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904B1 -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904B1
KR102145904B1 KR1020200019388A KR20200019388A KR102145904B1 KR 102145904 B1 KR102145904 B1 KR 102145904B1 KR 1020200019388 A KR1020200019388 A KR 1020200019388A KR 20200019388 A KR20200019388 A KR 20200019388A KR 102145904 B1 KR102145904 B1 KR 10214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vehicle
agricultural
wet
rough road
agricultura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전현호
김완수
김택진
백승민
백승윤
이남규
문석표
아부 아윱 시디크 엠디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을 비롯한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시 쉽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블록몸체; 상기 연결블록몸체의 양측면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방향으로 승강(昇降)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각 승강구동부 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각 회전구동부에 연결 장착되어 회전구동부 측 동작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작업 특수차량에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농작업 특수차량의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케 할 수 있고, 농작업 특수차량용이 험로 및 습논에 고착되는 등의 비상시 지면 접촉과 회전력 전달에 의한 견인을 통해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서 기능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ESCAPING ROUGH ROAD AND WET PADDY OF AGRICULTURE VEHICLES}
본 발명은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용 특수차량에 사용 가능한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작업 특수차량을 이용한 작업시 전륜 등의 휠부가 험로에 고착되었거나 습논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보조유압장치에 호스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사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전방 웨이트 대신 부착하여 전방 웨이트로서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농작업을 위해 대부분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업기계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트랙터를 이용한 농작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할 것이다.
부연하여, 상기 트랙터는 여러 가지 농용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농기구 또는 농기계의 성격을 갖는 특수차량으로서, 동력을 공급하여 주행 또는 정지상태에서 농작업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성을 갖는 농업기계이다.
이러한 트랙터는 쟁기나 트레일러와 같은 물건을 끌고 주행하는 기능, 로터리 경운기나 풀 베는 기계 등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 3점 연결장치(히치)에 작업기를 연결하고 유압장치에 의하여 작업기를 땅에서 끌어올리는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농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한편, 농업기계인 트랙터는 농작업을 위한 농업용 특수차량으로서, 대부분 전륜의 구동토크를 후륜에 비해 낮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랙터의 전륜 타이어는 후륜 타이어에 비해 폭이 좁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변속기의 기어비 역시 후륜에 비해 전륜이 낮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트랙터는 비포장 상태의 농지와 같이 험로 또는 습논 등 습한 지역에서 운행하게 되므로 주행시 토양 조건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토양의 수분 함량이 높을시 쟁기나 베일러 등의 부착작업기를 견인하다가 토양에 고착되어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험지에 형성된 구덩이나 늪지에 바퀴가 빠짐으로써 토양에 고착되어 탈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험로에서 트랙터의 전륜이 구덩이에 빠진 경우 전륜 타이어가 후륜 타이어에 비해 폭이 좁고 가벼운 트랙터의 구조로 인해, 험로 및 습논에서의 탈출을 위하여 트랙터의 차륜을 구동하더라도 전륜에서 슬립이 발생하게 되어, 후륜에서 치고 나가려 해도 전륜이 고착되어 탈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을 이용한 농작업시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쉽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 트랙터 등 농작업 특수차량의 사용시 험로 및 습논 탈출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 국내 등록특허 제10-2023391호에서 험지 탈출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터용 리프트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은 본원 출원인 및 발명자가 제안하여 출원 및 등록한 기술로서, 트랙터의 하부에 실린더를 부착하여 험로 및 습논에 빠졌을 때 탈출장치로 사용하고 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선행기술에서는 차량 자체에 부착된 주행 제어 및 견인 제어 시스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동력원을 이용한 제어를 통하여 험로 탈출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33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을 이용한 작업시 전륜 등의 휠부가 험로에 고착되었거나 습논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에 호스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사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전방 웨이트 대신 부착하여 전방 웨이트로서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유압기구들을 보조장치로 사용 및 농작업 특수차량 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험로 및 습논에 고착되는 등의 비상시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을 제안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는,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을 비롯한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시 쉽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블록몸체; 상기 연결블록몸체의 양측면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방향으로 승강(昇降)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각 승강구동부 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각 회전구동부에 연결 장착되어 회전구동부 측 동작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블록몸체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유압호스의 연결을 통해 보조유압장치와 연결됨과 더불어 승강구동부 및 회전구동부와도 연결되어 유압을 분배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유압매니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블록몸체는, 중량체로 구비함으로써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후방에 대한 무게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전방 웨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블록몸체는,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이 갖는 전방 3점 히치부와 연결하도록 링크연결부를 갖되, 상기 링크연결부는 연결블록몸체의 후면 좌우측에 간격 배치되어 2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하부링크연결부와, 연결블록몸체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어 1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상부링크연결부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유압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견인바퀴부가 지면 위에 떠있게 하여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도록 사용하며,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이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되어 이동이 불가능할 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승강구동부를 하강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를 지면에 접촉시킨 후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탈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에 유압호스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을 이용한 작업시 전륜 등의 휠부가 험로에 고착되었거나 습논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출보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방 웨이트 대신 부착하여 전방 웨이트로서의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를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동작을 구동할 수 있는 유압기구들을 보조장치로 사용하는 새로운 구성의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농작업 특수차량의 전후방 측 무게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고, 농작업 특수차량이 험로 및 습논에 고착되는 등의 비상시 지면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회전력 전달에 의한 견인력을 제공함으로써 농작업 특수차량에 대해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쉽게 탈출할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있어 승강구동부 측 하강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있어 요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농작업용 특수차량인 트랙터의 전방에 연결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의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농작업용 특수차량인 트랙터의 정상 주행 및 농작업시 전방 웨이트로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험로 및 습논 탈출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을 비롯한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방(前方)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농작업용 특수차량(10)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되었을 때 견인력 제공에 따라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는 연결블록몸체(110), 승강구동부(120), 회전구동부(130), 및 견인바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에 대해 별도의 동력장치 설치 없이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농작업용 특수차량(10)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11)를 활용하여 유압 공급을 통해 동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운전자가 탑승실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유압장치(11)는 유압에 의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트랙터 등 농작업 특수차량(1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공지의 시스템이다.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10)에는 전방(前方)에 3점 히치부(12)가 장착되어 구비되며, 주행 등 이동성을 위한 휠부(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록몸체(110)는 트랙터 등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방(前方)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블록몸체(110)는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이 갖는 전방 3점 히치부(12)와 연결하도록 링크연결부를 갖되, 상기 링크연결부는 연결블록몸체(110)의 후면 좌우측에 간격 배치되어 2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하부링크연결부(111)와, 연결블록몸체(110)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어 1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상부링크연결부(112)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블록몸체(110)는 중량체로 구비함으로써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후방(前後方)에 대한 무게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전방 웨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블록몸체(110)는 트랙터 등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중량체의 무게가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20)는 상기 연결블록몸체(110)의 양측면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방향으로 승강(昇降)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20)는 로드부(121)를 갖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블록몸체(110)의 양측면부에 수직 배치하여 장착함으로써 로드부(121)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昇降) 동작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구동부(120)는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하강 구동함으로써 견인바퀴부(140)에 대해 지면 접촉되게 하거나 지면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30)는 상기 연결블록몸체(110)의 양측면부에 장착되는 각 승강구동부(120) 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동부(130)는 유압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승강구동부(120)에 대해 로드부(121)를 갖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할 시 로드부(121) 측 하단부 외면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구동부(130)는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견인바퀴부(14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험로 및 습논 탈출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견인바퀴부(140)는 상기 각 회전구동부(130)에 연결 장착되어 회전구동부(130) 측 동작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견인바퀴부(140)는 트랙터 등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을 이용한 농작업시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휠부(13)가 고착되었을 때 회전에 의한 견인력 제공을 통해 탈출을 시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연결블록몸체(110)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는 유압매니폴드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매니폴드부(150)는 유압호스(미 도시됨)의 연결을 통해 보조유압장치(11)와 연결됨과 더불어 승강구동부(120) 및 회전구동부(130)와도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반적으로 유압을 분배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는 트랙터 등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견인바퀴부(140)가 지면 위에 떠있게 하여 전후방 무게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도록 사용하며, 이와 더불어 트랙터 등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휠부(13)가 농작업 중에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되어 이동이 불가능할 시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승강구동부(120)를 하강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140)를 지면에 접촉시킨 후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회전구동부(130)를 구동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140)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방에 있는 3점 히치부(12)를 사용하여 연결블록몸체(110)의 링크연결부에 연결 장착함으로써 전방에 설치한 후, 전방 3점 히치부(12)를 상승시켜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를 지면으로부터 떠있게 배치함으로써 정상 주행 및 농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조정한다.
이때,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는 유압호스를 이용한 연결 작업을 통해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보조유압장치(11)로부터 동작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받도록 한다.
여기에서,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방에 장착된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는 연결블록몸체(110)에 대해 중량체로 구비하며, 승강구동부(120)와 회전구동부(130) 등의 구성요소들이 작용하여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서는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의 전방에 무게 균형을 위해 별도로 장착하던 전방 웨이트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농작업용 특수차량(10)은 전방에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를 연결 장착하여 전방 웨이트로 사용하면서 정상 주행 및 농작업중 험로 및 습논 지역에 빠져 휠부(13)가 고착됨에 의해 이동이 불가능 및 탈출하지 못할 때, 3점 히치부(12)를 하강시키고 승강구동부(120)를 하강 구동함으로써 견인바퀴부(140)가 지면에 접촉되게 하고 지면 접촉력을 증대시킨다.
이어, 회전구동부(130)에 유압을 공급하여 회전 구동함으로써 견인바퀴부(14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견인력을 발생시킴에 의해 험로 및 습논 지역으로부터 농작업 특수차량(10)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보조수단으로 사용한다.
이때, 농작업 특수차량(10) 측 엔진동력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험로 및 습논 지역으로부터 농작업 특수차량(10)을 탈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100)를 통해서는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 등의 농작업 특수차량을 이용한 작업시 전륜 등의 휠부가 험로에 고착되었거나 습논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출보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방 웨이트로서의 역할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농작업용 특수차량 11: 보조유압장치
12: 3점 히치부 13: 휠부
100: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110: 연결블록몸체
120: 승강구동부 130: 회전구동부
140: 견인바퀴부 150: 유압매니폴드부

Claims (6)

  1. 트랙터나 노지 작업용 차량을 비롯한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에 내장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시 쉽게 탈출 가능하게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방(前方)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블록몸체;
    상기 연결블록몸체의 양측면부에 위치하여 한쌍 구조로 연결 장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방향으로 승강(昇降)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부;
    상기 각 승강구동부 측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회전구동부;
    상기 각 회전구동부에 연결 장착되어 회전구동부 측 동작시 회전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견인바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블록몸체 상에 장착되어 구비되고, 유압호스의 연결을 통해 보조유압장치와 연결됨과 더불어 승강구동부 및 회전구동부와도 연결되어 유압을 분배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유압매니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몸체는,
    중량체로 구비함으로써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전후방에 대한 무게 균형을 유지되게 하는 전방 웨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몸체는,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이 갖는 전방 3점 히치부와 연결하도록 링크연결부를 갖되, 상기 링크연결부는 연결블록몸체의 후면 좌우측에 간격 배치되어 2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하부링크연결부와, 연결블록몸체의 상면 중심부에 배치되어 1점 링크연결 구조로 구비되는 상부링크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의 정상 주행에 의한 농작업시 견인바퀴부가 지면 위에 떠있게 하여 전방 웨이트로서 기능하도록 사용하며,
    상기 농작업용 특수차량이 험로 및 습논 지역에서 고착되어 이동이 불가능할 시,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승강구동부를 하강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를 지면에 접촉시킨 후 보조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킴에 의해 견인바퀴부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험로 및 습논으로부터 탈출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KR1020200019388A 2020-02-18 2020-02-18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KR10214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88A KR102145904B1 (ko) 2020-02-18 2020-02-18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88A KR102145904B1 (ko) 2020-02-18 2020-02-18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904B1 true KR102145904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88A KR102145904B1 (ko) 2020-02-18 2020-02-18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451A (ko) * 2002-04-09 2002-05-06 이영윤 자동차용 논슬립 보조차륜
JP3142599U (ja) * 2008-04-07 2008-06-19 惠久 田畑 補助駆動装置付き車両
JP6539027B2 (ja) * 2014-08-28 2019-07-03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農作業機、および、農作業車両システム
KR102023391B1 (ko) 2019-02-19 2019-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 리프트 장치
KR102023384B1 (ko) * 2019-02-19 2019-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451A (ko) * 2002-04-09 2002-05-06 이영윤 자동차용 논슬립 보조차륜
JP3142599U (ja) * 2008-04-07 2008-06-19 惠久 田畑 補助駆動装置付き車両
JP6539027B2 (ja) * 2014-08-28 2019-07-03 株式会社Ihiアグリテック 農作業機、および、農作業車両システム
KR102023391B1 (ko) 2019-02-19 2019-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 리프트 장치
KR102023384B1 (ko) * 2019-02-19 2019-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용 트랙터의 지상고 가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544A (en) Compaction roller
EP298491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20160029542A1 (en) Vehicle Control System
RU2671148C2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вешивания на тягач
US20080217093A1 (en) Adjustable track tractor for zero compaction farming
WO2011108948A1 (en) Propulsion device and method
EP2469998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
RU2694676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рабоч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грузки по осям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рабочей машины
KR102145904B1 (ko) 농작업 특수차량용 험로 및 습논 탈출 보조장치
RU2482974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корректор сцепного веса для увеличения проходимости и повышен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колесных тракторов при их агрегатировании с прицепами
CN104335723A (zh) 四轮驱动坐耕机
US20040255563A1 (en) Self-propelled harvesting machine
US4424868A (en) Turf-treatment apparatus
EP3172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ride control for a work vehicle when transporting a drawn implement
EP1001088B1 (en) Scarifying machine with re-entering back wheels
FI65527C (fi) Fordonsburen baerare foer skogsbruksredskap
US3821990A (en) Farm implement
KR102023391B1 (ko) 트랙터 리프트 장치
US20060118313A1 (en) Surface-contouring implement
KR101805435B1 (ko) 트랙터용 바퀴 탈출장치
US3004770A (en) Weight transfer device for tractors
CN221043695U (zh) 一种耕作机的防漏耕及提升支撑装置
JP3344035B2 (ja) トラクタのステアリングセンサー
JPS5915848Y2 (ja) 走行作業車に於ける牽引装置
JP3897424B2 (ja) スラリ散布を行う土壌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