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796B1 -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796B1
KR102403796B1 KR1020220012047A KR20220012047A KR102403796B1 KR 102403796 B1 KR102403796 B1 KR 102403796B1 KR 1020220012047 A KR1020220012047 A KR 1020220012047A KR 20220012047 A KR20220012047 A KR 20220012047A KR 102403796 B1 KR102403796 B1 KR 10240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weight
parts
molded body
ma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호
Original Assignee
쎄라콘크리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라콘크리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쎄라콘크리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1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5Feeding specific quantities of material at specific location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7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by using a removable belt or conveyor transferring the moulding material to the moulding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28B5/02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 B28B5/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the moulds or the moulding surfaces being individual independant units and being discontinuously f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2Controlling the process of mixing, e.g. adding ingredients in a quantity depending on a measured or desired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04B40/0046Premixtures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processing, e.g. sequence of mixing the ingredients when preparing the pre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블록을 형성하는 주재료를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하여 주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블록의 색상을 나타낼 다수의 부재료를 각각 서로 다른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투입하여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소를 투입하여,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에 서로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부재료 저장통에 공급하고, 1차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1차 혼합된 부재료 혼합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여 서로 다른 성형기 공급통에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서로 다른 분할된 성형기공급통에 투입된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로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 (h) 상기 성형체를 양생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Block manufacturing method with mixed colors}
본 발명은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종의 조성을 가지는 재료를 순차적으로 혼합하여 블랜드(Blend)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혼합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은 보행자기 보행하는 인도, 차량용 및 조경용으로 시공하는 것으로, 인도의 폭 및 길이에 맞추어 다수 개를 규칙적으로 시공한다.
최근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을 대체할 수 있는 자연석 이미지를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표면의 형상 및 모양만 자연석과 유사하게 제작되며, 콘크리트 질감을 갖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자연석 질감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틀랜트 시멘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회색 색상이 대부분이다. 이에, 종래 콘크리트 블록의 색도를 선명하게 할 경우 화이트 시멘트를 사용하여 색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화이트 시멘트는 포틀랜트 시멘트에 비하여 약 3배 정도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콘크리트 블록의 색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화이트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겨울철 제설재로 사용되는 염화칼슘의 발열반응으로 인한 열화현상을 유발하고, 시멘트의 주요 성분인 석회(CaO)가 물과 반응하여 소석회(Ca(OH)2)를 생성함에 따라 백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광장 또는 보차도용으로 색상을 부가한 컬러블록으로 시공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동일한 형상의 블록이라도 컬러를 부가함에 따라 제품의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컬러블록이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컬러블록은 색상을 표현할 경우,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기에 넣고 믹싱한 후, 단일 색소 또는 서로 다른 2∼개의 색소를 미리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계량하여 이를 일시에 투입하여 블록의 색상을 입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컬러블록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서로 다른 2∼개의 색소를 미리 계량한 상태에서 혼합기에 투입할 경우 대부분 원색을 띠게 되어 매우 단조롭고 정형화된 색상을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컬러블록의 색상은 자연적인 색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었고 오히려 인공적인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블록의 색감을 개선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혼합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자연석의 형상 및 색상을 모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09155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6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종의 원료를 순차적으로 배합하는 것으로 블랜드효과를 가질 수 있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블랜드 효과를 이용하여 블록의 색상 및 질감을 조절하는 것으로 천연석느낌이 나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 및 질감을 가지는 블록을 제조하며, 보도블록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외장재에도 사용될 수 있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블록을 형성하는 주재료를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하여 주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블록의 색상을 나타낼 다수의 부재료를 각각 서로 다른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투입하여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소를 투입하여,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에 서로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부재료 저장통에 공급하고, 1차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1차 혼합된 부재료 혼합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여 서로 다른 성형기 공급통에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서로 다른 분할된 성형기공급통에 투입된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로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 (h) 상기 성형체를 양생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5 ~ 40중량부, 혼화재 0.1 ~ 2.0중량부, 방수액 5~20중량부 및 무기질 충전재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주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0~10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질 충전재는 황산바륨, 벤토나이트 및 규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재 0.1 ~ 2.0 중량부, 탄산칼슘 10~30중량부, 산화티타늄 1~10중량부 및 방수액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10~5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부재료 혼합기 내 부재료 전구체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의 색소를 투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색소는 광물계 또는 석유계 염료이며, 상기 (d)단계는,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를 저장통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서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료 전구체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는 것으로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하는 단계이며, 상기 저장통은, 사각 호퍼형의 저장통 본체; 상기 저장통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 및 상기 저장통 하부에 형성되는 부재료 혼합물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기 공급통은 사각형의 호퍼형으로 제조되며, 상기 (f) 단계는, 상기 주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 및 상기 부재료를 성형틀에 장입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상승시켜 이송벨트 상에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기는, 중앙에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가 장입되며,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이후 성형체와 분리될 수 있는 성형 틀; 상기 성형 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압되어 성형된 성형체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성형 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 틀의 내부에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성형틀의 상부로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원료공급 벨트의 상부에는 1~5개의 성형기 공급통이 설치되어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하며, 상기 (g) 단계는, 표면 가공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 성형된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가공수단을 상기 성형체 10~30cm간격으로 교체하여 패턴형성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가공수단은,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질감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로 구성된 질감형성부; 상기 질감 형성부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성형체의 길이방향과 30~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표면가공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질감 형성부는 상기 성형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섬유가 상기 성형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체의 사면에 일정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개의 블래이드 날; 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날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1~3개의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블레이드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의 제조시 주재료와 부재료를 순차적으로 혼합하는 것으로 블랜드 효과를 줄 수 있으으며, 이에 따라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과 유사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의 압출시 표면을 특정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표면에 자연석과 같은 불규칙적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 및 질감을 가지는 블록을 제조하며, 보도블록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외장재에도 사용될 수 있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통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질감형성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가공 블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a) 블록을 형성하는 주재료를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하여 주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블록의 색상을 나타낼 다수의 부재료를 각각 서로 다른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투입하여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소를 투입하여,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에 서로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부재료 저장통에 공급하고, 1차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1차 혼합된 부재료 혼합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여 서로 다른 성형기 공급통에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서로 다른 분할된 성형기공급통에 투입된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로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 (h) 상기 성형체를 양생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블록을 색상을 표형하기 위하여 표면에 색상을 가지는 층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색상층의 경우 블록의 사용기간이 경과하는 경우 색상층과 기층부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기층부와 색상을 가지는 표층부를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그 제작이 어려워 가격대가 매우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블록 자체에 색소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하나의 재료로 제작되는 블록의 특성상 단일색으로만 제작되거나 단순한 색 혼합만으로 제작되고 있어 사용자의 니즈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본발명은 주재로 및 부재료를 각각 혼합한 다음. 이를 동시에 압출하는 것으로 블록의 색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재료와 부재료의 조성을 달리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블랜드효과를 가질 수 있는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블록을 형성하는 주재료를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하여 주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주재료에 사용되는 각 성분을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한 다음. 이를 혼합하여 블록제조용 몰탈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a)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5 ~ 40 중량부, 혼화재 0.1 ~ 2.0 중량부, 방수액 5~20중량부 및 무기질 충전재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주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0~10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1종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빗물과 대기중 화학성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 슬래그는 철광성 재조시 발생하는 슬래그를 분쇄한 것으로 상기 시멘트에 혼합되는 경우 시멘트의 잠재수경산 반응을 촉진하여 물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의 경우 건축물의 외장재 또는 도로 포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로슬래그는 포함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파손이 없을 뿐만 아니라 빗물과 대기중 화학성분에 의한 부식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로 슬래그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5~4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가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시멘트의 물성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4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시맨트의 물성은 높아지지만, 접착력이 떨어져 블록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혼화제는 시멘트의 특성을 개선시키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시멘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혼화제로는 감수제, 수축저감제, 급결제, 지연제, 촉진제 또는 활성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성화제로 리튬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화제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0.1~2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혼화제가 0.1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혼화제에 의한 물성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과도한 혼화제 사용으로 인하여 시멘트가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수액은 상기 시멘트를 이용하게 제조되는 블록이 방수성을 가지게 하도록 첨가된느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 혼합형 방수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액은 5~2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시멘트로 제작되는 블록의 방수성이 떨어질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물의 수화반응을 방해햐여 블록이 경화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질 충전제는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을 형성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황산바륨, 벤토나이트 및 규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0.1~1mm의 입도를 가지는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존에 콘크리트 등에 사용되는 모래보다는 작은 입도를 가지는 것으로 반발명의 경우 후술할 부재료와 혼합하여 압출하게 되므로 입더가 작은 모래를 사용하여 압출의 편의 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의 색상을 균일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모래의 입도가 0.1미만인 경우 분쇄된 모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필요하며, 1mm를 초과하는 입도를 가지는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 압출시 필요한 에너지의 양이 늘어남과 동시에 제작되는 블록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발색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 충전제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40~5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충전제가 4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사용되는 시멘트의 양이 늘어나 블록 제조비용이 늘어날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시멘트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제작되는 블록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재료가 주재료 혼합기에 투입된 이후 물을 공급하여 몰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은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0~100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이 20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제조되는 몰탈의 흐름성이 낮아져 압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압출이후 몰탈이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흐르게 되므로 원하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된다.
상기 부재료는 상기 주재료와 혼합되어 색상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경우 자연석의 질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자연석의 음영을 표현하는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재료는 각각의 색상에 따라 상이한 혼합기에 투입되어 몰탈(부재료 전구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후 색소와 혼합되어 각각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b)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재 0.1 ~ 2.0 중량부 탄산칼슘 10~30중량부, 산화티타늄 1~10중량부 및 방수액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10~5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상기 혼화제 및 상기 방수액은 상기 주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재료의 경우 주재료와는 달리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 부재료는 주재료에 비하여 빨리 풍화나 침식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블록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주재료와 부재료 사이의 마모정도를 달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경우 후술한 바와 같이 주재료와 부재료를 혼합하여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주재료와 부재료의 마모정도가 차이나는 경우 더욱 자연석과 유사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장기간 사용하는 것으로 표면에 매끄럽게되는 기존의 블록과는 다르게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탄산칼슘을 상기 부재료 전구체의 충진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충진재로서 사용되는 모래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충진재인 모래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채도가 낮아 상기 시멘트와 혼합되는 경우 색소의 발색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충진제로서 모래를 대신하여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으로 후술할 색소의 발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산칼슘은 상기 시맨트 100중량부 대비 10~30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이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시멘트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균일한 수화가 되기 어려우며, 3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부재료로 형성된 부분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타늄(TiO2)은 상기 탄산칼슘에 의한 흰색을 발색을 더욱 강조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재료 전구체가 백색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티타늄의 경우 자외선에 노출되면 촉매로서 작용하게되므로 상기 블록의 제조이후 양생과정을 촉진하여 빠른속도로 양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가 산화티타늄은 상기 시맨트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타늄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조되는 블록의 발색이 나빠질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응집이 발생하여 불량블록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재료를 혼합한 다음, 물을 공급하여 몰탈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때 공급되는 물의 양은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10~50중량부일 수 있다. 이는 주재료에 사용되는 물의 양보다 적게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요의 압출시 상기 주재료와의 혼합을 일정부분 막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압출과정에서 상기 부재료 혼합물이 상기 주재료 혼합물과 완전히 혼합되어 자연석을 모사하지 못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부재료 혼합물의 흐름성이 낮아져 압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재료 혼합물과 혼합되어 발색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부재료 전구체는 각각의 색소가 투입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부재료 전구체가 백색을 가져야 하는 경우 상기 산화티타늄을 추가로 투입하여 백색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검은색을 가져야 하는 경우 카본블랙을 투입하여 검은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붉은색, 녹색, 청색, 갈색, 황색 등의 색상이 필요한 경우 광물계 또는 석유계 염료를 투입하여 각각의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인체에 유해성을 나타내는 색소, 크롬과 같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색소 또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색소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색소는 부재료 전구체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소가 1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색소에 의한 발색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색소가 응집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부재료 저장통(100)에 공급하고, 1차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상기 부재료 전구체를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의 조합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자연석의 색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며, 미혼합된 부분을 남기는 것으로 자연석의 질감 특히 지층의 형상 또는 화성암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d) 단계는,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를 저장통의 접선방향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서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100)은 상기 부재료 전구체를 혼합함과 동시에 일정시간동안 저장하는 부분으로, 상기 각각의 부재료 전구체가 정해진 비율에 따라 측면에서 공급(120)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저장통 내부의 부재료 혼합물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혼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저장통 내부는 별다른 혼합수단 없이사각 호퍼형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는 인출(130)될 때까지 완전히 혼합되지는 않고 무작위적으로 일부 혼합되어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부재료 혼합물은 자연석의 질감중 방향성을 가지는 색상을 모사할 수 있다(도 2 참조).
일반적으로 자연석의 경우 화성암 또는 퇴적암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자연석은 방향성을 가지는 모양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퇴적암의 경우 지층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성암의 경우 지각내에서 압력을 받아 상기 압력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저장통을 이용하여 각각의 부재료 전구체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음으로서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는 무늬를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통은 사각 호퍼형의 저장통 본체; 상기 저장통 본체의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 및 상기 저장통 하부에 형성되는 부재료 혼합물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 본체(110)는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가 혼합되는 부분으로, 사각 호퍼형으로 제작되어 후술할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로부터 주입되는 부재료 전구체가 자연스럽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료 전구체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으므로, 상기 저장통 본체의 내부에는 아무런 구조물 없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120)는 상기 저장통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부재료를 사선방향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š 상기 주입부는 각 색상에 따라 적절한 양의 부재료 전구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량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주입량 조절수단은 인력에 의하여 조절되거나 전기적인 방법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부재료 전구체는 상기 저장통에 사선방향으로 주입됨에 따라 상기 저장통 내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저장통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통 내부의 부재료 전구체는 각각의 색상이 일종의 계면을 이룰 수 있으므로, 후술할 인출부를 통과할 때까지 불완전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130)는 상기 저장통 본체내에서 혼합된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부분으로, 깔대기형의 상부가 상기 저장통 본체와 접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통 내부의 부재료 혼합물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컨베이어를 따라 압출기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과 같기 부재료 혼합물은 각각의 컨베이어를 따라 후술할 압출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의 수분증발을 막기 위하여 덥개가 씌워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수분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된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은 가압 성형기(200)에 공급되어 압출될 수 있다. 기존의 블록 성형방법의 경우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에 재료혼합물을 주입한 다음, 이를 가압하여 성형하고 있지만, 이 경우 혼합된 원재료를 사용하게 되므로, 표면의 색상변화를 나타내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을 원료이송벨트(24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이를 혼합하지 않고 성형틀(210)에 주입하는 것으로 자연석의 색상변화를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f)단계는, 상기 주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 및 상기 부재료를 성형틀에 장입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상승시켜 이송벨트 상에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주재료 및 부재료를 상기 원료공급벨트(240)의 상부에 설치된 각각의 성형기 공급통(250)에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성형기가 작동하면 상기 성형기 공급통(250)에서 주재료 및 부재료가 상기 원료공급벨트(240) 상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원료공급벨트(240)에 일정한 양의 주재료 및 부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원료공급벨트(240) 상에 공급되는 주재료 및 부재료는 추가적인 혼합없이 성형틀(21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자연석의 불균일한 색상을 모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료공급벨트(2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주재료 및 부재료는 성형틀(2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성형틀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상부에서 상기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틀의 하단은 상기 이송벨트(22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급되는 원료는 상기 성형틀(210) 및 이송벨트(220)로 인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성형틀 내부로 일정한 양의 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원료이송벨트(240)의 속도를 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틀(210) 내로 공급된 원료는 가압수단(230)에 의하여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230)은 상기 성형틀(2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틀의 개방된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성형틀(@10) 내부의 원료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원료(주재료 및 부재료)는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가압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성형틀(210)을 상승시켜 제거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가압성형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성형틀을 상승시키면 상기 이송벨트(220)상에는 상기 가압성형된 성형체만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성형기는, 중앙에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가 장입되며,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이후 성형체와 분리될 수 있는 성형 틀; 상기 성형 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압되어 성형된 성형체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성형 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 틀의 내부에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성형틀의 상부로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원료공급 벨트의 상부에는 1~5개의 성형기 공급통이 설치되어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출에 의하여 제작된 성형체는 표면 가공과정을 거쳐 블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g) 단계는, 상기 전방압출구의 전방에 설치된 표면가공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되는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가공수단을 상기 성형체 10~30cm간격으로 교체하여 패턴형성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체은 상기 전방 압출구를 통하여 일정한 속도로 압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일정한 깊이로 긁어내는 경우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에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은 질감형성부(250) 및 표면가공 블레이드(260)를 이용하여 2단계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감형성부는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질감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다수개의 섬유(25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성형체가 상기 섬유를 통과함에 따라 표면에 일정한 질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4 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 질감형성부는 상기 성형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섬유(251)가 상기 성형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질감형성부를 구성하는 섬유(251)는 외측 프레임의 안쪽을 향하여 형성되며, 이는 상기 성형체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되는 프레임에서 상기 성형체 방향으로 다수개의 섬유가 돌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성형체는 상기 질감형성부를 통과하며 표면에 상기 섬유에 의한 잔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석의 표면 질감을 모사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블록의 표면에 자연석과 유사한 질감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질감형성부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 섬유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섬유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다수개의 점무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섬유에 의하여 선형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점을 표현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된 섬유와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섬유를 동시에 사용하여 자연석의 질감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면가공 블레이드(260)는 블레이드형 구조물(261)을 이용하여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긁어 가공하는 것으로 상기 질감형성부와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표면가공 블레이드는 상기 질감형성부와 상기 전방압출구 사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전방압출구 및 상기 질감형성부의 이후에 설치되러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 참조).
이때 상기 표면가공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모양을 모사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이동수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블레이드 이동수단은 상기 블레이드를 불규칙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생성되는 무늬 깊이를 무작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무늬가 더욱 불규칙하도록 다수개의 블래이드 날; 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날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1~3개의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블레이드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는 1개 이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표면가공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체의 4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체의 4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도 5 참조), 또한 상기 4개의 표면가공 블레이드는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불규칙한 무늬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블록의 경우 일면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 시공면만을 가공하여 블록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블록은 양생 및 건조되어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저장통
110 : 자장통 본체
120 :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
130 : 인출부
200 : 성형기
210 : 성형틀
220 : 이송벨트
230 : 가압수단
240 : 원료공급벨트
250 : 성형기 공급통
251 : 섬유
260 : 표면가공 블레이드
261 : 블레이드 날

Claims (2)

  1. (a) 블록을 형성하는 주재료를 주재료용 혼합기에 투입하여 주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블록의 색상을 나타낼 다수의 부재료를 각각 서로 다른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투입하여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소를 투입하여, 상기 부재료용 다수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에 서로 다른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부재료 전구체를 부재료 저장통에 공급하고, 1차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1차 혼합된 부재료 혼합물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여 서로 다른 성형기 공급통에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서로 다른 분할된 성형기공급통에 투입된 상기 주재료 혼합물 및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로 투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성형체의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성형체를 양생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5 ~ 40중량부, 혼화재 0.1 ~ 2.0중량부, 방수액 5~20중량부 및 무기질 충전재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주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20~10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질 충전재는 황산바륨, 벤토나이트 및 규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재 0.1 ~ 2.0중량부, 탄산칼슘 10~30중량부, 산화티타늄 1~10중량부 및 방수액 5~20중량부를 혼합하여 부재료 혼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재료 혼합기에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 대비 10~50중량부의 물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부재료 혼합기 내 부재료 전구체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의 색소를 투입하는 단계이며,
    상기 색소는 광물계 또는 석유계 염료이며,
    상기 (d)단계는,
    상기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부재료 전구체를 저장통으로 각각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통의 하부에서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료 전구체를 완전히 혼합하지 않는 것으로 자연석의 형상을 모사하는 단계이며.
    상기 저장통은,
    사각 호퍼형의 저장통 본체;
    상기 저장통 본체의 상부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부재료 전구체 주입부; 및
    상기 저장통 하부에 형성되는 부재료 혼합물 인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기 공급통은 사각형의 호퍼형으로 제조되며,
    상기 (f) 단계는,
    상기 주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부재료 혼합물을 성형기의 원료공급벨트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주재료 및 상기 부재료를 성형틀에 장입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틀을 상승시켜 이송벨트 상에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기는,
    중앙에 상기 주재료 및 부재료가 장입되며,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이후 성형체와 분리될 수 있는 성형 틀;
    상기 성형 틀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압되어 성형된 성형체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성형 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성형 틀의 내부에 주재료 및 부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성형틀의 상부로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벨트;
    를 포함하되,
    상기 원료공급 벨트의 상부에는 1~5개의 성형기 공급통이 설치되어 주재료 및 부재료를 공급하며,
    상기 (g) 단계는,
    표면가공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 성형된 성형체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가공수단을 상기 성형체 10~30cm간격으로 교체하여 패턴형성을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가공수단은,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질감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로 구성된 질감형성부;
    상기 질감 형성부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성형체의 길이방향과 30~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표면가공 블레이드;및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이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질감 형성부는 상기 성형체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섬유가 상기 성형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성형체의 사면에 일정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개의 블래이드 날;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날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성형체의 표면에 1~3개의 블레이드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블레이드 압박부;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혼합색상을 가지는 블록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20012047A 2021-06-24 2022-01-27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KR10240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047A KR102403796B1 (ko) 2021-06-24 2022-01-27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663A KR102378214B1 (ko) 2021-06-24 2021-06-24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KR1020220012047A KR102403796B1 (ko) 2021-06-24 2022-01-27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63A Division KR102378214B1 (ko) 2021-06-24 2021-06-24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796B1 true KR102403796B1 (ko) 2022-06-02

Family

ID=809973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63A KR102378214B1 (ko) 2021-06-24 2021-06-24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KR1020220012047A KR102403796B1 (ko) 2021-06-24 2022-01-27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663A KR102378214B1 (ko) 2021-06-24 2021-06-24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8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741B1 (ko) * 2022-11-21 2023-04-26 한창환 색(色) 시멘트를 이용한 연탄모형 실내 장식품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155B1 (ko) 1998-10-14 2001-12-12 황익현 자연석표면층을갖는다공성시멘트블록제조방법
KR100824081B1 (ko) * 2007-01-22 2008-04-21 주식회사 이노블록 내츄럴 컬러를 갖는 블록제조방법
KR101018664B1 (ko) 2008-12-23 2011-03-04 김종철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20150062711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컬러 블록 제조 장치 및 콘크리트 혼합물 분산 장치
KR20170131983A (ko) * 2016-05-23 2017-12-01 권화숙 3단블록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단블록
KR101853692B1 (ko) * 2017-07-13 2018-05-02 임주혁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475B1 (ko) * 2004-12-15 2007-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리석 무늬를 갖는 아크릴계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0804731B1 (ko) * 2006-11-21 2008-02-19 김명자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용기 제조방법
KR102247775B1 (ko) * 2020-06-26 2021-05-06 주식회사 한별 친환경 축광 칼라골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축광 칼라골재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155B1 (ko) 1998-10-14 2001-12-12 황익현 자연석표면층을갖는다공성시멘트블록제조방법
KR100824081B1 (ko) * 2007-01-22 2008-04-21 주식회사 이노블록 내츄럴 컬러를 갖는 블록제조방법
KR101018664B1 (ko) 2008-12-23 2011-03-04 김종철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20150062711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컬러 블록 제조 장치 및 콘크리트 혼합물 분산 장치
KR20170131983A (ko) * 2016-05-23 2017-12-01 권화숙 3단블록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단블록
KR101853692B1 (ko) * 2017-07-13 2018-05-02 임주혁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컬러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741B1 (ko) * 2022-11-21 2023-04-26 한창환 색(色) 시멘트를 이용한 연탄모형 실내 장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214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4164A1 (en) Stratified and agglomerated artificial stone article
CN1765813B (zh) 一种高强度彩色石质水泥瓦及其生产方法与设备
KR100954759B1 (ko) 전면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면 투수블록
KR102403796B1 (ko) 혼합 색상을 갖는 블록제조방법
CN101439953A (zh) 一种具有透水功能的凝石路面砖及其制备方法
CN101941233B (zh) 一种仿木纹图案之人造石的制备方法及人造石
CA2483032A1 (en) Process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ncrete products having blended colors
KR100824081B1 (ko) 내츄럴 컬러를 갖는 블록제조방법
CN108793852A (zh) 一种矿钢渣生态透水路面砖生产工艺
CN108274609A (zh) 一种石材台面全自动生产线
CN101343854A (zh) 一种彩色透水砼地坪表面的施工方法
CN102950955A (zh) 含色粉料或色浆料随机分布形成图案的石英石及制作方法
CN108178613B (zh) 复合色仿石产品、制备方法及其制备系统
WO2003050057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dalles de pierre de decoration anthropiques
CN102213030A (zh) 一种手工水泥花砖
KR100493247B1 (ko) 1종 재생골재를 이용한 칼라 투수, 비투수 콘크리트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7571377A (zh) 一种轻质复合板材的制备方法
CN1215935C (zh) 合成石预制纹理工艺
CN1188261C (zh) 建筑装修用人造石材制造方法
CN113047107A (zh) 一种uhpc仿石建材结构
CN112720820A (zh) 一种人造流水纹装饰板材制作方法
KR20000053838A (ko) 패각(貝殼)벽돌
KR100621409B1 (ko) 버력을 이용한 토목자재의 제조방법
CN218812956U (zh) 一种uhpc仿石建材结构
CN110644712A (zh) 装饰墙体砖及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