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47B1 -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47B1
KR101859447B1 KR1020180000071A KR20180000071A KR101859447B1 KR 101859447 B1 KR101859447 B1 KR 101859447B1 KR 1020180000071 A KR1020180000071 A KR 1020180000071A KR 20180000071 A KR20180000071 A KR 20180000071A KR 101859447 B1 KR101859447 B1 KR 10185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unit
module
sock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대
최창락
Original Assignee
(주)이즈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미디어 filed Critical (주)이즈미디어
Priority to KR102018000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47B1/ko
Priority to CN201810297080.XA priority patent/CN10999597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모듈 정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1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소켓, 제2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2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소켓에 대해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는 제2소켓, 및 상기 제1소켓에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소켓에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의 촬영 대상이 되는 챠트를 구비하는 정렬유닛;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을 접착시키는 접착유닛; 및 상기 제1소켓에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2소켓에 제2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며,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상기 정렬유닛에서 제거하는 모듈운반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듀얼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고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의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Dual camera module assembler and assemb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듀얼 카메라모듈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및 노트북 등에는 대부분 카메라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카메라모듈은 간략하게 피씨비(PCB, 인쇄회로기판)와 이미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에 렌즈가 내장된 렌즈모듈을 부착함으로써 제작되는데, 이미지센서와 렌즈의 정렬 상태는 카메라모듈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패키지와 렌즈모듈의 조립시 이미지센서와 렌즈를 정확하게 정렬해줄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 등은 보통 전후면에 하나씩의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였으나, 최근에는 전후면 중 어느 한 면에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구비하고 나머지 면에 한 개의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한 면에 설치되는 두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이미지의 각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와 렌즈를 정렬한 후 두 카메라모듈을 서로 평행하게 정렬해줄 필요가 있다.
등록번호 제10-1742500의 '휴대폰 듀얼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듀얼카메라의 조립공정'은 두 카메라모듈을 정렬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기술 중의 하나이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두 카메라모듈 중 한 카메라모듈의 액츄에이터 하우징 일측면에 'ㄱ'자 형상의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두 카메라모듈을 정렬하는데, 두 카메라모듈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형상에 의해 정렬되기 때문에 광축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모듈의 조립시 일부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이 번거롭고 카메라모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742500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듀얼 카메라모듈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고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의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카메라모듈, 제2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을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조립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1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소켓, 제2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2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소켓에 대해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는 제2소켓, 및 상기 제1소켓에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소켓에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의 촬영 대상이 되는 챠트를 구비하는 정렬유닛;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을 접착시키는 접착유닛; 및 상기 제1소켓에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2소켓에 제2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며,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상기 정렬유닛에서 제거하는 모듈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2소켓을 상기 챠트, 상기 접착유닛 또는 상기 모듈운반유닛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운반하는 제1모듈운반부, 및 제2카메라모듈을 운반하는 제2모듈운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유닛은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상기 다수 개의 정렬유닛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상기 제1소켓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상기 제2소켓 상의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1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상기 모듈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2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와 제2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를 상기 모듈운반유닛에 공급하고,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와 빈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를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부터 배출하는 트레이운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상기 트레이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3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유닛은,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를 확인하는 제4비젼부, 접착제 도포 높이를 확인하는 센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디스펜서 및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상기 정렬유닛 상에 위치하는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제5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소켓, 제2소켓 및 챠트를 구비하는 정렬유닛; 접착유닛; 및 모듈운반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제1카메라모듈, 제2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을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조립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상기 제1소켓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제2소켓에 안착시키는 모듈 안착단계;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로 상기 챠트를 촬영하면서 상기 제1소켓에 대해 상기 제2소켓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광축 정렬단계; 상기 접착유닛으로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 및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상기 정렬유닛에서 배출하는 모듈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1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와 상기 광축 정렬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비젼부로 상기 제1소켓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상기 제2소켓 상의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정렬 준비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2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는,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을 들어올리는 픽업단계; 상기 제2비젼부로 상기 모듈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안착 준비단계; 및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상기 제1소켓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제2소켓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모듈운반유닛에 공급하는 트레이운반유닛; 및 제3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 전에는, 상기 제3비젼부로 상기 트레이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픽업 준비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유닛은 제4비젼부, 센서, 디스펜서 및 경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는, 상기 제4비젼부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센서로 접착제 도포 높이를 확인하는 도포 준비단계; 상기 디스펜서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경화기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접착제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5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와 상기 모듈 배출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5비젼부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결함 확인단계가 더 진행되고, 상기 모듈 배출단계에서는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의하면,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로 챠트를 촬영하면서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을 정렬하기 때문에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의해서는 조립 전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의 공급,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의 정렬 및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배출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듀얼 카메라모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정전기가 발생할 염려가 거의 없다.
제1비젼부 등은 듀얼 카메라모듈의 조립 과정의 각 과정이 정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함이 있는 듀얼 카메라모듈은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듀얼 카메라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제1모듈운반부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트레이운반유닛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접착유닛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및 노트북 등에 내장되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프레임(H) 및 상기 프레임(H) 내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구비한다. 듀얼 카메라모듈의 구성 부재들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를 거치기 전 프레임(H)에 제1카메라모듈(M1)이 고정된 상태로 준비되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이 제1카메라모듈(M1)이 광축과 평행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제2카메라모듈(M2)을 프레임(H)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의 전체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의 전체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크게, 정렬유닛(10), 접착유닛(20) 및 모듈운반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듈운반유닛(30)은 듀얼 카메라모듈의 구성부재들, 즉 프레임(H), 제1카메라모듈(M1) 및 제2카메라모듈(M2)을 조립이 이루어지는 정렬유닛(10) 부분으로 로딩하고, 조립이 완료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카메라모듈(M1)과 프레임(H)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고 제2카메라모듈(M2)은 프레임(H)과 별도로 준비되므로, 모듈운반유닛(30)은 프레임(H)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 제2카메라모듈(M2)을 각각 정렬유닛(10)으로 로딩한다.
정렬유닛(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듈운반유닛(30)으로부터 듀얼 카메라모듈의 구성부재들을 전달받아 조립하는 역할을 하며, 제1소켓(11), 제2소켓(12) 및 챠트(13)를 구비한다.
제1소켓(11)에는 프레임(H)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이 안착되며, 제1소켓(11)은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M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1카메라모듈(M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2소켓(12)에는 제2카메라모듈(M2)이 안착되며, 제2소켓(12)은 제1소켓(11)과 마찬가지로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M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2카메라모듈(M2)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소켓(12)은 제1소켓(11)에 대해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어 제1소켓(11)에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M1)을 기준으로 제2카메라모듈(M2)을 정렬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소켓(11)에 대해 제2소켓(12)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것은, 제2소켓(12)의 위치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1소켓(11)의 위치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소켓(11)과 제2소켓(12) 모두의 위치와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챠트(13)는 도형 등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는 평평한 판으로서 상기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챠트(13)는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을 정렬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된다. 즉,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로 챠트(13)를 각각 촬영하고 각 카메라모듈로 촬영한 영상에서 챠트(13)에 도시된 도형 등이 정확하게 동일한 구도를 가지도록 제2카메라모듈(M2)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한다.
접착유닛(20)은 정렬유닛(10)에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정렬이 완료된 후 프레임(H)에 제2카메라모듈(M2)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은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에 의하면,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로 챠트(13)를 촬영하면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정렬하기 때문에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해줄 수 있다. 또한, 조립 전 듀얼 카메라모듈을 구성부재들을 로딩하는 작업 및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언로딩하는 작업이 모듈운반유닛(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가 수동으로 로딩 작업 등을 함으로 인해 듀얼 카메라모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렬유닛(10)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2개의 정렬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다수 개의 정렬유닛(10)이 구비되는 경우, 각 정렬유닛(10)에서 동시에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의 정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수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듈운반유닛(30)을 다수 개의 정렬유닛(1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각 정렬유닛(10)에서 시간차를 두고 정렬 작업을 진행하면, 하나의 모듈운반유닛(30)으로 다수 정렬유닛(10)에의 제1·2카메라모듈(M1, M2) 안착 작업 및 다수 정렬유닛(10)에서의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 배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유닛(20)은 상기 정렬유닛(10)의 수에 맞추어 다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모듈운반유닛(30)과 마찬가지로 하나가 구비되어 다수 개의 정렬유닛(1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제1비젼부(V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비젼부(V1)는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의 상부에서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을 촬영하여 제1소켓(11)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소켓(12) 상의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1비젼부(V1)에 의해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위치를 확인하면,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을 정렬하기 전에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외관상으로 정렬할 수 있어 광축 정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제2비젼부(V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듈운반유닛(30)이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들어올렸을 때, 제2비젼부(V2)는 모듈운반유닛(30)의 하부에서 모듈운반유닛(30)을 촬영하여 모듈운반유닛(30)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한다.
제2비젼부(V2)에 의해 확인된 제1카메라모듈(M1)의 위치는 제1소켓(11)의 위치와 비교되고, 제1카메라모듈(M1)과 제1소켓(11)의 위치 차이만큼 모듈운반유닛(30)을 이동시키면 제1소켓(11)에 제1카메라모듈(M1)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비젼부(V2)에 의해 확인된 제2카메라모듈(M2)의 위치는 제2소켓(12)의 위치와 비교되고, 제2카메라모듈(M2)과 제2소켓(12)의 위치 차이만큼 모듈운반유닛(30)을 이동시키면 제2소켓(12)에 제2카메라모듈(M2)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운반유닛(30)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1모듈운반부(31)와 제2모듈운반부(32)를 구비한다.
제1모듈운반부(31)는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을 제1소켓(11)에 안착시키고 제2모듈운반부(32)는 제2카메라모듈(M2)을 제2소켓(12)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거의 동시에 정렬유닛(10)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별도의 모듈운반부를 통해 운반하므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이 안착되는 위치가 뒤바뀌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염려가 거의 없다.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소켓(11)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은 모두 프레임이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여 크기가 동일하므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 또한 제1모듈운반부(31)를 이용해 정렬유닛(10)에서 배출한다.
제1모듈운반부(3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피커(P1)와 배출피커(P2)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카메라모듈(M1)의 안착작업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배출 작업을 제1모듈운반부(31)의 1회 왕복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배출하기 위해 제1소켓(11) 위치로 배출피커(P2)가 이동할 때 공급피커(P1)에 제1카메라모듈(M1)이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여, 제1소켓(11)에서 배출피커(P2)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제거한 후 곧바로 공급피커(P1)의 제1카메라모듈(M1)을 제1소켓(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트레이운반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트레이운반유닛(5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트레이운반유닛(50)은 제1카메라모듈(M1)용과 제2카메라모듈(M2)용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는 제1카메라모듈(M1)용의 트레이운반유닛(50)이다. 제1카메라모듈(M1)용 트레이운반유닛과 제2카메라모듈(M2)용 트레이운반유닛의 구성은 동일하다.
트레이운반유닛(50)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와 제2카메라모듈(M2)이 다수 개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를 모듈운반유닛(30)에 공급한 후,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와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에 안착되어 있던 제1·2카메라모듈(M1, M2)이 듀얼 카메라모듈의 조립에 모두 사용되고 나면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와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를 모듈운반유닛(30)으로부터 배출한다.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에는 카메라모듈들의 조립 전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이 안착되는 것 외에, 조립이 완료된 듀얼 카메라모듈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운반유닛(30)으로부터 배출되는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에 조립이 완료된 듀얼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배출하기 위한 트레이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은 모두 프레임이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여 크기가 동일하므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에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모듈운반유닛(30)으로부터 배출되는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는 빈 상태로 배출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운반유닛(50)은 트레이(T1, T2)의 이동 경로가 되는 레일(51)과 상기 레일(51)을 따라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운반수단(52)을 구비하며, 레일(51)의 선단과 후단에는 트레이를 여러 겹으로 쌓아둘 수 있는 적치부(53)가 위치한다. 레일(51) 선단의 적치부(53)에 쌓인 트레이들은 하부 위치의 트레이부터 운반수단(52)에 의해 모듈운반유닛(30)으로 운반되고, 모듈운반유닛(30)의 위치의 트레이는 다시 운반수단(52)에 의해 레일(51) 후단의 적치부(53)로 이동하여 하부에서부터 쌓이게 된다.
이처럼, 트레이운반유닛(50)은 여러 겹으로 쌓인 트레이를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하여, 모든 트레이의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이 조립에 사용되는 긴 시간 동안 작업자가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에 대해 특별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트레이운반유닛(50)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모듈운반유닛(30)은 제3비젼부(V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비젼부(V3)는 상기 트레이운반유닛(50)의 상부에서 트레이운반유닛(50)을 촬영하여 트레이운반유닛(50)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모듈운반유닛(30)이 트레이운반유닛(50)의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들어올릴 수 있다.
접착유닛(20)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4비젼부(V4), 센서(21), 디스펜서(22) 및 경화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는 이러한 접착유닛(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비젼부(V4)는 정렬유닛(10)을 촬영하여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M2) 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 보다 정확하게는 프레임이 감싸는 제2카메라모듈(M2)의 테두리 부분의 위치를 확인한다. 참고로, 접착유닛(20)이 동작할 때에는 제2카메라모듈(M2)이 제1카메라모듈(M1)에 대해 정렬되어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정렬 작업 전 제1소켓(11)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소켓(12) 상의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 제1비젼부(V1)가 제4비젼부(V4)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센서(21)는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M2)의 표면 높이를 확인하여 접착제 도포 높이, 즉 도포시 제2카메라모듈(M2)에서 디스펜서(22)가 이격될 거리를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21)로는 예를 들어 레이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22)는 상기 제4비젼부(V4)에 의해 정해진 접착제 도포 위치와 센서(21)에 의해 정해진 접착제 도포 높이에 따라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M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경화기는 디스펜서(22)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신속하게 경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제5비젼부(V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5비젼부(V5)는 정렬유닛(10)을 촬영하여 정렬유닛(10) 상에서 고정 완료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5비젼부(V5)는 예를 들어,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 프레임에 대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가 이루는 각도 등을 통해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비젼부(V1)는 제4비젼부(V4)의 역할을 하는 것 외에 제5비젼부(V5)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5비젼부(V5)에 의해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경우, 정렬유닛(10)에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배출하는 모듈운반유닛(30)은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결함이 있는 듀얼 카메라모듈이 배출되는 트레이(T3)가, 결함이 없는 듀얼 카메라모듈이 배출되는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와 별도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는 가이드 레일(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에 대해서는 로딩/언로딩, 정렬, 접착 등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작업을 하는 데 필요한 모듈운반유닛(30), 챠트(13) 및 접착유닛(20)은 분산 배치된다. 따라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이 안착되는 제1소켓(11)과 제2소켓(12)은 작업 공정에 따라 가이드 레일(40)에 의해 챠트(13), 접착유닛(20) 또는 모듈운반유닛(30) 위치로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는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이용되며,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의 설명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은 크게, 모듈 안착단계(S20), 광축 정렬단계(S40),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S50) 및 모듈 배출단계(S70)를 포함한다.
모듈 안착단계(S20)에서는 모듈운반유닛(30)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을 제1소켓(11)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M2)을 제2소켓(12)에 안착시킨다.
광축 정렬단계(S40)에서는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로 챠트(13)를 촬영하면서 제1소켓(11)에 대해 제2소켓(12)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한다. 즉,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 각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각 영상의 각도가 동일해지도록 제2소켓(12)을 정렬한다.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S50)에서는 접착유닛(20)으로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M2)을 고정하여 제2소켓(12)이 제1소켓(11)에 대해 정렬된 상태를 고정하고, 모듈 배출단계(S70)에서는 정렬유닛(10)에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모듈운반유닛(30)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의하면, 모듈 안착단계(S20)나 모듈 배출단계(S70)가 모듈운반유닛(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듀얼 카메라모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축 정렬단계(S40)에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 각각으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정렬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제1비젼부(V1)를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은 모듈 안착단계(S20)와 광축 정렬단계(S40) 사이에 정렬 준비단계(S30)가 더 진행된다.
정렬 준비단계(S30)에서는 제1비젼부(V1)로 제1소켓(11)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소켓(12) 상의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하여,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외관상으로 정렬해줄 수 있다. 따라서, 후속의 광축 정렬단계(S40)에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의 광축 정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제2비젼부(V2)를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모듈 안착단계(S20)는 픽업단계(S21), 안착 준비단계(S22) 및 안착단계(S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픽업단계(S21)에서는 모듈운반유닛(30)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 그리고 제2카메라모듈(M2)을 들어올린다. 안착 준비단계(S22)에서는 상기 제2비젼부(V2)로 모듈운반유닛(30)을 촬영하여 모듈운반유닛(30) 상의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M2)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안착단계(S23)에서는 모듈운반유닛(30)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을 제1소켓(11)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M2)을 제2소켓(12)에 안착시킨다.
픽업단계(S21)에서 들어올려진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은 모듈운반유닛(30)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공급피커(P1)에 고정되되,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안착 준비단계(S22)에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이 고정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 안착단계(S23)에서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을 정렬유닛(10)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가 트레이운반유닛(50)과 제3비젼부(V3)를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모듈 안착단계(S20) 전에는 픽업 준비단계(S10)가 더 진행될 수 있다.
트레이운반유닛(50)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 그리고 제2카메라모듈(M2)이 다수 개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를 모듈운반유닛(3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제3비젼부(V3)는 모듈운반유닛(30)에 놓여진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T1)와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T2)에서 제1카메라모듈(M1)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M2)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픽업 준비단계(S10)에서는 트레이운반유닛(50) 상에 놓여진 다수 개의 카메라모듈 중 임의의 카메라모듈 위치를 파악하여, 모듈운반유닛(30)이 임의의 카메라모듈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한 후 임의의 카메라모듈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의 접착유닛(20)이 제4비젼부(V4), 센서(21), 디스펜서(22) 및 경화기를 구비하는 경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S50)는 도포 준비단계(S51), 접착제 도포단계(S52) 및 접착제 경화단계(S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포 준비단계(S51)에서는 광축이 정렬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M1)과 제2카메라모듈(M2)이 놓여진 정렬유닛(10)을 제4비젼부(V4)로 촬영하여 접착제 도포 위치를 확인한다. 접착제는 듀얼 카메라모듈의 구성 중 서로 고정되지 않은 프레임(H)과 제2카메라모듈(M2)의 접촉부 및 그 주변으로 도포되어야 할 것이다. 도포 준비단계(S51)에서는 또한, 센서(21)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M2)의 표면 높이를 확인하여 도포 높이, 즉 접착제 도포시 제2카메라모듈(M2)과 디스펜서(22)가 이격될 거리를 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포되는 접착제가 도포 위치 상에서 분산되는 정도는 도포 높이에 의해 정해지므로 필요한 접착제의 분산 정도에 맞게 도포 거리를 정한다.
접착제 도포단계(S52)에서는 디스펜서(22)로 프레임(H)과 제2카메라모듈(M2) 상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 준비단계(S51)에서 도포 위치와 도포 높이가 정확하게 결정되므로 디스펜서(22)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는 적당한 정도로 분산되어 프레임(H)과 제2카메라모듈(M2)의 접촉부에 정확하게 도포된다.
접착제 경화단계(S53)에서는 프레임(H)과 제2카메라모듈(M2) 상에 경화기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접착제는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1)의 접착유닛(20)이 제5비젼부(V5)를 더 구비하는 경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S50)와 모듈 배출단계(S70) 사이에는 결함 확인단계(S60)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결함 확인단계(S60)에서는 제5비젼부(V5)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촬영하여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모듈 배출단계(S70)에서는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한다.
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별도의 장치에 의해 확인할 필요가 없고, 결함이 있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자동으로 배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10 : 정렬유닛 11 : 제1소켓
12 ; 제2소켓 13 : 챠트
20 : 접착유닛 21 : 센서
22 : 디스펜서 30 : 모듈운반유닛
31 : 제1모듈운반부 32 : 제2모듈운반부
40 : 가이드 레일 50 : 트레이운반유닛
H1 : 프레임 M1 : 제1카메라모듈
M2 : 제2카메라모듈 S10 : 픽업 준비단계
S20 : 모듈 안착단계 S21 : 픽업단계
S22 : 안착 준비단계 S23 : 안착단계
S30 : 정렬 준비단계 S40 : 광축 정렬단계
S50 :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 S51 : 도포 준비단계
S52 : 접착제 도포단계 S53 : 접착제 경화단계
S60 : 결함 확인단계 S70 : 모듈 배출단계
T1 :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 T2 :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
V1 : 제1비젼부 V2 : 제2비젼부
V3 : 제3비젼부 V4 : 제4비젼부
V5 : 제5비젼부

Claims (18)

  1. 제1카메라모듈, 제2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을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조립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1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1소켓, 제2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제2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소켓에 대해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는 제2소켓, 및 상기 제1소켓에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소켓에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의 촬영 대상이 되는 챠트를 구비하고,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로 상기 챠트를 촬영한 각 영상에서 상기 챠트에 도시된 도형이 동일한 구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2소켓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정렬유닛;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을 접착시키는 접착유닛; 및
    상기 제1소켓에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고 상기 제2소켓에 제2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키며,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상기 정렬유닛에서 제거하는 모듈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과 상기 제2소켓을 상기 챠트, 상기 접착유닛 또는 상기 모듈운반유닛 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운반하는 제1모듈운반부, 및 제2카메라모듈을 운반하는 제2모듈운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상기 다수 개의 정렬유닛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켓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상기 제2소켓 상의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1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2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와 제2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를 상기 모듈운반유닛에 공급하고,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이 다수 개 안착된 제1카메라모듈 트레이와 빈 제2카메라모듈 트레이를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부터 배출하는 트레이운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상기 트레이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제3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유닛은,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를 확인하는 제4비젼부,
    접착제 도포 높이를 확인하는 센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디스펜서 및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 상에 위치하는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제5비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은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13. 제1소켓, 제2소켓 및 챠트를 구비하는 정렬유닛; 접착유닛; 및 모듈운반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제1카메라모듈, 제2카메라모듈 및 프레임을 구비하는 듀얼 카메라모듈을 조립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상기 제1소켓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제2소켓에 안착시키는 모듈 안착단계;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로 상기 챠트를 촬영한 각 영상에서 상기 챠트에 도시된 도형이 동일한 구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소켓에 대해 상기 제2소켓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광축 정렬단계;
    상기 접착유닛으로 프레임에 제2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 및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상기 정렬유닛에서 배출하는 모듈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1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와 상기 광축 정렬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비젼부로 상기 제1소켓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상기 제2소켓 상의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정렬 준비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2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는,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을 들어올리는 픽업단계;
    상기 제2비젼부로 상기 모듈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안착 준비단계; 및
    상기 모듈운반유닛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을 상기 제1소켓에 안착시키고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제2소켓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의 제1카메라모듈과, 제2카메라모듈을 상기 모듈운반유닛에 공급하는 트레이운반유닛; 및 제3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안착단계 전에는, 상기 제3비젼부로 상기 트레이운반유닛 상의 제1카메라모듈 위치와 제2카메라모듈 위치를 확인하는 픽업 준비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유닛은 제4비젼부, 센서, 디스펜서 및 경화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는,
    상기 제4비젼부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의 접착제 도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센서로 접착제 도포 높이를 확인하는 도포 준비단계;
    상기 디스펜서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경화기로 프레임과 제2카메라모듈 상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접착제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는 제5비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 고정단계와 상기 모듈 배출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5비젼부로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결함 확인단계가 더 진행되고,
    상기 모듈 배출단계에서는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의 결함 유무에 따라 조립된 듀얼 카메라모듈을 분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KR1020180000071A 2018-01-02 2018-01-02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KR10185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1A KR101859447B1 (ko) 2018-01-02 2018-01-02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CN201810297080.XA CN109995974A (zh) 2018-01-02 2018-04-04 双相机模块组装装置及利用该装置的双相机模块组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1A KR101859447B1 (ko) 2018-01-02 2018-01-02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47B1 true KR101859447B1 (ko) 2018-05-23

Family

ID=6245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71A KR101859447B1 (ko) 2018-01-02 2018-01-02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9447B1 (ko)
CN (1) CN109995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024A (ko) * 2019-02-07 2020-08-18 (주)에이피텍 회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전면 검사 시스템
KR20210027966A (ko) * 2019-09-03 2021-03-11 (주)하이비젼시스템 듀얼 셔틀 구조를 이용한 다중 능동 정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9151A (zh) * 2019-09-21 2020-02-18 深圳奥比中光科技有限公司 一种模组对准装置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92B1 (ko) 2009-02-24 2009-09-07 (주) 에스에스피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1786B (zh) * 2013-12-27 2016-08-17 深圳市韵腾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焊接手机摄像头模组的设备和方法
US9973669B2 (en) * 2015-08-28 2018-05-15 Apple Inc. Dual overmolded reconstructed camera module
CN106425451B (zh) * 2016-10-26 2019-03-26 珠海市广浩捷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摄像头模组装配设备
CN206302516U (zh) * 2016-12-30 2017-07-04 东莞市柏新自动化有限公司 双摄像头校正设备
CN106990499B (zh) * 2017-03-31 2019-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双摄像头模组装配方法、双摄像头模组和移动终端
CN107263087B (zh) * 2017-08-10 2023-07-25 深圳眼千里科技有限公司 一种双摄像头模组自动组装装置及其自动组装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92B1 (ko) 2009-02-24 2009-09-07 (주) 에스에스피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024A (ko) * 2019-02-07 2020-08-18 (주)에이피텍 회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전면 검사 시스템
KR102161782B1 (ko) * 2019-02-07 2020-10-05 (주)에이피텍 회전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전면 검사 시스템
KR20210027966A (ko) * 2019-09-03 2021-03-11 (주)하이비젼시스템 듀얼 셔틀 구조를 이용한 다중 능동 정렬 시스템
KR102229740B1 (ko) * 2019-09-03 2021-03-19 (주)하이비젼시스템 듀얼 셔틀 구조를 이용한 다중 능동 정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95974A (zh)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47B1 (ko)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모듈 조립방법
US20100195083A1 (en) Automatic substrate transport system
KR101624004B1 (ko) 실장 장치 및 실장 방법
KR101714463B1 (ko) 카메라 모듈 액츄에이터용 부품 조립 방법 및 그 장치
EP3531442B1 (en) Laser bonding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JP2008003179A (ja) レンズモジュール組立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6198712A (ja) レンズモジュール組立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671450B1 (ko) 카메라 모듈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20140029673A (ko) 카메라모듈과 fpcb 본딩장치
CN108111841A (zh) 用于检查相机模块的处理器和用于检查相机模块的设备
KR100551994B1 (ko) 콤팩트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및 그의 작동방법
WO2024138815A1 (zh) 镜头自动aa组装设备
CN109870781A (zh) 摄影机镜头模块制造装置
KR101776668B1 (ko) 제품 접합 장치
CN212737418U (zh) 一种曲面屏的贴合装置
KR102229686B1 (ko) 정렬 신뢰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어태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어태칭 방법
KR102186067B1 (ko)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자동화장치
CN112776363A (zh) 一种校正多工位转盘装置
KR101383195B1 (ko) Fpcb 트레이만을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과 fpcb 본딩장치
KR101575232B1 (ko) 레이저 솔더링 장치
KR102497305B1 (ko) 전자파 차폐시트 부착장치
KR102451494B1 (ko) 전자부품의 안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KR102657648B1 (ko) 반도체 제조용 기판 결합 시스템
KR102690090B1 (ko) Fpcb 비전 검사 장치
KR102058272B1 (ko) 사전 정렬유닛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및 카메라모듈 검사 준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