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483B1 -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483B1
KR101856483B1 KR1020170160663A KR20170160663A KR101856483B1 KR 101856483 B1 KR101856483 B1 KR 101856483B1 KR 1020170160663 A KR1020170160663 A KR 1020170160663A KR 20170160663 A KR20170160663 A KR 20170160663A KR 101856483 B1 KR101856483 B1 KR 10185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unit
supply
tank
disp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7016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B01F15/00194
    • B01F15/00422
    • B01F15/0202
    • B01F15/02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5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liquids in solid material, e.g. to obtain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7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7Volume of at least one component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1Feed mechanisms for feeding a mixture of components, i.e. solids in liquid, solids in a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01F7/08
    • B01F7/22
    • B01F2003/125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는: 분체와 액체로 구분된 2차 전지용 재료가 보관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서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공급받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받은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혼합하여 2차 전지용 재료의 1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루믹서와,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분산시키며 슬러리의 2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고전단 분산부와,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버퍼탱크부 및 제1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리저버탱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SLURRY OF SECONDARY CELL}
본 발명은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용 슬러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수단의 하나로 전지가 이용되고 있다. 과거 전지는 1차 전지로 분류되는 것으로, 한번 방전되면 재사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2차 전지는 리튬(Li), 코발트(Co), 니켈(Ni), 몰리브덴(Mo) 등의 산화 및 환원의 반복이 가능한 물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1차 전지와 달리 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인 바, 최근 소형 전자 기기 및 전기 자동차 등이 2차 전지를 전원 공급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생산량이 대량화 되고 있다.
한편, 2차 전지의 제작 과정에서는 리튬(Li), 코발트(Co), 니켈(Ni), 몰리브덴(Mo) 등의 분체형 활물질의 이송 및 믹싱작업이 이루어진다.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은, 분체인 전지 활물질과 용매를 믹싱(Mixing)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믹싱은 믹서장치에서 분체를 용매에 고르게 분산시켜 슬러리(Slurry)를 만들어 주는 공정이다.
그리고, 슬러리를 전극에 얇게 펴서 발라주는 코팅(Coating) 공정을 시행한 후, 전극에 코팅된 활물질을 눌러서 전극에 붙여주는 압연(Pressing) 공정을 시행한다. 그리고 전극을 원하는 넓이로 잘라주는 슬리팅(Slitting) 공정을 통해 전지를 조립한다.
전지는 단위 부피 당 저장할 수 있는 전력량이 커야 하며,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 활물질 분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전지의 용량 증가에 큰 도움이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믹서는 2차 전지용 재료들을 반죽 방식으로 섞는 니딩(Kneading)과, 니딩이 완료된 액체를 용매 안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2개의 작업을 Planetary Dispersion Mixer라는 1개의 장치에서 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는 분체의 크기가 점점 작아짐에 따라서 위 두 기능 중에서 분산 기능이 잘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87127호(2017.07.28 공개, 발명의 명칭: 진동 인가부를 포함하고 있는 분리막 코팅용 슬러리 분산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전지용 슬러리의 교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는: 분체와 액체로 구분된 2차 전지용 재료가 보관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서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공급받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공급받은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혼합하여 2차 전지용 재료의 1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루믹서와,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분산시키며 슬러리의 2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고전단 분산부와,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버퍼탱크부 및 제1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리저버탱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는, 저장부에서 분체재료를 공급받으며 스크루믹서로 분체재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부 및 저장부에서 액체재료를 공급받으며 스크루믹서로 액체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공급부는 내측에 분체재료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제1공급몸체를 포함하며, 제1공급몸체의 내측에 담겨진 분체재료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분체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공급부는, 내측에 액체재료가 담겨지는 제2공급몸체와, 제2공급몸체와 스크루믹서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로에 설치되는 공급펌프 및 공급펌프와 함께 제2연결관로에 설치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급부는, 저장부에서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한 후 스크루믹서로 공급하는 제3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공급부는, 내측에 분체재료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분체공급몸체와, 내측에 액체재료가 담겨지는 액체공급몸체 및 분체공급몸체와 액체공급몸체의 재료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시킨 후 스크루믹서로 공급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크루믹서는 회전되는 스크루에 의해 2차 전지용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혼합하며 니딩(Kneading)시키므로 슬러리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전단 분산부는,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된 슬러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의 내측에 있는 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분산부와, 분산부와 같은 회전중심을 가지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슬러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분산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부 및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교환부는, 이송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슬러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로와, 제1관로에 연결되며 열교환을 통해 슬러리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몸체 및 열교환몸체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하우징부로 안내하는 제2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버퍼탱크부는, 제1관로에서 분기되는 배출관로에 연결되며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저장시키는 제1탱크 및 제1탱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탱크에 저장된 슬러리를 교반시키는 제1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저버탱크부는, 제1버퍼탱크부에 연결되는 제1탱크관로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1저장탱크 및 제1버퍼탱크부에 연결되는 제2탱크관로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루믹서와 고전단 분산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고전단 분산부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제2버퍼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는 고전단 분산부에서 믹싱이 완료된 작업유체가 후공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1버퍼탱크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작업유체를 공급하므로 기존의 배치 방식 믹서에 비해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루믹서에서 1차 교반을 완료한 작업유체가 제2버퍼탱크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고전단 분산부로 작업유체를 공급하므로 작업 사이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루믹서에서 1차 교반을 하면서 니딩작업이 되며, 고전단 분산부에서 2차 교반을 하면서 분산 작업을 하므로 동일 장비 내부에서 니딩과 분산을 실시하던 기존 방법에 비해 더 빠르고 우수한 2차 전지용 재료의 교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에 제2버퍼탱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제2버퍼탱크부에 채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고전단 분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열교환부를 거쳐 다시 고전단 분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제1버퍼탱크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리저버탱크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부와 이송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저장된 슬러리가 후공정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에 제2버퍼탱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제2버퍼탱크부에 채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고전단 분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열교환부를 거쳐 다시 고전단 분산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제1버퍼탱크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된 슬러리가 리저버탱크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단 분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부와 이송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저장된 슬러리가 후공정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고전단 분산부(10)와 열교환부(70)와 제어부(80)와 측정부(85)와 제1버퍼탱크부(110)와 제2버퍼탱크부(120)와 저장부(150)와 공급부(160)와 스크루믹서(190)와 리저버탱크부(200)를 포함한다.
2차 전지용 슬러리(145)를 만들기 위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는 저장부(150)에 각각 저장된다.
저장부(150)는 분체와 액체로 구분된 2차 전지용 재료가 보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저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분체재료(140)가 저장되는 분체저장조와 액체재료(142)가 저장되는 액체저장조(154)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60)는 저장부(150)에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공급받아 스크루믹서(190)로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60)는, 저장부(150)에서 분체재료(140)를 공급받으며 스크루믹서(190)로 분체재료(140)를 공급하는 제1공급부(162)와, 저장부(150)에서 액체재료(142)를 공급받으며 스크루믹서(190)로 액체재료(142)를 공급하는 제2공급부(170) 및 저장부(150)에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한 후 스크루믹서(190)로 공급하는 제3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제1공급부(162)는 내측에 분체재료(140)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제1공급몸체(164)를 포함하며, 제1공급몸체(164)의 내측에 담겨진 분체재료(140)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분체재료(140)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공급몸체(164)는 제1연결관로(166)를 통해 스크루믹서(190)에 연결되므로 제1공급몸체(164)에 담겨진 분체재료(140)는 제1연결관로(166)를 통해 스크루믹서(190)로 공급된다. 이러한 제1공급부(162)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1공급부(162)에 동일한 분체재료(140)가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의 분체재료(140)가 공급될 수 있다.
액체재료(142)를 공급받아 스크루믹서(190)로 공급하는 제2공급부(170)는, 제2공급몸체(172)와 제2연결관로(174)와 공급펌프(176)와 공급밸브(178)를 포함한다. 제2공급몸체(172)는 내측에 액체재료(142)가 담겨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저장부(150)의 액체저장조(154)와 연결된 제2공급몸체(172)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제1공급몸체(164)에 동일한 액체재료(142)가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의 액체재료(142)가 공급될 수 있다. 제2공급몸체(172)의 내측에 담겨진 액체재료(142)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액체재료(142)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공급몸체(172)와 스크루믹서(190)는 제2연결관로(174)를 통해 연결되며, 공급펌프(176)는 제2공급몸체(172)와 스크루믹서(190)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로(174)에 설치되어 액체재료(142)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공급밸브(178)도 공급펌프(176)와 함께 제2연결관로(174)에 설치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3공급부(180)는 내측에 분체재료(140)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분체공급몸체(182)와, 내측에 액체재료(142)가 담겨지는 액체공급몸체(184)와, 분체공급몸체(182)와 액체공급몸체(184)의 재료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시킨 후 스크루믹서(190)로 공급하는 혼합부(186)를 포함한다.
액체공급몸체(184)는 저장부(150)의 액체저장조(154)와 연결되어 액체재료(142)를 공급받으며, 분체공급몸체(182)는 저장부(150)의 분체저장조와 연결되어 분체재료(140)를 공급받는다. 액체공급몸체(184)와 분체공급몸체(182)에 연결된 관로는 혼합부(186)의 혼합호퍼(188)로 연결된다. 혼합호퍼(188)에서 혼합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는 펌프와 밸브를 통과한 후 스크루믹서(190)로 공급된다.
스크루믹서(190)는 공급부(160)를 통해 공급받은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혼합하여 2차 전지용 재료의 1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루믹서(190)는 액체와 분체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니딩(Kneading)에 의하여 메인 활물질과 도전재에 바인더를 코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크루믹서(190)는 동일 축 선상에 이송용 블레이드와 니딩용 블레이드를 배치한 트윈 스크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루믹서(190)는 회전되는 스크루에 의해 2차 전지용 분체재료와 액체재료(142)를 혼합하며 니딩(Kneading)시키므로 슬러리(145)를 생산한다. 스크루믹서(190)는 모터부재(192)와 지지몸체(194)와 회전스크루(196)를 포함한다. 지지몸체(194)의 내측에 회전스크루(19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몸체(194)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부재(192)의 동력에 의해 회전스크루(196)가 회전된다. 지지몸체(194)의 길이 방향으로는 공급부(160)와 연결된 통로가 구비된다.
2차 전지용 슬러리(145)의 믹싱에서 니딩(Kneading)과 분산(Dispersion)으로 이루어진 두가지 믹싱 기능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2차 전지용 슬러리(145)는 양극재와 음극재로 이루어진다. 양극재는 양극 메인 활물질(리튬계)에 도전재와 바인더와 NMP(N-Methyl-2-Pyrrolidone)를 혼합하며 CNT(Carbon Nanotube)는 옵션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음극재는 음극 메인 활물질(카본계)에 도전재와 바인더와 DIW(Deionized water)를 혼합하며 CNT(Carbon Nanotube)는 옵션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바인더의 역할은 메인 활물질과 도전재, 그리고 이에 결합된 조직끼리 결합시키며 이를 전극 집전체에 잘 붙어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슬러리(145)를 만드는 초기 단계에서 바인더를 용매에 녹여서 바인더 솔루션을 만들어 준 다음, 이를 메인 활물질과 믹싱을 하여 메인 활물질의 표면에 바인더를 코팅한다. 이러한 단계는 스크루믹서(190)에서 니딩에 의해 수행된다.
스크루믹서(190)는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의 혼합과 이송이 강제적으로 가능하며, 스크루믹서(190)의 스크루 엘리먼트를 조합하여 이송과 믹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단 분산부(10)는 스크루믹서(19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전달받아 분산시키며 슬러리(145)의 2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루믹서(190)에서 바인더가 코팅된 메인 활물질이 포함된 슬러리(145)인 슬러리(145)가 배출되어 고전단 분산부(10)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고르게 분산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전단 분산부(10)는, 스크루믹서(190)에서 배출된 슬러리(145)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20)와,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있는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는 분산부(30)와, 분산부(30)와 같은 회전중심(14)을 가지며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슬러리(145)를 이송시키는 이송부(40)와, 분산부(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부(50)와, 이송부(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60)를 포함한다.
2차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분체재료(140)인 전지 활물질과 액체재료(142)인 용매는 스크루믹서(190)를 통과하며 믹싱(Mixing)되어 슬러리(145)가 되며, 이러한 슬러리(145)는 공급관로(90)를 통해 하우징부(2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슬러리(145)가 교반되며 분산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20)의 내측에는 분산부(30)와 이송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부(20)의 하측에는 슬러리(145)가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다.
분산부(30)는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있는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부(30)는 제1회전몸체(32)와 커팅부(36)를 포함한다.
제1회전몸체(32)는 제1구동부(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내측에는 중공부(3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몸체(32)는 파이프 형상이며, 제1회전몸체(32)의 일측은 하우징부(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회전몸체(32)의 타측은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위치한다. 하우징부(20)의 중앙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는 제1회전몸체(32)의 외측에는 걸림돌기(34)가 구비된다. 걸림돌기(34)는 하우징부(20)의 상측에 설치된 베어링부(25)에 지지되므로, 제1회전몸체(32)가 하우징부(20)의 내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한다. 걸림돌기(34)는 제1회전몸체(32)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어링부(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팅부(36)는 제1회전몸체(3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회전몸체(32)와 같이 회전되며, 하우징부(20)에 저장된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36)는 제1회전몸체(32)의 하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부(36)는 회전부재(37)와 회전날(38)을 포함한다.
회전부재(37)는 제1회전몸체(32)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회전날(38)은 회전부재(37)에서 상측이나 하측으로 연장된다. 회전날(38)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부(20)에 있는 슬러리(145)의 클러스터를 찢어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회전날(38)은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날(38)의 외측에 고정커터부(도시생략)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날(38)과 함께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송부(40)는 분산부(30)와 같은 회전중심(14)을 가지며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슬러리(145)를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40)는 제2회전몸체(42)와 이송날개부(44)를 포함한다.
제2회전몸체(42)는 중공부(33)를 관통하며 제1회전몸체(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회전몸체(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몸체(42)는 제2구동부(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송날개부(44)는 제2회전몸체(42)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회전몸체(42)와 함께 회전되며, 하우징부(20)에 저장된 슬러리(145)를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이송시킨다. 제2회전몸체(42)의 하측은 제1회전몸체(32)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제2회전몸체(42)의 상측도 제1회전몸체(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회전몸체(32)의 하측으로 돌출된 제2회전몸체(42)의 하측에 이송날개부(44)가 설치된다. 프로펠러(114) 형상의 이송날개부(44)가 회전하면서 하우징부(20)의 하측에 연결된 제1관로(72)로 슬러리(145)를 이송시킨다. 제1회전몸체(32)의 내측을 관통하며 설치된 제2회전몸체(42)는 같은 회전중심(14)을 가지므로 분산부(30)와 이송부(40)의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몸체(32)와 제2회전몸체(42)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슬러리(145)의 이동과 분산을 각각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송날개부(44)와 마주하는 하우징부(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안내관로(22)가 설치된다. 하우징부(2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관로 형상의 안내관로(22) 내측에는 이송날개부(44)가 위치한다.
제1구동부(50)는 분산부(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동부(50)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제1동력전달부재(52)를 통해 제1회전몸체(32)를 회전시킨다. 제1구동부(5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제1구동부(50)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1동력전달부재(52)를 통해 제1회전몸체(32)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동력전달부재(52)는, 제1구동부(5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제1구동풀리(54)와, 제1회전몸체(3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1종동풀리(56) 및 제1구동풀리(54)와 제1종동풀리(56)를 연결하는 제1벨트부재(58)를 포함한다.
제2구동부(60)는 이송부(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동부(60)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제2동력전달부재(62)를 통해 제2회전몸체(42)를 회전시킨다. 제2구동부(60)는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며, 제2구동부(60)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2동력전달부재(62)를 통해 제2회전몸체(42)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재(62)는, 제2구동부(60)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제2구동풀리(64)와, 제2회전몸체(4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종동풀리(66) 및 제2구동풀리(64)와 제2종동풀리(66)를 연결하는 제2벨트부재(68)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70)는 고전단 분산부(10)의 외측으로 배출된 슬러리(145)를 냉각시킨 후 다시 고전단 분산부(1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70)는 제1관로(72)와 열교환몸체(74)와 제2관로(76)를 포함한다.
제1관로(72)는 이송부(40)와 마주하는 하우징부(20)에 연결되며,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슬러리(145)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1관로(72)에는 제1밸브(100)가 설치되어 제1관로(72)를 통해 열교환몸체(74)로 이동되는 슬러리(145)의 이동을 제어한다.
열교환몸체(74)는 제1관로(72)에 연결되며 열교환을 통해 슬러리(145)를 냉각시킨다. 열교환몸체(74)의 내측으로 냉각유체가 공급되며, 이러한 냉각유체는 열교환몸체(74)를 통과하는 슬러리(145)와 열교환을 하므로 슬러리(145)는 냉각된다.
또한 슬러리(145)의 냉각속도를 높이기 위해 하우징부(20)의 내측에 냉각유체가 흐르는 공간을 추가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20)에 연결된 제1관로(72)에는 제2밸브(105)가 설치되어 하우징부(2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열교환몸체(74)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하우징부(20)로 안내하는 제2관로(76)에는 측정부(8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85)는 제2관로(76)에 설치되며, 하우징부(20)로 공급되는 슬러리(145)의 온도와 점도를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80)는 측정부(85)의 측정값과 공급부(160)에서 각 재료가 공급된 양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스크루믹서(190)와 제1구동부(50)와 제2구동부(60)와 제1제어밸브(94)와 제2제어밸브(96)와 제1밸브(100)와 제2밸브(105)와 이송펌프(130)와 리저버탱크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스크루믹서(190)에서 하우징부(20)로 슬러리(145)를 공급하는 공급관로(90)는 하우징부(20)의 상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관로(90)에는 제1제어밸브(94)가 설치되어 슬러리(145)의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1밸브(100)와 하우징부(20)의 사이에 설치된 제1관로(72)에는 배출관로(92)가 연결된다. 배출관로(92)를 통해 이동되는 슬러리(145)는 제1버퍼탱크부(110)로 이송된다. 배출관로(92)에도 제2제어밸브(96)가 설치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슬러리(145)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1밸브(100)는 열교환몸체(74)와 연결된 제1관로(72)에 설치되어 슬러리(145)의 이동을 제어하며, 제2밸브(105)는 하우징부(20)의 하측에 연결된 제1관로(72)에 설치되어 슬러리(145)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1밸브(100)는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을 제어하며, 제2밸브(105)는 열교환몸체(74)로 이동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퍼탱크부(110)는 고전단 분산부(1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버퍼탱크부(110)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필요시 후공정으로 전달되므로 작업의 연속성을 높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버퍼탱크부(110)는 제1탱크(112)와 제1프로펠러(114)를 포함한다.
제1탱크(112)는 제1관로(72)에서 분기되는 배출관로(92)에 연결되며 고전단 분산부(1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저장시키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탱크(112)는 배출관로(92)에 연결되며, 제2제어밸브(96)의 제어에 의해 제1관로(72)를 통해 제1탱크(112)로 공급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이 제어된다. 또한 제1탱크(112)는 후공정으로 슬러리(145)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관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로펠러(114)는 제1탱크(1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탱크(112)에 저장된 슬러리(145)를 교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펠러(114)는 제1탱크(112)의 내측에서 회전되며 슬러리(145)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제1프로펠러(114)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제2버퍼탱크부(120)는 스크루믹서(190)와 고전단 분산부(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스크루믹서(19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고전단 분산부(10)로 슬러리(145)를 공급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을 높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버퍼탱크부(120)는 제2탱크(122)와 제2프로펠러(124)를 포함한다.
제2탱크(122)는 스크루믹서(190)와 고전단 분산부(10)를 연결하는 공급관로(90)에 연결되며, 스크루믹서(19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저장시키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탱크(122)와 고전단 분산부(10)를 연결하는 공급관로(90)에 이송펌프(130)와 제1제어밸브(94)가 차례로 설치된다. 제1제어밸브(94)의 제어에 의해 공급관로(90)를 통해 고전단 분산부(10)의 하우징부(20)로 공급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이 제어된다. 제2탱크(122)에 저장된 저장유체는 이송펌프(130)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어 제1제어밸브(94)를 통과한 후 고전단 분산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제2프로펠러(124)는 제2탱크(1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탱크(122)에 저장된 슬러리(145)를 교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로펠러(124)는 제2탱크(122)의 내측에서 회전되며 슬러리(145)를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제2프로펠러(124)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며, 제어부(80)의 제어신호로 동작된다.
리저버탱크부(200)는 제1버퍼탱크부(110)에서 배출되는 슬러리(145)를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슬러리(145)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저버탱크부(200)는 제1저장탱크(202)와 제1탱크관로(203)와 제1탱크제어밸브(204)와 제2저장탱크(206)와 제2탱크관로(207)와 제2탱크제어밸브(208)를 포함한다.
제1저장탱크(202)는 제1버퍼탱크부(110)에 연결되는 제1탱크관로(203)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145)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저장탱크(206)는 제1버퍼탱크부(110)에 연결되는 제2탱크관로(207)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145)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탱크관로(203)와 제2탱크관로(207)에는 각각 제1탱크제어밸브(204)와 제2탱크제어밸브(208)가 설치되며, 제1버퍼탱크부(110)에서 제1탱크(112)와 제2탱크(122)로 이동되는 슬러리(145)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공급부(160)의 제1공급부(162)와 제2공급부(170) 등에는 스크루믹서(190)가 1회 동작할 만큼의 재료가 공급된다. 이차 전지 슬러리 제조 공장 내부의 생산 시설은 항온과 항습이 요구되며, 공간이 늘어나면 전기료 등 유지 비용이 늘어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저장부(150)와 제1공급부(162)와 제2공급부(170)를 분리하여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저장부(150)를 항온과 항습이 요구되는 생산 공정 밖에 설치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제1공급부(162)와 제2공급부(170) 만을 생산 공정 안에 설치하면, 항온과 항습이 요구되는 공정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60)에서 공급된 재료는 스크루믹서(190)의 지지몸체(194)로 공급되며, 모터부재(192)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스크루(196)에 의해 2차 전지용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가 혼합되며 니딩작업이 이루어진 후 생성된 슬러리(145)가 고전단 분산부(10)로 공급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로(90)를 통해 하우징부(20)의 내측으로 공급된 슬러리(145)를 믹싱하기 위해 분산부(30)가 회전한다. 제1구동부(50)가 동작되어 제1회전몸체(32)를 회전시키면, 제1회전몸체(32)의 하측에 연결되는 커팅부(36)도 회전되어 하우징부(20)에 저장된 슬러리(145)를 전단한다. 고전단 분산부(10)는 높은 전단응력을 구현하므로 슬러리(145)를 잘게 쪼개어 혼합시킨다. 즉 고전단 분산부(10)는 강제적으로 뭉친 클러스터인 슬러리(145)를 강제로 찢어서(Shear) 분산시키는 원리로 동작된다.
커팅부(36)가 회전되면서 슬러리(145)를 분산시키며, 이때 마찰열에 의해 슬러리(145)의 온도가 올라감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부(40)와 열교환부(70)가 동작된다. 제2구동부(60)가 동작되어 제2회전몸체(42)가 회전되면, 제2회전몸체(42)의 하측에 연결된 이송날개부(44)도 회전된다. 하우징부(20)의 바닥면에 형성되 안내관로(22)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이송날개부(44)에 의해 슬러리(145)가 이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이송날개부(44)를 통과한 후 제1관로(72)를 통해 열교환부(70)로 이동된다.
열교환부(70)로 이동된 슬러리(145)는 냉각유체와 열교환하며 냉각된 후 다시 제2관로(76)를 통해 하우징부(2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제2관로(76)를 통해 이동되는 슬러리(145)의 점성과 온도는 측정부(85)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8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부(80)는 슬러리(145)의 온도에 따라 제2구동부(60)와 이송부(40)와 열교환부(7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슬러리(145)가 설정된 점성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100)를 잠그고 제2제어밸브(96)를 개방한다. 그리고 이송부(40)가 회전되면서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배출된 슬러리(145)는 배출관로(92)와 제2제어밸브(96)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동한다.
고전단 분산부(10)가 작동하여 고전단 분산부(10) 내부에 생산이 완료된 슬러리(145)를 제1버퍼탱크부(110)로 이송시킨 후, 제2제어밸브(96)와 제2밸브(105)를 닫고 제1제어밸브(94)를 다시 열어서 스크루믹서(190)에서 생산된 슬러리(145)를 받을 준비를 한다. 이때 배출관로(92)를 통해 제1버퍼탱크부(110)로 이동된 슬러리(145)는 제1탱크(112)의 내측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리저버탱크부(200)로 전달된다.
제1버퍼탱크부(110)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제1탱크제어밸브(204)의 개방에 의해 제1탱크관로(203)를 통해 이동된 후 제1저장탱크(202)에 저장된다. 또한 제1버퍼탱크부(110)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제2탱크제어밸브(208)의 개방에 의해 제2탱크관로(207)를 통해 이동된 후 제2저장탱크(206)에 저장될 수 있다.
제1저장탱크(202)와 제2저장탱크(206)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가 연속 생산을 한 것과 같은 생산성을 갖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60)는 스크루믹서(190)에 실시간으로 분체재료(140)의 정량 투입이 가능한 제1공급부(162)와, 실시간으로 액체재료(142)의 정량 투입이 가능한 제2공급부(170)를 구비한다. 따라서 공급부(160)는 정해진 공정 비율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투입하여 스크루믹서(190)에서 1차 슬러리(145)를 생산한다.
스크루믹서(190)에서 1차 생산된 슬러리(145)는 제2버퍼탱크부(120)로 이동된다. 설정된 시간 동안 스크루믹서(190)가 동작되며 슬러리(145)를 생산한 후 스크루믹서(19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스크루믹서(190)의 작동 중지 시간 동안 스크루믹서(190)에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160)의 재료가 채워지며, 동시에 제2버퍼탱크부(120)로 유입된 슬러리(145)는 이송펌프(130)와 제1제어밸브(94)를 통해 고전단 분산부(10)로 공급된다.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버퍼탱크부(120)에서 고전단 분산부(10)로 슬러리(145)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제어밸브(94)를 닫고 고전단 분산부(10)를 가동시킨다.
이때 제2버퍼탱크부(120)에 보관된 슬러리(145)를 고전단 분산부(10)로 모두 이동시킨 후에는 제1제어밸브(94)를 닫는다. 그리고 스크루믹서(190)로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60)에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다 채우면 다시 스크루믹서(190)를 가동시켜 1차 슬러리(145)의 생산을 시작하므로 제2버퍼탱크부(120)에 생산된 슬러리(145)를 모으는 동작을 반복한다.
고전단 분산부(10)가 제2버퍼탱크부(120)에서 1차 생산된 슬러리(145)를 공급 받은 후에,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밸브(96)는 닫혀 있고 열교환몸체(74)로 슬러리(145)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1밸브(100)는 열려 있다. 따라서 고전단 분산부(10)에서 분산되며 2차 생산된 슬러리(145)는 정해진 생산 시간 동안 열교환몸체(74)와 고전단 분산부(10)를 순회하며 슬러리(145)를 생성한다.
도 6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열교환몸체(74)를 향하여 슬러리(145)의 흐름을 허용하는 제1밸브(100)는 닫히고 제2제어밸브(96)가 열린 다음 고전단 분산부(10)가 동작한다. 따라서 고전단 분산부(10)의 내부에서 생산이 완료된 슬러리(145)는 제1버퍼탱크부(110)로 이송된다.
고전단 분산부(10)에 있는 슬러리(145)가 제1버퍼탱크부(110)로 이동이 완료되면, 제2밸브(105)는 닫고 제1제어밸브(94)를 열어서 제2버퍼탱크부(120)에서 1차 생산된 슬러리(145)가 고전단 분산부(10)로 다시 공급된다.
한편 도 2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몸체(74)와 고전단 분산부(10)를 연결하는 제2관로(76)에는 실시간 점도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85)가 설치된다. 이러한 측정부(85)는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설정된 온도 범위에 슬러리(145)가 있도록 열교환몸체(7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설정된 점도의 범위 안에 슬러리(145)가 있도록 제2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슬러리(145)에 용매를 공급하여 점도를 맞추기 위한 피드백 장치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버퍼탱크부(110)에 저장된 슬러리(14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탱크부(200)의 제1저장탱크(202)와 제2저장탱크(206)로 이동된 후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과 동작을 갖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연속 생산 능력을 가진다. 즉 분체재료(140) 및 액체재료(142)의 혼합은 스크루믹서(190)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스크루믹서(190)가 잠시 멈추는 간헐 운전 시간에 공급부(160)에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가 충진된다.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에서 스크루믹서(190)는 짧은 주기로 간헐 운전하며, 스크루믹서(190)에서 생산된 슬러리(145)가 제2버퍼탱크부(120)에 항상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단 분산부(10)에서 생산된 슬러리(145)도 제1버퍼탱크부(110)를 통해 리저버탱크부(200)에 항상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때 원하는 때 언제든 슬러리(145)를 가져다 쓸 수 있으므로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가 슬러리(145)를 연속 생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크루믹서(190)에서 슬러리(145)를 생산한 후 짧게 정지된 시간을 갖는데, 이때 공급부(160)는 생산에 사용되어 소모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가져온다.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는 1회 생산할 양만큼만 저장부(150)에서 가져오므로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가져오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된다. 따라서 스크루믹서(190)의 반복적인 정지 동작에도 불구하고 제1버퍼탱크부(110)와 리저버탱크부(200)에 슬러리(145)를 계속 생산하여 모아 놓는 것처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청정룸 안에서 관리되며, 이러한 공간이 커지면 냉난방과 청정도 관리 등 공조 비용이 상승한다.
그러나 스크루믹서(190)의 동작과 정지를 짧은 주기로 반복하며 슬러리(145)를 생산하고, 스크루믹서(190)가 정지된 사이에 분체재료(140)와 액체재료(142)를 공급부(160)에 다시 보충해주는 시스템을 도입하면 항온, 항습을 관리해야 하는 청정룸 내에 들어가는 장비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시설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열교환부(70)를 구비하므로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 스크루믹서(190)에서 1차 니딩을 마친 슬러리(145)는 고전단 분산부(10)로 유입되고, 이러한 고전단 분산부(10)는 자체적으로 들어온 슬러리(145)를 분산 후 강력히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전단 분산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된 슬러리(145)는 열교환몸체(74)를 거친 후 다시 고전단 분산부(10)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슬러리(145)를 고전단 분산부(10)의 외부로 유출시켜 열교환몸체(74) 통과하며 냉각시킨 후 다시 고전단 분산부(10)로 투입하기 때문에 충분한 흡열이 가능하며, 고속 교반을 하여도 슬러리(145)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1)는 슬러리(145)의 점도를 완벽하게 맞출 수 있다. 측정부(85)에서 실시간으로 슬러리(145)의 점도와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8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80)는 점도가 모자라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용매를 고전단 분산부(10)의 안에 투입하여 원하는 점도를 맞출 수 있다. 즉 점도 측정과 점도 보완의 피드백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슬러리(145)를 사용하는 코팅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슬러리(145)의 변수가 점도이므로, 슬러리(145)의 점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슬러리(145)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단 분산부(10)에서 믹싱이 완료된 작업유체가 후공정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1버퍼탱크부(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작업유체를 공급하므로 기존의 배치 방식 믹서에 비해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루믹서(190)에서 1차 교반을 완료한 작업유체가 제2버퍼탱크부(120)에 저장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고전단 분산부(10)로 작업유체를 공급하므로 작업 사이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루믹서(190)에서 1차 교반을 하면서 니딩작업이 되며, 고전단 분산부(10)에서 2차 교반을 하면서 분산 작업을 하므로 동일 장비 내부에서 니딩과 분산을 실시하던 기존 방법에 비해 더 빠르고 우수한 2차 전지용 재료의 교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70)의 작동에 의해 슬러리(145)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슬러리(145)의 변질을 방지하며 슬러리(145)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부(30)와 이송부(40)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슬러리(145)의 분산도 조절이 가능하여 슬러리(145)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부(30)와 이송부(40)가 같은 회전중심(14)을 가지므로 전체 설비의 크기가 감소되어 설치공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10: 고전단 분산부 14: 회전중심 20: 하우징부 22: 안내관로 25: 베어링부 30: 분산부 32: 제1회전몸체 33: 중공부 34: 걸림돌기 36: 커팅부 37: 회전부재 38: 회전날 40: 이송부 42: 제2회전몸체 44: 이송날개부 50: 제1구동부 52: 제1동력전달부재 54: 제1구동풀리 56: 제1종동풀리 58: 제1벨트부재 60: 제2구동부 62: 제2동력전달부재 64: 제2구동풀리 66: 제2종동풀리 68: 제2벨트부재
70: 열교환부 72: 제1관로 74: 열교환몸체 76: 제2관로
80: 제어부 85: 측정부
90: 공급관로 92: 배출관로 94: 제1제어밸브 96: 제2제어밸브 100: 제1밸브 105: 제2밸브
110: 제1버퍼탱크부 112: 제1탱크 114: 제1프로펠러
120: 제2버퍼탱크부 122: 제2탱크 124: 제2프로펠러 130: 이송펌프
140: 분체재료 142: 액체재료 145: 슬러리
150: 저장부 152: 분체조장조 154: 액체저장조
160: 공급부 162: 제1공급부 164: 제1공급몸체 166: 제1연결관로 170: 제2공급부 172: 제2공급몸체 174: 제2연결관로 176: 공급펌프 178: 공급밸브 180: 제3공급부 182: 분체공급몸체 184: 액체공급몸체 186: 혼합부 188: 혼합호퍼
190: 스크루믹서 192: 모터부재 194: 지지몸체 196: 회전스크루
200: 리저버탱크부 202: 제1저장탱크 203: 제1탱크관로 204: 제1탱크제어밸브 206: 제2저장탱크 207: 제2탱크관로 208: 제2탱크제어밸브

Claims (12)

  1. 분체와 액체로 구분된 2차 전지용 재료가 보관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공급받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받은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혼합하여 2차 전지용 재료의 1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스크루믹서;
    상기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분산시키며 슬러리의 2차 교반이 이루어지는 고전단 분산부;
    상기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제1버퍼탱크부; 및
    상기 제1버퍼탱크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복수의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리저버탱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전단 분산부는, 상기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된 슬러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있는 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와 같은 회전중심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슬러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분산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며 내측에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회전몸체; 및
    상기 제1회전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몸체와 같이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부에 저장된 슬러리를 분산시키는 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회전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회전몸체; 및
    상기 제1회전몸체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2회전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몸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하우징부에 저장된 슬러리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분체재료를 공급받으며, 상기 스크루믹서로 분체재료를 공급하는 제1공급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액체재료를 공급받으며, 상기 스크루믹서로 액체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내측에 분체재료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제1공급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몸체의 내측에 담겨진 분체재료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며 분체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부는, 내측에 액체재료가 담겨지는 제2공급몸체;
    상기 제2공급몸체와 상기 스크루믹서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로에 설치되는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펌프와 함께 상기 제2연결관로에 설치되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한 후 상기 스크루믹서로 공급하는 제3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급부는, 내측에 분체재료가 담겨지는 호퍼 형상의 분체공급몸체;
    내측에 액체재료가 담겨지는 액체공급몸체; 및
    상기 분체공급몸체와 상기 액체공급몸체의 재료를 각각 공급받아 혼합시킨 후 상기 스크루믹서로 공급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믹서는 회전되는 스크루에 의해 2차 전지용 분체재료와 액체재료를 혼합하며 니딩(Kneading)시키므로 슬러리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단 분산부의 외측으로 배출된 슬러리를 냉각시킨 후 다시 상기 고전단 분산부로 공급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이송부와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슬러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관로;
    상기 제1관로에 연결되며, 열교환을 통해 상기 슬러리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몸체; 및
    상기 열교환몸체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상기 하우징부로 안내하는 제2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퍼탱크부는, 상기 제1관로에서 분기되는 배출관로에 연결되며, 상기 고전단 분산부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저장시키는 제1탱크; 및
    상기 제1탱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탱크에 저장된 슬러리를 교반시키는 제1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탱크부는, 상기 제1버퍼탱크부에 연결되는 제1탱크관로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1저장탱크; 및
    상기 제1버퍼탱크부에 연결되는 제2탱크관로에 연결되며 내측에 슬러리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믹서와 상기 고전단 분산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믹서에서 배출되는 슬러리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상기 고전단 분산부로 슬러리를 공급하는 제2버퍼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KR1020170160663A 2017-11-28 2017-11-28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KR10185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63A KR101856483B1 (ko) 2017-11-28 2017-11-28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63A KR101856483B1 (ko) 2017-11-28 2017-11-28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483B1 true KR101856483B1 (ko) 2018-05-10

Family

ID=621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663A KR101856483B1 (ko) 2017-11-28 2017-11-28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4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737A1 (ja) * 2020-01-23 2021-07-29 エムテックスマート株式会社 2次電池の製造方法または2次電池
CN113991048A (zh) * 2021-10-26 2022-01-28 湖南省斯盛新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电池生产线及生产工艺
KR20220049752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베터리얼 자동제어형 전극 제조장치
CN115041050A (zh) * 2022-06-24 2022-09-13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锂电浆料制作方法
KR20230041302A (ko) * 2021-09-17 2023-03-24 나노캡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용 무용제 전극의 제조방법
KR20230064105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양극재 믹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3853A (ja) *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予備混練装置及び混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3853A (ja) *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予備混練装置及び混練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737A1 (ja) * 2020-01-23 2021-07-29 エムテックスマート株式会社 2次電池の製造方法または2次電池
KR20220049752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베터리얼 자동제어형 전극 제조장치
KR102574843B1 (ko) * 2020-10-15 2023-09-06 주식회사 베터리얼 자동제어형 전극 제조장치
KR20230041302A (ko) * 2021-09-17 2023-03-24 나노캡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용 무용제 전극의 제조방법
KR102626081B1 (ko) 2021-09-17 2024-01-18 나노캡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용 무용제 전극의 제조방법
CN113991048A (zh) * 2021-10-26 2022-01-28 湖南省斯盛新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电池生产线及生产工艺
KR20230064105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양극재 믹싱장치
CN115041050A (zh) * 2022-06-24 2022-09-13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锂电浆料制作方法
CN115041050B (zh) * 2022-06-24 2023-09-01 三一技术装备有限公司 锂电浆料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483B1 (ko) 2차 전지용 슬러리 생산장치
US20210339210A1 (en) Ultra-dispersion mixer
KR101844921B1 (ko) 2차 전지용 믹서장치
KR101856482B1 (ko) 고전단 분산장치
CN115430340A (zh) 一种自集成一体式的配料设备
JP6606835B2 (ja) 予備混練装置及び混練装置
CN209848803U (zh) 一种锂电池浆料分散设备
CN108499406A (zh) 一种锂电池浆料的连续生产系统
CN115445516A (zh) 一种连续制浆设备
CN110508197B (zh) 一种电池浆料匀浆系统及其工艺流程
CN208035013U (zh) 自动配比制浆系统
CN213376223U (zh) 制浆设备
CN218590204U (zh) 循环捏合式制浆系统
CN216903006U (zh) 一种干电极极片制造系统
CN217446624U (zh) 用于切割后烟丝的补水调控设备
CN215877564U (zh) 物料混合装置
CN212892829U (zh) 一种混合螺旋送料机
CN210522362U (zh) 一种铅酸蓄电池连续合膏装置
CN216756349U (zh) 一种湿法制粒机的粘合剂喷洒装置
CN112537005A (zh) 一种按比例混合的在线传输混合装置
CN206519074U (zh) 高速均质机
CN209828768U (zh) 一种环保型油墨生产用混合机
CN216630848U (zh) 一种碳化硼微粉体加工原料混合机
CN220183098U (zh) 烟草种植专用菌肥发酵罐加料结构
CN217887642U (zh) 一种提高电极干混物质效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