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426B1 -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426B1
KR101759426B1 KR1020160028952A KR20160028952A KR101759426B1 KR 101759426 B1 KR101759426 B1 KR 101759426B1 KR 1020160028952 A KR1020160028952 A KR 1020160028952A KR 20160028952 A KR20160028952 A KR 20160028952A KR 101759426 B1 KR101759426 B1 KR 10175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vehicle
cylind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중
정희종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에 지상고 조절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골 및 이랑등의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는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평지에서는 안정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는, 차량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차량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차륜축,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에 연결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Ground clearance adjusting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에 지상고 조절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골 및 이랑등의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는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평지에서는 안정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에 있어서, 다른 산업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기계화는 필수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농사를 보조하는 용도로서의 각종 농업용 차량(이하, 농업용 차량은 농업에 사용되는 엔진이 부착된 각종 차량을 지칭함)이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농업용 차량은 통상 평탄지에서의 이동을 전제로 설계된 것이 대부분이며, 이들 차량의 지상고 역시 이를 감안하여 승용 및 농작업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평탄지 이외의 사용을 전제로 하는 농업용 차량의 경우에는, 최저 지상고를 단순히 높이거나 다르게는 무한 궤도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단순하게 최저 지상고를 높이게 되면, 농작업에서의 편의성은 다소 증대되나 조작성이 불량해지고, 농작업 이외의 승용에서는 농업용 차량의 무게 중심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승차감이 악화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 이외에, 무한 궤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유지 보수가 불편해지고 또한 중량 증가를 피할 수 없으며, 타이어를 장착한 차륜 방식에 비해서 승차감이 나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농업용 차량은 야지나 습지와 같은 특수 지형에서의 불균일한 지형, 특히 논둑이나 밭둑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돌출한 불균일한 지형의 요철에 의해서 그 주행 또는 작업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습지에 차륜이 빠지는 경우에는, 차동 기어를 사용하여 각 차륜의 회전력에 차등을 두어 제어하는 방법, 또는 더욱 강력한 토크를 이용하는 4 륜 구동 방식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농작업에 있어서, 기존의 수도작 또는 과수 등이 행해지는 지형과는 다르게 골, 이랑 등의 형성으로 지형의 기복이 심하여 차량의 하부가 지면과 간섭하게 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어쩔 수 없이 크레인이나 기중기와 같은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견인 또는 인양하거나, 인력에 의한 견인 또는 인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농업에 있어서도, 다른 산업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필요한 인력을 적기에 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 역시 적시에 수배하기 어려울 때가 많아서 원활한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기술이 있으며, 특허문헌 1에서는 험지 돌파를 위해서 무한 궤도를 장착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2에서는 농업용 차량의 바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바퀴 높이 조절 수단(바람직하게는 나사부)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모두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의 주행을 고려하고는 있으나,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종래의 무한 궤도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문제점, 즉 구조의 복잡화, 이로 인한 불리한 유지 보수성, 또한 피할 수 없는 중량 증가, 및 나쁜 승차감의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최저 지상고가 평탄하지 않은 지면, 특히 골이 깊은 이랑에서 작업하는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농기계의 하부면과 이랑의 상면이 서로 접촉하게 맞닿게 될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었으며, 이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종래와 같이 인력으로 또는 다른 농업용 차량을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00033 (2000년 01월 15일 공개, 발명의 명칭: 다기능 농기계 동력 차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0431 (2002년 09월 27일 공고, 고안의 명칭: 지면의 형상에 따라 제초가 가능한 농기계용 제초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는, 골 및 이랑등의 지형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형 및 농작업 방법에 따라 지상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는, 차량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차량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차륜축,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에 연결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차륜축과 연결되는 차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차륜기어는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륜기어는, 상기 구동기어 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륜기어는, 상기 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조절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2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양방향 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차량의 지상고 조절 장치는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함으로써, 골 및 이랑등의 기복이 심한 지역에서 차량 하부가 지형과 맞닿아 동작 불능 상태에 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지에서 고속 주행을 할 때에는 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어박스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도 1의 실린더, 링크 및 차륜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린더 및 기어박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기본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한편, 차량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1), 상기 구동축(11)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박스(20), 상기 기어박스(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차륜축(14), 상기 기어박스의 타측에 연결되는 조절축(13), 상기 조절축(13)에 연결되는 링크(15), 상기 링크(15)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실린더, 상기 차륜축에 연결되는 타이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차량에 있어서 기본적인 틀을 의미하며, 엔진 등의 차량 필수구성을 포함하는 기존의 프레임(10)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을 중심으로 나머지 구성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축(11)은 상기 타이어(100)가 상기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차량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한편, 상기 타이어(100)로 구동력을 직접 전달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축(11)은 상기 기어박스(20)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동축(11)과 연결된 상기 기어박스(20)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20)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11)과 결합되는 구동기어(21),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며 상기 차륜축(14)과 결합되는 차륜기어(23), 상기 구동기어(21) 및 상기 차륜기어(23)를 수용하는 기어덮개(2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21)는, 상기 구동축(11)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차륜기어(23)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21)는 상기 구동축(11)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21)는 상기 구동축(11)과 결합됨으로써, 제자리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21)는, 제자리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차륜기어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차륜기어(23)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차륜기어(23)는, 상기 구동축(11)으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상기 차륜축(14)으로 전달하는 한편, 차량의 지상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륜기어(23)는, 상기 구동기어(21)의 치형과 동일한 형상의 치형을 형성하고,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된다.
이때, 상기 차륜기어(23)는,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었을 뿐,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구동기어(21)의 중심축인 상기 구동축(11)을 축으로하여 상기 실린더를 통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륜기어(23)는, 상기 구동기어(21)와의 크기 비율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차륜기어(23)가 상기 구동기어(21)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크기 비율에 따라 상기 차륜기어(23)로 전달되는 구동력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이 낮아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타이어(100)로 출력되는 구동력의 RPM은 변화의 폭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타이어(100)로 출력되는 구동력의 RPM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21)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크기 비율에 따라 전달되는 구동력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이 높아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타이어(100)로 출력되는 구동력의 RPM은 변화의 폭이 높아진다.
따라서, 낮은 구동력으로도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높은 속도를 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동기어(2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경우, 전달되는 구동력 또한 동일하게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차륜기어(23)와 상기 구동기어(21)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고, 어느 한 기어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기어의 수명이 비슷해지고, 기어의 수명이 늘어난다.
한편, 상기 구동기어(21)와 상기 차륜기어(23)는, 결합상태에서 이물질유입이나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덮개(25)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어덮개(25)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축(13)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30)에 연결된 상기 링크(15)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차륜기어(23)를 회전 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축(13)은, 양 단부가 상기 차륜기어(23)에 각각 고정되고, 축의 일부가 상기 링크(15)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절축(13)은, 상기 차륜기어(23)로 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차륜기어와 연결될 때, 차륜기어와의 사이에 베어링(131)을 형성한다.
상기 차륜축(14)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륜기어(2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타이어(100)를 회전 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륜축(14)은, 단부가 상기 차륜기어(23)와 결합되고, 또 다른 단부가 상기 타이어(10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차륜축(14)은, 상기 구동축(11)보다 저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륜축(14)과 결합된 상기 타이어(100)가 바닥과 밀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륜축(14)은, 상기 기어박스(20)와 상기 타이어(10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박스(20)와 상기 타이어(100)를 일정거리만큰 이격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링크(15)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30)와 상기 조절축(13)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실린더(30)를 통해 상기 조절축(13)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링크(15)는,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축(13)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링크(15)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조절축과 연결되는 전방링크(151), 후방의 조절축과 연결되는 후방링크(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15)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될 때, 상기 실린더(30)가 신축할 경우 상기 실린더(30)와 충돌하지 않도록,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실린더의 단부와 동축을 공유한 형태로 겹쳐지지 않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링크(15)는, 상기 조절축(13)이 상기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축(13) 및 상기 실린더(30)와 연결될 때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더불어, 상기 링크(15)는, 상기 전방링크(151)와, 상기 후방링크(153)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30)에 의해 상기 조절축을 조작할 때, 각각의 조절축(13)의 X축 이동범위(D)와 Y축 이동범위(H)가 동일하고, 상기 조절축(13)의 축간거리(L)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30)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실린더 슬리브(31), 상기 실린더 슬리브(31)로 슬라이딩삽입되는 실린더 로드(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30)는, 일방적인 실린더를 뜻하므로, 기능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린더(30)의 상기 실린더 로드(33)는, 단부에 링크연결핀(3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린더 로드(33)와 상기 링크(15)가 결합될 때, 동축을 공유하며 충돌하지 않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30)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링크(15)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조절축(13)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0)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신축작용에 의해 상기 조절축(13)을 평행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일시 예를 통해 다양한 지상고 조절 형태를 갖는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실린더가 프레임에 고정된 경우, 실린더가 구동축에 연결된 경우, 및 실린더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중심을 기점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구동력 전달 방식은 기존의 방식을 사용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작동상태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상기 실린더(30)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30)와 상기 조절축(13)을 연결하는 상기 링크(15)를 통해서, 일단이 상기 구동축(11)에 고정된 상기 기어박스(2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15)의 상기 전방링크(151) 및 상기 후방링크(151)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20)의 상기 구동축(11)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축 X축 이동범위(D) 및 조절축 Y축 이동범위(H)를 전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축 X축 이동범위(D)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축간거리(L)를 변동사항없이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는, 축간거리(L)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어박스(20)의 조절축 Y축 이동범위(H)를 조절함에 따라 차량의 지상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는, 본 발명의 따른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제1 실시예와 비슷한 구조로 형성되고, 동일한 효과를 같는다.
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실린더(30)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구동축(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에 별도의 실린더 고정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실린더 로드(33)의 단부와 상기 조절축(13)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상기 실린더(30)로 상기 조절축(13)을 회전시키는데 드는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 로드(33)의 단부와 상기 조절축(13)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상기 실린더 로드(33)의 단부와 상기 조절축(13)을 연결하는 상기 링크(15)의 길이도 짧게 형성됨으로, 재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링크(15)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상기 링크(15)의 과부하의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는, 본 발명의 따른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각 구조의 작동방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30)를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제3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방링크(151)와 상기 후방링크(153)를 별도로 조작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링크(15)를 조작함으로써, 전방과 후방의 조절축 X축 이동범위(D) 및 조절축 Y축 이동범위(H)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30)의 의하여, 상기 링크(15)를 개별조작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20) 또한 개별조작을 할수 있게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개별조작에 따라 축간거리(L)를 유지 또는 다른 길이의 축간거리(L')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어박스(20)의 조절축 X축 이동범위(D)를 조절하고, 조절축 Y축 이동범위(H)를 조절함에 따라 차량의 지상고 높이 및 타이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구동축
13 : 조절축 14 : 차륜축
15 : 링크 20 : 기어박스
21 : 구동기어 23 : 차륜기어
25 : 기어덮개 30 : 실린더
31 : 실린더 슬리브 33 : 실린더 로드

Claims (8)

  1. 차량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차량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차량의 지상고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차륜축,
    상기 기어박스의 타측에 연결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조절축,
    상기 조절축에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조절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차륜축 및 조절축과 연결되는 차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차륜기어는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륜기어는, 상기 구동기어 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륜기어는, 상기 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어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조절축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조절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2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양방향 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지상고 조절장치
KR1020160028952A 2016-03-10 2016-03-10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KR10175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52A KR101759426B1 (ko) 2016-03-10 2016-03-10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52A KR101759426B1 (ko) 2016-03-10 2016-03-10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426B1 true KR101759426B1 (ko) 2017-07-18

Family

ID=5943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52A KR101759426B1 (ko) 2016-03-10 2016-03-10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42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24B1 (ko) 2017-11-21 2018-05-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기
CN110329371A (zh) * 2019-07-31 2019-10-15 北京履坦科技有限公司 一种间距可调的轮腿机构
KR102266826B1 (ko) 2021-01-25 2021-06-1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능동형 차고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궤도차량
US11518206B2 (en) 2021-04-28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fram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702162B2 (en) 2021-04-28 2023-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chassis and associated methods
US11807302B2 (en) 2021-04-28 2023-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vehicle platforms
US11858571B2 (en) 2021-04-28 202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hassis with interchangeable performance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11866095B2 (en) 2021-04-28 2024-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osition wheel assembly mounts
US11938802B2 (en) 2021-04-28 2024-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motorized wheel assembli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24B1 (ko) 2017-11-21 2018-05-14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기
CN110329371A (zh) * 2019-07-31 2019-10-15 北京履坦科技有限公司 一种间距可调的轮腿机构
KR102266826B1 (ko) 2021-01-25 2021-06-1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능동형 차고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궤도차량
US11518206B2 (en) 2021-04-28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frames and associated methods
US11702162B2 (en) 2021-04-28 2023-07-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figurable vehicle chassis and associated methods
US11807302B2 (en) 2021-04-28 2023-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vehicle platforms
US11858571B2 (en) 2021-04-28 2024-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hassis with interchangeable performance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US11866095B2 (en) 2021-04-28 2024-0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osition wheel assembly mounts
US11938802B2 (en) 2021-04-28 2024-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motorized wheel assembl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426B1 (ko) 차량용 지상고 조절 장치
KR101125434B1 (ko) 크롤러 주행 장치
US9358880B2 (en) Tandem differential for a bogey application
US11585411B2 (en) Torque dividing arrangement for a circle drive
CN102285384A (zh) 一种多功能铰接式拖拉机
RU2694676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рабоч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грузки по осям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рабочей машины
KR102023384B1 (ko)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CN102359137B (zh) 一种平地机及其松土装置
CN103931284B (zh) 一种履带自走式双起垄机
JP2006304647A (ja) 田植機
CN202541635U (zh) 机车前桥横向水平平衡机构
KR102266826B1 (ko) 능동형 차고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궤도차량
CN203814147U (zh) 四轮自平衡坡地耕地机
CN205292138U (zh) 倾斜式高地隙车桥
CN212171858U (zh) 一种适用于拖拉机的多自由度悬架
CN210083380U (zh) 一种高承载力工程挖掘机行走装置
KR101805435B1 (ko) 트랙터용 바퀴 탈출장치
CN202998795U (zh) 一种齿轮直联液压悬挂装置
CN110291860A (zh) 一种具有坡地地形适应功能的遥控山地履带拖拉机
CN103931285A (zh) 一种履带自走式双旋耕机
CN103858550B (zh) 四轮自平衡坡地耕地机
CN201291930Y (zh) 多功能拖拉机
CN219990955U (zh) 一种特种装备自调平越障装置及车辆底盘
CN103004317A (zh) 一种齿轮直联液压悬挂装置
CN219698481U (zh) 一种折腰转向装置、底盘和折腰转向再生稻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