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370A - 주먹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주먹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370A
KR20080110370A KR1020070059034A KR20070059034A KR20080110370A KR 20080110370 A KR20080110370 A KR 20080110370A KR 1020070059034 A KR1020070059034 A KR 1020070059034A KR 20070059034 A KR20070059034 A KR 20070059034A KR 20080110370 A KR20080110370 A KR 20080110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irring
support
rice bal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유덕
공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
Priority to KR102007005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370A/ko
Publication of KR2008011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먹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주먹밥이 제조되는 주먹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먹밥 제조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유닛; 상기 교반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유닛에서 교반된 재료를 일정량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정량유닛; 상기 정량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유닛에서 이송된 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담기도록 다수개의 골이 형성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담긴 재료를 일정량으로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재료를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주먹밥의 제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주먹밥, 제조장치, 밥, 자동, 교반

Description

주먹밥 제조장치 { Manufacturing device for a rice ball }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전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배면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이송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3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가미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성형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먹밥 제조장치 10. 메인프레임
100. 교반유닛 110. 교반모터
120. 교반통 122. 투입구
123. 투입구뚜껑 130. 교반날개 회전축
132. 교반날개 140. 토출구
142. 토출구뚜껑 200. 정량유닛
210. 정량판 220. 토출날개
230. 회동수단 300. 지지유닛
302. 격벽 310. 골
400. 이송유닛 402. 이송수단
404. 안내레일 410. 그랩퍼
412. 포켓 414. 가이드링크
420. 지지축 430. 개폐수단
470. 가이드플레이트 472. 베어링
474. 안내홀 480. 승강플레이트
482. 힌지 484. 고정홀
490. 승강수단 500. 가미수단
510. 수용구 520. 지지판
530. 회동구 532. 롤러
534. 브러쉬 600. 성형유닛
630. 가압수단 632. 스푼
634. 연결축 636. 가압실린더
670. 절단수단 674. 회동실린더
본 발명은 주먹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주먹밥이 제조되는 주먹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먹밥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주먹밥은 아주 오래전부터 먼길을 가거나 전쟁터 등에서 밥을 지어먹을 여건이 되지 않을 때, 시장기를 면할 수 있도록 주먹 크기 정도로 밥을 뭉쳐서 가지고 다닌 데서 유래하였다고 추정된다.
주먹밥이라고 해서 모양이 모두 주먹처럼 생긴 것은 아니고, 손으로 주물러 먹기 쉽게 뭉쳐 놓은 밥은 모두 주먹밥으로 여겨진다. 먹거리가 부족했던 시절에는 양념 없이 보리밥이나 쌀밥 등을 뭉쳐서 만들어 먹는 일이 많았으며, 옛날의 전쟁 영화를 보면 병사들이 꽁꽁 언 덩어리를 통째로 먹는 모습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주먹밥의 원형이다. 이런 이유로 주먹밥은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밥에 쇠고기, 야채 등 갖가지 재료를 곁들이고, 갖은 양념까지 해서 보기 좋게 여러 가지로 모양을 낸 주먹밥이 식당의 정식 메뉴로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재료의 종류에 따라, 김치주먹밥, 볶음주먹밥, 과일주먹밥 등 이름과 종류도 다양하다.
이처럼 주먹밥은 한끼의 식사나, 간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가정에서 소 풍갈 때나, 운동회날 같은 특별한 날에만 소량으로 만들어서 먹고 있는 게 요즘의 현실이다. 왜냐하면, 생활에 바쁜 현대인으로서는 재료를 준비해서 일일이 재료를 섞고,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내할 시간과 인내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요즘은 인스턴트식품의 증가로 인해 쌀소비가 점차 감소 되는 문제점이 있어, 한국식품연구원에서는 쌀소비를 증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식품연구원의 요구에 따라 쌀소비가 증가될 수 있도록, 준비된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주먹밥을 자동으로 만드는 주먹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동화를 통해 주먹밥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주먹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주먹밥 제조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유닛; 상기 교반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유닛에서 교반된 재료를 일정량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정량유닛; 상기 정량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유닛에서 이송된 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담기도록 다수개의 골이 형성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담긴 재료를 일정량으로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재료를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주먹밥의 제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배면을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먹밥 제조장치(1)는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유닛(100)과, 상기 교반유닛(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유닛에서 교반된 재료를 일정량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정량유닛(200)과, 상기 정량유닛(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유닛(200)에서 이송된 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담기도록 다수개의 골(310)이 형성된 지지유닛(300)과,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300)에 담긴 재료를 일정량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400)과, 상기 이송유닛(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닛(400)에 의해 이송된 재료를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400)과 성형유닛(600)의 사이에는 김가루, 참깨 등의 가미재료가 추가되는 가미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다수개의 세로프레임(12)과, 상기 세로프레임(12)과 결합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유닛이 올려지도록 하는 가로프레임(14)를 포함하여 상기 주먹밥 제조장치(1)의 주요 골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교반유닛(100) 내지 이송유닛(4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면에는 상기 주먹밥 제조장치(1)를 조작하는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메임프레임(10)의 상부에는 주먹밥의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유닛(100)이 제공된다.
상기 교반유닛(100)은 재료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교반통(120)과, 상기 교반통(120)의 내측 중심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교반날개(132)와, 상기 교반날개(132)를 회전하도록 하는 교반모터(110)와, 상기 교반통(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교반된 재료가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반통(120)은 측면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재료의 혼합이 골고루 이루어지며, 대량의 재료가 혼합되어 저장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통(120)의 상측에는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2)는 투입구뚜껑(123)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통(120)의 중심에는 다수의 교반날개(132)가 제공되는 교반날개 회 전축(130)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날개 회전축(130)은 상기 교반통(120)의 일측에 제공되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교반모터(110)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교반날개(132)는 상기 교반통(120) 내의 재료를 골고루 혼합할 수 있도록, 상기 교반날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통(120)의 하측에는 교반된 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140)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구(140)는 토출구뚜껑(14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최초에 재료가 투입될 경우에는 상기 토출구(140)는 상기 토출구뚜껑(142)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상기 교반모터(1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교반날개(132)가 회전하여 재료를 교반하게 되고, 재료가 충분히 혼합이 되면, 상기 토출구뚜껑(142)를 열어서 상기 토출구(140)로 재료가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 한다.
한편, 상기 토출구(140)의 하측에는 상기 교반유닛(100)에서 교반된 재료를 토출하여 일정량을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정량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정량유닛(200)은 상기 토출구(140)를 통해 이동하는 교반된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날개(220)와, 상기 토출날개(2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날개(220)에 의해 토출된 재료를 저장하는 정량판(210)과, 상기 정량판(210)을 회동하여 상기 정량판(210)의 재료가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출날개(220)는 상기 교반날개 회전축(130)과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넓이와 길이를 가지는 판재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형성되어, 상기 투출구(140)로 토출되는 재료를 상기 정량판(210)에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정량판(210)은 상기 토출구(140)과 동일한 측면길이를 가지며, 중앙부는 함몰되어 상기 토출날개(220)에 의해 토출되는 재료가 일정량 저장된다.
상기 정량판(210)의 측면에는 상기 정량판(210)의 일측과 간섭되어 상기 정량판(210)을 회동하는 회동수단(230)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동수단(230)은 공기압에 의해 동작되는 에어실린더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터나 유압실린더 등 상기 정량판(210)을 회동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가능할 것임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 회동수단(230)의 실린더 상부에는 기어(232)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232)는 상기 토출날개(220)의 일측과 체인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공기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가 늘어나게 되면, 상기 기어(232)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상기 정량판(210)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수단(230)의 단부는 상기 교반모터(110)의 동작을 멈추게하는 멈춤스위치(S)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정량판(210)이 회동되었을 때는 상기 정량판(210)으로 재료가 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량유닛(200)의 하측에는 상기 정량유닛(200)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담기도록 골(310)이 형성된 지지유닛(30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정량판(210)과 동일한 길이로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격벽(302)이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격벽(302)에 의해 소정의 저장공간인 다수개의 골(310)이 형성된다. 상기 골(310)은 동일한 크기로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정량판(210)에서 이송되는 재료가 일정한 크기와 양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유닛(30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하는 이동수단(320)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수단(320)은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터나 유압실린더 등 상기 지지유닛(300)을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치면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측에서 전후방(도 1에서 볼 때)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지지유닛(300)의 골(310)에 담긴 재료를 일정량으로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40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유닛(400)의 측면 즉,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측면에는 상기 이송유닛(40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하는 이송수단(40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400)은 안내레일(404)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400)의 전방 하단(도 1에서 볼 때)에는 상기 이송유닛(400)에 의해 1차 성형된 재료에 가미재료를 추가하는 가미수단(500)과, 상기 가미수단(500)의 전방 하단에 제공되어, 가미재료가 추가된 1차 성형재료를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60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유닛(400), 가미수단(500) 및 성형유닛(6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이송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3의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송유닛(400)에는 지지유닛(300)의 골(310)에 담긴 재료를 집어서 소정의 크기로 1차 성형하는 그랩퍼(410)와, 상기 그랩퍼(4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랩퍼(410)가 형폐(形閉) 또는 형개(形開) 되도록 하는 개폐수단(430)와, 상기 그랩퍼(41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4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랩퍼(410)는 재료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포켓(412)과, 상기 포켓(412)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포켓(412)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가이드링크(4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대향되는 형상의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켓(412)은 각 쌍이 형폐되었을 때, 내측에 재료를 담을 수 있도록 측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크(414)의 상단부는 지지축(420)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420)에는 다수개의 그랩퍼(41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420)은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랩퍼(410)가 형폐 또는 형개 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축(40)의 양단에는 개폐수단(430)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420)의 간격을 넓게하거나 좁게하여 상기 그랩퍼(40)가 형폐 또는 형개 되도록 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수단(430)은 공기압에 의해 실린더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 에어실린더로 도시되어 있으나, 모터나 유압실린더 등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링크(414)는 상기 그랩퍼(41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승강플레이트(48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482)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링크(414)의 중앙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링크(414)의 단부는 천공된 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420)에 끼움 고정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48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에 상기 가이드링크(414)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고정홀(4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플레이트(480)의 측면에는 승강수단(490)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48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490)은 공기압에 의해 실린더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 에어실린더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하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승강플레이트(48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414)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47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7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7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에 상기 가이드링크(414)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안내홀(474)이 다수개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크(414)가 간섭되는 내측면에는 베어링(472)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링크(414)의 상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홀(474)의 사이에는 압착실린더(47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압착실린더(476)는 재료가 들어있는 포켓(412)이 형폐되어 상승할 때, 상기 포켓(412)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포켓(412) 내의 재료가 소정의 크기로 압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포켓(412)과 압착실린더(476)에 의해 1차 성형된 재료는 흩어지지 않고,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측면에 구비된 안내레일(404)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안내레일(404)의 측면에 구비된 이송수단(402)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400)은 상기 안내레일(404)을 따라 전후방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랩퍼(410)에 의해 1차 성형된 재료는 상기 이송수단(40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안내레일(404)의 전방 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그랩퍼(410)는 다시 형개되어 상기 그랩퍼(410)의 내부에서 1차 성형된 재료는 상기 이송유닛(400)의 하측에 구비된 낙하부(70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부(700)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가미수단(도 5의 도면부호 500)으로 1차 성형된 재료는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가미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먹밥 제조장치의 요부구성인 성형유닛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미수단(500)은 1차 성형된 재료가 안착되는 지지판(520) 과, 상기 지지판(520)의 하측에 구비되어, 가미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구(510)와, 상기 지지판(520)과 수용구(510)의 사이에 구비되어, 1차 성형된 재료를 회전시키면서, 가미재료를 골고루 묻히는 회동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520)은 중앙은 개구되도록 와이어로 형성되며,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520)의 하측에는 수용구(510)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구(510)는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김가루나 깨 등의 가미재료가 수용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530)는 1차 성형된 재료를 회전시키는 롤러(532)와, 상기 수용구(510)의 내측에 수용된 가미재료를 1차 성형된 재료의 표면에 골고루 묻히는 브러쉬(5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532)와 브러쉬(534)는 동일한 축에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회동구(530)에 의해 가미재료를 묻힌 다음, 상기 지지판(520)은 90도 이상 회동하여 1차 성형된 재료를 아래에서 설명할 성형유닛(600)으로 이송시킨다.
상세하게, 상기 성형유닛(600)은 가미수단(5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성형유닛(600)과 가미수단(500) 사이에는 경사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판(520)의 회동에 의해 재료를 경사로에 올려놓게 되면, 재료는 경사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성형유닛(600)은 상기 지지판(520)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수단(미도시)과, 상기 안내수단(미도시)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수단(610)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를 가압하여 완제품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수단(6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수단(미도시)은 경사로를 따라 이동되는 재료가 담기도록 접시와 유사한 형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가압수단(630)이 동작되는 곳으로 이동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수단(630)은 한 쌍이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스푼 형상으로 형성된 스푼(632)과, 상기 스푼(632)의 일단이 상하로 고정되며, 다수의 상기 스푼(632)이 고정되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축(634)과, 상기 연결축(634)의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축(634)을 좌우로 유동시키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6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푼(632)은 대향되는 쌍으로 구비되며,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재료를 소정의 시간 동안 가압하여 주먹밥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세하게, 상기 스푼(632)의 일단은 상측에 구비되는 연결축(634)에 고정되고, 대향되는 스푼(632)은 하측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축(634)에 고정되어, 상측의 연결축(634)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압실린더(636)에 연결되고, 하측의 연결축(634)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또 다른 가압실린더(636)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된 가압실린더(636)에 의해 각각의 연결축(634)은 이동되고, 상기 연결축(634)에 고정된 각각 의 상기 스푼(632)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주먹밥은 완성된다.
한편, 상기 스푼(632)의 전단에 절단수단(67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주먹밥을 절반으로 잘라서 먹기 편한 크기로 제작하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절단수단(670)은 다수의 칼날(672)과 상기 칼날(672)을 회동하는 회동실린더(6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주먹밥 제조장치(1)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주먹밥의 종류에 따른 재료를 준비하여 교반유닛(100)에 투입한 뒤 제어부(20)의 조작 버튼을 눌러서 교반모터(110)을 동작하여, 재료를 혼합하게 된다.
육안으로 확인하여 재료가 충분히 혼합이 되면, 상기 제어부(20)의 조작버튼을 눌러서 주먹밥 제조장치(1)의 메인 전원을 투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반유닛(100)의 하측에 구비된 정량유닛(200)이 동작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교반유닛(100)의 토출구뚜껑(142)를 열어서, 상기 정량유닛(200)의 토출날개(22)에 의해 혼합된 재료가 정량판(210)에 일정량 담기도록 한다. 대략 2~3초 후 이송수단(402)에 의해 이송유닛(400)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정량판(210)이 지지유닛(3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송유닛(400)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수단(2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정량판(210)에 저장될 재료는 상기 지지유닛(300)으로 이송된다.
상기 지지유닛(300)에 형성된 다수의 골(310)에는 일정량의 재료가 담기게 되고, 상기 이송유닛(400)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유닛(400)이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승강수단(490)이 동작하여, 상기 이송유닛(400)의 그랩퍼(410)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그랩퍼(410)는 형개된다.
상기 그랩퍼(410)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유닛(300)은 이동수단(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그랩퍼(410)의 단부가 상기 골(310)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랩퍼(410)는 재료를 집을수 있도록 형폐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수단(490)의 동작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랩퍼(4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재료가 집속되고, 상기 그랩퍼(410)가 형폐된 상태로 상승할 때, 압착실린더476)에 의해 상기 그랩퍼(410) 내부의 재료는 소정의 형상으로 1차 성형된다.
상기 그랩퍼(410)가 완전히 상승한 뒤, 상기 이송수단(402)에 의해 상기 이송유닛(400)은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그랩퍼(410)는 낙하부(700)의 상측에서 상기 승강수단(490)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하강과 동시에 상기 그랩퍼(410)는 형개되어 1차 성형된 재료는 상기 낙하부(700)을 통과하면서, 가미수단(5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미수단(500)의 회동구(530)가 동작하게 되어, 1차 성형된 재료의 표면에는 가미재료가 부착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지지판(520)이 회동하여 1차 성형된 재료는 경사로를 따라 성형유닛(600)으로 이송된다.
즉, 경사로를 따라 이동되는 1차 성형된 재료는 이송유닛(400)의 안내수단(610)에 담기게 되고, 소정의 시간 뒤 상기 안내수단(610)은 회동하여, 가압수 단(630)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수단(630)은 가압실린더(636)에 의해 연결축(634)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푼(632)은 상대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모아지게 되어서, 1차 성형된 재료는 최종 완성품인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스푼(632)의 전단에 형성된, 절단수단(670)에 의해 상기 주먹밥은 절반으로 절단되도록 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의 각 과정은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먹밥 제조장치는, 재료투입 과정 이후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자동생산으로 인해 주먹밥 제조에 필요한 인건비 절감되어,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되는 재료를 달리할 경우, 다양한 종류의 주먹밥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주먹밥은 주재료가 밥으로 이루어지므로, 인스턴트 식품에 함유된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간편하면서도 식사 대용이 가능한 주먹밥의 대량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쌀소비가 증가되므로 농촌 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재료를 혼합하는 교반유닛;
    상기 교반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유닛에서 교반된 재료를 일정량 저장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정량유닛;
    상기 정량유닛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량유닛에서 이송된 재료가 일정한 크기로 담기도록 다수개의 골이 형성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측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에 담긴 재료를 일정량으로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재료를 주먹밥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이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유닛에는,
    재료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의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재료를 교반하는 다수개의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날개가 회전하도록 하는 교반모터와;
    상기 교반통의 일측에 제공되어, 교반된 재료가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가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유닛에는,
    상기 교반유닛과 연동되어 동작하여, 상기 교반유닛에서 교반된 재료를 토출하는 토출날개와;
    상기 토출날개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날개에 의해 토출된 재료를 저장하는 정량판과;
    상기 정량판을 회동시켜 정량판의 재료가 상기 지지유닛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수단이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재료를 집어서 1차 성형하여 이동하는 다수의 그랩퍼와;
    상기 그랩퍼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랩퍼가 선택적으로 형폐(形廢) 또는 형개(形開)되도록 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랩퍼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이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에는,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1차 성형된 재료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수단에 의해 안내된 1차 성형된 재료를 가압하여 완제품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수단이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에는,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1차 성형된 재료에 가미재료를 추가하는 가미수단이 더 구비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미수단은,
    가미재료가 수용되는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의 상측에 구비되어, 1차 성형된 재료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1차 성형된 재료를 회전시키면서 가미재료를 표면에 골고루 묻히는 회동구가 포함되는 주먹밥 제조장치.
KR1020070059034A 2007-06-15 2007-06-15 주먹밥 제조장치 KR20080110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34A KR20080110370A (ko) 2007-06-15 2007-06-15 주먹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034A KR20080110370A (ko) 2007-06-15 2007-06-15 주먹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70A true KR20080110370A (ko) 2008-12-18

Family

ID=4036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034A KR20080110370A (ko) 2007-06-15 2007-06-15 주먹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3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39A1 (ko) * 2016-10-12 2018-04-19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KR20180063998A (ko) 2016-12-05 2018-06-14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KR20180065006A (ko) 2017-12-07 2018-06-15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CN108926024A (zh) * 2018-08-30 2018-12-04 上海香龙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化食品机
CN109662334A (zh) * 2018-12-28 2019-04-23 郑州思念食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粽子机
KR20200052787A (ko) 2018-11-07 2020-05-15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KR20200116826A (ko) * 2019-04-02 2020-10-13 김주용 알밥성형기용 교반통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39A1 (ko) * 2016-10-12 2018-04-19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CN109788793A (zh) * 2016-10-12 2019-05-21 金妵镛 粒饭成型装置
KR20180063998A (ko) 2016-12-05 2018-06-14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KR20180065006A (ko) 2017-12-07 2018-06-15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CN108926024A (zh) * 2018-08-30 2018-12-04 上海香龙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化食品机
KR20200052787A (ko) 2018-11-07 2020-05-15 김주용 알밥 성형장치
CN109662334A (zh) * 2018-12-28 2019-04-23 郑州思念食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粽子机
CN109662334B (zh) * 2018-12-28 2024-04-05 思念食品(河南)有限公司 一种多功能粽子机
KR20200116826A (ko) * 2019-04-02 2020-10-13 김주용 알밥성형기용 교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0370A (ko) 주먹밥 제조장치
CN108618598B (zh) 一种面条自动烹饪机构
CN107376746A (zh) 一种高效饲料混合装置
CN207119319U (zh) 一种高效饲料混合装置
US20060207436A1 (en) Integrated compact food process line and process
CN108670010B (zh) 一种面条自动烹饪设备
KR20090043061A (ko) 호떡 성형장치
CN110200031A (zh) 一种包子饺子面条油条烧饼花卷自动制作售卖方法及设备
KR101809381B1 (ko) 알밥 성형장치
JP4780759B2 (ja) 定量ソフト充填装置及び定量ソフト充填装置を用いた定量ソフト充填方法
CN109430818B (zh) 一种大球盖菇加工设备
CN209814930U (zh) 一种蛋挞运输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EP1692955B1 (en) Integrated compact food process line and process
JP4294725B1 (ja) 食材供給装置
WO2018070739A1 (ko) 알밥 성형장치
CN211324430U (zh) 一种饺子贩卖机
KR20180065006A (ko) 알밥 성형장치
CN209950221U (zh) 一种蛋挞脱模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CN213664638U (zh) 一种面条烹饪设备的供给系统
CN110432783A (zh) 一种饺子贩卖机
KR101849013B1 (ko) 알밥 성형장치
CN107751276B (zh) 一种面食制作机
KR20200052787A (ko) 알밥 성형장치
CN110558348A (zh) 海带面条的和面机构、面食加工流水线
CN219272938U (zh) 一种面点加工用带有定量进料机构的拌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