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589B1 -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589B1
KR101854589B1 KR1020170086379A KR20170086379A KR101854589B1 KR 101854589 B1 KR101854589 B1 KR 101854589B1 KR 1020170086379 A KR1020170086379 A KR 1020170086379A KR 20170086379 A KR20170086379 A KR 20170086379A KR 101854589 B1 KR101854589 B1 KR 10185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xing layer
toner fixing
ton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율
김지성
최성환
이문선
김정섭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26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metals, metal salts, metal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토너가 정착되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토너 정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토너 정착층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Environment-friendly Film for laser printers}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에 관한 것으로, 유기용제형 코팅액이 아닌 수성 코팅액을 사용하여 제조공정이나 작업환경 중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저감시키키 위한 개발로, 기재필름 위에 토너 정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기재 밀착성, 토너 정착성 및 내황변성을 가지는 인쇄 적성이 뛰어난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팅 출력방식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빠르게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팅 출력방식은 보통 다섯 단계의 화상 처리단계를 거치게 된다. 1단계는 어두운 곳에서 광전도성(Photoconductor) 드럼이나 벨트에 일정한 전하를 띠는 단계이고, 2단계는 레이저 빔을 광전도성 드럼이나 벨트에 직접 조사하여 정전기적인 잠상(latent image)을 그리는 단계이며, 3단계는 정전기적 잠상을 전하를 띤 토너에 노출시켜 토너가 정전기적인 힘으로 광전도성 드럼이나 벨트에 이송된다. 4단계는 출력용 소재가 광전도성 드럼이나 벨트와 코로나 사이를 통과하면서 토너가 출력용 소재로 옮겨진다. 이때 상기 출력용 소재는 일정의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야 토너의 화상이 정전기적인 힘에 의해 소재로 전이된다. 5단계는 기록 매체에 전이된 토너를 고정하는 단계로 주로 롤러에 의한 열과 압력을 가하는 열융착을 통해 토너 수용층에 정착 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사용하는 레이저 프린터에는 일반 종이 용지 및 특수 코팅된 전용지, 전용 필름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된다.
종래의 레이저 프린터 전용 필름은 유기용제형 코팅액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제조 공정이나 작업 환경 중에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하고, 제조 공정이나 작업 환경 중에 유해물질 발생도가 저감되는 레이저 프린터 전용 필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수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토너 정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기재필름 위에 토너 정착층이 형성되어 우수한 기재 밀착성, 토너 정착성 및 내황변성을 가지는 인쇄 적성이 뛰어난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토너가 정착되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토너 정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토너 정착층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정착층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있어서, 무기물 10 내지 60 중량부 및 첨가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실록산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라텍스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정착층은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이며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정착층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은 수용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토너 정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할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 위에 토너 정착층이 형성되고, 토너 정착층은 porus 구조를 형성하여 토너의 정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은 토너 정착층의 무기물 구성으로 우수한 기재 밀착성, 토너 정착성, 칼라 재현성, 은폐력, 내수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황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은 기재필름(100) 및 토너 정착층(200)을 포함할 수 있고, 기재필름(100)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 토너 정착층(20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필름(10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필름(100)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터설폰 필름, 폴리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계수지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터케톤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필름, (메타)아크릴나이트릴 필름 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재필름(100)은 발포필름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기재필름(10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기재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시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중량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이때, 혼합은 플라스틱을 약 200℃ 내지 210℃로 용융한 후, 세라믹 입자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서 소정의 RPM (60 RPM이 바람직함)으로 8분 내지 12분간 회전시켜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된 복합재료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용융온도는 플라스틱의 점도를 고려한 용융온도의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혼합 RPM과 혼합시간도 실시예로서 실시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은 향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 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향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재필름(10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시에 잉크 흡수층(200)이 보다 잘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필름(100)은 30㎛ 내지 2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기재필름(100)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의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 인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토너 정착층의 코팅을 지지하는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100)의 두께가 250㎛를 초과할 경우, 너무 두꺼워서 프린터 내로의 급지가 어려울 수 있고, 강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인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토너 정착층(200)은 기재필름(100)의 상면 및 하면 중 하나 이상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재필름(100)에 그라비아코터, 슬롯다이코터, 바코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토너 정착층(200)을 코팅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코팅 기술로 코팅될 수 있다.
그 후, 오븐 등 가열에 의해 건조하여 토너 정착층(200)을 기재필름(100)에 형성할 수 있다.
토너 정착층(200)은 레이저 프린터를 이용하여 토너에 의해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은 레이저 프린터로 토출되는 토너를 흡수하여 이미지를 형성하고, 토너의 정착성, 칼라 재현성, 은폐력, 내수성 및 내황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토너 정착층(200)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인더와 무기물이 porus 구조를 형성하여 토너의 정착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은 우수한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 porus 구조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토너 정착층(200)은 수용성 코팅액 성질을 가짐으로써, 종래에 유기용제형 코팅액을 사용했던 필름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 발생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인더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실록산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라텍스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인더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70 내지 90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15 내지 30을 혼합한 것, 아크릴 80 내지 95중량부 및 폴리비닐알코올 8 내지 18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는 NVP(비닐피롤리돈)과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NVP(비닐피롤리돈)은 친수성 물질로서, 토너 정착층(200)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잉크가 표면에 보다 잘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경우에는 토너 정착층(200)에 자외선 차단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있어서, 10 내지 60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무기물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무기물에 비해 바인더의 함량이 많아지게 되면 토너 차단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인쇄 시 중송, 막힘 및 고장 등 용지 급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이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토너 정착층(200)과 기재필름(100) 간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토너 정착층(200)이 기재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인쇄 시 중송, 막힘 및 고장 등 용지 급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에 있어서, 0.5 내지 2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분산제는 무기물을 토너 정착층(200)의 코팅액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산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있어서, 0.3 내지 2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습윤제 및 라벨링제는 토너 정착층(200) 코팅 시 표면장력을 낮추거나 토너 정착층(200)의 코팅액의 흐름성을 개선시켜 기재필름(100)에 토너 정착층(200)의 코팅액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무늬, 분화구 등 모양 공정시 이상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습윤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있어서, 0.5 내지 2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라벨링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있어서, 0.3 내지 2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은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부자 유기화합물은 천연고무, 셀룰로스, 단백질, 호박 분말 및 옻칠 분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토너 정착층(200)에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더 혼합함으로써, 토너 정착층(200)의 결합력이 높아져 기재필름(100)에 토너 정착층(200)의 밀착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은 가교제, pH조절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컬링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소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안정제(UV stabilizers)는 0.1중량부 내지 2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토너 정착층(200)이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인쇄되는 이미지가 자외선에 의해 탈색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는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너 정착층(200)이 5㎛의 두께 미만일 경우, 토너 정착층(200)에 토너 정착성이 떨어져 출력 후 이미지의 번짐 및 박리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고, 50㎛의 두께를 초과할 경우, 두께에 비해 효과는 증가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낮아지고, 토너의 컬러 재현성, 즉 색구현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은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선형 구조를 가지며,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러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단량체인 비닐아세테이트(Vinyl <21> acetate)에, 비닐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에틸렌(Ethylene) 등의 공단량체를 중합하여 선형의 중합구조를 지니도록 합성된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토너 정착층(200)의 점도를 조절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정착층(200)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코팅 후 또는 인쇄 후 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5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이때, 유리전이온도(Tg)가 -5℃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하여 토너 정착층(200)의 경화 및 물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를 초과할 경우 컬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는 10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컬 현상 방지 기능이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정착층(200)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토너 정착층(200)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고, 내마모성,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중 하나의 군일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는 10 내지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용성 향상 후 안전성이 떨어지며,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수성,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정착층(200)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로 형성되어, 기재 밀착성이 높고, 레이저 프린터에 의해 토너 정착층이 프린팅될 때, 토너의 정착성, 칼라 재현성, 내수성, 내스크레치성, 내황변성이 높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토너 정착층 조성물의 성분비를 나타낸다. 두께 200 um인 기재필름 위에 하기의 조성물을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오븐(110℃, 1분30초)에서 건조시켜 두께 25um의 토너 정착층을 가지는 레이저 프린터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아크릴 90.9 83.3 0 0 0 0 80.6 0 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0 0 78.6 85.8 83.8 72.9 0 100 84.5
폴리 비닐 알코올 9.1 16.7 21.4 14.2 16.2 27.1 19.4 0 15.5
무기물 18.2 25.0 50.0 52.1 50.9 44.3 64.5 100 84.5
분산제 0.9 0.8 0.7 0.6 0.6 0.5 0.2 0.7 0.8
습윤제 0.5 0.8 0.5 0.7 0.7 0.6 0.2 0.9 1.2
레벨링제 0.9 0.8 0.7 0.4 0.4 0.3 0.2 0.4 1.2
대전방지제 0 0.1 0 0 0 0 0 0 0
[ 실험예 ]
하기 표2는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레이저 프린터용 필름의 투과도, 토너정착력, 정전기 방지, 내스크래치성, 내수성을 테스트 후 나타낸 것이다.
투과도는 자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여 550nm에서 측정하였다. 정전기 방지는 출력 전 필름의 표면의 저항을 측정하고 출력 후 필름 간 생기는 정전기를 평가하였다. 내수성은 상온 25℃의 증류수에 인쇄된 필름을 담근 후 1일~3일 후 인쇄이미지 및 코팅층의 번짐 및 부착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이미지의 출력은 Konica Minolta C1100, DocuCentre-V C2263에서 인쇄하였다.
투과도 토너정착력 정전기 방지 내스크래치성 내수성
실시예1 0.4
실시예2 0.4
실시예3 0.5
실시예4 0.4
실시예5 0.5
실시예6 0.5
비교예1 0.9
비교예2 0.3
비교예3 0.2
<평가기준>
◎(우수) ○(양호) △(보통) Ⅹ(미흡)
상기 표2를 참고하여 레이저 프린터용 필름의 평가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6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토너 정착력, 정전기 방지, 토너정착력, 내스크래치성, 내수성이 평균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은 기재필름(100)과 토너 정착층(200)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토너 정착층(200)에 토너의 정착성, 칼라재현성, 내수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인쇄 시 우수한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기재필름
200: 토너 정착층

Claims (7)

  1.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토너가 정착되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토너 정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토너 정착층은,
    바인더, 무기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토너 정착층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있어서, 무기물 10 내지 60 중량부 및 첨가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정착층은,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유기화합물은,
    천연고무, 셀룰로스, 단백질, 호박 분말 및 옻칠 분말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기재필름인 플라스틱 필름은 세라믹 및 상용화제와 8:1:1 내지 5:4: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및 상용화제의 혼합은,
    플라스틱을 200 내지 210℃로 용융한 후, 세라믹 입자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서 60 RPM으로 8분 내지 12분간 회전시켜 혼합하며,
    상기 세라믹은 혼합전에 은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계, 아크릴계, 실록산계, 에폭시계,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라텍스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카올린 클레이, 알루미나,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새틴화이트,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및 레벨링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정착층은,
    유리전이온도(Tg)가 -5 내지 15℃이며 선형 구조를 갖는 비닐아세테이트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정착층은,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KR1020170086379A 2017-07-07 2017-07-07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KR101854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79A KR101854589B1 (ko) 2017-07-07 2017-07-07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379A KR101854589B1 (ko) 2017-07-07 2017-07-07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589B1 true KR101854589B1 (ko) 2018-05-04

Family

ID=6219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379A KR101854589B1 (ko) 2017-07-07 2017-07-07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52B1 (ko) * 2018-10-12 2019-04-23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메탈릭한 느낌의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잉크젯 출력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52B1 (ko) * 2018-10-12 2019-04-23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메탈릭한 느낌의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잉크젯 출력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2451B2 (en) Coated film
CN110892010B (zh) 记录用纸及其制造方法
KR20040105002A (ko) 잉크젯 프린터용 기록 매체
CN107206823B (zh) 热敏转印记录介质
CN1356591A (zh) 泡沫芯成象元件
KR101854589B1 (ko) 레이저 프린터용 친환경 필름
EP1274587A1 (en) Image receptor sheet
CN101069131A (zh) 用于调色剂接收元件的标记增强层
KR102601068B1 (ko) 적층 백색 필름 및 피기록재
CN1650236A (zh) 控制电阻率的图像记录片
JP7052306B2 (ja)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KR20080068463A (ko) 열전사 프린터용 기록 매체
US20080299324A1 (en) Modified printable surfaces
JP6411825B2 (ja) 記録用紙、および該記録用紙を用いたラベル
JP4344570B2 (ja) 溶融熱転写記録用紙
WO2018159811A1 (ja)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KR101971452B1 (ko) 메탈릭한 느낌의 이미지를 구현 가능한 잉크젯 출력소재
JP2007210341A (ja) 記録材料
KR102181199B1 (ko) 기재부착기능을 겸비한 잉크수용층을 포함하는 광폭 백라이트 코팅필름
JP3837922B2 (ja) 記録シート
JPH1111012A (ja) 水性インク印刷用シート
CN201449513U (zh) 图像记录材料
JPH0867064A (ja) 記録シート
JP7027959B2 (ja)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JPH09309263A (ja) 記録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