홈(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에는 그 양단에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장식부재 결합홈(120)에 끼움되는 결합돌기(22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그 각각의 결합돌기(220)에 너트체(210)가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은,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과,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과, 장식부재 코팅공정(S300)과, 장식부재 조립공정(S400)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은,
도 7을 참조하여 양측 한 쌍의 가로프레임(100)(100')을 제조하되, 이는 단면상 사각형 형태르 이루는 목재바를 서로 대칭되는 길이를 이루게 절단하여 두개 한 쌍을 이루는 가로프레임(100)(10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각각의 가로프레임(100)(100')는 레이저 컷팅을 통해 폭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단턱 구성된 장공(110)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각각의 장공(110)은 외측은 확장된 직경을 이루어 볼트 등의 머리부가 안치 및 걸림 가능한 안치홈(111)을 이루게 컷팅하고, 그 안치홈(111)의 내측에는 그 안치홈(111) 보다 축소된 직경을 이루도록 관통공(112)이 관통되게 컷팅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공(110)은 가로프레임(100)(100')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에 양측 장공(110)의 각각의 관통공(112)과 연통되는 한편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과 길이 방향 양단으로 개방되는 장식부재 결합홈(120)을 더 컷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은,
도 8을 참조하여 다수의 장식부재(200)(200')를 제조하되, 이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목재바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장식부재(200)(2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장식부재(200)(200')는 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가구공장 등에서 가구를 제작하고 남은 자투리 등을 이용하여 제작 가능한 것으로, 목재의 재활용에 따른 자원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각각의 장식부재(200)(200') 양단에는 너트체(210)가 더 매설되게 제조하되, 장식부재(200)(200')에 너트체(210)를 매설하는 위치는 장식부재(200)(200')의 후면이 가로프레임(100)(100')의 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상태에서 장공(110)과 연통되는 위치에 구성한다.
또한,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장식부재(200)(200') 양단에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장식부재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를 더 컷팅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 코팅공정(S300)은,
도 9를 참조하여 얻어진 장식부재(200)(200')의 표면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표면에 투명의 코팅면(201)을 형성하여, 표면 보호는 물론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의 색상과 무늬의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그 코팅면(20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투명의 도료를 코팅하여 구성하거나, 투명의 필름을 열 압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식부재 조립공정(S4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얻어진 가로프레임(100)(100')에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조립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양측 한 쌍의 가로프레임(100)(100')을 나란히 둔 상태에서 다수의 장식부재(200)(200') 양단을 각각의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에 결합하여 되는 것으로, 이때 양측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의 후면은 동일면을 이루게 조립하면 되는 것으로, 하나의 장식판(1)을 완성할 수 있게 도니다.
이때, 결합되는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는 그 이웃하는 장식부재(200)(200')가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게 배열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임체감의 부여 및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양측 가로프레임(100)(100')과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조립할 수 있는 것이로,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가로프레임(100)(100')에 장공(110)을 구성하고, 장식부재(200)(200')에 너트체(210)를 구성시에는 그 너트체(210)가 장공(110)의 관통공(112)과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관통공(112)을 관통 및 장식부재(200)(200')의 너트체(210)에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가로프레임(100)(100')에 장식부재 결합홈(120)을 더 형성하고, 장식부재(200)(200')에 결합돌기(220)를 더 형성시에는 그 결합돌기(220)가 가로프레임(100)(100')의 장식부재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식부재 결합홈(120)과 결합돌기(220)의 결합은 보다 긴말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 결합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 결합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가구용 장식판을 이용한 가구의 포인트판(10)은, 장롱, 화장대, 장식장, 침대 등 다양한 가구를 구성함에 있어 그 디자인의 연출을 위한 포인트를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포인트판(10)은 어떠한 가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구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포인트판(10)은 먼저, 그 전면에는 장식판(1)이 내재되도록 전면으로 개방되는 장식판 삽입홈(11)이 구성된다.
그리고, 장식판 삽입홈(11)에는 상기 장식판(1)이 삽입되게 구성되며, 그 삽입된 장식판(1)은 포인트판(10)의 후면에서 장식판(1)의 가로프레임(100)(100')에 볼트 체결되어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포인트판(10)은 일예로 도 13의 도시와 같이 침대(20)에 적용시에는 그 침대(20)의 머리판(21)에 적용함으로 침대의 포인트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인트판(10)에 형성되는 장식판(1)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볼트(B)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시에는, 사용자는 포인트판(10)으로부터 장식판(1)을 탈거 및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의 배열을 다르게 하여 포인트판(10)의 또 다른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 장식판 10 : 포인트판
100,100 : 가로프레임 110 : 장공
111 : 안치홈 112 : 관통공
120 : 장식부재 결합홈
200 : 장식부재 201 : 코티연
210 : 너트체 220 : 결합돌기
S100 : 가로프레임 준비공정 S200 : 장식부재 준비공정
S300 : 장식부재 코팅공정 S300 : 장식부재 조립공정

Claims (7)

  1. 양측 대칭되는 한 쌍의 각재로 된 가로프레임(100)(100'); 및 양단이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에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부재(200)(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장식부재(200)(200')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목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전면에는 투명의 코팅면(201)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이웃하는 장식부재(200)(200')가 서로 다른 종을 이루게 연속하여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에 결합되게 구성하고,
    장식부재(200)(200')는, 가로프레임(100)(100')에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구조 또는 볼트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는 가구용 장식판에 있어서,
    장식부재(200)(200')의 볼트 조립식 구조는,
    각각의 가로프레임(100)(100')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을 이루며, 외측으로부터 안치홈(111)과 관통공(112)으로 된 장공(110)을 형성하고,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에는,
    양단에 장공(110)과 연통되는 너트체(210)가 매설되게 구성하여,
    장공(110)을 관통하는 볼트(B)가 너트체(210)에 체결되어 가로프레임(100)(100')에 장식부재(200)(200')가 결합되게 구성하되,
    가로프레임(100)(100')에 형성되는 장공(110)은,
    가로프레임(100)(100')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하며,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에 형성되는 너트체(210)는,
    후면이 가로프레임(100)(100')의 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위치에서 장공(110)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에는,
    장공(110)의 관통공(112)과 연통되며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과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방되는 장식부재 결합홈(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장식부재(200)(200')에는,
    양단에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장식부재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되며 너트체(210)가 형성되는 결합돌기(22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판.
  4. 단면상 사각형을 이루는 목재바를 서로 대칭되는 길이를 이루게 절단하여 두개 한 쌍의 가로프레임(100)(100')을 제작하는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는 적어도 4종 이상의 목재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장식부재(200)(200')를 제조하는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 얻어진 장식부재(200)(200')의 전면을 코팅하여 코팅면(201)을 형성 및 색상과 무늬를 보호하는 장식부재 코팅공정(S300); 및 한 쌍의 가로프레임(100)(100')을 나란히 두고, 가로프레임(100)(100')과 장식부재(200)(200')의 후면이 동일면을 이루게 한 상태로 다수의 장식부재(200)(200')의 양단을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에 결합는 장식부재 조립공정(S400)을 수행하여 제조하되,
    장식부재 코팅공정(S300)에서는, 코팅면(201)은 투명 도료의 코팅 또는 투명 필름을 열 압착하여 되며,
    장식부재 조립공정(S400)에서, 이웃하는 장식부재(200)(200')는 서로 다른 폭과 두께, 색상, 무늬를 이루게 배열 조립하여서 되는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에서,
    각각의 가로프레임(100)(100')에는 레이저 컷팅을 통해 폭 방향으로 관통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단턱 구성된 외측은 확장된 직경을 이루는 안치홈(111)을 이루고 내측은 안치홈(111) 보다 축소된 직경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12)을 이루는 장공(110)을 더 형성하고,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에서,
    각각의 장식부재(200)(200') 양단에는 너트체(210)를 더 매설하여 제조하되,
    가로프레임(100)(100')에 형성되는 장공(110)은,
    가로프레임(100)(100')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후방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하며,
    각각의 장식부재(200)(200')에 형성되는 너트체(210)는,
    후면이 가로프레임(100)(100')의 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위치에서 장공(110)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장식부재 조립공정(S400)에서,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장공(110)을 통해 장식부재(200)(200')의 너트체(210)에 볼트(B) 체결하여 조립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가로프레임 준비공정(S100)에서는,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에 양측 장공(110)의 관통공(112)과 연통되며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대항면과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방되는 장식부재 결합홈(120)을 더 컷팅 형성하며,
    장식부재 준비공정(S200)에서는,
    장식부재(200)(200') 양단에 양측 가로프레임(100)(100')의 장식부재 결합홈(12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판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70085300A 2017-07-05 2017-07-05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KR10186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00A KR101862328B1 (ko) 2017-07-05 2017-07-05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00A KR101862328B1 (ko) 2017-07-05 2017-07-05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328B1 true KR101862328B1 (ko) 2018-05-29

Family

ID=6245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00A KR101862328B1 (ko) 2017-07-05 2017-07-05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48B1 (ko) 2022-12-22 2023-07-17 이병한 목재를 이용한 표면장식판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839B2 (ja) * 1993-01-13 2001-01-22 株式会社リコー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183405A (ja) 2002-12-05 2004-07-02 Jp Ekotekku:Kk 建築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WO2009032674A2 (en) 2007-08-30 2009-03-12 Rock-Tenn Shared Services, Llc Grooved panel produc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839B2 (ja) * 1993-01-13 2001-01-22 株式会社リコー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183405A (ja) 2002-12-05 2004-07-02 Jp Ekotekku:Kk 建築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WO2009032674A2 (en) 2007-08-30 2009-03-12 Rock-Tenn Shared Services, Llc Grooved panel product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48B1 (ko) 2022-12-22 2023-07-17 이병한 목재를 이용한 표면장식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285098B6 (sk) Usporiadanie profilov na montáž výstavných alebo predajných zariadení
KR101862328B1 (ko)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US4740397A (en) Composite structural frame component
JP2008002147A (ja) フラッシュ構造ドア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722440U (zh) 一种柜体框架板材
CN201064332Y (zh) 一种灯光画的相框
KR200224347Y1 (ko) 가구용 도어
KR200400076Y1 (ko) 모서리 마감형 금속재 문틀조립구조
JP2011012417A (ja)
KR200416689Y1 (ko) 조립식 문짝
KR200420606Y1 (ko) 문짝에 조립되는 가로살 구조
KR200394171Y1 (ko)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KR200279181Y1 (ko) 도어용 합성수지 패널
KR200236304Y1 (ko) 가구용 문짝
JP2005336783A (ja) 扉パネル
JPS606298Y2 (ja) 幢幡における六角柱体の組立て構造
KR0117786Y1 (ko) 장식 가구 조립구조
KR200273175Y1 (ko) 가구용 문짝
KR200292380Y1 (ko) 조명등 갓에 부착되는 장식테두리의 조립구조
ITPN20100055A1 (it) Struttura di telaio in metallo per la realizzazione di mobili o pannelli
KR200331591Y1 (ko) 문양변경이 용이한 가구의 알판 조립구조
JP3071068U (ja) 仏 壇
KR200246601Y1 (ko) 문짝표면장식구
JP2002046397A (ja) 化粧板
KR950002107B1 (ko) 칠판용 외곽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