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692B1 -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692B1
KR101853692B1 KR1020170088804A KR20170088804A KR101853692B1 KR 101853692 B1 KR101853692 B1 KR 101853692B1 KR 1020170088804 A KR1020170088804 A KR 1020170088804A KR 20170088804 A KR20170088804 A KR 20170088804A KR 101853692 B1 KR101853692 B1 KR 10185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igment
layer
surface lay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혁
Original Assignee
임주혁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혁, 김미경 filed Critical 임주혁
Priority to KR102017008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 B28B2005/04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with compacting of the material
    • B28B2005/045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with compacting of the material only by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그라데이션이 형성된 컬러층을 구비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층;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층; 및 상기 표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컬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LOR CEMENT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COLOR CEMENT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그라데이션이 형성된 컬러층을 구비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포장용 보도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를 틀에 넣어 성형한 것이다.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0295호(2015.12.28 공고)는 색상을 갖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간단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다색 구현을 통해 미려함을 갖는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다색 구현에 의한 무늬 형성과 더불어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4874호(2016.05.27 공고)는 서로 다른 색상의 착색제가 혼합된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공급량을 색상별로 조절하여 공급 및 이송한 후에 시멘트 콘크리트 혼합물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다중 색상의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다양한 컬러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컬러 블록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도한 안료의 사용을 줄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개선된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공정의 개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가 성형틀로 공급되어 기층이 형성되는 기층 형성단계; 및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가 상기 기층 상에 공급되어 표층이 형성되고, 상기 표층 상에 안료가 공급되어 컬러층이 형성되는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는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가 상기 표층 상에 공급되어 상기 컬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는 상기 표층 형성 직후 상기 컬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층이 가압되어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 및 상기 그라데이션 단계는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상기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성형틀로 공급하여 기층을 형성시키는 기층호퍼;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상기 기층 상에 공급하여 표층을 형성시키는 표층호퍼; 및 안료를 상기 표층 상에 공급하여 컬러층을 형성시키는 안료호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료호퍼부는 복수개의 안료호퍼를 포함하는 안료호퍼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호퍼는 안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 배출부는 상기 안료 배출부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호퍼부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호퍼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안료호퍼 중 적어도 하나는 배출되는 상기 안료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호퍼부는 상기 표층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표층의 형성 직후 상기 안료를 상기 표층 상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은 이송레일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기층호퍼, 상기 표층호퍼 및 상기 안료호퍼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층을 가압하여 그라데이션을 형성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Y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호퍼부 및 상기 롤러는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상기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층;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층; 및 상기 표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컬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컬러층에는 그라데이션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층은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안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안료는 상기 표층 상에서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각각은 기층; 상기 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층; 및 상기 표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컬러층;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각각에는 동일한 디자인의 상기 컬러층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료호퍼부 및 롤러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료를 표층의 상부에 한정하여 적용함으로써, 과도한 안료의 사용을 줄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개선된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층호퍼에 안료호퍼부를 연결함으로써,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공정의 개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안료호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은 기층(10), 표층(20) 및 컬러층(30)을 포함한다. 기층(10)의 상부에 표층(20)이 형성되고, 표층(20)의 상부에 컬러층(30)이 형성된다.
기층(10)은 기층골재(11) 및 기층 바인더(1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기층(10), 표층(20) 및 컬러층(30)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표층(20)은 표층골재(21) 및 표층 바인더(22)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기층(1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컬러층(30)은 안료로 이루어지고, 표층(2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컬러층(30)은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안료로 구성된다. 컬러층(30)은 구성되는 안료를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을 구현할 수 있다.
컬러층(30)은 도 1과 같이 복수개의 안료가 표층(20)의 상부표면에서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안료호퍼(132, 133, 134)의 구성에 따른 효과이다. 복수개의 안료가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은 보는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컬러층(30)은 도 1과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표층(20)의 상부표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표층(20)의 상부표면의 일부만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컬러층(30)의 연속적 형성 또는 단속적 형성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안료호퍼(132, 133, 134)의 노즐의 동작에 따른 안료의 배출에 따라 조절된다. 각 안료호퍼(132, 133, 134)는 각 안료의 배출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컬러층(30)의 각 안료는 개별적으로 연속적 형성 또는 단속적 형성될 수 있다.
컬러층(30)에 구현된 색상은 그라데이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의 형성에 따라, 컬러층(30)에 형성된 각 안료는 진한 부분과 연한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도 1과 같이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폭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롤러(140)의 각도에 따라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은 각각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마다 컬러층(30)의 연속적 형성 또는 단속적 형성이 조절될 수 있고, 그라데이션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어,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이 구현될 수 있다.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은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층(20)의 상부에만 컬러층(30)이 형성됨으로써, 과도한 안료의 사용을 줄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개선된 컬러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100)는 기층호퍼(110), 표층호퍼(120), 안료호퍼부(130), 롤러(140) 및 이송레일(150)을 포함한다.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물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레일(150)을 기준으로, 이송레일(150)의 상부에 기층호퍼(110), 표층호퍼(120), 안료호퍼부(130) 및 롤러(140)가 배치된다. 기층호퍼(110), 표층호퍼(120), 안료호퍼부(130) 및 롤러(140)는 상기 순서대로 이송레일(150)의 이송경로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송레일(150)은 성형틀(151)을 포함한다. 이송레일(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성형틀(151) 내부에 기층호퍼(110), 표층호퍼(120) 및 안료호퍼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 및 안료가 적층되고, X축 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레일(150)은 복수개의 성형틀(151)을 구비할 수 있고, 이송레일(150)의 폭 방향인 Y축 방향 및 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성형틀(15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송레일(150)의 폭은 시멘트 콘크리트 및 안료가 이송레일(150) 상부에 잘 적층될 수 있도록 기층호퍼(110), 표층호퍼(120) 및 안료호퍼부(1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레일(150)은 리니어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컨베이어 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층호퍼(110)는 이송레일(150)의 상부에서 이송레일(15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다. 기층호퍼(110)는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11) 및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배출부(112)를 포함한다. 기층호퍼(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11)에 수용하고,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11)와 연결된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배출부(112)를 통해 기층호퍼(110) 하부로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배출한다. 배출된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는 이송레일(150)의 성형틀(151) 내부에 적층되고, 기층(10)이 형성된다.
표층호퍼(120)는 이송레일(150)의 상부에서 이송레일(15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다. 또한, 표층호퍼(120)는 기층호퍼(110)에서 X축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표층호퍼(120)는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21) 및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배출부(122)를 포함한다. 표층호퍼(1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21)에 수용하고,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수용부(121)와 연결된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 배출부(122)를 통해 표층호퍼(120) 하부로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배출한다. 배출된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는 이송레일(150)의 성형틀(151) 내부에 적층된 기층(10)의 상부에 적층되고, 표층(2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안료호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료호퍼부(130)는 이송레일(150)의 상부에서 이송레일(150)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또한, 안료호퍼부(130)는 표층호퍼(120)의 X축 방향 측면에서 표층호퍼(12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료호퍼부(130)는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료호퍼세트(131)를 구비하고, 각각의 안료호퍼세트(131)는 복수개의 안료호퍼(132, 133, 134)를 구비한다.
안료호퍼(132, 133, 134)는 각각 안료 수용부(132a) 및 안료 배출부(132b)를 포함한다. 안료호퍼(132, 133, 134)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안료를 안료 수용부(132a)에 수용하고, 안료 수용부(132a)와 연결된 안료 배출부(132b)를 통해 안료호퍼(132, 133, 134) 하부로 안료를 배출한다. 배출된 안료는 이송레일(150)의 성형틀(151) 내부에 적층된 표층(20)의 상부에 적층되고, 컬러층(3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료 배출부(132b)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은 안료 배출부(132b)를 열거나 닫으면서 안료의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노즐의 동작에 따라, 안료는 표층(20)의 상부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컬러층(30)은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안료호퍼세트(13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료호퍼(132, 133, 134)에서 배출되는 안료들은 표층(20)의 상부에 적층되면서 하나의 컬러층(30)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안료호퍼(132, 133, 134)는 배출되는 안료의 색상이 다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료호퍼(132, 133, 134)는 배출되는 안료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안료호퍼(132, 133, 134)의 안료 배출부(132b)는 서로 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표층(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안료는 표층(20)에서 서로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안료가 섞이지 않고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은 보는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안료호퍼부(130)는 복수개의 안료호퍼세트(131)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성형틀(151)에 각각 다른 디자인의 컬러층(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안료호퍼부(130)는 표층호퍼(120)와 연결되어 표층(20)의 형성 직후 컬러층(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료호퍼부(130)는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공정의 호퍼에 추가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공정의 개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층(20)의 상부에만 컬러층(30)이 형성 됨으로써, 과도한 안료의 사용을 줄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이 개선된 컬러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료를 공급하는 안료호퍼(132, 133, 134)가 노즐을 구비하여 안료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복수개의 컬러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롤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140)는 이송레일(150)의 상부에서 이송레일(150)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된다. 롤러(140)는 컬러층(30)을 가압하여 그라데이션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이송레일(150)과 롤러(140)의 간격은 롤러(140)가 컬러층(30)을 가압할 수 있는 적절한 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롤러(140)는 안료호퍼부(130)에서 X축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롤러(140)는 이송레일(150)에 적층된 컬러층(30)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롤러(140)와 연결된 동력원의 작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롤러(140)는 회전하면서 컬러층(30)을 가압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가압 전 컬러층(30)은 복수개의 안료호퍼(132, 133, 134)에서 배출된 복수개의 안료들이 표층(20) 상에 단순히 적층된 상태이므로, 각 안료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롤러(140)의 컬러층(30) 가압에 따라 각 안료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안료가 횡방향으로 확산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안료가 위치하던 부분은 상대적으로 진한 색상이 형성되고, 가압에 따라 안료가 확산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연한 색상이 형성되어, 컬러층(30)에 그라데이션이 형성된다.
롤러(140)는 회전속도 및 컬러층(30)에 가하는 압력의 정도를 다르게 하면서 그라데이션의 다양성을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컬러 콘크리트 블록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롤러(140)는 도 4의 (a) 및 (b)와 같이, 롤러(140)의 축이 Y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Y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롤러(140)의 축이 Y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컬러층(30)의 그라데이션은 도 1과 같이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폭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Y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컬러층(30)의 그라데이션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140)는 소정의 회전속도, 컬러층(30)에 가하는 압력, Y축과 이루는 각도를 가지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컬러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30)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레일(150)의 성형틀(151) 내부에 기층호퍼(110)에서 배출된 기층용 콘크리트가 적층되어 기층(10)이 형성된다. 형성된 기층(10)은 이송레일(150)을 따라 표층호퍼(120)의 하부로 이송된다. 표층호퍼(120)의 하부로 기층(10)이 이송되면, 기층(10)의 상부에 표층호퍼(120)에서 배출된 표층용 콘크리트가 적층되어 표층(20)이 형성되고, 표층(20) 형성 직후에 안료호퍼(132)에서 배출된 안료가 적층되어 컬러층(30)이 형성된다. 형성된 기층(10), 표층(20) 및 컬러층(30)이 이송레일(150)을 따라 롤러(140)의 하부로 이송되면, 롤러(140)의 가압에 따라 컬러층(30)에 그라데이션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컬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컬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은 기층 형성단계(S110),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S120) 및 그라데이션 단계(S130)를 포함한다.
기층 형성단계(S110)에서 기층호퍼(110)에서 배출된 기층용 콘크리트가 성형틀(151) 내부로 공급되어 기층(10)이 형성되고,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S120)에서 표층호퍼(120)에서 배출된 표층용 콘크리트가 기층(10)의 상부에 적층되어 표층(20)이 형성되며, 표층(20)의 상부에 안료호퍼부(130)에서 배출된 안료가 적층되어 컬러층(30)이 형성된다. 그라데이션 단계(S130)에서, 상기 컬러층(30)이 롤러(140)에 의해 가압되어 그라데이션이 형성된다.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S120) 및 상기 그라데이션 단계(S130)는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층
20 : 표층
30 : 컬러층
100 : 컬러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10 : 기층호퍼
120 : 표층호퍼
130 : 안료호퍼부
131 : 안료호퍼세트
140 : 롤러
150 : 이송레일

Claims (23)

  1.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가 성형틀로 공급되어 기층이 형성되는 기층 형성단계;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가 상기 기층 상에 공급되어 표층이 형성되고, 상기 표층 상에 안료가 공급되어 컬러층이 형성되는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 및
    상기 컬러층을 롤러로 가압하여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에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가 상기 표층 상에 공급되어 상기 컬러층이 형성되고,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는 상기 표층 형성 직후 상기 컬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및 컬러층 형성단계 및 상기 그라데이션 단계는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상기 컬러층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7. 기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성형틀로 공급하여 기층을 형성시키는 기층호퍼;
    표층용 시멘트 콘크리트를 상기 기층 상에 공급하여 표층을 형성시키는 표층호퍼; 및
    안료를 상기 표층 상에 공급하여 컬러층을 형성시키는 안료호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호퍼부는 복수개의 안료호퍼를 포함하는 안료호퍼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호퍼부는 상기 표층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표층의 형성 직후 상기 안료를 상기 표층 상에 공급하고,
    상기 컬러층을 가압하여 그라데이션을 형성시키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호퍼는 안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료 배출부는 상기 안료 배출부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호퍼부는 복수개의 상기 안료호퍼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안료호퍼 중 적어도 하나는 배출되는 상기 안료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2. 삭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이송레일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기층호퍼, 상기 표층호퍼 및 상기 안료호퍼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4. 삭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Y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호퍼부 및 상기 롤러는 복수개의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에 동일한 디자인의 상기 컬러층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70088804A 2017-07-13 2017-07-13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5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04A KR101853692B1 (ko) 2017-07-13 2017-07-13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804A KR101853692B1 (ko) 2017-07-13 2017-07-13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692B1 true KR101853692B1 (ko) 2018-05-02

Family

ID=6218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804A KR101853692B1 (ko) 2017-07-13 2017-07-13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6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848B1 (ko) * 2019-10-28 2020-03-24 서곤성 대리석 모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2372819A (zh) * 2020-12-07 2021-02-19 江苏百代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无色差软石的生产装置及方法
KR20210103170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이노블록 이종 색상 블록 세트 동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 색상 블록 세트
KR102403796B1 (ko) * 2021-06-24 2022-06-02 쎄라콘크리트주식회사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16B1 (ko) * 2013-01-18 2013-05-14 주식회사 한일세라믹 유색글라스입자를 이용한 점토벽돌 표면 색상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16B1 (ko) * 2013-01-18 2013-05-14 주식회사 한일세라믹 유색글라스입자를 이용한 점토벽돌 표면 색상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848B1 (ko) * 2019-10-28 2020-03-24 서곤성 대리석 모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3170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이노블록 이종 색상 블록 세트 동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 색상 블록 세트
KR102384069B1 (ko) * 2020-02-13 2022-04-07 주식회사 이노블록 이종 색상 블록 세트 동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종 색상 블록 세트
CN112372819A (zh) * 2020-12-07 2021-02-19 江苏百代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无色差软石的生产装置及方法
KR102403796B1 (ko) * 2021-06-24 2022-06-02 쎄라콘크리트주식회사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92B1 (ko)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2225577B (zh) 一种陶瓷布料设备及其工艺
CN106003374A (zh) 超薄面料通体瓷质砖生产工艺及生产设备
US380951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light-weight concrete panel with pattern designs on its surface
CN109702862A (zh) 一种通体纹理大理石瓷砖制备方法和装置
US1829187A (en) Method of making colored composition slabs
ITRE20010127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a fabbricazione di piastrelle e lastre ceramiche, e piastrelle e lastre ottenute con detti
CN101497539A (zh) 一种表面具有立体砂岩效果陶瓷砖的生产工艺
ITMI982008A1 (it) Dispositivo per alimentare un apparato di pressatura apparato di pressatura e procedimento di pressatura
JPH10159308A (ja) 建築用板
EP1905563A2 (en) Device for feeding the mould cavity with powder material and slab obtained by pressing the powder material
ITMO970107A1 (it)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formatura di piastrelle ceramiche e si mili
ITRE20080087A1 (it) '' metodo per la fabbricazione di lastre ceramiche ''
CN208263105U (zh) 一种自动化坯体表面处理系统
IT201800010612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a formatura di lastre ceramiche
WO20060884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ooring with thermoplastic material
KR20200129386A (ko) 블록 제조 장치
CN110156494A (zh) 一种微晶复合板的制备方法
JP4567997B2 (ja) 無機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H07116587A (ja) 建築用板の製造方法
JPH05229884A (ja) 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ITRE960004A1 (it) Macchina e metodo per realizzare decorazioni, con macchina e metodo per realizzare decorazioni, con materiali in polvere, su piastrelle ceramiche materiali in polvere, su piastrelle ceramiche
EP3750678A1 (en) Method and plant for manufacturing mass-decorated ceramic slabs
JP2005007581A (ja) 外装建材の製造装置
CN104552562A (zh) 一种仿天然玉石抛光砖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