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24B1 - 농업용 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24B1
KR101857524B1 KR1020170155951A KR20170155951A KR101857524B1 KR 101857524 B1 KR101857524 B1 KR 101857524B1 KR 1020170155951 A KR1020170155951 A KR 1020170155951A KR 20170155951 A KR20170155951 A KR 20170155951A KR 101857524 B1 KR101857524 B1 KR 10185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rame
tension
boom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중
정희종
홍순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01D25/04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01D25/042Machine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with driven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나 당근과 같은 근채작물을 수확할 때 굴절된 지면에 대하여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수확부로 안내함으로써 수확을 쉽게 하고 줄기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기{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우나 당근과 같은 근채작물을 수확할 때 굴절된 지면에 대하여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수확부로 안내함으로써 수확을 쉽게 하고 줄기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채작물은 잎이나 줄기 및 과실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작물과는 달리 뿌리를 대상으로 하는 작물로서, 당근이나 무우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근채작물은 굴취를 통해 수확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농업용 작업기로는 수확이 어려워 굴취날이 구비된 전용 작업기를 이용하여 수확하고 있다. 하지만, 굴취날을 이용하여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경우에는 굴취날에 의해 수확대상작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맞물려 이동하며 텐션이 변화되는 한 쌍의 인발벨트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잡은 상태로 뽑아 올리는 방식의 작업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작업기는 대부분 궤도형 작업차량에 연결되는 것으로 작업기의 무게중심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바퀴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밭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평지는 물론 산악지형이나 자투리 지형까지 활용하고 있고, 밭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두둑과 골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밭작물이 재배되는 곳의 지면이 불균일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굴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절이 형성된 지형에서 작업기를 사용하면 작업기에 많은 충격이 작용하게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농업용 작업기는 궤도형 작업차량에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무게중심이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 바퀴축을 지지하는 바퀴축 지지대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고 있어 굴절된 지형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고 바퀴나 바퀴축 지지대에 작용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해 작업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27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2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75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29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는, 완충 실린더와 완충 스프링을 이용하여 지면의 굴곡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작물의 줄기부분을 안전하게 수확부로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수확대상작물의 파손과 같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는, 차륜형 작업차량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붐대와,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붐대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붐대와,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을 연결하는 구동 연결부로 이루어진 인발몸체와;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와 전방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에 결합되며 제1붐대와 제2붐대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 올리는 한쌍의 인발벨트와; 종동 풀리에 연동하여 작동되며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주는 한 쌍의 안발 가이드와; 제1붐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축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와; 제1붐대에 구비된 브래킷의 지지링크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로드가 바퀴축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 지형에서 바퀴축 지지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실린더와; 제1붐대의 선단부와 바퀴축을 연결하여 굴절 지형에서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과; 연결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브래킷과, 일측 단부가 회동 브래킷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브래킷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발가이드는 종동 풀리와 동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발가이드 풀리와, 근채작물을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도록 인발벨트 근처에 배치되는 보조 풀리와,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인발가이드 풀리와 보조 풀리를 연결하는 가이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 실린더는 연결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1붐대에 구비된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에 스프링이 구비된 후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 외측에 원판형 쟁기날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는 바퀴가 연결된 바퀴축 지지대가 인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완충 스프링과 완충 실린더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완충하고 있으므로, 바퀴형 작업차량에 연결하여 굴곡진 지형에서도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고 인발몸체에 작용하는 충격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발몸체의 앞쪽에 인발가이드가 구비되어 근채작물의 줄기부분을 모아서 인발벨트로 공급하게 되므로 수확대상작물을 쉽게 수확함과 아울러 수확대상작물의 손상이 방지되어 품질이 향상되고 수확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판형 쟁기날을 이용하여 근채작물 주위의 흙을 파쇄하게 되므로 인발벨트를 이용한 수확작업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지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의 모습이 형태가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의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를 이용하여 굴곡 지형에서 작업할 때의 모습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농업용 작업기가 굴곡 지형을 벗어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기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형 작업차량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붐대(11)와, 연결 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붐대(11)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붐대(12)와, 양단이 각각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상면에 고정되고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4)와,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후단을 연결하는 구동 연결부(13)로 이루어진 인발몸체(10)와;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27)와 전방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26)에 결합되며 제1붐대(11)와 제2붐대(12) 사이에서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 올리는 한쌍의 인발벨트(25)와; 종동 풀리(26)에 연동하여 작동되며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주는 한 쌍의 안발 가이드(20)와; 제1붐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축 지지대(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15)와; 제1붐대(11)에 구비된 브래킷(45)의 지지링크(33)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로드(32)가 바퀴축 지지대(16)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 지형에서 바퀴축 지지대(16)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실린더(30)와; 제1붐대(11)의 선단부와 바퀴축을 연결하여 굴절 지형에서 바퀴(15)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35)과; 구동 연결부(13)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구동풀리(27)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인발가이드(20)에 의해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이 인발벨트(50) 사이로 모아지게 되고, 한 쌍의 인발벨트(50)가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을 개재한 상태로 인발몸체(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근채작물이 뽑히게 된다. 그리고, 작업 도중 굴곡 지형을 만나는 경우 바퀴축 지지대(16)가 회동하면서 바퀴(15)를 지면까지 하강시키게 되어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며, 완충 실린더(30)와 완충 스프링(35)의 작용에 의해 바퀴(15)나 바퀴축 지지대(16)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1붐대(11)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인발벨트(25)는 구동 풀리(27)와 종동 풀리(26)에 결합되고 구동 풀리(27)에 의해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인발몸체(10)의 후방측으로 상향 이동시키면서 근채작물을 뽑아주게 된다. 이때, 인발벨트(25)가 충분한 텐션을 유지하여야만 근채작물을 뽑아줄 수 있으므로,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에 각각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28)와 텐션 롤러(29)가 설치된다. 즉,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28)가 설치되어 인발벨트(25)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29)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25)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텐션롤러(29)는 텐션 지지대(29')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25)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텐션 지지대(29')는 도 6과 같이,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2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11) 및 제2붐대(12)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29b)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브래킷(29a)과, 일측 단부가 회동 브래킷(29a)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브래킷(29a)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29d)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29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발가이드(20)는 도 5와 같이, 종동 풀리(26)와 동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발가이드 풀리(21)와, 근채작물을 인발벨트(25) 사이로 안내하도록 인발벨트(25) 근처에 배치되는 보조 풀리(22)와,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 돌기(23)가 구비되어 상기 인발가이드 풀리(21)와 보조 풀리(22)를 연결하는 가이드 벨트(2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흩어져 있는 근채작물의 줄기 부분이 가이드 벨트(24)의 가이드 돌기(23)에 의해 두 인발가이드(20) 사이로 모이게 되고, 가이드 벨트(24)가 회전함에 따라 그 후방에 위치한 인발벨트(50) 사이로 공급된다.
로드(32)가 바퀴축 지지대(16)에 연결된 완충 실린더(30)는 바퀴축 지지대(16)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바퀴축 지지대(16)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연결 프레임(1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1붐대(11)에 구비된 브래킷(4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33)에 스프링(31)이 구비된 후단부가 연결되어, 제1붐대(1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바퀴(15)가 굴곡 지형을 만나 아래로 내려갈 때 바퀴축 지지대(16)가 회동하면, 완충 실린더(30)는 바퀴축 지지대(16)가 서서히 회동하도록 하여 바퀴(15) 또는 바퀴축 지지대(16)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바퀴축 지지대(16)이 회동할 때 완충 실린더(30) 후단의 스프링(31)이 인장되고 로드(32)의 스트로크가 증가하면서 바퀴축 지지대(16)가 서서히 회동하게 하여, 바퀴축 지지대(16)를 통해 제1붐대(10)에 작용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굴곡 지형을 벗어나면 바퀴(15)가 위로 올라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업용 작업기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프레임(40)을 통해 차륜형 작업장치에 인발몸체(10)를 연결하고, 제1붐대(11)에 설치된 바퀴(15)를 하강시켜 작업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구동부(50)를 통해 구동 풀리(27)와 종동 풀리(26) 사이에서 인발벨트(25)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인발가이드(20)의 인발가이드 풀리(21)가 종동 풀리(26)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인발가이드 풀리(21)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벨트(24)가 회전하면서 외측의 가이드 돌기(23)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의 줄기부분을 모아 인발벨트(25) 사이로 공급하게 된다.
한 쌍의 인발벨트(25) 사이로 공급된 근채작물의 줄기부분은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중인 한 쌍의 인발벨트(2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1붐대(11)와 제2붐대(12)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인발벨트(25)의 상향 이동에 따라 근채작물이 뽑히게 되고, 뽑힌 근채작물은 인발몸체(1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인발몸체(10)의 후방에서 두 인발벨트(25)가 멀어지면 근채작물이 하강하여 적재공간(도시 생략)에 적재됨으로써 수확을 완료한다. 이때, 한 쌍의 인발벨트(25)는 제1붐대(11)와 제2붐대(12) 사이에서 텐션 롤러(29)에 의해 부여된 텐션을 이용하여 근채작물의 줄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또, 도 7 내지 10을 통해 지면이 굴절된 굴곡 지형에서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륜형 작업차량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실린더(30)의 로드(32)와 스프링(31)이 초기 형태를 유지하고, 완충 스프링(35) 역시 초기 형태를 유지하여 바퀴(15)가 정상 위치에 있게 한다.
밭에 도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0)가 지면에 근접하도록 인발몸체(10)가 회전되어 바퀴(15)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완충 스프링(35)은 수축되지만, 완충 실린더(30)의 로드(32)와 스프링(31)은 초기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50)에 의해 인발벨트(25)가 움직임으로써 근채작물에 대한 수확작업이 진행된다.
수확작업 도중에 지형이 굴절된 부분을 만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몸체(10)의 각도가 높아지면서 바퀴축 지지대(16)가 회전하여 바퀴(15)가 노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완충 실린더(30)의 스프링(31)은 수축되고 완충 스프링(35)은 팽창한다. 이러한 자세는 하향 경사진 지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후, 굴절된 지형 내부에서의 작업시에는 지형에 따라 완충 실린더(30)의 스프링(31)은 수축 또는 팽창하고 로드(32)의 스트로크가 변화됨으로써 바퀴축 지지대(16)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완충 스프링(35) 역시 수축 또는 팽창하여 바퀴(15)가 지형에 관계없이 노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퀴(15)가 지형이 굴절된 부분을 벗어는 순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스프링(35)이 수축되면서 바퀴(15)가 올라올 수 있도록 하고 완충 실린더(30)의 스프링(31)이 팽창함과 동시에 로드(31)의 스트로크가 증가하여 인발몸체(10)의 각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퀴(15)의 높이에 상관없이 인발가이드(20)는 지면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수확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지형이 굴절된 부분을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도 8과 같이, 정상 작업 위치에서 작업을 계속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인발몸체(10)에 구비된 인발벨트(25)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선단 외측에 원판형 쟁기날(도시 생략)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원판형 쟁기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을 제1붐대(11)와 제2붐대(12)의 선단 외측에 연결함으로써, 작업차량의 이동에 따라 원판형 쟁기날이 회전하면서 근채작물 주위의 땅을 파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판형 쟁기날을 이용하여 땅을 파쇄하게 되면 인발벨트를 이용하여 근채작물을 뽑아올릴 때 더 근채작물이 더 쉽게 뽑히고 근채작물의 줄기나 뿌리의 손상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인발 몸체 11 : 제1붐대
12 : 제2붐대 13 : 연결부
14 : 연결부재 15 : 바퀴
16 : 바퀴축 지지대 20 : 인발가이드부
21 : 인발가이드 풀리 22 : 보조 풀리
23 : 가이드 돌기 24 : 가이드 벨트
25 : 인발벨트 26 : 종동풀리
27 : 구동풀리 28 : 아이들 롤러
29 : 텐션롤러 29' : 텐션 지지부
29a : 회동 링크 29b : 지지 브래킷
29c : 텐션 와이어 29d : 텐션 스프링
30 : 실린더 31 : 스프링
32 : 로드 33 : 지지링크
35 : 완충 스프링 40 : 연결 프레임
45 : 브래킷 50 : 구동부

Claims (6)

  1. 차륜형 작업차량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붐대와, 연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붐대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붐대와, 양단이 각각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제1붐대와 제2붐대의 후단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인발몸체와;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와 전방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에 결합되며 제1붐대와 제2붐대 사이에 맞물리는 형태로 이동하면서 근채작물을 뽑아 올리는 한쌍의 인발벨트와;
    종동 풀리에 연동하여 작동되며 근채작물의 줄기를 모아주는 한 쌍의 안발 가이드와;
    제1붐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축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와;
    제1붐대에 구비된 브래킷의 지지링크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로드가 바퀴축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굴절 지형에서 바퀴축 지지대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실린더와;
    제1붐대의 선단부와 바퀴축을 연결하여 굴절 지형에서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과;
    구동 연결부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외측에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인발벨트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의 내측에 복수 개의 텐션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중인 인발벨트에 텐션을 부여하면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텐션롤러는 텐션 지지대에 의해 회동하여 인발벨트에 나란한 방향으로 텐션을 부여하며,
    텐션 지지대는 일측 단부에 텐션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붐대 및 제2붐대에 각각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중간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브래킷과, 일측 단부가 회동 브래킷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른 회동 브래킷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텐션 스프링이 연결된 텐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발가이드는 종동 풀리와 동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발가이드 풀리와, 근채작물을 인발벨트 사이로 안내하도록 인발벨트 근처에 배치되는 보조 풀리와,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인발가이드 풀리와 보조 풀리를 연결하는 가이드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 실린더는 연결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1붐대에 구비된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링크에 스프링이 구비된 후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붐대와 제2붐대의 선단 외측에 원판형 쟁기날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기.
KR1020170155951A 2017-11-21 2017-11-21 농업용 작업기 KR10185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951A KR101857524B1 (ko) 2017-11-21 2017-11-21 농업용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951A KR101857524B1 (ko) 2017-11-21 2017-11-21 농업용 작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524B1 true KR101857524B1 (ko) 2018-05-14

Family

ID=6218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951A KR101857524B1 (ko) 2017-11-21 2017-11-21 농업용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KR101674721B1 (ko) 2014-07-30 2016-11-09 김재동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759426B1 (ko) 2016-03-10 2017-07-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950B1 (ko) 2008-08-08 2009-01-21 (주)엠엔지 땅속 작물 수확 장치
KR101674721B1 (ko) 2014-07-30 2016-11-09 김재동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759426B1 (ko) 2016-03-10 2017-07-18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48B1 (ko) 가이드부가 개선된 무 수확기
JP2014007978A (ja) 農作物収穫機
KR101857524B1 (ko) 농업용 작업기
JP2012044913A (ja) 葉菜収穫機
JP2018139570A (ja) 苗移植機
JP6317233B2 (ja) ねぎ収穫機
JPH03112412A (ja) コンバイン
JP5012212B2 (ja) 野菜収穫機
US3032123A (en) Digger for trees and shrubs
JP5763404B2 (ja) 根菜収穫機
KR102439036B1 (ko) 윤거조절장치를 구비한 두 줄 무 수확기
JP7449544B2 (ja) 管理機に用いるネギ用培土器およびネギ専用管理機
EP0023369B1 (en) Tuber, bulb and root lifter
JP2008289416A5 (ko)
JP6888594B2 (ja) 苗移植機
CN208159151U (zh) 一种用于田地整垄的装置
US200601508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ulching, and leveling soil beds for planting
JP2014007977A (ja) 農作物収穫機
US2791083A (en) Root crop top harvesting machines
CN207022542U (zh) 农用设备
CN111133889A (zh) 油茶籽采摘耙
JP3148525B2 (ja) 長根根菜類の収穫機
KR102439042B1 (ko) 무 수확기용 피복 제거장치
JP5991935B2 (ja) 圃場走行作業車
KR102418741B1 (ko) 무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