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075B1 -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075B1
KR101856075B1 KR1020160043473A KR20160043473A KR101856075B1 KR 101856075 B1 KR101856075 B1 KR 101856075B1 KR 1020160043473 A KR1020160043473 A KR 1020160043473A KR 20160043473 A KR20160043473 A KR 20160043473A KR 101856075 B1 KR101856075 B1 KR 10185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protein
saccharified
degradation product
improving
protein de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810A (ko
Inventor
김윤숙
이상훈
최인욱
최희돈
한영기
전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0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residual product of fish protein}
본 발명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어류중에서 넙치의 양식 산업은 해수어류 양식산업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생산량(연간 5만 톤, 약 5천억 원)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 최고의 생산 기술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생물자원의 고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과 동시에 환경공해로 여겨지던 식품가공부산물이 여러 분야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수산물의 총 공급량은 약 3,200만 톤(통계청 : 2012년)이며, 이 중 약 85%가 가공원료로써 이용되고 총량의 70%에 달하는 내장, 머리, 피부, 뼈, 및 잔육 등의 부산물은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되어지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해마다 많은 양의 수산가공 부산물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미흡하여 유용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 어류 가공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들 단백질 자원을 효소 분해를 통한 생활성(bioactive) 단백질과 펩타이드(peptide)로 회수하려는 노력들이 기울여 지고 있다. 또한, 어류 가공부산물을 효소적 생물학적 기법으로 분해하는 것은 생산 공정의 안정성, 부산물의 감소, 기능성 물질의 선택적 획득, 인체 안전성 면에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있다.
또한, 상기 어류 가공부산물은 단백질과 펩타이드, 아미노산과 핵산 등을 포함한 각종 정미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어 식품 소재나 베이스로서 좋은 원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류의 특유의 냄새와 맛 성분으로 인해 비료나 사료로만 국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어, 이 자원을 부가가치가 높은 소재로 전환 시킨다면 기업의 수익증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소재개발 기술력을 축적함과 동시에 국가 경쟁력 제고 및 환경 친화 공정으로 인정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마이얄 반응(MR)은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으로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의 아미노기와 환원당의 카보닐기와의 축합에 의하여 시작되는 일련의 반응이다. 이 반응은 소위 MRPs라 불리는 다수의 반응 물질들을 생산하는데 이들이 저장 또는 가공식품의 품질과 기호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염증(inflammation)은 병원체의 침입 또는 손상된 조직 제거를 개시하기 위해 상처부위에 대해 나타나는 지역적인 반응이다. 염증의 긍정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인간질병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발병 메커니즘의 하나가 되었다. 활성화된 백혈구(monocytes) 및 대식세포에 의한 산화질소(NO)의 생성이 강력한 염증 반응을 개시하고, 세균 병원체에 대한 초기 면역 반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Bogdan C., Nat. Immunol., 2, pp907-916, 2001).
염증반응의 결과로서,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생성된 NO의 상기 생리학적인 농도(Supraphysiological concentrations)가 다양한 염증 질환의 병리생물학에 있어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Clancy R.M. et al., Arthritis. Rheum., 41, pp1141-1151, 1998). 염증반응의 유도물질들 중에서 LPS(lipopolysaccharide)는 백혈구와 같은 면역세포와 상호 작용을 하며, 단핵세포의 식세포들에 있어서 iNOS 이소형태의 활성화에 의한 NO 농도의 증대에 의한 염증 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MacMicking J. et al., Annu. Rev. Immunol., 15, pp323-350, 1997).
따라서, 어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92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13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241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분자량은 5 KDa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KDa 일 수 있다.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1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가수분해도는 10 내지 13%, 갈변도는 550 내지 650, HMF(hydroxymethylfural) 함량은 30 내지 120 ugHMF/mg당화어류단백분해물일 수 있다.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수분해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혼합하여 마이얄(Maillaird)반응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마이얄반응 시키는 단계 사이에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탈염시키는 단계 및 마이얄반응 시키는 단계 사이에 원하는 분자량을 갖도록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프로타멕스(Protamex), 플라보자임(Flavourzyme), 뉴트라제(Neutrase), 알카라제(Alcalase), 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중량비는 40 내지 100 : 1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시 온도는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시 pH는 6.0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5탄당 또는 6탄당일 수 있다.
상기 5탄당은 리보스, 자일로스 및 아라비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6탄당은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및 프룩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물과 당류는 1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마이얄 반응온도는 100 내지 150 ℃, 마이얄 반응압력은 0.2 내지 3 kg/㎠, 마이얄 반응 시 pH는 7 내지 9 및 마이얄 반응시간은 20 내지 60분일 수 있다.
상기 획분은 한외여과막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장 질환, 복막염, 골수염, 봉소염, 췌장염, 외상 유발 쇼크,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낭포성 섬유증,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급성 세기과지염, 만성 세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병증,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질환 척추염, 연소자성 관절병증, 연소자어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병증, 감염성 관절염, 후-감염성 관절염, 임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바이러스성 관절염, 진균성 관절염, 매독성 관절염, 라임 병, 혈관염 증후군과 관련된 관절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과민성 혈관염, 루게닉 육아종증,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관절 세포 동맥염, 칼슘 결정 침착 관절병증, 가성 통풍, 비-관절 류마티즘, 점액낭염, 건초염, 상과염(테니스 엘보), 신경병증성 관절 질환(neuropathic joint disease), 출혈성 관절증(hemarthrosic), 헤노흐-쉐라인 자반병, 비후성 골관절병증, 다중 심성 세망조직구종, 척추측만증(scoliosis), 혈색소증, 혈색소병증, 고지단백혈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가족성 지중해열, 베하트 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재귀열, 다발성 경화증, 패혈증, 패혈성 쇼크,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다발성 장기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급성 폐손상(acute lung injury), 기관지 폐 형성장애(broncho-pulmonary dysplasia) 및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어류를 고압으로 가수분해한 후 마이얄 반응으로 당화시켜 제조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부산물을 모두 이용하며 화학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식품첨가물 소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대한 분자량을 증기화광산란검출기가 장착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NOS 저해 활성 및 COX-2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L-1β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TNF-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MCP-1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대한 (a) ERK, JNK, p38의 저해 활성, (b) ERK의 인산화 함량, (c) JNK의 인산화 함량 및 (d) p38의 인산화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대한 (a) NF-κB, IκBα의 저해 활성, (b) NF-κB의 인산화 함량, (c) pIκBα의 인산화 함량 및 (d) IκBα의 인산화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NF-κB(p65)의 핵 내 이동을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수분해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혼합하여 마이얄(Maillaird)반응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마이얄반응 시키는 단계 사이에 순차적으로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0.1 내지 300 MPa,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0 MPa의 압력; 4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의 온도; 6.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pH;하에서 1 내지 6시간 동안 가수분해한다.
이때, 상기 어류 부산물(또는 어류 단백질)과 효소의 중량비는 40 내지 100 : 1,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 1이다. 어류 부산물(또는 어류 단백질)과 효소의 중량비가 효소를 기준으로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시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시 pH는 완충액으로 조절하는데,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이 떨어지고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시 어류 부산물 및 효소, 압력, 온도, pH 및 시간 중에서 하나라도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 및 하기 획분 시 원하는 분자량의 획분 수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어류로는 조단백 함량이 18 중량% 이상인 어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자미(넙치), 도다리 및 광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프로타멕스(Protamex), 플라보자임(Flavourzyme), 뉴트라제(Neutrase), 알카라제(Alcalase), 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프로타멕스, 플라보자임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타멕스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생체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가수분해된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킨다.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 탈염기(electrodialyzer)를 이용하여 이온 교환막과 전기의 힘에 의한 강제적 투석법으로 탈염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염법은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을 조합하여 상기 두 교환막 사이에 상기 가수분해물을 투입한 후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적으로 이온을 상기 가수분해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생체이용성 및 이후의 마이얄(Maillaird)반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여 원하는 분자량, 예컨대 5 KDa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KDa의 분자량을 갖는 가수분해물을 획분한다.
상기 획분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이 5 KDa 초과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양(수율)이 낮으며 항염증 효과가 저하되고 마이얄 반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공정은 한외여과막을 장착한 한외여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획한 후 농축하고 동결건조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수분해물(또는 획분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혼합하여 마이얄 반응으로 당화시킨다.
상기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1 : 1 내지 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물을 첨가한 후 10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 ℃ 하에서 0.2 내지 3 kg/㎠,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kg/㎠의 압력으로 20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분 동안 반응시켜 당화된 가수분해물, 예컨대 당화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한다. 이때의 pH는 7 내지 9, 바람직하게는 8.26이다.
분획된 가수분해물과 당류의 중량비가 가수분해물을 기준으로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증 효과가 낮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마이얄 반응 시 부반응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및 압력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증 효과가 낮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물질이 생길 수 있다.
또한,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항염증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당류로는 5탄당 또는 6탄당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리보스, 자일로스 및 아라비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5탄당;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및 프룩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6탄당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탄당인 리보스이다. 상기 당류로 리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6탄당의 당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마이얄 반응이 잘 일어나고 갈변도 및 항산화능이 더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1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사용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가수분해도가 10 내지 13%, 갈변도가 550 내지 650, HMF(hydroxymethylfural) 함량이 30 내지 120 ugHMF/mg당화어류단백분해물, 및 분자량이 80 Da 내지 100 Da과 7 kDa 내지 47 kDa이 2 : 8의 중량비로 분포될 수 있다(도 1).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분포된 분자량을 포함하지만 5 kDa 이하를 획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분자량은 증기화광산란검출기(evaporating light scattering detector)가 장착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1200 series, Agilent, 미국)를 사용하여 젤여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시료 50 ul를 주입한 후 Agilent PL aquagel-OH 30 (8um, 300 x 7.5mm) 컬럼에 이동상인 0.02% sodium azide를 0.5 ml/min의 유속으로 용출하여 분자량별로 검출하였고, Easivial PEG/PEO(Agilent, 미국)을 표준물질로 비교분석하여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히스타민 방출양(%)이 190 내지 300%, β-히소사미니다이즈 방출양(%)이 90 내지 130%, DPPH 라디칼 소거능(%)이 0.4 내지 1.2 mg/㎖, 및 FRAP(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활성이 2.00 내지 3.00 mM FeSO4 eq./mg extract이다.
본 발명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광의로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가공물, 예컨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1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k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분자량 0.1 내지 3 KDa
내장을 제거한 넙치를 습식 분쇄기로 분쇄한 넙치가루 100 중량부와 프로타멕스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 MPa의 압력, 57 ℃의 온도 및 pH 6.8 하에서 6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다음 전기 탈염기(Micro-acilyzer S3, 창조테크노, 한국)를 이용하여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장치(QuixStandtm benchtop system, GE healthcare, 미국)를 이용하여 분획함으로써 0.1 내지 3 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된 가수분해물을 얻고 이를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분획된 가수분해물 100 중량부와 D-리보스 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고 121 ℃의 온도, 1.0 kg/㎠의 압력 및 pH 8.2하에서 38분 동안 마이얄 반응시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자량 0.1 내지 5.0 KDa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분획된 가수분해물로 0.1 내지 5.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된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자량 5.1 내지 10.0 KDa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분획된 가수분해물로 5.1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된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분자량 10.1 내지 50.0 KDa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분획된 가수분해물로 10.1 내지 5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된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마이얄 반응을 수행하지 않고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세포 독성
RAW264.7 cell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측정법을 이용하였다(Mosmann et al., 1983). MTT 측정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숙신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노란색의 MTT가 보라색의 formazan을 형성하는 것을 흡광도(540 nm)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불용성의 formazan 생성물은 살아있는 세포 미토콘드리아 내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세포 독성이 있을 경우 감소하고, 대사를 촉진시킬 경우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
세포주를 24-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0-200 ㎍/mL)로 처리하고 한 시간 후 LPS(1 ㎍/mL)를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0.5 mg/mL MTT solution (노란색)을 넣고 4시간 배양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다음,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MTT 환원에 의해 생성된 formazan을 ELISA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PRO, TECAN Group Ltd, Switzerland)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MTT 값은 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표시하였다.
구분 세포 생존율(%)
무처리 50 ㎍/㎖ 100 ㎍/㎖ 200 ㎍/㎖
실시예 1 98.1 99.3 97.8 98.2
실시예 2 98.2 98.8 98.0 98.0
실시예 3 98.4 98.6 98.1 97.6
실시예 4 98.2 98.2 97.8 98.1
비교예 1 98.0 98.1 98.0 97.3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모두 세포 생존율이 95% 이상이므로 무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유의적인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NO(Nitric Oxide) 생성량 측정
Nitric oxide(NO)는 대표적인 면역반응의 일종인 phagocytosis에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면역활성화 지표로 사용되는데, NO 측정 방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세포가 분비하는 NO가 sulfanil amide, NEAD와 azo compound를 형성하여 540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물질을 정량하는 Griess method를 이용하였다(Schulz et al., 1999).
[반응식 1]
Figure 112016034142500-pat00001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X105 cells/well로 24-well plate에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PS(1 ㎍/mL)를 처리한 후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 [1% (w/v) sulfanilamide, 0.1% (w/v) naph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함량을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uL 와 Griess 시약 100 uL를 혼합하여 24-we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표준물질로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대식세포에서는 세균 내 독소인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반응이 유도된다(Lee et al., 2011). 따라서 염증반응의 중요한 작용인자로 알려진 NO에 대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염증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RAW264.7 세포에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세포 내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분 NO생성량(uM)
LPS(㎍/㎖) - 1 1 1 1
분해물(㎍/㎖) - - 50 100 200
실시예 1 0.1 68.4 57.8 41.3 38.9
실시예 2 0.2 69.1 62.2 44.8 43.1
실시예 3 0.1 68.9 67.6 54.1 51.8
실시예 4 0.1 68.3 67.9 56.4 53.7
비교예 1 0.2 68.7 68.1 67.8 67.5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양의 NO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여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처리하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이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하여 NO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NO 생성이 감소한다는 것은 염증반응을 억제시킨다는 의미이다.
반면, 비교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LPS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NO 생성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PGE 2 발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PGE2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RAW264.7 세포를 24-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고 LPS(1 ㎍/mL)를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PGE2의 양은 세포배양액으로부터 enzyme immunoassay kit(Cayman, M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내 염증과정에서 대식세포는 cyclooxygenase-2(COX-2)에 의해서 과량 만들어지는 prostaglandin E2(PGE2)와 같은 염증 촉진 인자들을 생성한다(Higuchi et al., 1990). PGE2는 염증반응에 깊이 관여하며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기여한다(Bishop-Bailey et al., 2002). 이에 본 실험에서는 LPS에 의해 RAW264.7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PGE2에 대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구분 PGE2(ug/ml)
LPS(㎍/㎖) - 1 1 1 1
분해물(㎍/㎖) - - 50 100 200
실시예 1 0.1 4200 2900 2400 1700
실시예 2 0.1 4200 3300 3000 2400
실시예 3 0.1 4100 3700 3600 3300
실시예 4 0.1 4200 3900 3700 3400
비교예 1 0.1 4100 4100 4000 4000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되지 않은 정상 세포배양액 내 PGE2의 농도는 낮게 측정된 반면,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된 세포내양액에서는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면 PGE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이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하여 PGE2의 생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200 ㎍/㎖로 처리하면 LPS처리군에 비하여 PGE2의 생성량이 50% 이상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염증반응으로 과별현된 PGE2의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LPS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PGE2의 생성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의 실험을 바탕으로 실시예 1 내지 4 중에서 실시예 1의 효능이 월등히 우수하므로 이후 실험은 실시예 1로 진행하였다.
시험예 4. iNOS, COX-2 발현
염증반응의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 iNOS, COX-2, MAPKs, NF-κB, IκB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RAW264.7 세포에 농도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및 LPS(1 ug/mL)를 처리하고 각각의 단백질의 발현시간(iNOS, COX-2, IκBα는 24시간 배양, NF-κB, ERK, JNK, p38, IκBα는 30분 배양)을 고려하여 배양하였다. 1% protease inhibitor를 넣은 RIPA buffer로 단백질을 추출하고 4 ℃에서 12,000 rpm으로 2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단백질은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물질로 이용하고, Bradford 1X dye reagent(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Bradford 법에 따라 정량하였다. 50 ug의 단백질을 4X SDS sample buffer에 넣고 100 ℃에서 5분간 가열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10%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120 V로 2시간 동안 전기영동한 후,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transfer 시키고 5% skim milk를 함유한 blocking solution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각의 1차 항체를 1:500의 비율로 희석하여 4 ℃ chamber에서 over night시킨 후 Tris-bffered sline Tween-20 (TBST)으로 10분씩 3번 세척하였다. 그 후 1:2000의 비율로 희석한 2차 항체로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TBST로 10분씩 3번 washing하였다. 이후 ECL Western blotting substrate(Thermo Scientifi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ChemiDocTM XRS+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를 통해 관찰하였다.
iNOS와 COX-2는 대표적인 염증인자로서, 각각 염증의 매개물질인 NO와 PGE2를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Lee at al., 2011). 위의 결과를 통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NO와 PGE2의 생성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러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억제 효과가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억제에서 기인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iNOS와 COX-2의 발현을 알아보았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NOS 저해 활성 및 COX-2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면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였고, 상기 LPS로 처리한 후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처리하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면서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NO, PGE2의 생성,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5. 염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 ) 및 케모카인(chemokine)의 발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IL-6, IL-1β, TNF-α, MC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를 24-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고 LPS(1 ug/mL)를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TNF-α, IL-6, IL-1β, MCP-1의 각 싸이토카인의 양은 Q-plex ELISA array kit (Logan, UT,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분석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염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은 염증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체내에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대식세포는 염증성 cytokine인 IL-6, IL-1β, TNF-α와, chemokine인 MCP-1 등의 생성을 촉진하여 염증반응을 매개한다(Yun at al., 2008). 따라서 이러한 pro-inflammatory cytokine과 chemokine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은 염증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효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LPS로 유도된 pro-inflammatory cytokine과 chemok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L-6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IL-6는 B 세포의 분화를 활성화시키고 항체 분비를 자극하며, 염증병변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n at al., 200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농도에 따라 IL-6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IL-1β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IL-1β는 T 세포의 활성화, B 세포의 성숙 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Delgado at al., 200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농도에 따라 IL-1β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TNF-α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TNF-α는 LPS 반응의 주요 매개체로서, 염증성 병변과정에서 발현이 증가되는데 대식세포와 mast cell에서 분비되는 TNF-α는 tumor cell에 세포독성을 나타낸다(Kim and Son, 201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50 ug/ml로 처리한 군은 LPS 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TNF-α가 생성되지만,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100 ug/ml 및 200 ug/ml로 처리한 군은 TNF-α 생성에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MCP-1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MCP-1은 염증반응을 개시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광범위한 염증성 질환에서 증가한다(Ahn et al., 201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를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처리하면 LPS에 의해 증가되었던 MCP-1의 발현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200 ug/ml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처리한 군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3 내지 6에 나타난 결과들을 통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대표적인 염증성 cytokine인 IL-6, IL-1α, TNF-α와 MCP-1의 발현을 모두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MAPKs 발현
MAPKs는 시험예 4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염증반응이 시작되면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MAPKs(ERK, JNK, p38)의 활성화가 일어나고, 이는 면역관련 cytokine 생성에 관여하며, iNOS와 COX-2의 전사를 조절한다(Kim et al., 2007, Bak et al., 2009). 따라서 면역 및 염증 시 주로 활성화되는 신호전달체계와 iNOS, COX-2의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상위 신호전달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LPS에 의해 염증이 유도된 RAW264.7 세포에서 MAPKs의 인산화에 미치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대한 (a) ERK, JNK, p38의 저해 활성, (b) ERK의 인산화 함량, (c) JNK의 인산화 함량 및 (d) p38의 인산화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면 ERK, JNK, p38의 인산화가 모두 증가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처리하면 ERK와 JNK의 경우에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인산화가 억제되었고, p38의 경우에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최고 농도인 200 ug/mL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의한 항염증 활성은 MAPKs의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7. NF -κB 활성
NF-κB는 시험예 4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NF-κB는 염증 반응, 면역 반응 등에서 다양한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이다(Lee et al., 2012). 일반적으로 NF-κB는 세포질에서 inhibitory kappaB (IκB)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고, NF-κB가 면역 활성 인자들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IκBα의 인산화에 의한 분해가 촉진된다. IκB가 degradation되면 자유로워진 NF-κB는 핵 내로의 이동이 촉진되어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면서 iNOS, cytokine 등 여러 염증성 매개체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한다(Kawai et al., 2006). 따라서 NF-κB의 활성은 IκBα의 분해를 분석함으로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전 결과에서 감소한 염증 매개 인자들의 생성억제가 NF-B의 활성억제를 통하여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NF-B, IB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에 대한 (a) NF-κB, IκBα의 저해 활성, (b) NF-κB의 인산화 함량, (c) pIκBα의 인산화 함량 및 (d) IκBα의 인산화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 처리에 의해 NF-κB의 발현이 증가하였지만,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처리한 모든 농도의 실험군에서 NF-κB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를 처리한 군에서 IκBα의 degradation이 나타났지만,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IB의 degradation이 감소하였다. p-IκBα는 LPS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고,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00 ug/mL의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p-IκBα의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여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IκBα의 인산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IκBα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NF-κB의 활성을 차단하여 염증성 cytokine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8. NF -κB( p65 )의 핵 내 이동
NF-κB의 subunit인 p65의 세포 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RAW264.7 세포를 멸균된 cover glass를 올린 24-well plate에 1X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고, 1 ug/mL의 LPS를 처리하여 30분 배양하였다. 그 후 -20 ℃의 조건에서 메탄올을 넣어 세포를 20분간 고정시킨 후 PBS로 5분간 세척하였다. 고정된 세포를 permeabilization시키기 위해 PBS로 희석한 0.5% Triton X-100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PBS/0.02% Tween 20/1% BSA로 5분간 세척시켰다. 이후 세포에 1 mg/mL의 monoclonal mouse anti-human NF-κB (p65)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를 처리하고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PBS/0.05% Tween 20/1% BSA로 5분간 세척하였다. 그 후 1:2000으로 희석시킨 2차 항체인 Alexa Fluor 568-labeled goat anti-mouse antibody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PBS/0.05% Tween 20으로 5분 동안 세척한다. 이후 세포에 0.1 uM의 Hoechst staining solution을 처리하여 37 ℃에서 20분간 염색시킨 다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cover glass에 xylene과 malinol을 1:1로 섞은 mounting 시약을 바른 다음 cover slip에 뒤집어서 올린 후, 37 ℃에서 40분간 건조시킨다. 그 후 형광 현미경(Nikon Diaphot-300, Nikon, Tokyo,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로 NF-κB(p65)의 핵 내 이동을 관찰한 사진이다.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유발핵심전사인자인 NF-κB p65 단백의 핵 내 전이에 대한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유도된 NF-κB p65 서브유닛의 세포핵 내로의 이동이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주요 염증 신호전달 경로인 NF-κB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염증매개물질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위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실시예 1의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이 LPS로 활성화된 RAW264.7 세포에서 NF-κB 및 MAPKs의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며, NO, PGE2, 염증성 cytokine과 같은 염증반응을 촉발하는 염증매개인자들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9. 가수분해도, 갈변도 및 HMF 측정
9-1. 가수분해도: Standard로 Glycine(0.3125 mM~2.5 mM)을 사용하였으며, 100배 희석한 시료와 Standard를 96 well에 20 uL씩 분주한 뒤 Sodium bicarbonate buffer(pH 8.5) 50 uL 를 각각 분주하고, 0.1 % TNBS를 50 uL 첨가하였다. 50 ℃의 Shaking Incubator에서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0 % SDS를 넣어 단백질을 안정화 시키고 25 uL의 HCl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Spectrometer(OD, 340 nm)에서 측정하여 아미노산 mM 값으로 변환하였다. 가수분해도는 넙치 부산물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분석을 통한 평균 분자량을 고려한 후 TNBS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assay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mol 수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9-2. 갈변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용액을 흡광도로 측정할 수 있는 0.2-0.8 범위 내에 들도록 증류수로 희석(1-500배)하여 spectrophotometer(DU650 spectrophotometer, Beckman, USA)를 사용하여 갈색색소의 측정범위인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갈변도를 측정하였다.
9-3. HMF 함량: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당화 생성물(HMF)은 HPLC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가수분해도(%) 갈변도 HMF (ugHMF/mg당화어류단백분해물 )
실시예 1 11.7 612.73 110.1
실시예 2 11.6 550.64 100.4
실시예 3 11.6 452.18 51.1
실시예 4 11.5 435.62 46.4
비교예 1 11.4 112.10 0.1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비교예 1에 비하여 가수분해도, 갈변도 및 HMF 함량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은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해서도 가수분해도, 갈변도 및 HMF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27)

  1.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50 내지 200 ㎍/㎖의 농도로 함유하며,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100 내지 300 MPa 압력 하에서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단계;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단계; 및 상기 획분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1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마이얄(Maillaird)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분자량은 5 KD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분자량은 0.1 내지 3 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가수분해도는 10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갈변도는 550 내지 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HMF(hydroxymethylfural) 함량은 30 내지 120 ugHMF/mg당화어류단백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프로타멕스(Protamex), 플라보자임(Flavourzyme), 뉴트라제(Neutrase), 알카라제(Alcalase), 키모트립신(-chymotrypsin), 펩신(Pepsin), 트립신(Trypsin) 및 파파인(Pa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중량비는 40 내지 10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시 온도는 4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시 pH는 6.0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5탄당 또는 6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5탄당은 리보스, 자일로스 및 아라비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6탄당은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및 프룩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과 당류는 1 : 2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얄 반응온도는 100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얄 반응압력은 0.2 내지 3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얄 반응 시 pH는 7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얄 반응시간은 20 내지 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분은 한외여과막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장 질환, 복막염, 골수염, 봉소염, 췌장염, 외상 유발 쇼크,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낭포성 섬유증,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급성 세기과지염, 만성 세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병증,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질환 척추염, 연소자성 관절병증, 연소자어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병증, 감염성 관절염, 후-감염성 관절염, 임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바이러스성 관절염, 진균성 관절염, 매독성 관절염, 라임 병, 혈관염 증후군과 관련된 관절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과민성 혈관염, 루게닉 육아종증,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관절 세포 동맥염, 칼슘 결정 침착 관절병증, 가성 통풍, 비-관절 류마티즘, 점액낭염, 건초염, 상과염(테니스 엘보), 신경병증성 관절 질환(neuropathic joint disease), 출혈성 관절증(hemarthrosic), 헤노흐-쉐라인 자반병, 비후성 골관절병증, 다중 심성 세망조직구종, 척추측만증(scoliosis), 혈색소증, 혈색소병증, 고지단백혈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가족성 지중해열, 베하트 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재귀열, 다발성 경화증, 패혈증, 패혈성 쇼크,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다발성 장기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급성 폐손상(acute lung injury), 기관지 폐 형성장애(broncho-pulmonary dysplasia) 및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4. 가수분해된 어류단백 분해물을 마이얄(Maillaird)반응시킨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50 내지 200 ㎍/㎖의 농도로 함유하며,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은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100 내지 300 MPa 압력 하에서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단계;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단계; 및 상기 획분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1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마이얄(Maillaird)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분자량은 5 KD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6. 삭제
  27. 내장이 제거된 어류 부산물 또는 어류 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100 내지 300 MPa 압력 하에서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물을 탈염시키는 단계; 상기 탈염된 가수분해물을 획분하는 단계; 및 상기 획분된 가수분해물과 당류를 1 : 1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마이얄(Maillaird)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50 내지 200 ㎍/㎖의 농도로 사용하는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43473A 2016-04-08 2016-04-08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73A KR101856075B1 (ko) 2016-04-08 2016-04-08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73A KR101856075B1 (ko) 2016-04-08 2016-04-08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10A KR20170115810A (ko) 2017-10-18
KR101856075B1 true KR101856075B1 (ko) 2018-05-09

Family

ID=6029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473A KR101856075B1 (ko) 2016-04-08 2016-04-08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0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8492A1 (en) 2009-06-26 2012-09-20 Elisa Courois Fish protein hydrolysate for the use thereof in inhibiting weight gain and/or weight lo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8492A1 (en) 2009-06-26 2012-09-20 Elisa Courois Fish protein hydrolysate for the use thereof in inhibiting weight gain and/or weight los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gric.food chem, 2010, 58, 1535-1542pp.
J.Agric.food chem.2012, 60, 6718-6727 pp.
양성영 외 5명, ‘Optimization of maillard reaction with ribose for enhancing anti-allergy effect of fish protein hydrolysat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Chemistry 176, 420-425페이지, 2014.12.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10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79B1 (ko) 해당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219146B1 (ko) 항당뇨 효과를 가진 단백질 가수분해물
KR101856075B1 (ko) 당화 어류단백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4928A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56783B1 (ko) 백수오 추출물 또는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20190036217A (ko)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98207B2 (ja) Toxic AGEs生成抑制剤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22125A (ko) 갈색거저리 유충 단백질 또는 이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8157A (ko) 빅벨리해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8099A (ko)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42054B1 (ko) 구운감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1787082B1 (ko)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26091A (ko)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125B1 (ko) 난백 오보트랜스페린 효소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US2023014947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tenebrio molitor larval protein or hydrolysate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1715996B1 (ko) 톳 추출물의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활성 조성물
KR102586723B1 (ko) 꽃새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8431A (ko)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0264A (ko) 아미노쿠마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