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566B1 -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566B1
KR101847566B1 KR1020170111147A KR20170111147A KR101847566B1 KR 101847566 B1 KR101847566 B1 KR 101847566B1 KR 1020170111147 A KR1020170111147 A KR 1020170111147A KR 20170111147 A KR20170111147 A KR 20170111147A KR 101847566 B1 KR101847566 B1 KR 10184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guide rail
rai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규
Original Assignee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중앙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일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타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위치되는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제2 가이드 레일 및 제3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A SUPPORT STRUCTURE FOR DEVIC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바디에 결합되고 지지됨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와 권상기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기계실에 설치하여야 하고, 구동부 설치를 위해 많은 공간 및 지지력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로 상부에는 로프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대용량의 권상기가 설치되어야 하고, 승강로의 일 측면에는 매우 큰 크기를 가지는 균형추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마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승강로의 상층부에 기계실에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각종 빔과 잔넬을 어쩔 수 없이 많이 설치해야만 한다.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시간 및 인력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종빔과 잔넬로 인해 기계실의 공간이 협소해지고, 갈수록 기계실은 소규모로 구현되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부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외부의 수평응력, 가압 및 진동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는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바디와,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중앙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일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타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위치되는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제2 가이드 레일 및 제3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바디는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기 위한 제3 결합홀이 형성된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홀이 형성된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보강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바디는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보강재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부 바디에 결합되는 제1 지지레일과, 상기 제1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1 보강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 지지레일과, 상기 제2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 보강레일을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제3 지지레일과, 상기 제3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3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3 보강레일을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제2 지지부 바디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양측에 결합된 제2 측부 보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 보강 지지부에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되기 위해 바닥면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 바디에는 기계실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 결합부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구동부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에 있어서, 제1 지지부 바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1000)는 제1 지지부 바디(1100), 제2 지지부 바디(1200),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가 장착된다. 또한,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중앙부에는 제1 가이드 레일(1300)이 결합되고,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양단부에는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은 각각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1 지지부 바디(1100)를 지지한다.
즉, 제1 가이드 레일(1300)은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중앙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제2 가이드 레일(1400)은 제1 지지부 바디의 일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제3 가이드 레일(1500)은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타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제2 지지부 바디(1200)는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에 결합되고,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 바디(1200)는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복수가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은 외부의 수평응력, 가압 및 진동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세부구성요소 및 이들의 유기적 결합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우선, 제1 지지부 바디(1100)는 도 4에 보다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10),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 보강 지지 플레이트(1150a, 1150b), 장착부재(1160) 및 보강재(도 2 및 도 3에 1170으로 도시함)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10)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의 효율적인 장착 및 지지를 위해 장착부재(11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부재(1160)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의 진동을 댐핑하기 위해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강재(117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10)와 제1 가이드 레일(130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300)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압력집중을 분산시키고, 보다 견고한 구조체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양단에는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가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는 보강재(1170)을 결합하기 위한 보강재 플레이트 결합홀(1111)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의 구동 와이어가 이동되기 위한 와이어 이동홀부(11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에는 제3 가이드 레일(1500)을 결합하기 위한 제3 결합홀(1121)이 형성되고,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에는 제2 가이드 레일(1400)을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홀(1131)이 형성된다.
즉,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110)를 지지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를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 사이인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에는 제1 가이드 레일(1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홀(114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홀(1141)은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홀(1141)은 보강재 플레이트 결합홀(1111)와 동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의 제1 측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은 각각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지지 플레이트(1150a, 115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 지지부 바디(1100)는 상부에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가 장착되고, 양측부에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이 결합되고, 중앙부에 제1 가이드 레일(1300)이 결합된다.
또한, 제1 지지부 바디(1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0)의 양측의 하부를 각각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가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중심부의 하부를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와 보강 지지 플레이트(1150a, 1150b)가 지지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보다 견고한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제2 지지부 바디(1200)는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을 결합시키고, 기계실의 바닥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 바디(12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레일(1300)가 결합되기 위한 제1 지지부 결합부(1210)와, 제2 가이드 레일(1400)가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부 결합부(1220)와, 제3 가이드 레일(1500)가 결합되기 위한 제3 지지부 결합부(1230)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지지부 바디(1200)는 기계실의 바닥면(도 5에 3000으로 도시함)에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양측에 결합되는 제2 측부 보강 지지부(1240a, 1240b)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측부 보강 지지부(1240a, 1240b)에는 각각 기계실의 바닥면(3000)에 결합되기 위해 바닥면 결합부(1241a, 1241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측부 보강 지지부(1240a, 1240b)에는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부 바디 결합부(1242a, 1242b)가 각각 형성되고, 제2 지지부 바디(1200)에는 제2 지지부 바디 결합부(1242b, 1242b)에 대응되는 제2 측부 보강 지지부 결합부(126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지지부 바디(1200)에는 기계실의 벽면(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 결합부(127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가이드 레일(1300)는 제1 지지레일(1310),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20) 및 제1 보강레일(1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지지레일(1310)은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0)를 지지하면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1140)와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20)는 제1 지지레일(131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미도시)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보강레일(1330)은 제1 지지레일(1310)에 결합되어 제1 가이드 레일(1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된다.
즉, 제1 지지레일(1310)의 일면에는 제1 보강레일(1330)이 결합되고, 제1 지지레일(1310)의 타면에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20)가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레일(1300)는 전체적으로 "T"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보강레일(1330)은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되거나 제1 지지레일(1310)과 결합고정되기 위한 제1 결합부(133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보강레일(1330)에는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133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 가이드 레일(1400)는 제2 지지레일(1410),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20) 및 제2 보강레일(1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지지레일(1410)은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0)를 지지하면서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30)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20)는 제2 지지레일(141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미도시)를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보강레일(1430)은 제2 지지레일(1410)에 결합되어 제2 가이드 레일(14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된다.
즉, 제2 지지레일(1410)의 일면에는 제2 보강레일(1430)이 결합되고, 제2 지지레일(1410)의 타면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20)가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레일(1400)는 전체적으로 "T"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보강레일(1430)에는 제2 지지부 바디(1200)가 결합되기 위한 제2 지지부 바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3 가이드 레일(1500)는 제3 지지레일(1510), 제3 가이드 플레이트(1520) 및 제3 보강레일(15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지지레일(1510)은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0)를 지지하면서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1120)에 결합된다.
또한, 제3 가이드 플레이트(1520)는 제3 지지레일(151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미도시)를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3 보강레일(1530)은 제3 지지레일(1510)에 결합되어 제3 가이드 레일(15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2 지지부 바디(1200)에 결합된다.
즉, 제3 지지레일(1510)의 일면에는 제3 보강레일(1530)이 결합되고, 제3 지지레일(1510)의 타면에는 제5 가이드 플레이트(1520)가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레일(1300)는 전체적으로 "T"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 보강레일(1530)에는 제2 지지부 바디(1200)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1531)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는 는 제1 지지부 바디(1100), 제2 지지부 바디(1200), 제1 가이드 레일(1300), 제2 가이드 레일(1400) 및 제3 가이드 레일(1500)과 이들의 세부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결합부에 삽입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1000)의 제1 지지부 바디(1100)에는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가 장착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는 제1 지지부 바디(1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0)에 장착된 장착부재(1160)에 결합고정된다.
또한, 기계실의 바닥면(3000)에는 제2 지지부 바디(1200)가 결합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구동부(2000)가 장착된 1 지지부 바디(1100)는 바닥면(3000)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 바디(1200)는 바닥면(3000)에 결합되기 위해 바닥면 결합부(1250)에 고정볼트를 삽입시키고 바닥면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 바디(1200)의 벽면 결합부(1260)를 통해 기계실의 벽면(미도시)에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1000)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1000)는 기계실 바닥면(3000)에 장착되어,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견고하여 안정적인 지지 구조체로 구현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1100: 지지부 바디
1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1: 보강재 플레이트 결합홀
1112: 와이어 이동홀부 1120: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
1121: 제3 결합홀 1130: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
1131: 제2 결합홀 1140: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
1141: 제1 결합홀 1160: 장착부재
1170: 보강재 1200: 제2 지지부 바디
1210: 제1 지지부 결합부 1220: 제2 지지부 결합부
1230: 제3 지지부 결합부 1250: 결합부
1260: 결합부 1270: 벽면 결합부
1300: 제1 가이드 레일 1310: 제1 지지레일
1320: 제1 가이드 플레이트 1330: 제1 보강레일
1331: 제1 결합부 1332: 제2 결합부
1400: 제2 가이드 레일 1410: 지지레일
1420: 제2 가이드 플레이트 1430: 제2 보강레일
1500: 제3 가이드 레일 1510: 제3 지지레일
1520: 가이드 플레이트 1530: 제3 보강레일
2000: 엘리베이터 구동부 3000: 바닥면
1150a, 1150b: 보강 지지 플레이트
1240a, 1240b: 제2 측부 보강 지지부
1241a, 1241b: 바닥면 결합부
1242a, 1242b: 제2 지지부 바디 결합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바디;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중앙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일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지지부 바디의 타측부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지지부 바디를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위치되는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제2 가이드 레일 및 제3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바디는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3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기 위한 제3 결합홀이 형성된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홀이 형성된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와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 사이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보강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바디는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부가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구동부를 지지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보강재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보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부 바디에 결합되는 제1 지지레일과,
    상기 제1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1 보강레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타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 지지레일과,
    상기 제2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 보강레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일측 측부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제3 지지레일과,
    상기 제3 지지레일의 일면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가능하도록 접촉지지하는 제3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레일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3 보강레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 바디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양측에 결합된 제2 측부 보강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부 보강 지지부에는 상기 기계실의 바닥면에 결합되기 위해 바닥면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 바디에는 기계실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 결합부가 형성된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KR1020170111147A 2017-08-31 2017-08-31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KR10184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47A KR101847566B1 (ko) 2017-08-31 2017-08-31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47A KR101847566B1 (ko) 2017-08-31 2017-08-31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566B1 true KR101847566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47A KR101847566B1 (ko) 2017-08-31 2017-08-31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0412A (zh) * 2018-08-10 2019-09-1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叠加式别墅
KR102281772B1 (ko) * 2021-03-26 2021-07-26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내진대책과 진동방지 엘리베이터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2521A1 (fr) * 1999-12-16 2001-06-22 Otis Elevator Co Ensemble de charpente de support de machine d'ascenseur monte sur le mur de la cage d'ascenseur et systeme d'ascenseur correspondant
WO2001074704A1 (en) * 2000-04-01 2001-10-11 Hyundai Elevator Co., Ltd.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at a roofto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2521A1 (fr) * 1999-12-16 2001-06-22 Otis Elevator Co Ensemble de charpente de support de machine d'ascenseur monte sur le mur de la cage d'ascenseur et systeme d'ascenseur correspondant
WO2001074704A1 (en) * 2000-04-01 2001-10-11 Hyundai Elevator Co., Ltd.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at a roofto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0412A (zh) * 2018-08-10 2019-09-13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叠加式别墅
KR102281772B1 (ko) * 2021-03-26 2021-07-26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내진대책과 진동방지 엘리베이터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3888B (zh) 电梯设备
KR101847566B1 (ko) 엘리베이터 구동부 지지 구조체
CN201161861Y (zh) 电梯轿底下梁组件
CN212201356U (zh) 一种升降式卸料平台
JP3502270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4177466U (zh) 电动轮自卸车称重装置
CN210001391U (zh) 无机房电梯立式曳引机底座
CN113460834A (zh) 一种无机房主机布置结构
CN210944400U (zh) 一种免支架的防脱电梯导轨组件
CN212387533U (zh) 一种施工电梯用减震结构
CN108163682A (zh) 轿底结构及电梯
CN210029667U (zh) 一种电梯机房布置结构
KR100860935B1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195308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CN216549127U (zh) 一种无机房主机布置结构
KR10051433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215558196U (zh) 一种无机房主机安装用搁机大梁结构
CN216109918U (zh) 一种桁架用承重装置
CN218344930U (zh) 一种轿厢式电梯机架组件
CN212740306U (zh) 一种电梯有机房绳头结构
CN217835477U (zh) 一种车载液压提升机构
CN217676230U (zh) 一种架梁平台式机房结构
CN204897100U (zh) 一种无机房轿厢绳头座
CN220223166U (zh) 一种电梯主机安装结构
CN217102606U (zh) 曳引机梁组件和配备有该曳引机梁组件的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