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41B1 - 트리밍 와인더 - Google Patents

트리밍 와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41B1
KR101856541B1 KR1020170018066A KR20170018066A KR101856541B1 KR 101856541 B1 KR101856541 B1 KR 101856541B1 KR 1020170018066 A KR1020170018066 A KR 1020170018066A KR 20170018066 A KR20170018066 A KR 20170018066A KR 101856541 B1 KR101856541 B1 KR 10185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ide plate
connection port
shaf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895A (ko
Inventor
정양수
Original Assignee
정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양수 filed Critical 정양수
Priority to KR102017001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7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comprising a lin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43Securing cores or holders to supporting or driving members,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B65H75/2245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connecting flange to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95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including plural segments or spokes which are individu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2Bearings, e.g. magnetic or hydrostatic bearings
    • B65H2402/5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3Size of webs
    • B65H2701/11332Size of webs strip, tape, narrow web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밍 와인더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본 발명은 트리밍 와인더의 필름권취수단이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둘레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의 열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열은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성되는 제1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회전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제2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며 회전축의 원주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의 내면이 상기 제2연결구와 결합되는 복수의 권취바와, 상기 제2측면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측면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재와,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상기 권취바를 당기거나 밀어주면서 상기 회전링크를 작동시켜주는 작동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리밍 와인더{TRIMMING WINDER}
본 발명은 합성수지 포장지의 가장자리에서 절단되는 절단필름을 자동으로 회수해주는 트리밍 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된 식품 포장지와 같은 것은 일정한 크기로 제조하거나 또는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가장자리를 절단하게 되고, 이러한 제조과정들은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끈처럼 생긴 절단된 가장자리 부분은 포장지 제조과정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져 폐기 처리되는데, 이러한 끈처럼 생긴 가장자리 부분을 자동으로 감아주는 장치가 트리밍 와인더이다.
여기서, 끈처럼 생긴 가장자리 부분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절단필름이라 칭한다.
트리밍 와인더와 관련되어 그 선행기술을 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608호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릴 유니트에 지관을 끼운 다음 그 지관에 절단필름이 감기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절단필름들이 지관에 감겨 지면 필름의 신축성으로 인해 지관에 감길수록 지관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감긴 후 절단필름을 지관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재사용이 가능한 지관을 절단필름과 함께 폐기 처분할 수밖에 없어 자원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608호(2000.09.15.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관을 이용하지 않고, 절단필름을 효과적으로 감아주며, 감겨진 절단필름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트리밍 와인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필름권취수단과 왕복운동수단 및 텐션부여수단이 포함되는 트리밍 와인더에 있어서,
상기 필름권취수단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측면판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외측둘레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의 열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열은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성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와 회전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며, 회전축의 원주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의 내면이 상기 제2연결구와 결합되는 복수의 권취바와,
상기 제2측면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측면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재와,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상기 권취바를 당기거나 밀어주면서 상기 회전링크를 작동시켜주는 작동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측면판을 향하는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판에는 중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머리부를 가지는 당김구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일치되는 상기 제2측면판의 구멍을 통해 끼워지면서 상기 당김구의 단부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되지 않는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멍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제1구멍과 제2구멍이 겹쳐져 연통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그러한 연통된 부위를 통해 상기 당김구가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을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되지 않는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면판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측면판의 바깥면에 설치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을 상기 제2측면판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푸쉬부가 구비된 조작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면판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측면판의 바깥쪽에 이격 설치되어 전기적인 제어를 따라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을 상기 제2측면판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푸쉬로드가 구비된 엑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면판에는 상기 권취바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권취바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권취바가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한쪽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제2측면판의 바깥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둘레에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되는 결속구와,
일측에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측 중심에 구비된 나사공과 나사결합되며,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체결구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부재는 트러스트 볼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마주하는 양쪽에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에 직각 또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트리밍 와인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지관을 이용하지 않고, 절단필름만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어 지관과 같은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수거된 절단필름을 재활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절단필름을 트리밍 와인더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필름권취수단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필름 권취수단을 분리하여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필름 권취수단을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필름 권취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왕복운동수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를 구성하는 왕복운동수단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를 구성하는 왕복운동수의 다른 요부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텐션부여수단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텐션부여수단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를 구성하는 텐션부여수단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를 구성하는 필름권취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를 구성하는 필름권취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 와인더의 구성요소는 크게 필름권취수단과, 왕복이동수단과, 텐션부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필름권취수단(1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필름권취수단(100)은,
도 1 과 도 2 및 도 9 에서와 같이 모터(400)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회전축(110)과, 그러한 회전축(1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120)와, 회전축(110)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30)와, 그러한 연결부재(130)에 연결되어 회전축(110)의 외측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환형으로 설치되는 권취바(140)와, 가이드부재(120)의 한쪽을 회전축(1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150) 및 연결부재(130)의 작동을 통해 권취바(140)를 이동시켜 주는 작동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회전축(110)의 타측에 고정되는 원판형태의 제1측면판(121)과, 회전축(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원판형태의 제2측면판(122)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측면판(121)은 회전축(110)의 타측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탈착되는 구조는 아니다.
이에 반하여, 제2측면판(122)은 회전축(110)의 일측에 결합부재(150)를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1측면판(121)의 안쪽면에는 후술되는 권취바(140)의 선단부와 상응하는 끼움홈(121a)이 형성되고, 권취바(140)의 선단부는 이러한 끼움홈(121a)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이는 권취바(140)가 후술되는 연결부재(130)와 작동부재(160)를 통해 이동될 때 권취바(140)의 선단부가 제1측면판(121)의 안쪽면에서 이격될 때 그러한 이격되는 틈새로 절단필름(P)의 일부가 끼워지면서 이후 절단필름(P)이 권취바(14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바(140)의 선단부가 끼움홈(121a)에 끼워진 상태가 되면 이후 연결부재(130)와 작동부재(160)를 통해 이동될 때 권취바(140)의 선단부가 제1측면판(121)의 안쪽면에서 이격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절단필름(P)의 일부가 권취바(140)의 선단부와 제1측면판(121)의 안쪽면 틈새로 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회전축(110)의 외측둘레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131) 및 그러한 제1연결구(131)와 회전링크(13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구(132)가 포함되며, 이러한 제2연결구(132)에는 권취바(140)가 연결된다.
제1연결구(131)는 회전축(110) 외측둘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복수개가 동일 선상을 따라 설치되면서 하나의 열을 이루고, 그러한 열은 복수의 열로 구성되어 회전축(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축(110)의 외측둘레를 등간격으로 삼등분하여 복수의 제1연결구(131)들이 세개의 열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제1연결구(131)의 열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 없이 그 개수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연결구(131)의 각각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회전링크(133)의 한쪽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러한 회전링크(133)의 다른 한쪽에는 제2연결구(132)가 연결된다.
이때, 회전링크(133)는 회전축(110)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의 전후면 어느 한쪽에 선택되어 설치되거나,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의 전후면 모두에 마주하여 대칭을 이루며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에서와 같이 회전링크(133)를 통해 연결되는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는 서로 수평상태를 이루며, 이때 회전링크(133)는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를 직각 또는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링크(133)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회전링크(133)가 회전되어 기울어지는 각도가 커지게 되면 제2연결구(132)가 회전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권취바(140)는, 도 2 내지 도 4 와 같이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후술되는 왕복운동수단(200)을 통해 이송되는 절단필름(P)이 표면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권취바(140)는 가이드부재(120) 사이에서 소정의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복수개로 구성되어 회전축(110)의 외측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후면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전체적으로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권취바(140)는 도 4 와 같이 전후면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권취바(140)의 전체적인 형상은 회전축(110)의 축중심과 동일한 축중심을 가지는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각각의 권취바(140) 내면은 그 중심부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전술한 복수의 제2연결구와 서로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제2연결구(132)가 회전축(110)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삼등분되어 열을 이루는 경우 권취바(140) 또한 세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50)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회전축(110)으로부터 제2측면판(122)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축(110)의 일측이 제2측면판(12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그 돌출된 부위와 나사 결합되면서 제2측면판(122)을 회전축(110)에 고정시키거나, 나사 풀림을 통해 제2측면판(122)을 회전축(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150)는 결속구(151)와 체결구(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결속구(151)는 제2측면판(12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회전축(110)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쪽에 삽입홈부(151a)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플랜지부(151b)가 형성되며, 삽입홈부(151a)의 중심부에는 삽입홈부(151a)와 연통되는 관통공(151c)이 형성되고, 그러한 관통공(151c)의 내측둘레에는 트러스트 볼베어링과 같은 미끄럼부재(151d)가 설치되며, 결속구(151)의 플랜지부(151b)는 제2측면판(122)의 바깥면에 체결수단 등을 통하여 결합된다.
체결구(152)는 일측에 볼트부(152a)가 돌출 형성되어 전술한 결속구(151)의 관통공(151c)을 통해 회전축(110)의 일측 중심에 형성되는 나사공(111)에 나사결합되며, 체결구(152)의 타측에는 체결구(15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52b)가 형성되어 이러한 손잡이부(152b)의 정,역회전을 통해 체결구(152)를 정,역회전시키면 볼트부(152a)가 나사공(111)에 나사결합되면서 체결구(152)와 결속구(151) 및 제2측면판(122)이 회전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볼트부(152a)가 나사공(111)에서 나사풀림이 되면서 체결구(152)와 결속구(151) 및 제2측면판(122)이 회전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구(152)의 볼트부(152a)가 관통공(151c)을 관통하게 될 때 볼트부(152a)의 외측둘레는 관통공(151c)의 내측둘레에 구비된 미끄럼부재(151d)와 접촉됨에 따라 볼트부(152a)의 회전에 관계없이 결속구(151)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작동부재는(160)는 전술한 회전링크(133)를 작동시켜 권취바(14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술한 제2연결구(132)를 제2측면판(122)쪽으로 당기거나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작동부재(160)는 권취바(140)를 직접 제2측면판(122)쪽으로 당기거나 밀어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작동부재(160)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즉, 도 2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제2측면판(122)은 회전축(110)의 축중심으로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123)이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고, 제2연결구(132)에서 제2측면판(122)을 향하는 측면에는 체결공(132a)이 형성되며, 이때 제2측면판(122)의 구멍(123)과 제2연결구(132)의 체결공(132a)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일치된 구멍(123)과 체결공(132a)으로는 당김구(124)가 끼워지게 되면서 당김구(124)의 단부가 체결공(132a)에 연결된다.
이때, 구멍(123)은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가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2측면판(122)이 이동될 때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가 구멍(123)에 걸리게 되면서 당김구(124)가 제2측면판(12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회전축(110)으로부터 제2측면판(122)을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당김구(124)를 제2연결구(132)의 체결공(132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측면판(122)에 형성되는 구멍(123)을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구멍(123b)과 제2구멍(123a)으로 구성하되 서로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구성하여 제1구멍(123b)과 제2구멍(123a)이 겹쳐지면서 연통되는 부위는 당김구(124)의 단부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여 연통되는 부위를 통해 당김구(124)가 제1구멍(123b)과 제2구멍(123a)을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1구멍(123b)의 직경은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2구멍(123a)의 직경은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회전축(110)으로부터 제2측면판(122)을 분리시키는 경우, 당김구(124)를 제1구멍(123b)에 위치시켜 당김구(124)를 제2연결구(132)의 체결공(132a)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 없이 제2측면판(122)을 회전축(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당김구(124)를 제2구멍(123a)에 위치시키게 되면 회전축(110)으로부터 제2측면판(122)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가 제2측면판(122)의 제2구멍(123a)에 걸리게 되어 제2측면판(122)과 함께 제2연결구(132)가 함께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제2연결구(132)의 당겨짐으로 인해 회전링크(133)가 기울어지게 되면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권취바(140)의 전체적인 외경이 작아지게 되면 권취바(140)에 감겨져 있는 절단필름(P)을 권취바(14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작동부재(160)의 다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즉, 도 12 의 (a)와 (b)에서와 같이 제1측면판(121)에는 관통된 끼움공(121b)이 형성되고, 작동부재(160)는 제1측면판(121)의 바깥면에 브래킷을 통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면 상측 푸쉬부(161a)가 끼움공(121b)을 관통하여 제2연결구(132)의 측면을 밀어주는 조작레버(16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푸쉬부(161a)는 권취바(140)의 측면을 밀어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연결구(132)와 권취바(140)의 측면을 함께 밀어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작동부재(160)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즉, 도 13 의 (a)와 (b)에서와 같이 제1측면판(121)에는 관통된 끼움공(121b)이 형성되고, 작동부재(160)는 제1측면판(121)의 바깥쪽에 이격 설치되어 전기적인 제어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측 푸쉬로드(162a)가 끼움공(121b)을 관통하여 제2연결구(132)의 측면을 밀어주는 엑츄에이터(16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푸쉬로드(162a)는 권취바(140)의 측면을 밀어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연결구(132)와 권취바(140)의 측면을 함께 밀어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끼움공(121b)과 푸쉬로드(162a)의 일치 여부는 회전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회전축(110)의 회전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권취바(140)에 절단필름(P)이 모두 감긴 후 권취바(140)로부터 절단필름(P)을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축(110)을 정지될 때 제1측면판(121)의 끼움공(121b)이 엑츄에이터(162)의 푸쉬로드(162a)의 축중심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름권취수단(100)의 권취바(140)에 감겨진 절단필름(P)이 권취바(140)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5 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회전축(110)의 회전에 따라 권취바(140)가 회전되면서 이러한 권취바(140)에 절단필름(P)이 감겨지게 되고, 권취바(140)에 절단필름(P)이 설정된 양으로 감겨진 다음 이러한 절단필름(P)을 권취바(14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도 5 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구(152)의 손잡이부(152b)를 회전시켜주면 도 5 의 (B)와 같이 체결구(152)의 볼트부(152a)가 회전축(110)의 나사공(111)으로부터 어느정도 분리되면서 체결구(152)와 결속구(151) 및 결속구(151)의 플랜지부(151b)와 연결된 제2측면판(122)이 함께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측면판(122)의 제2구멍(123a)에 머리부(124a)가 걸리게 되는 당김구(124)가 함께 이동되면서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를 직각 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연결하고 있던 회전링크(133)가 당김구(124)의 이동량에 따라 점차 기울어지게 되어 권취바(140)의 전체적인 외경이 작아지게 되고, 권취바(140)에 감겨져 있던 절단필름(P)이 권취바(14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후, 체결구(152)와 결속구(151)와 함께 제2측면판(122)을 회전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도 5 의 (C) 와 같이 제2측면판(1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가 제2측면판(122)의 제1구멍(123b)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체결구(152)를 완전히 회전시킴으로써, 도 5 의 (D)와 같이 체결구(152)의 볼트부(152a)를 회전축(110)의 나사공(111)으로부터 분리시켜주면 당김구(124)의 간섭없이 체결구(152)와 결속구(151)와 제2측면판(122)이 회전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권취바(140)에 절단필름(P)을 다시 감기 위하여 회전축(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던 체결구(152)의 볼트부(152a)를 회전축(110)의 나사공(111)에 다시 체결하면 되는데, 이때 제2측면판(122)의 제1구멍(123b)과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를 일치시켜 당김구(124)의 머리부(124a)가 제2측면판(122)의 제1구멍(123b)에 관통되도록 한 후 제2측면판(12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당김구(124)가 제2측면판(122)의 제2구멍(123a)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볼트부(152a)를 나사공(111)에 체결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에 따라 결속구(151)의 플랜지부(151b)와 연결되어 있던 제2측면판(122)이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권취바(140)의 측면 단부가 제2측면판(122)의 내면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회전링크(133)가 기울어지면서 전체적인 외경이 작아져 있던 권취바(140)를 안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기울어져 있던 회전링크(133)가 세워지면서 회전링크(133)가 제1연결구(131)와 제2연결구(132) 사이에서 직각 또는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권취바(140)는 원래 상태의 외경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권취바(140)에 절단필름이 감겨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왕복운동수단(200)은,
도 6 내지도 도 8 과 같이 필름권취수단(100) 후방에 일렬상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과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을 가진 캠샤프트(210)와, 그러한 캠샤프트(2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드체(220)와, 그러한 슬라이드체(220)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봉(250)과, 슬라이드체(2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캠샤프트(210)는 풀리(410)와 벨트(420)를 통해 회전축(11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400)의 동력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체(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축홈(221)에는 캠샤프트(210)의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이나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드팁(230)의 축부(231)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축부(231)는 조절나사(240)의 가압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캠샤프트(210)가 회전되면 슬라이드팁(230)이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체(220) 및 가이드롤러(26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드팁(230)이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드체(220) 및 가이드롤러(26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태로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전술한 권취바(14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단필름(P)이 왕복 되면서 감겨지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260)의 왕복운동에 있어서, 오동작 발생이 없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팁(230)이 캠샤프트(210)의 맨 우측이나 좌측까지 도달한 후에는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에서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되어 인입되게 되는데, 이때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 슬라이드팁(230)이 회전하게 되고, 아울러서 축홈(221) 내에서 축부(231)가 회동하게 된다.
그러나 장기간 가동하는 상태가 되면 축홈(221)이 마모가 되어 축부(231)가 헐겁게 끼워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드팁(230)이 제대로 정확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됨에 따라 가령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에서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으로 슬라이드팁(230)이 회전되면서 갈아타게 될 때 제대로 갈아타지 못하게 되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계속 머물게 되며, 그로 인해 권취바(140)의 어느 한 지점에만 절단필름(P)이 수북하게 집중적으로 감겨 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기적으로 조절나사(240)를 조임 되게 하면 축홈(221)이 마모가 되어 축부(231)가 헐겁게 끼워지는 상태가 되더라도 조절나사(240)가 축부(231)를 가압하게 되어 축부(231)가 사방으로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슬라이드팁(230)이 유동되지 않고 회전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가령 좌측방향슬라이드홈(212)에서 우측방향슬라이드홈(211)으로 슬라이드팁(230)이 회전되면서 갈아타게 될 때에 양호하게 갈아타게 되어 오동작이 없고, 양호하게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조절나사(240)를 조여지게 할 때에는 축부(231)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텐션부여수단(300)은,
도 9 내지 도 11 과 같이 전술한 왕복운동수단(200)의 가이드롤러(260)에 절단필름(P)이 이동되게 하는 이동가이드롤러(360)를 가진 회동바(310)가 하단축(3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회동바(310) 중간에 일단부(321)가 연결된 탄력부재(320)의 타단부(322)는 본체케이스(1)에 지지 되어 회동 또는 탄력조절부재(330)에 연결되어 탄력조절부재(330)의 회동운동에 의해 탄력부재(320)가 신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탄력조절부재(330)는 손잡이(334)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본체케이스(1)에서 원주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결속공(331) 중에 어느 하나의 결속공(331)과 탄력조절부재(330)의 결속공(332)으로 결속봉(333)이 관통되도록 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결속공(331)은 본체케이스(1)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390)에도 형성되게 하여 더욱 확실하게 결속봉(333)이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필름(P)은 가이드구(380)를 통해서 이동가이드롤러(360)를 통과하여 가이드롤러(370)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탄력부재(320)가 회동바(310)를 당겨주게 됨에 따라 하단축(311)을 중심으로 회동바(310)가 절단필름(P)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됨으로써, 절단필름(P)에 장력을 부여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절단필름(P)이 느슨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로 이송되어 양호하게 감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절단필름(P)이 나오게 되는 식품포장지 제조장치(미도시됨)는 다양하기 때문에 식품포장지 제조장치로부터 절단필름(P)이 이송되어 오는 속도 및 장력 등과 같은 조건이 제각기 다르고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식품포장지 제조장치로부터 절단필름(P)이 이송되어 오는 속도 및 장력에 적합하도록 회동바(310)에 작용되는 탄력부재(320)의 당김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에는, 결속봉(333)을 결속공(331)(332)으로부터 빠지도록 빼낸다.
다음, 탄력부재(320)를 회전시켜 탄력부재(320)가 늘어나게 이완되도록 하여 당김력이 강해지게 하거나 또는 반대로 탄력부재(320)의 길이가 축소되게 하여 당김력이 약화 되게 조절하는 것이다.
가령, 시계반대방향으로 탄력조절부재(3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탄력부재(320)가 늘어나게 이완되어 회동바(310)를 당기는 당김력이 강해지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탄력조절부재(3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력부재(320)의 길이가 축소되어 회동바(310)를 당기는 당김력이 약화 되게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력부재(320)의 당김력이 조절되게 한 다음에는 그 위치에서 다시 결속봉(333)을 결속공(332) 및 이와 일치하는 어느 하나의 결속공(331)으로 끼우게 되면 탄력조절부재(330)가 탄력부재(320)의 당김력을 받아도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회동바(310)의 당김력이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되는 절단필름(P)에 적절하게 장력을 부여되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권취바(140)에 양호하게 절단필름(P)이 감기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관을 이용하지 않고 권취바(140)를 통해 절단필름(P)을 회수할 수 있어 지관과 같은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구(152)와 결속구(151)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20)의 제2측면판(122)을 회전축(110)으로부터 간단하고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탈착 과정에서 권취바(140)의 외경 크기를 조절하여 권취바(140)로부터 절단필름(P)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절단필름(P)의 왕복운동수단(200)이 오동작 없이 양호하게 구동됨에 따라 성능향상과 함께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고, 절단필름(P)에 부여되는 텐션력의 조절을 통해 절단필름(P)이 양호하게 감기게 되므로 호환성이 매우 좋고, 성능이 양호한 트리밍 와인더의 제공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필름권취수단 110 : 회전축
111 : 나사공 120 : 가이드부재
121 : 제1측면판 121a : 끼움홈
121b : 끼움공 122 : 제2측면판
123 : 구멍 123a : 제2구멍
123b : 제1구멍 124 : 당김구
124a : 머리부 130 : 연결부재
131 : 제1연결구 132 : 제2연결구
132a : 체결공 133 : 회전링크
140 : 권취바 150 : 결합부재
151 : 결속구 151a : 삽입홈부
151b 플랜지부 151c : 관통공
151d : 미끄럼부재 152 : 체결구
152a : 볼트부 152b : 손잡이부
160 : 작동부재 161 : 조작레버
161a : 푸쉬부 162 : 엑츄에이터
162a : 푸쉬로드 P : 절단필름
200 : 왕복운동수단 210 : 캠샤프트
211 : 우측방향스라이드홈 212 : 좌측방향슬라이드홈
220 : 슬라이드체 221 : 축홈
230 : 슬라이드칩 231 : 축부
240 : 조절나사 250 : 가이드봉
260 : 가이드롤러 300 : 텐션부여수단
310 : 회동바 311 : 하단축
320 : 탄력부재 321 : 일단부
322 : 타단부 330 : 탄력조절부재
331,332 : 결속공 333 : 결속봉
334 : 손잡이 360 : 이동가이드롤러
370 : 가이드롤러 380 : 가이드구
390 : 브라켓 400 : 모터
410 : 풀리 420 : 벨트
500 : 본체케이스

Claims (12)

  1. 필름권취수단과 왕복운동수단 및 텐션부여수단이 포함되는 트리밍 와인더에 있어서, 상기 필름권취수단은,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측면판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측둘레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의 열을 이루며 결합되고, 상기 열은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구성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와 회전링크에 의해 수평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연결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소정 길이와 폭을 가지며, 회전축의 원주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의 내면이 상기 제2연결구와 결합되는 복수의 권취바;
    상기 제2측면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측면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상기 권취바를 당기거나 밀어주면서 상기 회전링크를 작동시켜주는 작동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제2측면판을 향하는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판에는 중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이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재는 머리부를 가지는 당김구로 구성되어 상기 체결공과 일치되는 상기 제2측면판의 구멍을 통해 끼워지면서 상기 당김구의 단부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되지 않는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제1구멍과 제2구멍이 겹쳐져 연통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그러한 연통된 부위를 통해 상기 당김구가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을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구멍은 상기 당김구의 머리부가 통과되지 않는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측면판의 바깥면에 설치되어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을 상기 제2측면판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푸쉬부가 구비된 조작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제1측면판의 바깥쪽에 이격 설치되어 전기적인 제어를 따라 상기 끼움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의 측면을 상기 제2측면판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푸쉬로드가 구비된 엑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에는 상기 권취바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바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권취바가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이 끼워지도록 한쪽에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제2측면판의 바깥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둘레에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되는 결속구; 및
    일측에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일측 중심에 구비된 나사공과 나사결합되며, 타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체결구;
    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재는 트러스트 볼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마주하는 양쪽에 대칭을 이루며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에 직각 또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와인더.
KR1020170018066A 2017-02-09 2017-02-09 트리밍 와인더 KR10185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66A KR101856541B1 (ko) 2017-02-09 2017-02-09 트리밍 와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066A KR101856541B1 (ko) 2017-02-09 2017-02-09 트리밍 와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895A KR20170023895A (ko) 2017-03-06
KR101856541B1 true KR101856541B1 (ko) 2018-05-10

Family

ID=5839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066A KR101856541B1 (ko) 2017-02-09 2017-02-09 트리밍 와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628A (ko) * 2021-01-07 2022-07-14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의 분리가 용이한 측면판탈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3144A (zh) * 2017-07-01 2018-09-04 六安永贞匠道机电科技有限公司 线体定长度释放的测量方法
KR102442790B1 (ko) * 2019-05-15 2022-09-14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
CN112027270A (zh) * 2020-07-20 2020-12-04 福建立亚新材有限公司 一种撑丝架
CN114379993B (zh) * 2021-12-31 2023-11-28 呼和浩特科林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防跑偏输煤皮带卷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76B1 (ko) * 2012-08-31 2013-07-15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
JP2015105177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安田製作所 線状体の束巻き状態での離脱可能なリールド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08Y1 (ko) 2000-04-25 2000-09-15 윤창호 트리밍 와인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76B1 (ko) * 2012-08-31 2013-07-15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
JP2015105177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安田製作所 線状体の束巻き状態での離脱可能なリールド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628A (ko) * 2021-01-07 2022-07-14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의 분리가 용이한 측면판탈착장치
KR102476146B1 (ko) * 2021-01-07 2022-12-08 정양수 트리밍 와인더의 분리가 용이한 측면판탈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895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541B1 (ko) 트리밍 와인더
SE424820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perforering av ett ror under frammatning av roret lengs en axiell bana
KR101286076B1 (ko) 트리밍 와인더
CN107640626A (zh) 一种具有限位和剪切功能的布料收卷机
CN101638193B (zh) 页张折页机
CN113184596B (zh) 一种可降解塑料薄膜生产用高效收边机及其生产工艺
CN104192332A (zh) 小捆线材全自动打捆机
DE3023526A1 (de) Maschine zum umreifen von packstuecken mittels eines schweissbaren kunststoffbandes
KR101636039B1 (ko) 튜브 커팅기
CN213770117U (zh) 一种皮带输送机
JPS6348680B2 (ko)
WO2010106005A2 (de) Vorrichtung zur wahlweisen zuführung von kabeln zu einem von zwei rotationskörpern begrenzten spalt
DE102019003498A1 (de) Rotierendes Werkzeug
CN203690818U (zh) 用于控制电缆的横向剥线工具
CN108271517B (zh) 便携式收获前甘蔗剥叶机
US20200315855A1 (en) Rehabilitative tape split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1416257A (zh) 一种多功能电动网线钳
TWI330578B (ko)
KR200473127Y1 (ko) 제대기
CN215854167U (zh) 一种魔芋专用地膜生产用切割装置
JP2014046642A (ja) ロープ被覆除去装置
CN203865677U (zh) 一种膜材处理设备
CN220561591U (zh) 一种切割回收设备
CN217478638U (zh) 一种多层纱布卷连续生产装置
JPH02279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