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384B1 -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384B1
KR102023384B1 KR1020190019054A KR20190019054A KR102023384B1 KR 102023384 B1 KR102023384 B1 KR 102023384B1 KR 1020190019054 A KR1020190019054 A KR 1020190019054A KR 20190019054 A KR20190019054 A KR 20190019054A KR 102023384 B1 KR102023384 B1 KR 10202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shaft
variable
ground height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혁
정연준
이남규
김완수
김택진
문석표
Abu Ayub Siddique Md
백승민
백승윤
이대현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트랙터의 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방휠과 트랙터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방휠을 갖는 트랙터 측 지상고를 가변하기 위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휠 각각에 연결 고정되는 휠연결구; 상기 휠연결구 상에 고정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하고정축; 상기 하고정축의 내측에 하부가 삽입 배치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부가 외부 노출되는 승강가이드; 상기 승강가이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가이드를 타고 승강 이동하도록 지지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상가변축; 상기 하고정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로드부가 상가변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가변축을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상가변축 상에 연결 고정되는 차체연결구;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측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하고정축과 상가변축을 연결하는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농작업시 트랙터의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지형과 비탈길 또는 두둑이 높은 곳 등의 다양한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트랙터를 이용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HEIGHT ADJUSTERS FOR AGRICULTURAL TRACTOR}
본 발명은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농작업시 트랙터의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지형이나 비탈길 또는 두둑이 높 곳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유연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여러 가지 농용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농기구 또는 농기계의 성격을 갖는 특수차량으로서, 동력을 공급하며 주행 또는 정지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농업기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한 트랙터는 쟁기나 트레일러와 같은 물건을 끌고 주행하는 기능, 로터리경운기나 풀 베는 기계 등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 3점 연결장치에 작업기를 연결하고 유압장치에 의하여 작업기를 땅에서 끌어올리는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농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랙터에 연결하는 작업기는 수십 가지로서, 작업기를 바꾸어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운, 파종, 중경, 제초, 수확, 운반 등에 널리 이용되는 범용의 것 이외에 과수원용, 경사지용, 임업용 등 특수한 용도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업용 트랙터는 이동성을 위한 휠이 구비되어 주행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강한 견인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농업용 트랙터는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전복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 환경에 따른 대응이 취약한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종래 농업용 트랙터는 밭작업을 할 경우 두둑이 높은 곳에서는 두둑에 트랙터가 쉽게 걸리는 등 주행이 불가능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며, 농지나 밭 등에서의 각종 작업 환경에 따른 유연한 농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농업용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각종 농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트랙터의 지상고를 변경하여 다양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거나 전복을 방지되게 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에 있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86001호 및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9-013241호 등지에서 트랙터 등의 차체에 대한 지상고를 변경하는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들은 이동성 및 조향을 위한 휠에 연결 장착되는 휠 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지상고를 변경 및 수평을 제어하는 방식을 갖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기술과는 기술적 차이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00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32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농작업시 트랙터의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지형이나 비탈길 또는 두둑이 높은 곳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유연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휠 축의 회전방식이 아닌 유압실린더를 활용하는 방식으로서 농업용 트랙터의 휠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스플라인 연결 구조를 접목하여 지상고의 가변에 대한 동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두둑이 높은 환경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비한 지상고의 가변을 통해 트랙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농작업에 따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는, 트랙터의 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방휠과 트랙터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방휠을 갖는 트랙터 측 지상고를 가변하기 위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각각에 연결 고정되는 휠연결구; 상기 휠연결구 상에 고정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하고정축; 상기 하고정축의 내측에 하부가 삽입 배치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부가 외부 노출되는 승강가이드; 상기 승강가이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가이드를 타고 승강 이동하도록 지지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상가변축; 상기 하고정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로드부가 상가변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가변축을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상가변축 상에 연결 고정되는 차체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측에 스플라인을 삽입 배치한 상태로 상기 하고정축과 상가변축을 연결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의한 트랙터 측 지상고 가변을 더욱 안정되게 수행하면서 유압실린더 측 승강 구동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가변축은 작동 전 상기 하고정축과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트랙터 측 지상고에 대한 최저 지상고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농작업시 트랙터의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고,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지형 및 비탈길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여 트랙터를 이용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 축의 회전방식이 아닌 유압실린더를 활용하는 방식으로서 농업용 트랙터의 각 휠 측 지상고를 개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플라인 연결 구조를 접목함으로써 지상고의 가변에 대한 동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유압실린더 측 구동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한 구성이면서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고, 두둑이 높은 곳에서의 밭작업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 따른 지상고의 용이한 가변을 통해 작업중인 트랙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농작업에 따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대해 다른 각도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최고 지상고로 가변된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대해 다른 각도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최고 지상고로 가변된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1)의 이동성을 위한 주행 및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휠(2)에 연결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휠(2)은 트랙터(1)의 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방휠과 트랙터(1)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방휠로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는 트랙터(1)와 휠(2)에 연결 장착되어 트랙터(1)의 지상고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한쌍의 전방휠과 후방휠의 각각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4개가 장착된다.
상기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는 휠(2)의 내측에 위치하여 연결 장착될 수 있고, 외측에 위치하여 연결 장착될 수 있는 등 트랙터(1) 측 안정성 등을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장착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방휠과 후방휠 각각에 대해 설명의 편의상 휠(2)로 명명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는 휠(2)에 연결 고정되는 휠연결구(110)를 구비하고, 상기 휠연결구(110) 상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몸체의 하고정축(120)을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결합한다.
상기 하고정축(120)의 내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 몸체의 승강가이드(132)를 삽입 배치한다.
상기 승강가이드(132)는 하부가 상기 하고정축(12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상부가 외부 노출되어 상가변축(140)과의 결합에 사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132)는 상기 하고정축(120) 상에 고정 결합되며, 이후에 설명하는 상가변축(1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승강가이드(132)의 상측으로는 상기 하고정축(120)에 대응하는 길이 및 형상을 갖는 원통형 몸체의 상가변축(140)을 수직 배치상태로 지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가변축(140)은 하고정축(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가이드(132)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함으로써 상하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 결합된다.
상기 상가변축(140)은 설치에 따른 작동 전, 상기 승강가이드(132)를 통해 상기 하고정축(120)과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트랙터(1) 측 지상고에 대한 최저 지상고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고정축(120)과 상기 상가변축(140)은 스플라인(134)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상가변축(140)에 대해 승강을 제어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트랙터(1)에 대한 지상고 가변을 더욱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플라인(134)은 일정 길이를 갖는 샤프트로서, 동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외주면에 치붙은 구조를 갖게 한 구성이며, 이후에 설명하는 유압실린더(150) 측 승강 구동시 전체적인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플라인(134)은 상기 승강가이드(132)의 내측에 삽입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승강가이드(132)가 커버체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고정축(120)의 외측면 좌우 양측으로는 한쌍의 유압실린더(150)를 수직 배치하여 장착하되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로드부를 상기 상가변축(140)의 외측면 좌우 양측으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상가변축(140)에 대해 승강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50)는 로드부 측 길이 가변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가변축(1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유압을 이용한 트랙터(1) 측 지상고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50)는 작동유의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중 왕복 직선운동을 시행하는 공지의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50)는 트랙터(1) 측 운전자가 운전부 내에서의 전기 조작을 통해 로드부 측 승강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트랙터(1)의 지상고를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압실린더(150)를 이용한 트랙터(1) 측 지상고에 대한 가변은 각 휠(2) 측마다 각각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등 개별 제어방식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상가변축(140) 상에는 차체연결구(160)를 연결 고정하여 트랙터(1) 측 차체에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를 통해서는 유압실린더(150)를 이용한 로드부 측 승강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하고정축(120) 상에서 상가변축(140)을 제어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트랙터(1) 측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플라인(134)를 이용하여 하고정축(120)과 상가변축(140)을 연결함으로써 승강 이동시 동력을 전달하여주므로 유압실린더(150) 측에 미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100)에 대한 작동 전 상태를 (a)에서 보여주고 있고, 최고 지상고로 가변된 작동 후의 상태를 (b)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서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농지나 밭 등지에서 농작업시 트랙터의 지상고를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어 농지나 밭 등 비교적 평탄하지 않은 지형이나 비탈길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유연한 농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두둑이 높은 곳에서의 밭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트랙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농작업에 따른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트랙터 2: 휠
100: 지상고 가변장치 110: 휠연결구
120: 하고정축 132: 승강가이드
134: 스플라인 140: 상가변축
150: 유압실린더 160: 차체연결구

Claims (3)

  1. 트랙터의 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전방휠과 트랙터의 후방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후방휠을 갖는 트랙터 측 지상고를 가변하기 위한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 각각에 연결 고정되는 휠연결구;
    상기 휠연결구 상에 고정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하고정축;
    상기 하고정축의 내측에 하부가 삽입 배치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부가 외부 노출되는 승강가이드;
    상기 승강가이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가이드를 타고 승강 이동하도록 지지 결합 및 수직 배치되는 상가변축;
    상기 하고정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수직 배치상태로 고정 결합되고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로드부가 상가변축의 외측면 좌우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가변축을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상가변축 상에 연결 고정되는 차체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트랙터 측 운전자가 운전부 내에서의 전기 조작을 통해 로드부 측 승강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트랙터의 지상고를 가변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트랙터 측 지상고에 대한 가변은 각 휠 측마다 각각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개별 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상기 승강가이드의 내측에 스플라인을 삽입 배치한 상태로 상기 하고정축과 상가변축을 연결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의한 트랙터 측 지상고 가변을 더욱 안정되게 수행하면서 유압실린더 측 승강 구동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가변축은 작동 전 상기 하고정축과 서로 대응하여 마주하는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어 트랙터 측 지상고에 대한 최저 지상고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19054A 2019-02-19 2019-02-19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KR10202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54A KR102023384B1 (ko) 2019-02-19 2019-02-19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054A KR102023384B1 (ko) 2019-02-19 2019-02-19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384B1 true KR102023384B1 (ko) 2019-09-20

Family

ID=6806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054A KR102023384B1 (ko) 2019-02-19 2019-02-19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04B1 (ko) * 2020-02-18 2020-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CN112673798A (zh) * 2020-12-20 2021-04-20 梅里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新型割草机
KR102266826B1 (ko) 2021-01-25 2021-06-1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능동형 차고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궤도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210A (ja) * 1988-08-05 1990-02-15 Iseki & Co Ltd トラクタに於ける傾斜地走行装置
JPH0886301A (ja) * 1994-09-14 1996-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リンダの回り止め
KR20000031741A (ko) * 1998-11-10 2000-06-05 권문구 트랙터의 수평자세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5446A (ko) * 2006-09-18 2008-03-21 현석환 농업용 기계의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적재함의 회전 덤핑장치
KR20180086001A (ko) 2017-01-20 2018-07-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이동 플랫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5210A (ja) * 1988-08-05 1990-02-15 Iseki & Co Ltd トラクタに於ける傾斜地走行装置
JPH0886301A (ja) * 1994-09-14 1996-04-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シリンダの回り止め
KR20000031741A (ko) * 1998-11-10 2000-06-05 권문구 트랙터의 수평자세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25446A (ko) * 2006-09-18 2008-03-21 현석환 농업용 기계의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적재함의 회전 덤핑장치
KR20180086001A (ko) 2017-01-20 2018-07-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이동 플랫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04B1 (ko) * 2020-02-18 2020-08-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CN112673798A (zh) * 2020-12-20 2021-04-20 梅里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新型割草机
CN112673798B (zh) * 2020-12-20 2022-03-08 梅里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新型割草机
KR102266826B1 (ko) 2021-01-25 2021-06-18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능동형 차고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궤도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384B1 (ko)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RU2615483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RU2277050C2 (ru) Ведущий мост с подвеской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трактор с указанным мостом
ATE244678T1 (de) Fahrzeug verwendbar wie ein hebemaschine oder ein ackerschlepper
WO2021250696A1 (en) An all-terrain utility vehicle and methods thereof
US20040216654A1 (en) Agricultural implement hitch
JP4360200B2 (ja) 移動農機の薬剤散布装置
CN111066400B (zh) 一种旋耕机三点悬挂架
KR101805435B1 (ko) 트랙터용 바퀴 탈출장치
CN202998795U (zh) 一种齿轮直联液压悬挂装置
CN209983048U (zh) 单履带自走式深松施肥机
CN203814147U (zh) 四轮自平衡坡地耕地机
JPH10313605A (ja) 多目的農作業車
EP0364002A2 (en) A tractor
CN103004317A (zh) 一种齿轮直联液压悬挂装置
RU2650385C1 (ru) Корректор веса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фронтального гидронавес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лесного трактора класса 1,4
EP0182437A2 (en) Tractor
CN101828438B (zh) 耕拖机
KR102023371B1 (ko) 농용 트랙터의 륜거 조절형 휠
CN214648633U (zh) 一种履带底盘的悬挂机构
CN221043695U (zh) 一种耕作机的防漏耕及提升支撑装置
CN209964543U (zh) 一种牵引犁
CN109240360A (zh) 一种深耕农机的牵引力控制系统
CN221114085U (zh) 一种小型农机机车
CN219876799U (zh) 航吊式农业作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