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71Y1 -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 Google Patents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71Y1
KR200394171Y1 KR20-2005-0015299U KR20050015299U KR200394171Y1 KR 200394171 Y1 KR200394171 Y1 KR 200394171Y1 KR 20050015299 U KR20050015299 U KR 20050015299U KR 200394171 Y1 KR200394171 Y1 KR 200394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der
furniture
reinforcement
fixed
reinforcement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석
Original Assignee
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원석 filed Critical 한원석
Priority to KR20-2005-0015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Abstract

본 고안은 색상이 다원화된 가구 몸체의 전면 테두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을 하지 않고도 가구 몸체의 전면테두리를 둘 또는 셋의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고급화 시킨 다단의 구조를 가진 가구몸체에 관한 것이며, 내측으로 문이나 기타 다른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테두리가 구성된 가구몸체에 있어서, 가구(10)의 몸체테두리(11) 외측단에 제1보강테두리(12)를 고정하고, 제1보강테두리(12) 외측단에 제2보강테두리(13)를 고정하며, 제1보강테두리(12)와 제2보강테두리(13)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A furniture frame having steps}
본 고안은 색상이 다원화된 가구 몸체의 전면 테두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을 하지 않고도 가구 몸체의 전면테두리를 둘 또는 셋의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고급화 시킨 다단의 구조를 가진 가구몸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선상태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창문틀이나 가구를 도색할 경우 도색 경계선을 그려준 후 도색작업을 하지만 균일한 도색 경계선을 얻기 위해 판재나 신문지등을 도색하고자 하는 경계선에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도색하였다. 이때, 손으로 지지한 판재나 신문지등이 어긋나거나 흔들릴 우려가 매우 높아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낭비되고 부주의로 인해 어긋나거나 흔들렸을 경우 도색면이 번지거나 도색 경계선이 틀려져 다시 도색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부분의 테두리에 도장테이프를 붙여 도색을 하고, 페인트가 마른 다음 테이프를 편리하게 떼어냄으로서 정교한 도색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리고 MDF를 사용하여 가구 테두리에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는 나무칩을 합성수지 접착제와 혼합하여 압력을 가해 제조한 나무판재로써 표면이 평활하여 도장성과 접착성이 우수하고 재질이 가벼워서 가구업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본래의 기능을 하는 본체외에 가구의 아름다움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측부와 상부에 MDF 재료로 인테리어 마감을 한다. 종래에는 가구의 양측부와 상부에 사용되는 마감재를 각각 여러개의 판재를 조합하여 만들었으나, 조합하여 연결된 접촉면 부위는 목재판의 재단선이 그대로 노출되어 가구의 색상과 일치하지 않아 미관을 해쳤다. 예를 들어, 사각 단면의 마감재를 제작할 경우 일면이 도장되어 있는 마감판재를 4개로 절단 후 각기 접착하여 사각형상을 제작하였다. 이때에 마감판재의 두면이 접하는 부위의 꺾인 접합선이 그대로 노출되어 도장되지 않은 재단선이 그대로 드러나며, 따라서 제작된 사각형상의 재단면을 도장하여도 초기의 도장색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부에 사용되는 목재판은 사각형상으로 획일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려면 많은 공정과 접합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전면에 보이는 가구 몸체테두리에 도장을 하지 않고도 2가지 또는 3가지의 고급스런 색깔을 나타내게 하고, 색상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게 하며, 테두리의 강성을 증대시켜 중량의 있는 가구의 테두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단의 구조를 가진 가구몸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문이나 기타 다른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테두리가 구성된 가구몸체에 있어서, 가구의 몸체테두리 외측단에 제1보강테두리를 고정하고, 제1보강테두리 외측단에 제2보강테두리를 고정하며, 제1보강테두리와 제2보강테두리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보강테두리와 제2보강테두리는 내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의 걸림턱이 몸체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맞닿아 고정되고, 제2보강테두리의 걸림턱이 제1보강테두리의 외측 모서리에 맞닿아 고정되거나, 제1보강테두리는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곡면이 형성되며, 제2보강테두리의 일측에 제1보강테두리의 곡면과 맞물리는 고정면이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의 외측단에 고정되거나, 제1보강테두리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몸체테두리의 외측단에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제2보강테두리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의 외측단에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및 가구의 몸체테두리 외측단에 제1보강테두리를 고정하고, 몸체테두리와 제1보강테두리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다단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를 가진 가구(10)는 문(14) 주위로 몸체테두리(11)가 형성된다. 몸체테두리(11)는 문이 지지되는 역할과, 전면에서 볼때 수려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곳의 하나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몸체테두리에 도장을 실시하거나 MDF를 붙이지 않고도 가구의 액센트를 줌과 동시에 가구 몸체의 보강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그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단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는 가구 몸체 테두리(11)의 내측으로 문(14)이나, 기타 다른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구 몸체테두리(11)의 외측으로 제1보강테두리(12)가 형성되고,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으로 제2보강테두리(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보강테두리(12)와 제2보강테두리(13)의 형상은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a는 몸체테두리(11)의 외측단 모서리에 제1보강테두리(12)를 접착제나 나사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단 모서리에 같은 형상의 제2보강테두리(13)를 고정한다. 제1보강테두리(12)는 몸체테두리(11)의 모서리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걸림턱(20)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보강테두리(13)에도 마찬가지로 걸림턱(21)이 형성된 L자 형상을 가져 모서리끼리 서로 겹쳐져 고정된다.
도 3b는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테두리(11)의 외측단 모서리에 고정되는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면을 곡면(23)로 형성하여 전면에서 바라볼때 색상 뿐만 아니라 부드러움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보강테두리(12)의 일측에 걸림턱(20)을 형성하여 몸체테두리(11)의 모서리에 맞닿게 하여 고정한다. 고정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보강테두리(13)의 일측에 곡면의 고정면(22)이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12)의 곡면(23)과 맞물려 고정된다.
도 3c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보강테두리(12)와 제2보강테두리(13)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몸체테두리(11)의 외측단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제1보강테두리(12)를 고정하고, 제1보강테두리(12)의 측면에 일부가 돌축되도록 제2보강테두리(13)를 고정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몸체테두리(11)에 하나의 보강테두리만 고정하는 것의 실시예들로서, 몸체테두리(11)에 L자형 보강테두리를 고정하거나, 직사각형의 보강테두리를 고정하거나, 외부가 곡면(23)인 보강테두리를 고정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보강테두리(12)는 몸체테두리(11)와 다른 색상의 목재나 다른 무늬를 가진 목재로 구성하여 몸체테두리(11)와 다른 액센트를 주거나, 제2보강테두리(13)를 몸체테두리(11)와 같은 색상으로 구성하고, 제1보강테두리(12)를 다른 색상을 가진 목재를 사용하여 제1보강테두리(12)가 가구의 액센트가 되어 보이도록 한다.
도 5a는 제1보강테두리(12)가 몸체테두리(11)및 제2보강테두리(13)와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1보강테두리(12)에 액센트를 주는 경우이고, 도 5b는 몸체테두리(11), 제1보강테두리(12), 제2보강테두리(13)가 각각 다른 색상의 목재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각단에 동일한 색상으로 진하기를 조절하여 고급스런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5c와 도 5d는 몸체테두리(11)에 제1보강테두리(12)만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몸체테두리(11)나 제1보강테두리(12)중 하나에 액센트를 주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다단의 구조를 가진 가구몸체에서 몸체 테두리는 여러가지 색상을 가진 보강테두리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각 단을 형성하는 부재의 전면 색상을 여러가지로 형성해 이어붙여 나무 자체의 색상으로 고급스런 색상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중앙에 위치하는 단의 색상을 주위 색상과 달리하여 가구의 미적감각에 액센트를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강테두리에 의하여 가구의 뒤틀림등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무거운 중량을 가진 가구를 지탱하는 테두리를 다단의 보강테두리로 보강하여 전면 색상의 고급화 뿐만 아니라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의 측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c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본 고안의 다단 테두리 구조에 적용된 색상의 액센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가구몸체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가구 2 : 몸체테두리
3 : 도장부 4 : 문
10 : 가구 11 : 몸체테두리문
12 : 제1보강테두리 13 : 제2보강테두리
14 : 문 20, 21 : 걸림턱
22 : 고정면 23 : 곡면

Claims (5)

  1. 내측으로 문이나 기타 다른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테두리가 구성된 가구몸체에 있어서,
    가구(10)의 몸체테두리(11) 외측단에 제1보강테두리(12)를 고정하고, 제1보강테두리(12) 외측단에 제2보강테두리(13)를 고정하며, 제1보강테두리(12)와 제2보강테두리(13)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보강테두리(12)와 제2보강테두리(13)는 내측으로 걸림턱(20)(21)이 형성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12)의 걸림턱(20)이 몸체테두리(11)의 외측 모서리에 맞닿아 고정되고, 제2보강테두리(13)의 걸림턱(21)이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 모서리에 맞닿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보강테두리(12)는 일측에 걸림턱(20)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곡면(23)이 형성되며, 제2보강테두리(13)의 일측에 제1보강테두리(12)의 곡면(23)과 맞물리는 고정면(22)이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보강테두리(1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몸체테두리(11)의 외측단에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제2보강테두리(13)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보강테두리(12)의 외측단에 일부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5. 내측으로 문이나 기타 다른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테두리가 구성된 가구몸체에 있어서,
    가구(10)의 몸체테두리(11) 외측단에 제1보강테두리(12)를 고정하고, 몸체테두리(11)와 제1보강테두리(12)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KR20-2005-0015299U 2005-05-30 2005-05-30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KR200394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99U KR200394171Y1 (ko) 2005-05-30 2005-05-30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299U KR200394171Y1 (ko) 2005-05-30 2005-05-30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71Y1 true KR200394171Y1 (ko) 2005-08-31

Family

ID=4369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299U KR200394171Y1 (ko) 2005-05-30 2005-05-30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1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515A1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EP3511178B1 (en) Pre-assembled canvas for painting or printing
US5682936A (en) Cabinet drawer construction and method
MXPA00010097A (es) Panel superior modular de trabajo, con la parte superior rebajada y bordes formables, y metodo de fabricacion.
ITPN20130072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un pannello tamburato e pannello tamburato così ottenuto
KR200394171Y1 (ko) 다단 테두리 구조의 가구몸체
US20110056106A1 (en) I-joist frame system with bevelled front edge
US6474483B1 (en) Shelv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JP5363837B2 (ja) 扉および扉の製造方法
KR0150807B1 (ko) 무늬목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US4740397A (en) Composite structural frame component
KR101862328B1 (ko) 가구용 장식판 및 그 장식판 제조방법
JP4236562B2 (ja) 枠縁付きパネル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JP4086012B2 (ja) 扉パネル
KR200396335Y1 (ko) 조립식 도어패널
CN215169207U (zh) 金属室内套装门门扇连接结构
RU2723841C1 (ru) ПАНЕЛЬ ДЛЯ МЕБЕЛИ (варианты)
KR200334984Y1 (ko) 데코시트판을 이용한 접합식 상다리
KR200220046Y1 (ko) 장식용 패널의 적층구조
KR200236305Y1 (ko) 가구용 문짝
KR20030030126A (ko) 천정 모서리 장식용 내장재 제조방법
KR200277722Y1 (ko) 장식용 벽판
KR200479793Y1 (ko) 집성목이 구비된 싱크대용 도어
JP3202598B2 (ja) グランドピアノの腕木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