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787A - 알밥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알밥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787A
KR20200052787A KR1020180136209A KR20180136209A KR20200052787A KR 20200052787 A KR20200052787 A KR 20200052787A KR 1020180136209 A KR1020180136209 A KR 1020180136209A KR 20180136209 A KR20180136209 A KR 20180136209A KR 20200052787 A KR20200052787 A KR 20200052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ice
discharged
receiv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2018013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2787A/ko
Publication of KR2020005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투입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구하거나, 상기 재료를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구하는 개폐수단; 상기 챔버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교반하는 혼합수단; 상기 챔버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을 압축하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성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된 수용반과 상기 수용반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딩 이동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물을 받는 수용 및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냉동 또는 냉장된 밥에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손으로 주무른 것과 같이 찰지게 혼합한 다음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 알밥을 배출할 때 편리하게 받을 수 있음은 물론 오염된 세척수도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밥 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Rice Ball}
본 발명은 알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또는 냉장된 밥에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손으로 주무른 것과 같이 찰지게 혼합한 다음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성형된 알밥을 배출하되, 상기 알밥을 받음과 동시에 오염된 세척수도 배출하는 수용 및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알밥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밥은 옛부터 별다른 조미를 하지 않고도 반찬을 곁들여 주식으로 이용해 온 음식물로서, 별식용이나 간편식용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주먹밥 형태로 제조되기도 한다.
종래에 주먹밥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밥과 여러 가지 양념들을 혼합하여 손으로 여러 번 주물러 찰지게 한 다음 손바닥 사이에 넣고 굴려서 적당한 크기로 둥글게 성형시키는 일련의 수작업으로 모든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제조공정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성형된 밥의 크기와 형상이 일정하지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모든 제조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위생적으로 제조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5071호에 개시된 주먹밥 성형기는, 컨베이어가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면 반찬 공급 호퍼로부터 컨베이어 성형구 내로 반찬이 공급되고, 상기 컨베이어 성형구 내로 밥 공급 호퍼로부터 밥이 공급되어 상기 컨베이어 성형구와 롤러 성형구 사이에서 밥과 반찬이 성형이 되도록 한 다음 컨베이어 성형부가 벌어지도록 하여 성형된 밥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주먹밥을 일련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먹밥을 성형함에 있어서, 밥과 반찬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고 성형틀에 의해 주먹밥을 단순히 찍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밥과 반찬이 충분히 어우러지는 식감을 얻을 수가 없고, 또 취식 중에는 성형된 주먹밥이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의 기술은 성형기의 크기가 너무 커서 좁은 장소에서 성형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소비자가 직접 주먹밥을 제조하여 즉석에서 취식할 수가 없고,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한 다음에 유통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소비자가 주먹밥을 구매하여 취식하게 되므로 주먹밥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고, 또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주먹밥을 제조하는 기술에 불과할 뿐, 소비자가 한입에 넣어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알밥을 즉석에서 간편하게 따뜻한 상태로 제조하여 즉석에서 취식할 수 있는 장치는 현재까지는 전혀 개시된 바가 없다.
KR 20-0255071 KR 10-2008-011037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동 또는 냉장된 밥에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손으로 주무른 것과 같이 찰지게 혼합한 다음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알밥을 성형하되, 성형되어 배출되는 상기 알밥을 적절하게 받을 수 있는 수용 및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알밥 성형장치를 세척공정에 의해 세척한 후에 상기 수용 및 배수수단을 통해 오염된 세척수를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 및 배수수단의 수용반에 형성된 배출슬릿을 통해 알밥을 배출할 때 발생하는 잔수를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투입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를 폐구하거나, 상기 재료를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배출구를 개구하는 개폐수단; 상기 챔버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교반하는 혼합수단; 상기 챔버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을 압축하는 압축유닛; 상기 압축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성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된 수용반과 상기 수용반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딩 이동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물을 받는 수용 및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밥 성형장치에 따르면, 냉동 또는 냉장된 밥에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손으로 주무른 것과 같이 찰지게 혼합한 다음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된 알밥을 배출할 때 편리하게 받을 수 있음은 물론 오염된 세척수도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알밥을 받을 때 같이 배출되는 잔수도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알밥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의 다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전면판과 측면판 및 후면판을 제거하고 압축유닛과 성형유닛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판이 챔버의 내부에 형성되었을 때, 배출구가 개구 및 폐구되는 모습이 보이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챔버와 개폐판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챔버의 내부와 세척수단을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배수 안내구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알밥 성형장치의 가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가미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수용 및 배수수단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수용 및 배수수단이 설치된 부분의 알밥 성형장치의 상부 절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밥 성형장치는 밥과 부재료 및 양념을 이용하여 이를 즉석에서 알밥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 챔버(10), 개폐수단(20), 혼합수단(30), 가열수단(40), 압축유닛(50), 성형유닛(60), 그리고 성형된 상기 알밥을 간편하게 받으면서 세척수도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수용 및 배수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알밥이라는 용어는 밥과 부재료나 양념이 혼합된 것으로서, 한입으로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점에서 통상의 주먹밥과는 구별된다. 또한, 상기 밥이라는 용어는 쌀밥이나 잡곡이 섞인 밥 등을 포함하며, 양념이 가미되지 않은 냉동된 밥 또는 냉장된 밥을 의미하며, 일 예로서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즉석밥 또는 햇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료는 김이나 파래와 같은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알밥에 혼입될 수 있는 식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양념은 참기름이나 들기름, 깨소금, 고추가루 또는 기타 조미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은 알밥 성형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분에 챔버(10)와 가열수단(40)이 설치되고, 하측 부분에 압축유닛(50)과 성형유닛(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 하단의 앞쪽은 바닥면이 절개되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챔버(10)는 알밥을 성형하기 위한 밥과 부재료 또는 양념이 투입되어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부분은 원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하측 부분은 챔버(10)에 투입된 재료가 챔버(10)의 중심으로 모이도록 경사진 측면과 챔버(10)의 축방향과 수직되고 상측의 원통 크기보다 좁은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 내부의 상측 부분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밥과 부재료 또는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밥과 부재료 또는 양념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챔버(10)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챔버(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13)가 형성되어 챔버(10)의 내부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도어(13)의 개폐에 의해서 밀폐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도어(13)를 닫게 되면,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할 때, 챔버(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챔버(10) 내부에 수용된 재료의 가열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10)의 내부 중앙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20)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챔버(10) 내부의 재료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12)를 폐구하거나, 재료를 배출할 때 상기 배출구(12)를 개구하는 수단으로서, 챔버(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축(21), 개폐판(22) 및 모터(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축(21)은 상기 챔버(10)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하여, 후술하는 개폐판(22)이 챔버(10)의 하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모터(23)의 회전을 개폐판(22)으로 전달해준다.
상기 개폐판(22)은 회동축(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축(21)이 회동함에 따라 챔버(10)의 배출구(12)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외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22)이 챔버(10)의 내부 하측에 밀착되어 위치하게 되고 개폐판(22)의 일측에는 챔버(10)의 배출구(12)와 연통될 수 있는 연통부(22a)가 형성되는데, 회동축(21)을 기준으로 개폐판(22)이 회동할 때, 도 9의 (a)와 같이 개폐판(22)이 배출구(12)를 덮고 연통부(22a)가 배출구(12)에 접하지 않으면, 배출구(12)가 판부(21)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폐구되며, 도 9의 (b)와 같이 판부(21)가 배출구(12)를 덮지 않고 연통부(22a)가 배출구(12)와 접하여 연통되면 배출구(12)가 판부(21)의 간섭없이 개방되기 때문에 개구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20)은 챔버(10)의 바닥면과 밀착되어 폐쇄되어 있으므로 챔버(10)에 수용된 재료는 개폐판(22)이 챔버(10)의 배출구(12)를 개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챔버(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며, 이를 위하여 챔버(10)의 바닥면과 개폐판(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수평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서로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모터(23)는 회동축(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모터(23)의 구동력은 풀리(24)와 벨트(25)를 통하여 회전축(21)에 전달된다.
개폐판(22)의 상측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에 수용된 밥과, 부재료 및 양념 등의 재료를 교반하여 혼합반을 만들기 위한 혼합수단(30)이 형성된다. 여기서 혼합반은 밥과 여러 가지 영양 성분이 혼합된 상태의 밥을 나타낸다.
상기 혼합수단(30)은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과 교반날개(32)와 모터(33)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3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22)의 중앙에 설치되는 회동축(2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반날개(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의 주위에 설치되어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혼합하며, 챔버(10)의 하측 측면이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교반날개(32)가 투입된 재료를 바깥으로 밀어내도 재료가 챔버(10)의 경사진 면을 타고 바닥면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챔버(10)에 투입된 재료는 밥과 양념이 혼입되지 않는 부분이 없이 골고루 혼합을 하도록 할 수가 있으며, 위와 같이 골고루 혼입되게 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성형된 알밥의 맛을 알밥의 모든 부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33)는 회전축(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모터(33)의 구동력은 풀리(34)와 벨트(35)를 통하여 회전축(21)에 전달된다.
상기 챔버(10)의 후측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수단(40)은 다양한 형태의 가열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밥이 주로 냉동된 밥 또는 냉장된 밥을 이용하는 것인 경우, 가열의 효과상 열선에 의한 방법 보다는 마그네트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그네트론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후측에 설치되어 챔버(10)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0a는 마이크로파 진입구이다.
상기 압축유닛(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챔버(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반을 수용하여 이를 압축하는 유닛으로서, 한 쌍의 대향하는 가압롤러(51)가 챔버(10)의 배출구(12) 바로 직 하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혼합반이 압축유닛(50)의 가압롤러(51)를 통과하게 되면, 챔버(10)에서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나 조미료를 첨가하여 혼합이 완료된 혼합반이 손으로 주무른 것과 같이 찰지게 혼합되게 되고, 이어서 가압이 완료된 혼합반은 성형유닛(60)으로 이송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52는 모터이고, 53은 치차이다.
상기 성형유닛(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유닛(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압축유닛(50)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유닛으로서, 한 쌍의 대향하는 성형롤러(61)가 가압롤러(51)의 바로 직 하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알밥은 소비자가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이어서 성형유닛(60)의 하부에 놓인 그릇에 낙하하게 되어 알밥의 성형이 완료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62는 모터이고, 63은 치차이다.
한편, 상기 챔버(10)의 상측에는 챔버(10)에 투입된 재료가 혼합이 완료되어 챔버(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가압롤러(51)로 배출되기 전에 챔버(10)에 투입된 재료가 소정의 맛을 내도록 가미를 하기 위한 가미수단(6)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미수단(6)은 투입구(11)를 통하여 양념이 투입되는 것과는 시차를 두고 별도로 양념이나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되는 양념이나 부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챔버(10)에 투입되는 시기를 달리하여 가미하게 된다. 양념이나 부재료가 투입구(11)를 통하여 밥과 함께 투입되어 혼합을 하게 되면, 밥의 가열과 함께 양념도 상당한 시간동안 가열되게 되어 양념의 맛이 본래와는 달라질 수 있게 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투입구(11)를 통하여 양념을 투입하지 않고 가미수단(6)을 통하여 양념을 투입하게 된다.
상기 가미수단(6)은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양념이 투입되는 양념통(7)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념통(7)의 내부에 투입된 양념이 때에 맞춰 챔버(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념통(7)의 내부를 개폐하는 회전판(8)과, 회전판(8)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9)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10), 개폐수단(20), 혼합수단(30), 압축유닛(50) 및 성형유닛(6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70)이 챔버(10)의 일측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수단(70)은 챔버(10)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파이프(71), 다수의 배출구멍(72)을 가지는 회동축(21) 및 다수의 세척구멍(73)을 가지는 회전축(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수파이프(71)는 탱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챔버(10)의 내부로 통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1)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데, 회동축(21)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파이프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척수가 급수파이프(71)에서 회동축(2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축(21)의 일부분에는 다수의 배출구멍(72)이 형성되어 있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축(21)의 내부로 모인 세척수는 배출구멍(72)을 통해 회전축(31)의 내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회전축(31)의 내부로 이동한 세척수는 수압에 의해 회전축(31)의 일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구멍(73)을 통해 챔버(10)의 내부에 배출되는데, 챔버(10)의 내부에 세척수가 분사되게 되면, 챔버(10)의 내벽과 바닥면을 세척수의 수압으로 씻어낼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교반날개(32)도 회전하여 챔버(10)와 개폐판(22)이 세척되게 되고, 챔버(10)와 개폐판(22)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면, 개폐판(22)의 회동수단(50)이 회동하여 회동축(21)이 회전하면서 개폐판(22)이 챔버(10)의 배출구(12)를 개구하게 되어 세척수가 챔버(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챔버(10) 외부로 배출된 세척수는 가압롤러(51)로 유입되게 되는데, 가압롤러(51)로 유입된 세척수는 다시 가압롤러(51)의 회전과 함께 가압롤러(51)를 세척하게 되고, 이어서 성형롤러(61)로 유입하여 성형롤러(61)의 세척을 하게 된다.
한편, 회동축(21)의 저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멍(7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을 가지는 분사구(74)가 더 형성되는데, 분사구(74)는 성형롤러(61)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배출구멍(7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을 가지기 때문에 회동축(21) 내부의 수압에 의해 배출구멍(72)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력보다 강한 힘으로 분사되게 되어 가압롤러(51)와 성형롤러(61)에 붙은 이물질을 수압에 의해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75는 세척수가 급수파이프(71)를 통해 챔버(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펌프해주는 워터펌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롤러(61)의 세척이 이루어진 후, 성형롤러(61)에서 배수된 세척수의 배수는 후술하는 수용 및 배수수단(80)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알밥 성형장치는 성형된 알밥을 받거나 세척수단(70)에 의한 세척 후에 발생하는 오염된 세척수도 배출하는 수용 및 배수수단(80)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용 및 배수수단(8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 아래의 안쪽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 결합된 수용반(81)과 상기 수용반(81)을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딩 이동장치(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반(81)은 전방이 개방되고 3면이 높이가 낮은 벽으로 둘러싸인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방의 벽 상단에는 연결판(89)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판의 판상 양쪽에는 장공 형상의 연결공(8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반(81)은 양측면의 측벽판(81a)이 지지프레임(1) 하단 내부의 양쪽 벽면에 각각 밀착되어 수용반(81)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반(81)의 앞쪽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배출슬릿(83)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반(81)이 지지프레임(1) 하단의 절개되어 관통된 부분에 위치할 때, 상기 수용반(81)이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의 하단의 관통된 부분 양쪽 벽에는 받침대(1a)가 각각 약간 돌출되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장치(82)는 슬라이딩 너트(85)와 슬라이딩 볼트(86) 및 구동모터(87)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너트(85)는 하단에 걸림로드(84)가 연결되어 상기 걸림로드(84)가 수용반(81)의 한쪽 연결공(88)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볼트(86)는 한쪽 끝단이 상기 슬라이딩 너트(85)에 나사결합되면서 다른 쪽 끝단에 구동모터(87)가 설치된다. 이에 이러한 구동모터(87)의 모터축에 연결된 기어와 슬라이딩 볼트(86)에 연결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87)가 구동하면 슬라이딩 볼트(86)가 회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딩 볼트(86)를 회동시키기 위해 기어 대신 구동벨트 및 풀리 등으로 구동모터(87)와 슬라이딩 볼트(86)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87)에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볼트(86)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동하면 슬라이딩 너트(85)는 상기 슬라이딩 볼트(86)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너트(85)에 연결된 수용반(81)도 같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의 전면에 도어(13)가 닫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챔버(10)의 전방에 위치한 도어(13)를 열고, 도 2의 상태에서 밥과 부재료를 투입구(11)를 통하여 챔버(10)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투입된 재료는 챔버(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투입구(11)의 도어(13)를 닫고, 하측에 알밥 그릇(3)을 놓으면서, 이와 함께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챔버(10) 내부의 교반날개(32)가 회전되도록 모터(33)가 작동이 된다. 모터(33)가 작동되면, 모터(33)의 구동력은 풀리(34)와 벨트(35)를 거쳐 회전축(31)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31)이 회전되면 교반날개(32)가 회전되며, 교반날개(32)가 지속적으로 회전되게 되면, 챔버(10)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챔버(10)의 후측에 설치된 가열수단(40)의 마그네트론이 작동하면서 챔버(10)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및 배수수단(80)의 수용반(81)은 슬라이딩 이동장치(82)에 의해 전진이동한 상태로 있어 상기 수용반(31) 상에 알밥 그릇(11)이 놓게 된다.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가열되면 가미수단(6)의 동작 신호를 받아 모터(9)가 작동되고, 모터(9)의 작동에 따라 양념이 투입된 양념통(7) 내부의 회전판(8)을 회전시켜 챔버(10) 내부에서 혼합되고 있는 재료에 투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마그네트론에 의해서 가열을 시키면서 교반날개(32)에 의하여 혼합을 지속적으로 시키고, 정해진 시간이 되면, 개폐판(2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개폐판(22) 상부의 모터(23)를 회전시키게 된다.
개폐판(22) 상부의 모터(23)가 회전되면, 회동축(21)이 회동되면서 함께 개폐판(22)이 회동하게 되는데, 개폐판(22)이 회동되면 개폐판(22)이 챔버(10)의 배출구(12)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거나, 연통부(22a)가 배출구(12)와 연통되어 배출구(12)가 개구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교반날개(32)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챔버(10) 내부에 있는 재료가 모두 챔버(10)의 배출구(12)를 통해 챔버(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챔버(10)의 외부로 배출된 혼합반은 이어서 가압롤러(51)로 인입되게 되고, 혼합반은 가압롤러(51)를 지나는 동안에 가압되게 되며, 가압이 이루어지면서 가압롤러(51)를 통과한 혼합반은 성형롤러(61)로 인입되게 되고, 성형롤러(61)를 지나게 되면서 사용자가 한입에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성형이 되어 성형롤러(61)의 하부에 위치한 알밥 그릇(3)에 낙하하게 되어 사용자는 한입에 먹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알밥을 따뜻한 상태에서 즉석에서 조리하여 먹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알밥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물이 잔수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잔수는 수용반(81)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슬릿(83)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하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알밥 성형장치를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단(70)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세척수단(70)의 사용 전에 슬라이딩 이동장치(82)에 의해 수용반(81)을 후진이동시켜 세척 후의 오염된 세척수가 지지프레임(1) 아래의 관통된 하방을 통해 자유낙하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수단(70)에 의한 세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챔버(10)의 일측에 형성된 워터펌프(75)가 세척수를 급수파이프(71)를 통하여 챔버(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급수파이프(71)의 단부에 도달한 세척수는 급수파이프(71)의 단부와 연결된 회동축(21)의 내부로 흘러들어가 회동축(21)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회동축(21)의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지면 세척수는 수압에 의해 회동축(21)의 외벽에 다수 형성된 배출구멍(72)으로 배출되게 되어 회전축(31)의 내부에 채워지게 되며, 세척수가 회전축(31)의 내부에 가득 채워지면 세척수는 수압에 의해 회전축(31)의 외벽에 다수 형성된 세척구멍(73)을 통해 분사되어 챔버(10)의 내부와 개폐판(22)을 강한 수압으로 세척하게 된다.
또한, 챔버(10)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챔버(10) 내부에 유입된 세척수는 챔버(10) 내부에 설치된 교반날개(32)가 회전함에 따라서 세척수도 챔버(10) 내부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세척수는 챔버(10) 내부와 개폐판(22)을 세척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챔버(10) 내부의 세척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개폐판(22)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23)가 작동하여 개폐판(22)이 회동하면서 개폐판(22)이 챔버(10)의 배출구(12)를 개구하게 되고, 따라서 챔버(10) 내부의 세척수가 챔버(10)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배출된 세척수는 이어서 가압롤러(51)로 인입되게 되는데, 가압롤러(51)가 회전을 하고 있으므로 가압롤러(51)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롤러(51)도 세척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가압롤러(51)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성형롤러(61)로 인입되게 되고, 성형롤러(61)로 인입된 세척수는 성형롤러(61)의 회전에 의해서 성형롤러(61)도 세척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축(21)의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져 강한 수압을 받게 되었을 때, 회동축(21)의 저면에 성형롤러(61)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분사구(74)로 세척수가 강하게 분사되며, 세척수가 분사구(74)로 배출되는 수압으로 인해 가압롤러(51) 및 성형롤러(61)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성형롤러(61)에서 세척이 완료된 후의 오염된 세척수는 성형롤러(61)의 하부로 안전하게 배수가 되도록 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롤러(61)의 아래에서 수용 및 배수수단(80)의 수용반(81)이 슬라이딩 이동장치(82)에 의해 후진이동하여 지지프레임(1)의 하방이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된 부분을 통해 아래쪽에 배치된 배수통으로 오염된 세척수를 떨어뜨려 담아놓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10) 내부에 세척수단(70)을 설치함에 따라서 챔버(10)와 개폐판(22)과 가압롤러(51)와 성형롤러(61)가 모두 연속된 공정으로 세척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강한 수압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세척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1 : 지지프레임 10 : 챔버
20 : 개폐수단 30 : 혼합수단
40 : 가열수단 50 : 압축유닛
60 : 성형유닛 70 : 세척수단
80 : 수용 및 배수수단

Claims (3)

  1.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1);
    상기 지지프레임(1)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와, 투입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를 구비하는 챔버(10);
    상기 챔버(10) 내부에 투입된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구(12)를 폐구하거나, 상기 재료를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배출구(12)를 개구하는 개폐수단(20);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교반하는 혼합수단(30);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가열하는 가열수단(40);
    상기 챔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반을 압축하는 압축유닛(50);
    상기 압축유닛(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유닛(50)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물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하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성형유닛(60); 및
    상기 지지프레임(1)의 하단에 슬라이딩 결합된 수용반(81)과 상기 수용반(81)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슬라이딩 이동장치(82)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물을 받는 수용 및 배수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와 개폐수단(20), 혼합수단(30), 압축유닛(50) 및 성형유닛(60)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용 및 배수수단(80)에 의한 수용반(8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세척 후의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 성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반(81)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슬릿(83)에 의해 압축물을 받는 중에 배출되는 잔수를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밥 성형장치.
KR1020180136209A 2018-11-07 2018-11-07 알밥 성형장치 KR20200052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09A KR20200052787A (ko) 2018-11-07 2018-11-07 알밥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09A KR20200052787A (ko) 2018-11-07 2018-11-07 알밥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787A true KR20200052787A (ko) 2020-05-15

Family

ID=7067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09A KR20200052787A (ko) 2018-11-07 2018-11-07 알밥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2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089A (zh) * 2020-10-19 2021-01-15 佛山雅邦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复合益生菌片制备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71Y1 (ko) 1998-09-02 2002-06-27 박상식 주먹밥성형기
KR20080110370A (ko) 2007-06-15 2008-12-18 주식회사 일신 주먹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71Y1 (ko) 1998-09-02 2002-06-27 박상식 주먹밥성형기
KR20080110370A (ko) 2007-06-15 2008-12-18 주식회사 일신 주먹밥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0089A (zh) * 2020-10-19 2021-01-15 佛山雅邦生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复合益生菌片制备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0758C1 (ru) Способ выпечки хлеб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10031219A (ko) 가열조리식품 생지제조방법 및 빵제조방법
US10986844B2 (en) Machines and methods for making flatbreads
KR101987765B1 (ko) 김 튀김 제조장치
KR20200052787A (ko) 알밥 성형장치
KR101809381B1 (ko) 알밥 성형장치
KR20080110370A (ko) 주먹밥 제조장치
JP2019533997A (ja) 握り飯成型装置
KR20180065006A (ko) 알밥 성형장치
KR101849013B1 (ko) 알밥 성형장치
CN109430818B (zh) 一种大球盖菇加工设备
KR102655022B1 (ko) 식품의 자동 제조를 위한 장치 및 이러한 식품을 제공 및/또는 판매하는 방법
KR20180113042A (ko) 알밥 성형장치
KR20180070817A (ko) 알밥 성형장치
KR20180063998A (ko) 알밥 성형장치
KR101426688B1 (ko) 호떡 성형기
KR200402442Y1 (ko) 즉석튀김장치
CN201523636U (zh) 天然蔬果多彩多v营养面条系列食品生产设备
CN106722264B (zh) 凤爪蒸煮箱
KR950009028B1 (ko) 자동 제면 장치
KR950003288Y1 (ko) 자동 배추 김치 제조장치
CN220641736U (zh) 一种便于配料的冰粉生产装置
KR20170056992A (ko) 제조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 호떡 제조 시스템
CN220559113U (zh) 一种固体饮料原料混合装置
CN216363415U (zh) 一种智能面条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