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92B1 -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92B1
KR101852592B1 KR1020160092595A KR20160092595A KR101852592B1 KR 101852592 B1 KR101852592 B1 KR 101852592B1 KR 1020160092595 A KR1020160092595 A KR 1020160092595A KR 20160092595 A KR20160092595 A KR 20160092595A KR 101852592 B1 KR101852592 B1 KR 10185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ngine
intake
intake por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466A (ko
Inventor
박정민
은팔곤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92B1/ko
Priority to JP2017141301A priority patent/JP6452767B2/ja
Priority to US15/655,896 priority patent/US20180023525A1/en
Priority to CN201710599878.5A priority patent/CN107642416B/zh
Publication of KR2018001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5Marine vessels; Ships;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B63B275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8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69Throttle closing springs; Acting of throttle closing springs on the thrott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흡기밸브, 일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선박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연결되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커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개방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작아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폐쇄되게 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선박 엔진의 작동여부에 따라 흡기구 내 부압발생 여부가 달리짐을 통해, 선박 엔진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부압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는 밸브구동부가 흡기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선박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부압의 발생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밸브구동부가 흡기밸브를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흡기구를 통한 선박 엔진으로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Seawater inflow preventing device of marine engine}
본 발명은 선박의 운행 중 엔진의 공기흡입구나 배기구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디젤엔진은 연소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In-manifold)와 연소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Ex-manifold)를 구비한다.
그리고, 대형 선박의 경우 별도의 엔진룸(Engine room)에 엔진을 수용하며, 선외기 엔진의 경우 별도의 엔진룸이 없이 선박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선박의 엔진룸으로 해수가 유입되어 흡기구로 해수가 유입되거나 선박이 전복될 경우 흡기구 및 배기구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면서 엔진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기구나 흡기구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배기구나 흡기구의 위치를 일정높이 이상으로 배치되게 하거나 배기구나 흡기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해수가 엔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으나, 안정적인 배기 및 흡기가 어려움과 더불어 선박에 설치시 다른 설비와의 간섭으로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천적으로 선박의 전복에 따른 선박으로의 해수 유입시 엔진 내부로의 해수유입을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의 선박용 엔진의 배기관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9855호(1999.3.3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선박 엔진으로 흡기구나 배기구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흡기밸브, 일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선박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연결되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커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개방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작아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폐쇄되게 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흡기밸브, 상기 엔진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시키는 배기밸브, 상기 엔진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세감지센서,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와 상기 자세감지센서 및 상기 엔진과 연결되며, 상기 엔진의 구동시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가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게 하며, 상기 자세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엔진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엔진을 정지시킨 후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가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폐쇄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선박 엔진의 작동여부에 따라 흡기구 내 부압발생 여부가 달리짐을 통해, 선박 엔진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부압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는 밸브구동부가 흡기밸브를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선박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부압의 발생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밸브구동부가 흡기밸브를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흡기구를 통한 선박 엔진으로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흡기밸브(100), 밸브구동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기밸브(100)는 선박 엔진(10)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11)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11)를 개폐시키는 밸브이다. 이러한, 상기 흡기밸브(100)는 이후 설명될 밸브구동부(110)와 연결되어, 밸브구동부(1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흡기구(11)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11)를 개방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흡기구(11)를 폐쇄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되게 한다.
상기 밸브구동부(110)는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100)를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11)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게 한다. 즉, 상기 밸브구동부(110)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으로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이 설정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흡기밸브(100)가 상기 흡기구(11)를 개방시켜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상기 선박 엔진(10)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구동부(110)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이 중지되면서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이 설정압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상기 흡기밸브(100)가 상기 흡기구(11)를 폐쇄시켜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상기 선박 엔진(10)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밸브구동부(110)의 일측은 상기 흡기밸브(100)와 상기 선박 엔진(1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구(11)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기구(11) 내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며, 상기 밸브구동부(110)의 타측은 상기 흡기밸브(100)와 연결되어 상기 흡기구(11) 내 압력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1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구동부(110)는 구동몸체(111), 이동판(114), 구동연결대(11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몸체(111)는 내측에 공간부가 마련된 통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구동몸체(111)는 상기 흡기구(11)와 연결되어, 상기 흡기구(11)로부터 상기 흡기구(11) 내 압력을 전달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몸체(1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몸체(110) 내 공간부를 상기 흡기구(11)와 연결되게 하는 연결관(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몸체(111) 내측에는 이동판(114)을 탄성 지지하도록 스프링부재(113)를 삽입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13)의 일단은 상기 구동몸체(111) 일측 내측면에 연결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부재(113)의 타단은 이동판(114)에 연결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113)는 상기 선박 엔진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흡기구(11)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판(114)을 밀면서 상기 흡기밸브(100)가 상기 흡기구(11)를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부재(113)의 장력보다 큰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이 발생할 경우에만 상기 이동판(114)이 상기 스프링부재(113)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흡기밸브(100)가 상기 흡기구(11)를 개방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 이동판(114)은 상기 구동몸체(111)의 공간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이동판(114)은 상기 구동몸체(111)에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몸체(111)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14)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113)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연결대(115)는 상기 이동판(114)의 이동력을 상기 흡기밸브(100)로 전달되게 하는 바 구조의 연결부재이다. 즉, 상기 구동연결대(115)는 상기 이동판(114)의 이동에 대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흡기밸브(10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흡기구(11)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연결대(115)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이동판(114)의 타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연결대(115)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흡기밸브(100)에 연결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여부에 따른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 발생여부를 통해 상기 밸브구동부(110)가 상기 흡기밸브(100)를 구동되게 함에 있어, 상기 선박 내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해수가 유입될 경우에 상기 선박 엔진(10)을 정지시키는 해수감지센서(120)나 상기 선박 엔진(1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선박 엔진(10)을 정지시키는 자세감지센서(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해수감지센서(120)는 상기 선박 엔진(10)과 연결상태로 상기 선박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자세감지센서(130)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기울어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박 엔진(10)의 일측에 연결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자세감지센서(130)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선박이 전복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선박 엔진(10)을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의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상기 흡기구(11)에만 흡기밸브(100)를 설치한 후, 상기 밸브구동부(110)를 통해 상기 흡기밸브(10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배기구(12)에 상기 배기구(12)를 개폐하도록 별도의 배기밸브(도면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밸브도 상기 밸브구동부(110)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밸브(100)에 의한 상기 흡기구(11)의 폐쇄시, 상기 배기밸브에 의한 상기 배기구(12)의 폐쇄도 이루어지게 하면서, 상기 배기구(12)를 통한 해수의 유입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박 엔진(10)이 작동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이 상기 밸브구동부(110)의 스프링부재(113)의 장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밸브구동부(110)의 이동판(114)이 상기 스프링부재(113)를 압축시키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연결대(115)가 상기 흡기밸브(100)를 당기면서 상기 흡기구(11)를 개방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흡기구(11)를 통한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 즉, 선박의 시동 스위치(도면미도시)를 통해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상기 엔진(1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해수감지센서(120)의 상기 선박 내 일정량 이상의 해수감지 또는 상기 자세감지센서(130)의 상기 선박 엔진(10) 기울어짐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흡기구(11) 내부 부압이 낮아진 후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부재(113)의 장력이 상기 흡기구(11) 내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서 상기 밸브구동부(110)의 이동판(114)은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이동판(114)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럼, 상기 구동연결대(115)가 상기 흡기밸브(100)를 밀면서 상기 흡기구(11)를 폐쇄상태로 유지시켜, 상기 흡기구(11)를 통한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공기 공급이나 해수의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흡기구(11) 내 부압발생 여부가 달리짐을 통해,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부압이 발생하는 조건에서는 상기 밸브구동부(110)가 상기 흡기밸브(100)를 개방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선박 엔진(10)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부압의 발생이 제거된 조건에서는 상기 밸브구동부(110)가 상기 흡기밸브(100)를 밀폐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11)를 통한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흡기밸브(200), 배기밸브(210), 자세감지센서(220),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기밸브(200)는 선박 엔진(20)의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구(21)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21)를 개폐시키는 밸브이다. 이러한, 상기 흡기밸브(20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230)와 연결되어, 제어부(230)에서 전달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흡기구(21)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21)를 개방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20)으로의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흡기구(21)를 폐쇄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20)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되게 한다.
상기 배기밸브(210)는 선박 엔진(2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22)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22)를 개폐시키는 밸브이다. 이러한, 상기 배기밸브(21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230)와 연결되어, 제어부(230)에서 전달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구(22)를 개방 또는 폐쇄상태가 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21)를 개방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20)으로의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흡기구(21)를 폐쇄시에는 상기 선박 엔진(20)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흡기구(11)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밸브(200) 및 상기 배기밸브(21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23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흡기구(210) 및 상기 배기구(22)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세감지센서(220)는 상기 선박 엔진(20)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자세감지센서(220)는 상기 선박 엔진(20)에 설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제어부(230)와 연결되어, 상기 선박 엔진(20)의 기울어짐 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230)로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선박 엔진(20)의 구동 여부와 상기 자세감지센서(220)에서 감지된 상기 선박 엔진(20)의 기울어짐 각도 수치에 따라 상기 흡기밸브(200) 및 상기 배기밸브(2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흡기밸브(200)와 상기 배기밸브(210)와 상기 자세감지센서(220) 및 상기 선박 엔진(20)과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선박 엔진(20)의 구동시, 즉 상기 선박 엔진(20)의 시동스위치를 온(On) 시키면 상기 흡기밸브(200)는 상기 흡기구(21)을 개방되게 하며, 상기 배기밸브(210)는 상기 배기구(22)를 개방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자세감지센서(220)에서 감지된 상기 선박 엔진(2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짐 각도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흡기밸브(200)는 상기 흡기구(21)를 폐쇄시키고, 상기 배기밸브(210)는 상기 배기구(22)를 폐쇄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자세감지센서(2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흡기구(21)와 상기 배기구(22)를 폐쇄되도록 상기 흡기밸브(200)와 상기 배기밸브(210)의 작동을 제어할 때, 상기 선박 엔진(20)도 작동이 정지되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의 작동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박 엔진(10)이 작동하는 상태, 즉 상기 선박 엔진(10)의 시동스위치가 온상태가 되게 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흡기밸브(200)에 의한 상기 흡기구(21)의 개방상태를 유지되게 하고, 상기 배기밸브(210)에 의한 상기 배기구(22)의 개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흡기구(21)를 통한 상기 선박 엔진(10)으로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선박 엔진(20)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구(22)를 통해 상기 선반 엔진(20)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선박이 운행 중 설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즉 상기 선박의 전복시, 상기 자세감지센서(220)는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하여, 상기 흡기밸브(200)와 상기 배기밸브(2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흡기밸브(200)에 의한 상기 흡기구(21)의 폐쇄 및 상기 배기밸브(210)에 의한 상기 배기구(22)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상기 흡기구(21)를 통한 공기의 공급 및 해수의 유입 차단 및 상기 배기구(22)를 통한 해수의 유입도 차단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선박 엔진(20)도 작동을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는, 상기 자세감지센서(220)의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230)가 상기 흡기밸브(200) 및 상기 배기밸브(210)로서 상기 흡기구(21) 및 상기 배기구(22)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선박이 설정 각도보다 크게 기울어질 경우 상기 자세감지센서(220)에서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된 신호는 상기 흡기밸브(200) 및 상기 배기밸브(210)가 상기 흡기구(21) 및 상기 배기구(22)를 폐쇄되게 함으로써, 상기 선박의 전복시 상기 흡기구(21) 및 상기 배기구(22)를 통한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0: 선박 엔진 11,21: 흡기구
12,22: 배기구 100,200: 흡기밸브
110: 밸브구동부 111: 구동몸체
112: 연결관 113: 스프링부재
114: 이동판 115: 구동연결대
120: 해수감지센서 130,220: 자세감지센서
210: 배기밸브 230: 제어부

Claims (6)

  1. 선박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흡기밸브와;
    일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선박 엔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흡기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흡기밸브와 연결되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커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개방되게 하고, 상기 흡기구 내 부압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장력보다 작아지면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폐쇄되게 하는 밸브구동부; 및
    상기 엔진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선박이 전복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엔진을 정지시켜 상기 흡기구 내 부압발생을 차단되게 하면서, 상기 흡기밸브가 상기 흡기구를 폐쇄시킨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자세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부는,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통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흡기구와 상기 공간부를 연결되게 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삽입 구비된 구동몸체와,
    상기 구동몸체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이동판, 및
    일단은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기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흡기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흡기구를 개폐되게 하는 구동연결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는 상기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선박 내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해수 유입시, 상기 엔진을 정지시켜 상기 흡기구 내 부압발생을 차단시키는 해수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4. 삭제
  5. 선박 엔진의 흡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개폐시키는 흡기밸브와;
    상기 엔진의 배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시키는 배기밸브와;
    상기 엔진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세감지센서; 및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와 상기 자세감지센서 및 상기 엔진과 연결되게 설치하며, 상기 엔진의 구동시에는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가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게 하며, 상기 자세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엔진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선박이 전복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엔진을 정지시킨 후 상기 흡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가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폐쇄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 인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KR1020160092595A 2016-07-21 2016-07-21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KR10185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95A KR101852592B1 (ko) 2016-07-21 2016-07-21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JP2017141301A JP6452767B2 (ja) 2016-07-21 2017-07-20 海上用エンジンの海水流入防止装置
US15/655,896 US20180023525A1 (en) 2016-07-21 2017-07-21 Sea water inflow prevention device for a marine engine
CN201710599878.5A CN107642416B (zh) 2016-07-21 2017-07-21 用于船用发动机的防止海水流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95A KR101852592B1 (ko) 2016-07-21 2016-07-21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66A KR20180010466A (ko) 2018-01-31
KR101852592B1 true KR101852592B1 (ko) 2018-04-27

Family

ID=6098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595A KR101852592B1 (ko) 2016-07-21 2016-07-21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23525A1 (ko)
JP (1) JP6452767B2 (ko)
KR (1) KR101852592B1 (ko)
CN (1) CN1076424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4508A (zh) * 2021-10-28 2022-01-28 深圳华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控制洗地机的方法、装置、控制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473A (ja) * 2005-10-31 2007-05-17 Suzuki Motor Corp 船外機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11185248A (ja) * 2010-03-11 2011-09-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330A (en) * 1916-05-19 1917-05-21 Scotts Shipbuilding And Eng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bmarine or Submersible Boats.
US3870008A (en) * 1973-11-21 1975-03-11 Edward D Wilkerson Engine ventilation of boat bilges
FR2261165A1 (en) * 1974-02-19 1975-09-12 Jacquemond Jean Marie Safety device to prevent tractor overturning - relay operates actuator to cut out fuel pump when U tube tilts
JPS5932638A (ja) * 1982-08-18 1984-02-22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トルク制御装置
DE3736777C1 (en) * 1987-10-30 1988-12-15 Daimler Benz Ag Device for avoiding the ingress of water into an air filter housing
JP2542175Y2 (ja) * 1991-09-20 1997-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通路閉鎖装置
JP3491287B2 (ja) * 1992-12-22 2004-01-26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船舶推進機の吸排気装置
DE10053149A1 (de) * 2000-10-26 2002-05-08 Mann & Hummel Filter Ansaugsystem
JP2004268796A (ja) * 2003-03-10 2004-09-30 Yamaha Marine Co Ltd 小型滑走艇
JP4424615B2 (ja) * 2005-09-28 2010-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燃料供給装置
NO329961B1 (no) * 2006-12-04 2011-01-31 Tool Tech As Anordning ved noytralgassanlegg pa en flytende farkost
JP5279678B2 (ja) * 2009-10-19 2013-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搬式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473A (ja) * 2005-10-31 2007-05-17 Suzuki Motor Corp 船外機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11185248A (ja) * 2010-03-11 2011-09-2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42416A (zh) 2018-01-30
CN107642416B (zh) 2019-12-27
KR20180010466A (ko) 2018-01-31
JP2018013128A (ja) 2018-01-25
US20180023525A1 (en) 2018-01-25
JP6452767B2 (ja)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494A (en) System for treating vaporized fue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63828A (en)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330338A1 (en) Vaporized fuel processing apparatus
JP2008518151A (ja) 燃料補給システム及び方法
EP2195521B1 (en) Fuel vapor separator
KR101852592B1 (ko) 선박용 엔진의 해수유입 방지장치
CN111094732B (zh) 燃料蒸发气体排放抑制装置
JP4432615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RU200010395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топлива
CN109519306A (zh) 用于进气系统的自禁用喷射器的系统和方法
US5381838A (en) Fuel inlet device for a fuel tank
JP2009103103A (ja) 水ジェット推進艇
JP5690156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4284702B2 (ja) ガス漏れ検出装置
US20210270213A1 (en) Leakage Diagnosis Device for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JP351822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4268796A (ja) 小型滑走艇
JP3250120B2 (ja) 車両用の燃料蒸気処理装置
JPH0740796Y2 (ja) バルブ付スチームトラップ
JPH10176674A (ja) ポンプ作業機
JP3007623U (ja) 配水管用吸排気弁
KR200173815Y1 (ko)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JPS5824056Y2 (ja) ガスの供給自動停止装置
JPH08232776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200421860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