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046B1 - 뱅어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뱅어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46B1
KR101847046B1 KR1020160135223A KR20160135223A KR101847046B1 KR 101847046 B1 KR101847046 B1 KR 101847046B1 KR 1020160135223 A KR1020160135223 A KR 1020160135223A KR 20160135223 A KR20160135223 A KR 20160135223A KR 101847046 B1 KR101847046 B1 KR 10184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eeding
feeding device
plat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헌
임옥민
황가혜
Original Assignee
이도헌
황가혜
이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헌, 황가혜, 이건일 filed Critical 이도헌
Priority to KR102016013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25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215/001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는, 제1이송롤러가 설치되는 이송테이블;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이송롤러에 발을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제2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재료를 섞은 후에 제1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발에 재료를 공급하는 제3공급장치; 제3공급장치의 하부에서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발에 공급된 재료를 안착시키는 진공흡입장치; 및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재료가 안착된 발이 적층되는 적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뱅어포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ied slices of seasoned whitebait}
개시된 내용은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뱅어포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뱅어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뱅어포는 괴도라치의 잔 새끼를 여러 마리 붙여 일정한 크기의 납작한 조각을 지어 만든 포를 말한다.
포의 재료 중에서 뱅어는 생후 만 1년에 7∼10cm 정도로 자라 성숙하며 산란 후에 죽는다. 뱅어는 수분이 많은 어류이나 곡류나 서류, 채소, 해조류 등 식물성 식품소재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월등히 높고 칼슘 등 유용한 미네랄 함량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지방 함량도 비교적 낮은 편이며, 뼈채로 먹을 수 있어 양질의 칼슘급원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또 살이 연하고 맛이 담백하여 회로도 먹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뱅어포는 실치를 주원료로 하여 얇게 말려낸 것으로, 칼슘이 풍부하고 씹히는 맛이 있어 식탁에서 널리 애용되는 식료품이다.
이러한 종래의 뱅어포 제조방법은, 실치를 물과 함께 성형틀에 넣고 얇은 두께로 성형한 다음, 물에서 건져내어 건조된 것을 수거하는 전통적인 수작업 방법에 의존하였다.
이렇게 종래의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된 뱅어포는, 칼로리가 높고, 칼슘, 인, 니아신(Niachin), 핵산, 타우린(Taurine), 고도불포화 지방산, DHA 등이 풍부한 것으로 뼈, 신장, 장기의 강화, 콜레스테롤 함량의 저하, 동맥경화 방지, 어린이 지능발달, 항암 효과 등 매우 다양한 영양소와 효과를 지녔기 때문에 반찬류, 안주류, 간식류, 건강식품 등으로 널리 취식되고 있다.
잔멸치나 새우보다 칼슘 함량이 많은 뱅어포는 맛도 좋고 값도 저렴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칼슘 공급식품 중 하나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46805호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뱅어포를 대량으로 생산함으로써 뱅어포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한 뱅어포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제1이송롤러가 설치되는 이송테이블;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이송롤러에 발을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제2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재료를 섞은 후에 제1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발에 재료를 공급하는 제3공급장치; 제3공급장치의 하부에서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발에 공급된 재료를 안착시키는 진공흡입장치; 및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재료가 안착된 발이 적층되는 적재장치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은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최소의 시간을 투입하여 뱅어포를 대량으로 생산함으로써 뱅어포 생산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한 동시에 유지보수가 쉽다.
그리고 정량의 뱅어를 발에 고르게 공급하여 뱅어포를 제조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뱅어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의 2중 슬라이딩 게이트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의 적재장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뱅어포 제조장치의 보조테이블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는 제1이송롤러(120)가 설치되는 이송테이블(100); 상기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롤러에 발(10)을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200); 상기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어 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300); 상기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공급장치(300)에서 공급된 재료를 섞은 후에 상기 제1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된 발(10)에 재료를 공급하는 제3공급장치(400); 상기 제3공급장치(400)의 하부에서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고 상기 발(10)에 공급된 재료를 안착시키는 진공흡입장치(500); 및 상기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어 상기 재료가 안착된 발(10)이 적층되는 적재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이송테이블(100)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1이송롤러(120)가 설치되는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제1공급장치(200), 제2공급장치(300), 제3공급장치(400), 진공흡입장치(500) 및 적재장치(600)가 결합된다. 제1이송롤러(120)에는 이송벨트(160)가 결합되고, 제1이송롤러(120)는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되는 이송모터(14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송테이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제1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발(10)은 이송테이블(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적재장치(600)에 모이게 된다.
이송테이블(100)을 기준으로 위쪽에 제3공급장치(400)가 위치하고, 제3공급장치(400) 위쪽에 제2공급장치(300)가 위치하며, 이송테이블(100)을 기준으로 아래쪽 즉, 제3공급장치(400) 하부에 진공흡입장치(500)가 위치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공급장치(200)는 재료가 안착되는 발(10)을 내부에 적재하고 있다가 제1이송롤러(1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이송테이블(100)의 길이방향 일측 상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적층된 발(10)을 제1이송롤러(120)에 하나씩 자유낙하시키는 방법으로 발(10)을 공급하게 된다.
제1공급장치(200)는 이송테이블(100)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공급롤러나 공급링크를 이용해 발(10)을 제1이송롤러(1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공급장치(300)는 이송테이블(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3공급장치(400)로 재료를 투입하는 부분이다. 뱅어와 물은 1:1의 비율로 혼합된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 뱅어와 물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제2공급장치(300)는, 재료를 제3공급장치(400)로 안내하는 피더(320); 피더(320)에 결합되어 재료를 분산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340); 및 피더(320)에 결합되어 소정의 공급량 조절을 위한 댐퍼(36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320)는 뱅어와 물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재료를 제3공급장치(400)로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뱅어와 물은 처음부터 혼합된 상태로 제3공급장치(400)로 투입되거나 따로 제3공급장치(400)로 투입될 수도 있다.
바이브레이터(340)는 뱅어가 뭉치셔 덩어리가 되지 않도록 진동을 일으키는 부분으로서, 뭉쳐진 뱅어를 분산시켜 재료가 제3공급장치(400)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바이브레이터(3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댐퍼(360)는 피더(320)의 아래쪽 부분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피더(320)에 힌지로 결합되는 개폐판(362) 및 피더(320)와 개폐판(362)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개폐판(362)에 소정의 부하가 걸리면 힌지를 기준으로 개폐판(362)이 회전하면서 재료를 제3공급장치(400)로 공급하게 된다.
즉, 개폐판(362)에 쌓이는 재료는 개폐판(362)을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개폐판(362)을 밀게 되는 재료의 압력이 탄성체가 가지고 있는 소정의 탄성력을 넘어서면 결국 개폐판(362)이 열리면서 재료가 제3공급장치(400)로 공급되는 것이다.
탄성체는 압축코일 스프링 (helical compressive spring), 인장코일 스프링(helical extension spring), 비틀림코일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 등 다양한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제3공급장치(400)는 제2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급된 재료를 혼합한 후에 제1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발(10)에 재료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제3공급장치(400)는 제2공급장치(300)에서 공급된 재료가 수용되는 혼합박스(420); 혼합박스(420)에 수용된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기(440); 및 제1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된 발(10)에 상기 재료를 낙하시키는 2중 슬라이딩 게이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급장치(200)에서 혼합박스(420)로 공급되는 재료는 교반기(440)에 의해 섞이게 된다. 교반기(440)는 혼합박스(420)에 결합되는 혼합모터(442) 및 혼합모터(442)에 의해 구동되는 2중 회전날(444)을 포함한다. 2중 회전날(444)은 제1회전날(445)과 제1회전날(445) 아래에 위치하는 제2회전날(445)을 포함한다. 2중 회전날(444)은 물과 뱅어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2중 슬라이딩 게이트(460)는 혼합박스(4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제1배출구(463)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462); 및 제1플레이트(462) 아래에서 혼합박스(4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제2배출구(465)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62)의 제1배출구(463)와 제2플레이트(464)의 제2배출구(465)가 서로 만나게 되면 2중 슬라이딩 게이트(460)는 열리게 되고, 서로 이격되면 2중 슬라이딩 게이트(460)는 닫히게 된다.
제1플레이트(462)의 제1배출구(463)와 제2플레이트(464)의 제2배출구(465)는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제1플레이트(462)와 제2플레이트(464)가 슬라이딩 되는 방향은 서로 평행하거나 교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62)와 제2플레이트(464)는 어느 하나가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가 혼합박스(4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2중 회전날(444)의 제1회전날(445)은 제1플레이트(462) 위에 배치하고, 제2회전날(445)은 제1플레이트(462)와 제2플레이트(464) 사이에 배치하여 재료가 더욱 효과적으로 섞이면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진공흡입장치(500)는 제3공급장치(400)로부터 발(10)에 공급되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송벨트(160) 아래에 위치하면서 이송벨트(160) 위에 있는 발(10)에 흡입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발(10)에 공급된 재료는 발(10)에 밀착되는 것이다.
진공흡입장치(500)에 의해 재료가 발(10)에 밀착될 때, 뱅어와 함께 발(10)로 공급되는 물은 아래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이송테이블(100) 아래에 받침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는 받침대(700)에 회수되는 물에는 발(10)에 안착되지 못한 뱅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회수된 물을 제2공급장치(300)로 되돌려 보내거나 뱅어만 걸러서 제2공급장치(300)로 되돌려 보내는 회수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장치(800)는 이송모터(140)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터로 구동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적재장치(600)는 뱅어가 안착된 발(10)이 제1이송롤러(120)를 따라 이동한 후에 모이는 부분이다. 제1이송롤러(120)를 따라 이동한 발(10)은 적재장치(600)에 자유낙하 하면서 적층된다. 이때, 적재장치(600)는 자유낙하 하는 발(10)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적재암(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재암(640)은 이송모터(140)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테이블(100)에 결합된 회전축(620)에 결합되는 ‘J’형 막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적재암(640)이 회전축(62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발(10)을 차례로 적재장치(600)로 안내할 수 있고, 하나의 적재암(640)이 회전축(620)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를 회전한 다음 원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발(10)을 차례로 적재장치(600)로 안내할 수도 있다.
즉, 뱅어가 안착된 발(10)이 제1이송롤러(120)를 따라 이동한 후에 적재장치(600)로 자유낙하 할 때, 적재암(640)은 먼저 낙하하는 발(10)의 앞쪽 아래를 떠받치면서 아래로 회전하게 되므로, 발(10)은 자유낙하에 따른 충격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적재장치(60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는 제2이송롤러(920)가 결합된 보조테이블(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테이블(900)은 적재장치(600)의 옆쪽 또는 아래에 위치하고 뱅어가 안착된 발(10)이 적재장치(600)에 모두 적재되면 적층이 완료된 발(10) 또는 적재장치(600) 자체가 제2이송롤러(920)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테이블(100)에는 적층이 완료된 발(10) 또는 적재장치(600)를 제2이송롤러(920)로 안내하는 배출암이 구비된다. 배출암은 이송모터(140)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모터로 구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개선된 뱅어포 제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개시된 내용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발 100: 이송테이블
120: 제1이송롤러 140: 이송모터
160: 이송벨트 200: 제1공급장치
300: 제2공급장치 320: 피더
340: 바이브레이터 360: 댐퍼
362: 개폐판 400: 제3공급장치
420: 혼합박스 440: 교반기
442: 혼합모터 444: 2중 회전날
445: 제1회전날 446: 제2회전날
460: 2중 슬라이딩 게이트 462: 제1플레이트
463: 제1배출구 464: 제2플레이트
465: 제2배출구 500: 진공흡입장치
600: 적재장치 620: 회전축
640: 적재암 700: 받침대
800: 회수장치 900: 보조테이블
920: 제2이송롤러

Claims (6)

  1. 제1이송롤러가 설치되는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에 발을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재료를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재료를 섞은 후에 상기 제1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발에 재료를 공급하는 제3공급장치;
    상기 제3공급장치의 하부에서 이송테이블에 결합되고 상기 발에 공급된 재료를 안착시키는 진공흡입장치; 및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재료가 안착된 발이 적층되는 적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공급장치는,
    상기 제2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재료가 수용되는 혼합박스;
    상기 혼합박스에 수용된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기; 및
    상기 제1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발에 상기 재료를 낙하시키는 2중 슬라이딩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어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는,
    재료를 제3공급장치로 안내하는 피더;
    상기 피더에 결합되어 재료를 분산하기 위한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피더에 결합되어 소정의 공급량 조절을 위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어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피더에 힌지로 결합되는 개폐판; 및
    상기 피더와 개폐판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이 소정의 부하 이상에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어포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혼합박스에 결합되는 혼합모터; 및
    상기 혼합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2중 회전날을 포함하고,
    상기 2중 슬라이딩 게이트는, 상기 혼합박스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제1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아래에서 상기 혼합박스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제2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어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중 회전날은, 제1회전날과 상기 제1회전날 아래에 위치하는 제2회전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날은 상기 제1플레이트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날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뱅어포 제조장치.
KR1020160135223A 2016-10-18 2016-10-18 뱅어포 제조장치 KR10184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23A KR101847046B1 (ko) 2016-10-18 2016-10-18 뱅어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23A KR101847046B1 (ko) 2016-10-18 2016-10-18 뱅어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046B1 true KR101847046B1 (ko) 2018-04-09

Family

ID=6197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23A KR101847046B1 (ko) 2016-10-18 2016-10-18 뱅어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79B1 (ko) 2006-04-05 2007-06-21 장동현 양념 뱅어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79B1 (ko) 2006-04-05 2007-06-21 장동현 양념 뱅어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87123U (zh) 一种窝窝头送料机构及加工机
CN205802384U (zh) 一种窝窝头送料排盘一体机
CN1458826A (zh) 由两种或多种食物组成的食物部份及其制造和包装方法
AU712560B2 (en) Dry pet food,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CN212877486U (zh) 一种风味牛肉干加工用腌制设备
CN114190413B (zh) 一种速冻饺子皮生产用自动撒面模切装置
CN206909551U (zh) 一种炸油条机
KR20080110370A (ko) 주먹밥 제조장치
KR101847046B1 (ko) 뱅어포 제조장치
KR101862703B1 (ko) 현미 스낵 생산 시스템
CN112797781B (zh) 一种营养婴幼儿有机米粉制备方法
CN117091369A (zh) 一种颗粒饲料干燥装置
CN111713563A (zh) 一种用于豆制品加工的豆干胚压制设备及压制方法
CN208799993U (zh) 一种畜牧养殖食料搅拌混合装置
CN214844324U (zh) 一种用于农副产品加工的检测装置
KR101847564B1 (ko)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CN202588167U (zh) 夹馅糕制备机
CN213349145U (zh) 一种饲料加工用搅拌粉碎装置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CN113086286A (zh) 一种冷冻食品快速包装设备
KR101833369B1 (ko) 쌀어묵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쌀어묵
KR102195252B1 (ko) 라면스프용 건더기 절단장치
CN209806968U (zh) 紫薯山药面的成型机
CN209950221U (zh) 一种蛋挞脱模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Yegorov et al. Technological foundations of processing tomato pomace in feed addi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