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92B1 -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 Google Patents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92B1
KR101860892B1 KR1020160061871A KR20160061871A KR101860892B1 KR 101860892 B1 KR101860892 B1 KR 101860892B1 KR 1020160061871 A KR1020160061871 A KR 1020160061871A KR 20160061871 A KR20160061871 A KR 20160061871A KR 101860892 B1 KR101860892 B1 KR 10186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average particle
particle diameter
hea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925A (ko
Inventor
장성원
이승영
박윤수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주)비츠로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츠로밀텍 filed Critical (주)비츠로밀텍
Priority to KR102016006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재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부피저항과 평균입경의 상이한 조합을 통해 절연성능과 방열성능을 모두 제고한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FILLER FOR THERMALLY CONDUCTIVE PAD COMPRISING POLYMER AND THERMALLY CONDUCTIVE PA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재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부피저항과 평균입경의 상이한 조합을 통해 절연성능과 방열성능을 모두 제고한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고집적화, 고성능화와 함께 LED 조명의 발달로 기기 내에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출열은 소자의 기능저하, 기기오작동 및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어 이를 방지하는 방열대책이 시급하다.
한편, 방열패드는 전자기기의 열원과 heat sink 사이에 위치해 열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heat sink로 전달해주는 TIM (Thermal Interface Materials) 역할을 하는 구조물을 가리킨다.
현재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방열패드의 주재료는 대부분 (수산화)알루미나 (Al2O3)가 사용되며, 실리콘 레진에 첨가하여 패드형태로 제작해 방열패드 혹은 실리콘패드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방열패드는 열전도도, 강도, 밀착성, 절연성 등이 요구되며, 이 중 방열에 있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열전도도는 대부분 1 내지 2 W/mK에 그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5-0015064 호 (2005년 02월 21일 공개)의 방열패드는 알루미늄 등이 충전재로 포함된 실리콘 패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가속 플라즈마 이온입자의 표면개질 및 반응성가스의 표면결합에 의하여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플라즈마 표면개질은 경제성이 떨어지고 반응성가스의 표면결합은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13907 호 (2011년 02월 10일 공개)의 방열패드는 실리콘 수지 등에 충전재로서 은 산화물 막으로 코팅된 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고가의 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마찬가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가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이 뛰어나면서도 열전도도가 뛰어난 방열패드용 소재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점증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13907 호 (2011년 02월 10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13907 호 (2011년 02월 10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재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부피저항과 평균입경의 상이한 조합을 통해 절연성능과 방열성능을 모두 제고한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평균입경을 갖는 제 1 충전(充塡)재 및 제 4 평균입경을 갖는 제 4 충전재를 포함하고,
제 2 평균입경을 갖는 제 2 충전재, 제 3 평균입경을 갖는 제 3 충전재, 또는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평균입경값은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고,
제 2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37 내지 0.46, 바람직하게는 0.38 내지 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9 내지 0.44,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0.43이고,
제 3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21 내지 0.25, 바람직하게는 0.21 내지 0.24,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내지 0.23이고,
제 4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5 내지 0.19, 바람직하게는 0.16 내지 0.18이고,
상기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의 부피저항은 1010 Ω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2 Ω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 Ωcm 이상이고,
상기 제 4 충전재의 열전도도는 50 내지 500 W/mK,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70 W/mK,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50 W/mK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는 제 5 평균입경을 갖는 제 5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5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0 내지 0.13,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0.12일 수 있다.
또한,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제 3 충전재 또는 제 4 충전재는 단경 / 장경의 평균값이 0.8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82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일 수 있다.
또한, 제 1 평균입경은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일 수 있다.
또한, 제 2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6,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1이거나 제 3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2,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6이고,
제 4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3.1,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8일 수 있다.
또한, 제 5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0.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일 수 있다.
또한,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 4 충전재 및 제 5 충전재는 흑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는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합체 방열패드는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당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75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방열패드는 평균입경이 서로 상이한 충전재 군을 3 이상 보유하고, 각각의 충전재 군의 평균입경은 다른 충전재 군의 평균입경과 일정 범위 내의 상대적인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방열패드 내에 충전재를 보다 조밀하게 채워 넣을 수 있고 이는 충전재를 통한 열전달을 촉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열전도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낳는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복잡한 표면처리나 고가의 성분을 도입하지 않고도 열전도도를 이처럼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상 알루미나의 일 실시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상 흑연의 일 실시예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방열패드의 열전도도 향상을 위해 서로 상이한 평균입경을 갖는 3 이상의 충전재 군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열패드가 누전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큰 충전(充塡)재는 전기전도도가 낮은 입자로 구성하되, 이들 거대 충전재 사이의 공간을 열전도도가 아주 높은 작은 충전재로 채우게 된다. 비록 이들 작은 충전재 입자 자체는 누전의 위험을 고려해야 할 만큼 전기전도도가 높으나, 전기전도도가 낮은 거대 충전재 입자 사이에만 위치함에 따라 작은 충전재 입자끼리 전기가 통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거대 충전재 입자 사이를 연결하여 열전달을 촉진함으로써 방열패드의 방열특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큰 제 1 평균입경을 갖는 제 1 충전재 및 제 4 평균입경을 갖는 제 4 충전재를 포함하고, 제 2 평균입경을 갖는 제 2 충전재, 제 3 평균입경을 갖는 제 3 충전재, 또는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서로 상이한 평균입경을 갖는 3 개 또는 4 개의 충전재 군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2 충전재는 제 1 충전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 2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37 내지 0.46, 바람직하게는 0.38 내지 0.45, 보다 바람직하게는 0.39 내지 0.44,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0.43이다. 제 2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이 0.37 미만이면 제 1 충전재와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반대로 0.46을 초과하면 제 1 충전재끼리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방열패드의 방열특성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3 충전재는 제 1 충전재 및 제 2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 3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21 내지 0.25, 바람직하게는 0.21 내지 0.24,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 내지 0.23이다. 제 3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이 0.21 미만이면 제 1 충전재 및 제 2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과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반대로 0.25를 초과하면 제 1 충전재 및 제 2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끼리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방열패드의 방열특성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4 충전재는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 4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5 내지 0.19, 바람직하게는 0.16 내지 0.18이다. 제 4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이 0.15 미만이면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과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반대로 0.19를 초과하면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끼리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결과를 낳으며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방열패드의 방열특성 저하로 이어진다.
상기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의 부피저항은 1010 Ω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2 Ω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 Ωcm 이상일 것이 요구되는데, 부피저항이 1010 Ωcm 미만이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제품에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누전이 발생할 위험이 있어 곤란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로서 방열패드에 요구되는 열전도도를 구비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범위의 부피저항값을 갖는 물질은 알루미나 (Al2O3, 도 1),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전도도 향상을 통한 방열특성 제고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제 4 충전재, 또는 제 4 충전재 및 제 5 충전재는 50 내지 500 W/mK,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70 W/mK,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50 W/mK의 열전도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충전재 및 제 5 충전재의 열전도도가 50 W/mK 미만이면 방열패드의 방열특성 개선 정도가 충분하지 않고, 반대로 500 W/mK를 초과하면 다이아몬드와 같은 고가의 소재만 해당하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일부 저가 소재 중에 500 W/mK를 초과하는 열전도도를 갖는 소재가 존재하기는 하나 그 형상이 판상 또는 봉상이어서 후술하는 단경 / 장경 범위를 충족하지 못해 본 발명에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 4 충전재 및 제 5 충전재로서 상기와 같은 범위의 열전도도를 구비하는 물질로는 예컨대 흑연 (도 2)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는 제 5 평균입경을 갖는 제 5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5 충전재는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제 3 충전재 및 제 4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 5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0 내지 0.13,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0.12이다. 제 5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이 0.10 내지 0.13일 때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제 3 충전재 및 제 4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충전재들과 충분히 접촉하면서도 이들 거대 충전재 입자들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막아 본 발명의 방열패드의 방열특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방열패드를 구성하는 충전재는 큰 충전재 사이사이의 공간을 작은 충전재가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충전재를 구성하는 입자의 형상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한 바, 도 1은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로 적용이 가능한 구상 알루미나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제 4 충전재 및 제 5 충전재로 적용이 가능한 구상 흑연을 촬영한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제 3 충전재 또는 제 4 충전재, 나아가 제 5 충전재는 단경 / 장경의 평균값이 0.8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82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단경 / 장경의 평균값이 0.8 내지 1일 때 큰 충전재 입자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어 방열특성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큰 충전재인 제 1 충전재의 평균입경인 제 1 평균입경은 5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일 수 있다. 제 1 평균입경이 50 내지 200 ㎛일 때 중합체와의 혼합시 적절한 점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종 방열패드의 표면을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충전재는 큰 충전재가 형성하는 공간을 채울 정도만 첨가되는 것이 큰 충전재를 이격시키지 않고 공간을 꼭 채울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런 관점에서 제 2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6,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1이거나, 제 3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2,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8,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6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4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3.1,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8이고, 제 5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0.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는 중합체, 및 전술한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는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당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75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모든 충전재가 중합체에 잠길 수 있고 작업이 용이한 수준의 점도 범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방열패드의 제조 (1)
평균입경 100 ㎛인 알루미나 (신일철주금머테리얼, 일본) 207 g, 평균입경 42 ㎛인 알루미나 14.7 g 및 평균입경 18 ㎛이고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1인 구상흑연 (Qingdao, 중국) 5.1 g을 용융된 실리콘 수지 (Wacker, 독일)와 혼합하고, 115 ℃ 및 20 kgf/cm2의 가열 가압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중합체 방열패드를 제조하고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3.54 W/mK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방열패드의 제조 (2)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42 ㎛인 알루미나 14.7 g 대신 평균입경 23 ㎛인 알루미나 4.7 g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3.28 W/mK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방열패드의 제조 (3)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23 ㎛인 알루미나 4.7 g을 추가로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3.81 W/mK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방열패드의 제조 (4)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11 ㎛인 구상흑연 1.4 g을 추가로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4.01 W/mK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방열패드의 제조 (5)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18 ㎛인 구상흑연 대신 평균입경 30 ㎛인 구상흑연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3.23 W/mK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부피저항이 3 x 103 Ωcm으로 낮아 누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2: 방열패드의 제조 (6)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18 ㎛인 구상흑연 대신 동일한 평균입경의 알루미나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2.21 W/mK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 방열패드의 제조 (7)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평균입경 100 ㎛인 알루미나 대신 동일한 평균입경의 구상흑연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부피저항이 10.5 Ωcm으로 낮아 누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4: 방열패드의 제조 (8)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5인 구상흑연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2.11 W/mK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5: 방열패드의 제조 (9)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구상흑연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1.82 W/mK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6: 방열패드의 제조 (10)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구상흑연을 1.9 g만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2.48 W/mK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7: 방열패드의 제조 (11)
실시예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구상흑연을 9.6 g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열전도도는 3.13 W/mK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부피저항이 4 x 104 Ωcm으로 낮아 누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로서,
    제 1 평균입경을 갖는 제 1 충전(充塡)재 및 제 4 평균입경을 갖는 제 4 충전재를 포함하고,
    제 2 평균입경을 갖는 제 2 충전재, 제 3 평균입경을 갖는 제 3 충전재, 또는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평균입경값은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고,
    제 2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37 내지 0.46이고,
    제 3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21 내지 0.25이고,
    제 4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5 내지 0.19이고,
    상기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의 부피저항은 1010 Ωcm 이고,
    상기 제 4 충전재의 열전도도는 50 내지 500 W/mK이고,
    상기 중합체 방열패드는 절연성이고,
    상기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제 3 충전재 또는 제 4 충전재는 단경 / 장경의 평균값이 0.8 내지 1이고,
    상기 제 2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 내지 10이거나 제 3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2이고,
    상기 제 4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5 내지 3.5인,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5 평균입경을 갖는 제 5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 5 평균입경 / 제 1 평균입경은 0.10 내지 0.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평균입경은 50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5 충전재 질량의 합 / 제 1 충전재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0.3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충전재, 제 2 충전재 및 제 3 충전재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4 충전재는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5 충전재는 흑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10. 중합체, 및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당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75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KR1020160061871A 2016-05-20 2016-05-20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KR10186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71A KR101860892B1 (ko) 2016-05-20 2016-05-20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871A KR101860892B1 (ko) 2016-05-20 2016-05-20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25A KR20170130925A (ko) 2017-11-29
KR101860892B1 true KR101860892B1 (ko) 2018-07-05

Family

ID=6081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871A KR101860892B1 (ko) 2016-05-20 2016-05-20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925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9543B2 (ja) 冷却構造体および冷却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70118883A (ko) 열 전도 시트 및 전자 디바이스
JP5405890B2 (ja) 熱伝導性成形体とその用途
JP3654743B2 (ja) 放熱スペーサー
CN111492474B (zh) 绝缘散热片
JP2014193965A (ja) 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高熱伝導性半硬化樹脂フィルム及び高熱伝導性樹脂硬化物
CN106543728A (zh) 一种石墨烯有机硅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739825B2 (ja) 熱伝導性組成物及び熱伝導性成形体
JP2002138205A (ja) 熱伝導性成形体
JP2021046562A (ja) 熱伝導性シート
JP2006036931A (ja) 熱伝導性組成物
JP2002164481A (ja) 熱伝導性シート
KR101860892B1 (ko)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JP2014189701A (ja) 高熱伝導性樹脂硬化物、高熱伝導性半硬化樹脂フィルム及び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
JP6473597B2 (ja) 高熱伝導有機無機コンポジット材料の製造方法
JP4514344B2 (ja) 熱伝導性樹脂成形体及びその用途
KR101909078B1 (ko) 고충전율의 중합체 방열패드용 충전재, 슬러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WO2022264790A1 (ja) 熱伝導シート及び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
JP3739335B2 (ja) 放熱部材及びパワーモジュール
CN105086119B (zh) 热辐射性树脂组合物以及使用了该组合物的部件、电子设备
KR102222598B1 (ko) 금속소재 및 탄소계 필러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접착제
JP3558548B2 (ja) 樹脂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の放熱部材
TW201811961A (zh) 熱傳導性複合薄片
KR20200025067A (ko)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패드용 하이브리드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합체 방열패드
KR102177818B1 (ko) 탄소계 필러를 이용한 열전도성 점착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