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28B1 - 자동 제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28B1
KR950009028B1 KR1019920017958A KR920017958A KR950009028B1 KR 950009028 B1 KR950009028 B1 KR 950009028B1 KR 1019920017958 A KR1019920017958 A KR 1019920017958A KR 920017958 A KR920017958 A KR 920017958A KR 950009028 B1 KR950009028 B1 KR 95000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ft
raw material
distribution
noodl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473A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정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덕 filed Critical 정재덕
Priority to KR101992001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028B1/ko
Publication of KR94000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제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계통을 나타낸 간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좌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C-C선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제4도의 D-D선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E-E선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믹싱장치를 거친 반죽이 가압로울러 및 성형로울러를 지나 콘베이어 망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유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제12도는 본 발명 조리장치의 전체 계통도.
제13도는 제12도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F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면장치 2 : 조리장치
3, 3', 3'' : 호퍼 4 : 호퍼베이스
5 : 베이스 5', 8', 9', 11', 14' : 구멍
6 : 배분장치 6' : 깔때기
6'', 43'', 56'', 56'''' : 센서 7 : 배분회전대
8 : 상배분판 9 : 유출량조정판
10 : 개폐레버 11 : 하배분판
12 : 회전축 13 : 회전판
14 : 정량판 15 : 핀
16 : 정량 조정판 17, 27 : 밑판
18, 19 : 커플링 부재 20 : 전자석
21 : 키이 22 : 전자 클러치
23 : 클러치 조정부재 24, 30 : 스프라켓
25 : 이송장치 26 : 케이스
27' : 배출공 28, 29 : 축
31 : 슬라이더 31' : 장공
32, 39, 40, 47 : 풀리 33 : 지지판
34 : 벨트 조정 슬라이더 35 : 스프링
36, 48, 64, 68, 70, 71 : 벨트 37 : 밀대판
38, 50, 63, 78, 111 : 모터 41, 42 : 브라켓
43 : 깔때기 44 : 믹싱장치
45 : 믹서튜브 45' : 물주입공
45'' : 원료투입공 45''' : 원료배출공
46 : 믹싱축 46'' : 스크류
49 : 지지부재 51 : 수직날
52 : 경사날 53 : 물탱크
54 : 양수펌프 55 : 호스
56 : 성형장치 56' : 지지체
56'' : 깔때기 57, 58 : 가압로울러
57', 58' : 안내지지간 59 : 조정너트
60 : 조정바아 61 : 플레이트
62, 65, 69 : 로울러 66 : 콘베이어 망벨트
67 : 회전로울러 72, 73 : 성형로울러
74 : 도어 74' : 콘트롤부
75 : 개폐문 77 : 회전로울러
77' : 커터 100 : 체인
101 : 행거부재 102 : 망통
103 : 본체 104 : 1차 가열부
105 : 냉각부 106 : 2차 가열부
107, 113 : 히터 108 : 송풍기
109 : 받침대 109' : 걸림부
110 : 솔레노이드 110' : 축
112 : 소스통 114 : 테이블
본 발명은 밀가루를 투입하면 반죽, 제면, 조리, 용기투입 공정등을 일률적으로 처리되게 한 자동 제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료의 배합율을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면을 제조할 수 있는 제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미리 일정량의 물과 반죽하여 이를 통안에 넣고 각 로울러를 통해 이송하여 토출구를 통해 국수나 냉면 등을 뽑아내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원료를 반죽하는 시간이 많이 지체되고 이에 따라 많은 인력이 필요하였으며 제면까지의 처리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이 많아 결국 대량 생산면에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된 면은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대중음식점에서 필요시마다 삶아 먹도록 하였기 때문에 일시에 많은 완제품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재래식 제면방식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밀가루의 반죽에서 제면까지 자동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제면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 3-201956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 소 61-851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제면장치는, 단순히 밀가루 등 1종류를 원료를 단순히 반죽하여 제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일뿐, 그 제면공정 이후의 삶는공정 등은 별도로 구비된 조리장치로 옮겨서 작업을 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공정간 연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인건비 상승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료의 정량 공급하는 호퍼를 1개 밖에 설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면을 제조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제면장치가 가진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원료공급에서 부터 조리과정까지의 처리과정을 자동화하여 제조공정의 총소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고, 여러종류의 원료를 동시에 공급하여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합비율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면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제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제면장치와 조리장치로 구성되고 이들 장치사이에는 이송콘베이어가 배치되어 이들 2개의 장치에서 이루어진 작업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면장치는 상부에 다수개의 호퍼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 각 호퍼에는 각각의 배분장치가 구비되어 제어장치에 의해 개별작동하게 함으로써 이에따라 정량공급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원료를 서로 혼합시키면서 후술하는 믹싱장치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원료를 물로 반죽하는 믹싱장치와, 이 믹싱장치에서 반죽된 원료를 가압하여 면으로 성형하는 성형장치를 포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호퍼내에는 원료가 덩어리 지지않고 하부로 유출되도록 배분 회전대가 설치되고 이 배분 회전대와 이송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하부에 설치된 믹싱장치도 그 내부에 믹싱축을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며 가압로울러, 성형로울러, 콘베이어 망벨트도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면장치의 하부에는 믹싱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이렇게 제면된 것은 제면장치 일측에 형성된 개폐문을 통해 나와 다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면서 그 일측 상부에 설치된 커터가 구비된 로울러에 의해 면이 절단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된 면은 조리장치로 투입되는데, 조리장치의 본체상부에는 이동되면서 높이가 변화하는 체인이 설치되고 이 체인에 각각 다수의 행거부재를 장착하며 그 일단에 면을 담는 망통을 부착함으로서 체인의 구동에 따라 망통이 이동되면서 먼저 1차 가열부에서 끊은 물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향 이동되고 다시 냉각부로 들어가 면이 냉각된 후 다시 2치 가열부로 들어가 재차 가열되는 순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본체의 상부에는 별도의 소스통이 설치되고 전면에 설치된 테이블에 그릇을 놓으면 냉각된 망통, 혹은 2차 가열된 망통이 상부에 위치할때 체인 구동을 일시 정지시켜 상기 테이블에 안치된 그릇에 면을 받은 후 소스통으로 부터 원하는 소스를 받으면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원하는 분량의 제면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장치가 센서와 연결되어 있고 이 센서는 콘트롤 박스에서 제어된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면장치(1)와 조리장치(2)로 구성된다. 제면장치(1)의 상부에는 호퍼(3), (3'), (3'')가 설치되는데 이 안에 각각 재질이 다른 원료를 투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호퍼(3), (3'), (3'')는 호퍼베이스(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호퍼베이스(4)는 베이스(5)와 체결된다. 체결된 호퍼 베이스(4)와 베이스(5)의 내부에는 배분장치(6)가 장착되는데, 상부에서 부터 하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에는 배분회전대(7)가 형성되고 그 아래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구멍(8'), (9')이 천공된 상배분판(8)과 유출량 조정판(9)이 설치되며, 상기 유출량 조정판(9)의 일측에는 유출량 조정판(9)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개폐레버(10)가 연설되어 있다. 또 그 아래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구멍(11')이 천공된 하배분판(11)이 삽입설치되고 이 하배분판(11)의 하면에는 한쪽 커플링부재(18)가 끼워져 배분회전대(7)의 회전축(7a)에 보울트로써 체결되어 있다. 중앙에 축삽된 회전축(12)의 상부 외주에는 회전판(13)이 삽입설치되며, 이 회전판(13)은 그 하부에 다수의 구멍(14')이 천공된 정량판(14)과 핀(15)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정량판(14)의 일측에는 정량조정판(16)이 접면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 구멍(17G)이 천공된 밑판(17)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의 상부는 커플링 부재(18), (19)와 결착되어 회전축(12)의 구동시 이 커플링 부재(18), (19)를 통해 상부의 배분 회전대(7)에 동력을 전달하며, 회전축(12)의 하부에는 베이스(5) 저면에 결착되는 전자석(20), 이 전자석(20)과 결합되면서 키이(21)에 의해 회전축(12)과 결착되는 전자 클러치(22), 클러치 조정부재(23)에 의해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 축상 회전하는 스프라켓(24)이 관삽되면, 상기 베이스(5)의 일측면에는 배출공(5')이 천공되고 그 하부에 센서(6'')가 부착된 깔때기(6')가 설치되는데, 이 센서(6'')는 원하는 원료의 양을 감지하여 전자석(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분장치(6)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배분장치(6)의 하부에는 이송장치(25)가 설치되는데, 이 이송장치(25)는 케이스(26)내의 밑판(27)이 결합되고 이 밑판(27)의 일측에는 배출공(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축(28), (29)이 관삽되는데, 축(28)의 외부에는 스프라켓(30)을 끼우고, 축(29)에는 장공(31')이 형성된 슬라이더(31)와 풀리(32)를 형성한다. 스프라켓(30)과 풀리(32) 사이에는 지지간(33)과 벨트 조정 슬라이더(34)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35)이 내장되며, 상기 축(28), (29)의 구동에 따라 스프라켓(30)과 풀리(32)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벨트(36)가 권취되고, 이 벨트(36)의 일측에 밀대한(37)이 형성되어 밑판(27)에 떨어진 원료를 배출공(27')까지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분장치(6)과 이송장치(25)는 그 회전력을 일측에 설치된 모터(38)에 의해 전달 받는데 이 모터(38)이 상부에는 2중 분할된 풀리(39), (40)가 형성되어 상부 풀리(39)는 이송장치(25)의 축(28), (29)에 벨트로 연결되고 하부 풀리(40)는 배분장치(6)의 중앙에 있는 회전축(12) 일단에 결합된 스프라켓(24)과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분되어 이송된 원료는 이송장치(25)의 밑판(27)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27')를 통과하여 센서(43'')가 부착된 깔때기(43)를 통해 믹싱장치(44)로 되는바, 상기 센서(43'')는 일정량의 원료를 이동하면 이송장치(25)의 작동을 멈추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믹싱장치(44)는 양단에 브라켓(41), (42)을 형성하여 베이스(5)에 결착되며 그 구성은 믹서튜브(45)와 그 안에 믹싱축(46)이 설치되고 이 믹싱축(46)의 일단에는 풀리(47)가 형성되어 벨트(48)로 그 하부 일측 지지부재(49)에 설치된 모터(50)와 연결된다. 상기 믹싱축(46)은 바람직하게는 팔각통상이며 선단에 스크류(46')가 형성되어 투입된 원료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직날(51)과 경과날(52)의 교대로 형성되어 믹싱 작용을 한다.
이때 믹서튜브(45)의 상부 일측에는 물주입공(45')과 진공호올(45'''')이 천공되며 본 발명 제면장치 저부에 설치된 물탱크(53)의 물을 물주입공(45')을 통해 양수펌프(54)를 이용하여 호스(55)를 통해 상기 물주입공(45')에 투입 원료를 반죽하며, 상기 깔때기(43)와 연통되는 원료투입공(43')과 하부 일측에 원료배출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믹싱장치(44)의 하부에는 성형장치(56)가 설치되는데 상부에는 가압로울러(57), (58)가 설치되어 믹싱된 원료가 지지체(56') 상부에 형성된 깔때기(56'')를 통해 내려오면 이를 가압하며, 상기 깔때기(56'')에는 2개의 센서(56'''), (56'''')가 부착되어 센서(56''')는 믹싱장치(44)로 부터 내려오는 반죽된 원료의 양을 적정양 일때 감지하여 믹싱장치(44)의 가동을 멈추고 센서(56'''')는 모든 원료가 하향 이동될때 성형장치(56)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로울러(57)를 가압하는 조정너트(51) 및 조정바아(60)가 플레이트(61)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가압로울러(57)는 그 하부에 일측에 있는 로울러(62)와 맞물려 있고 가압로울러(58)는 일측의 모터(63)와 벨트(64)로 연결되어 회전하며, 이 벨트(64)의 일측면에 걸리도록 로울러(65)를 하부에 형성하고 이 로울러(65)와 그 하부에 설치된 콘베이어 망벨트(66)를 구동시키는 회전 로울러(67)와 벨트(68)로 연결된다. 또한 가압로울러(57), (58) 하부에는 가압된 원료를 안내하는 안내지지간(57'), (58')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울러(58)는 로울러(62), (69)와 벨트(70), (71)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하는데 로울러(69)는 면 형상을 만들어 주는 2개의 성형로울러(72), (73)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한다.
콘베이어 망벨트(66)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는 제면장치(1)의 도어(74)에 형성된 개폐문(75)를 통해 유출되어 연속된 콘베이어 벨트(76)를 따라 이동된다. 도어(74)의 전면에는 콘트롤 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베이어 벨트(76)의 일측 상부에 커터(77')가 형성된 회전로울러(77)가 설치되며 이의 구동은 별도로 구비된 모터(78)에 의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이송된 원료를 조리장치(2)로 투입되는 바, 이 조리장치(2)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장치(2)는 순환하는 체인(100)이 설치되며, 이 체인(10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부재(101)가 형성되고 각 행거부재(101)는 그 일단에 망통(102)을 구비하여 면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인(100)은 진동형으로 이하는데 행거부재(101)에 구비된 망통(102)은 순차적으로 본체(103)내의 1차 가열부(104), 냉각부(105), 2차 가열부(106)를 통과하며, 상기 1차 및 2차 가열부(104), (106)는 그 내부에 히터(107)가 내장되어 있고 냉각부(105)에는 그 외부 저면에 송풍기(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망통(102)은 그 저면에 받침대(109)를 형성하되, 그 일단을 절곡하여 걸림부(109')를 형성, 일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10)의 축(110')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체인(100) 구동은 본체(103)의 저면 일측에 설치된 모터(111)에 의해 구동된다. 본체(103)의 상부에는 소스가 수장된 소스통(11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103)의 전면에는 테이블(114)이 형성되어 여기에 그릇을 올려놓고 망통(102) 내의 조리된 면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호 115는 솔레노이드 밸브, 116은 면이 콘베이어 망벨트(66)를 지날때 남은 찌꺼기 담는 수장부, 117은 베어링, 118은 호퍼를 덮은 뚜껑, 119는 손잡이, 120, 121, 122는 1차 가열부(104), 냉각부(105), 2차 가열부(106)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주입구, 123은 냉각부(105)를 통과한 망통(102)의 받침대(109)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솔레노이드(110)를 작동시키는 선택버튼, 124는 2차 가열부(106)를 통과한 망통(102)의 받침대(109)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솔레노이드(110)를 작동시키는 선택버튼, 125는 유량계, 126은 밸브, 127은 부스터, 128은 콘트롤부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편의상 호퍼가 3개인 경우에 한정하여 서술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1개, 2개 혹은 4개 일수도 있다.
각 호퍼(3), (3'), (3'')이 재질이 다른 원료를 투입한 다음 본 발명의 제면장치(1)를 가동시키면 각각 설치된 모터들이 구동하여 배분장치(6), 이송장치(25), 믹싱장치(44), 성형장치(56)를 가동시킨다. 상기 배분장치(6)는 결착된 호퍼베이스(4)와 베이스(5)의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12)를 회전시키는데 이는 회전축(12) 일단에 형성된 스프라켓(24)이 모터(38)의 2중 분할된 풀리(40)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기 시작한다.
첨부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라켓(24)이 회전하면 먼저 전자석(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성을 띠게 되면 이에 관삽된 전자클러치(22)가 자력을 띠게 된다. 그러면 그 하부에 클러치 조정부(23)에 의해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스프라켓(24)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스프라켓(24)의 회전력이 전자클러치(22)에 전달되어 결국 이 전자클러치(22)와 키이(21)로 결착된 회전축(12)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축(12)이 회전하면 이에 형성된 회전판(13), 핀(15)으로 결합된 정량판(14)이 회전하고 동시에 커플링 부재(18), (19)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배분 회전대(7)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회전하면 호퍼(3)내에 수장된 원료는 배분회전대(7)바로 밑에 설치된 상 배분판(8)의 구멍(8')를 통과하고 계속하여 개폐레버(10)에 의해 배분판(8)의 구멍(8')와 연통되게 한 유출량 조정판(9)의 구멍(9')를 통과하고 그 아래의 하배분판(11)의 구멍(11')을 신속하게 통과한다. 이렇게 하향 이동된 원료는 계속하여 회전축(1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3)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정량판(14)를 통과하는데 이때 정량판(14) 바로 위에는 정량 조정판(16)이 설치되어 있어 위에서 부터 내려와 쌓이는 원료를 일정량 만큼 안내해준다.
즉 상기 정량 조정판(16)은 고정되어 있어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정량판(14)이 회전하면서 이에 쌓이는 원료가 정량 조정판(16)은 통과할 때 안내되어 구멍(14')를 통과하여 이어서 밑판(17)의 구멍(17') 및 베이스(5)의 구멍(5')을 바로 통과하고 그러면 깔때기(6')를 통과하여 이송장치(25)로 낙하된다. 깔때기(6')에는 센서(6'')가 부착되어 있어 만일 10인분의 양만 내려 보내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74)의 전면에 형성된 콘트롤부(74')에서 미리 10인분양의 신호를 입력시키면 이 신호가 센서(6'')에 전달되는데 일정시간이 지나면 즉 10인분 양이 배분장치(6)를 통과하면 센서(6'')에 의해 전자석(2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며, 그러면 자성을 상실하므로 전자석(20)에 관삽된 전자클러치(22)와 스프라켓(24)이 단속되어 스프라켓(24)의 회전력이 전자클러치(22)에 전달되지 못하는 결과가 되므로 결국 키이(21)로 결착된 회전축(12)이 회전을 멈추게 되어 배분장치(6)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송장치(25)는 상기 모터(38)에 의해 구동되는데 모터(38)의 2중분할된 풀리(39)와 이송장치(25)의 축(28), (29)과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8)에 의해 축(28), (29)이 회전하면 축(28)은 스프라켓(30)이 관삽되어 있고 축(29)은 장공(31')이 형성된 슬라이더(31)와 풀리(32)로 관삽되어 있어 이에 권취된 벨트(36)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시 벨트(36)의 구동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축(28), (29) 사이에는 지지판(33)과 벨트 조정 슬라이더(3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안에 스프링(35)이 장착되어 지지판(33)이 고정된 상태에서 스프링(35)의 힘이 벨트 조정 슬라이더(34)를 밀고 그러면 풀리(32)에 상기 미는 힘이 전달되어 벨트(36)가 느슨해지지 않고 평팽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31)에 장공(31')이 천공되어 축(29)이 끼워져 있어 스프링(35) 힘에 의해 풀리(32) 및 슬라이더(31)가 이동할 수 있어 권취된 벨트(36)에 스프링 힘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벨트(36)가 회전하면 이 벨트(36) 일측면에 형성된 밀대판(37)이 밀판(27)을 따라 타원운동을 한다. 이러는 과정에서 상기 배분장치(6)로 부터 깔때기(6')를 통해 낙하된 원료가 밑판(27)의 (a) 지점에 떨어지면 벨트(36)의 구동을 따라 타원 운동을 하는 밀대판(37)에 의해 안내되어 밑판(27)의 일측면에 천공된 배출공(27')을 통해 투하된다.
본 발명은 편의상 3개의 호퍼(3), (3'), (3'')에 한정하여 설명하므로 각 호퍼는 별도의 배분장치가 구비되어 수장된 원료를 하나의 이송장치(25)에 낙하시키므로 각 호퍼에서 투하된 원료는 이송장치(25)의 밑판(27)의 (a), (b), (c) 지점에 각각 떨어지게 되므로 회전하는 밀대판(37)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작용으로 배출공(27')으로 떨어뜨리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이송장치(25)의 배출공(27')을 통해 투하된 원료는 원료투입공(45'')에 결합된 깔때기(43)를 지나 믹싱장치(44)에 투입된다.
상기 깔때기(43)에는 센서(43'')가 부착되어 있어 콘트롤부(74')에 의해 지시된 신호에 따라 이송장치(25)에 쌓이는 원료를 투하한 후 이송장치(25)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믹싱장치(44)로의 원료투입을 중지시켜 주는 것이다.
믹싱장치(44)는 믹서튜브(45)안에 믹싱축(46)이 삽입되어 있고 그 일단은 풀리(47)가 결합되고 이것은 모터(50)와 벨트(48)로 연결되어 있어 모터(50)가 가동하면 벨트(48)를 경유하여 풀리(47)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믹싱축(46)이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믹서튜브(45)의 상부 일측에 물 주입공(45')이 형성되고 이에 양수펌프(54)와 호스(55)로 연결되어 있으며 저부에 설치된 물탱크(53)에 수장된 물을 상기 양수펌프(54)의 가동에 의해 호스(55)를 통해 믹서튜브(45)안으로 주입하면 이때 깔때기(43)를 통해 투입된 원료와 혼합되고, 동시에 회전하는 믹싱축(46)에 믹싱이 되는 것이다. 믹싱축(46)의 회전시, 믹싱축(46)의 선단에는 스크류(46')가 형성되어 원료투입공(45'')을 통해 투입되는 원료는 회전하는 스크류(46')의 나선방향을 타고 좌측으로 이동되며, 믹싱축(46)에는 교대로 수직날(51)과 경사날(52)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는 믹싱축(46)을 따라 이동하는 물과 혼합되는 원료가 경사날(52)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고 수직날(51)에서 순간적으로 정체되어 물과 양호하게 혼합되며 이러한 작동은 믹싱축(46)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므로 원료의 반죽상태가 양호해지며 상부중앙에 천공된 진공호올(45'''')을 통해 반죽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 등을 별도의 진공펌프(미도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반죽상태는 더욱 좋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반죽된 원료는 믹서튜브(4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원료배출공(45''')을 통과하여 지지부재(49)의 상부에 형성된 깔때기(56'')를 통과하여 성형장치(56)로 투입된다.
상기 깔때기(56'')에는 센서(56'''), (56'''')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 센서(56'''), (56'''')는 콘트롤부(74')의 설정된 값의 신호, 예를 들어 10인분만 배출코자 하는 경우, 이 설정신호를 센서(56'''), (56'''')에 보내면 10인분 양만 믹싱된 후 성형장치(56)로 이송되면 센서(56''')가 작동하여 믹싱장치(44)를 멈추고 이어서 성형장치(56)를 모두 거치는 순간 센서(56'''')에 의해 성형장치(56)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성형장치(56)의 상부에는 그 회전수가 다른 가압로울러(57), (58)가 설치되어 있는 반죽된 원료가 그 사이를 통고하면서 압축된다.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하부에 모터(6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모터(63)와 가압로울러(58)가 벨트(64)로 연결, 구동되며, 이 벨트(64)의 일부에 로울러(65)가 접촉되어 구동한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울러(58)와 로울러(62), (69)가 벨트(70), (71)로 연결되어 있고 로울러(69)가 성형로울러(72), (73)와 맞물려 회전시킨다.
즉, 모터(63)의 구동하면 맨먼저 벨트(64)에 의해 가압로울러(58)가 로울러(65)가 회전하고 이 회전하는 로울러(65)는 벨트(68)에 의해 로울러(67)를 회전시켜 접치된 콘베이어 망벨트(66)를 이동시키며, 한편 회전하는 가압로울러(58)가 벨트(70)에 의해 로울러(62)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벨트(71)에 의해 로울러(69)를 회전시키므로 성형로울러(72), (73)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회전하는 로울러(62)와 맞물린 가압로울러(57)가 회전되는 것이다.
하나의 모터(63)에 의해 본 발명 성형장치(56) 전체의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하는 가압로울러(57), (58) 사이로 내려오는 반죽된 원료는 압축되어 내려오고 안내지지간(57'), (58')을 따라 하향 이동되어 회전하는 성형로울러(72), (73)를 통과하면서 면형상이 형성되며 계속하여 하향 이동되어 이동하는 콘베이어 망벨트(66)에 얹혀져 도어(74)에 형성된 개폐문(7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2개의 가압로울러(57), (58)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레이트(61) 상부에 형성된 조정너트(59)를 조정하면 플레이트(61)에 의해 가압로울러(75)가 전·후진되어 간격조정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면장치(1)는 호퍼내에 원료투입 이후 개폐문(75)밖을 유출될 때까지의 모든 과정이 수초내에 수행되며, 본 발명에서 예시한 호퍼가 3개일 경우 각 호퍼에 다른 재료가 들어 있어 호퍼(3)의 원료를 일정량만큼 제면한 후 다른 원료를 투입코자 할 경우에는 모든 구동수단을 멈춘 상태에서 다시 콘트롤부(74')의 명령신호에 따라 다른 호퍼(3') 하부에 설치된 배분장치를 가동시키고 이하 나머지 가동방법은 상기 작용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하나의 제면장치(1)로 여러가지 다른 재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면장치(1)에 의해 제면공정이 수행된 후 이면은 조리장치(2)로 투입되는데, 제면장치(1)의 외부 일측에 제면장치(1)내의 하부에 설치된 콘베이어 망벨트(66)과 동일하게 구동되도록 연결된 콘베이어 벨트(76)가 설치되어 개폐문(75)를 통과한 면은 계속하여 상기 콘베이어 벨트(76)를 타고 조리장치(2)로 이송되며, 이 과정에서 콘베이어 벨트(76) 일측면 상부에 커터(77')가 구비된 회전로울러(77)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로 설치된 모터(78)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로울러(77)가 회전하면서 커터(77')가 이송되어 오는면을 일정 길이 만큼 절단해 주며, 이렇게 절단된 면은 망통(102)에 순차적으로 투입된다.
첨부도면 제1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통(102)은 행거부재(101)에 부착되어 있고 이 행거부재(101)는 체인(10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본체(103) 내부의 일측에 모터(111)가 설치되어 이 모터(111)의 구동에 따라 체인(100)은 진동형운동을 하면서 순환한다.
따라서 면이 담긴 망통(102)은 먼저 하향이동되어 1차 가열부(104)를 통과하는데 1차 가열부(104)는 그 내부에 히터(107)가 구비되어 있고 물이 들어 있어 히터(107)에 의해 물이 끓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망통(102)이 통과하므로 망통(102)내에 수장된 면이 삶아진다.
이렇게 삶아진 면을 동반한 망통(102)은 계속되는 체인(100)의 순환에 따라 상향 이동되어 나오고 이어서 냉각부(105)를 통과한다. 냉각부(105)에는 냉수가 들어있고 그 외부 하측에 송풍기(108)가 설치되어 있어 송풍기(108)가 작동되면 이 바람이 냉각부(105)로 유입되어 냉수에 기포가 발생하여 이를 통과하는 망통(102)안의 면에 부딪히면서 터지는 현상이 일어나 면을 더욱 찰지게 해준다.
만일 사용자가 냉면을 먹고 싶을 경우에는 냉각부(105)를 통과한 망통(102)이 올라올 때 소스통(112)중 냉면 육수가 수장된 소스통에 형성된 콘트롤부(128)의 버튼을 누르면 체인(100)의 구동이 멈추고 이때 테이블(114)에 그릇을 올려 놓고 선택버튼(123)을 누르면 망통(102) 하부의 받침대(109)가 열리게 되어 면이 안치된 그릇에 쏟아져 먹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대(109)가 열리는 동작은 일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1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한데 첨부도면 제1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10)가 작동하면 돌설된 축(110')이 받침대(109)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109')와 걸려있어 축(110')이 좌로 이동하면 받침대(109)도 같이 이동되면 망통(102)의 하부가 개방되어 수장된 냉면이 밑으로 쏟아지는 것이다. 그러면 소스통(112)에 형성된 밸브(126)를 열어 그릇에 냉면육수를 담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1차 가열부(104)를 지나 냉각부(105)를 통과하여 다시 2차 가열부(106)를 통과하면서 면은 완전히 삶아져 먹기 좋은 상태가 된다. 이를 먹고자 할 때에는 상기 냉면을 받을 때와 마찬가지로 테이블(114)에 그릇을 올려놓고 콘트롤부(128)의 버튼을 누르면 체인(100)은 임시 정지하고 이어서 선택버튼(124)를 눌러 솔레노이드(110)를 작동시켜 받침대(109)를 빼내면 되고, 빼낸 받침대(109)를 다시 밀어 넣을 때에는 솔레노이드(110)를 작동시켜 수축된 축(109')을 빼내면 받침대(109)가 다시 개방된 망통(102) 하부를 폐쇄시키는 것이며 이어서 콘베이어 벨트(76)를 통해 공급되는 면을 다시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취향에 맞는 면을 선택하여 단시간내에 빼내어 먹을 수 있도록 원료투입에서 완전 제면까지의 공정을 자동화한 것이며, 면을 뽑아내는 양을 임의로 조정가능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청소 또한 간편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9)

  1. 본체로 된 원료를 혼합 반죽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면부(1)와, 이 제면부(1)에서 성형된 면을 끓는 물로써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부(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면부(1)는 원료를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3)내의 원료를 정량공급하는 배분장치(6)와, 이 배분장치(6)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량의 원료를 혼합반죽하는 믹싱장치(44)와, 이 믹싱장치(44)에서 혼합반죽된 원료를 소정형상의 면제품으로 성형하는 성형장치(56)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장치(2)는 1차 가열부(104), 냉각부(105), 및 2차 가열부(106)와, 면제품을 담아서 이송하는 운반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면부(1)의 배분장치(6)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2)과, 이 회전축(12)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13), 정량조정판(16), 정량판(14)과, 상기 회전축(12)의 상부에 결합된 배분회전대(7)와 이 배분회전대(7)의 축(7a)상에 삽입설치되면서 원주방향으로 원료유출구멍(8'), (11')이 다수개 소정간격으로 천공된 상배분판(8) 및 하배분판(11)으로 구성된 자동제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분장치(6)의 상배분판(8)과 하배분판(11) 사이에, 다수개의 구멍(9')이 원주방향을 따라 천공되고 일측에 개폐레버(10)가 구비된 유출량 조절판(9)이 상기 상배분판(8)과 하배분판(11)과 동축으로 삽입설치되어, 상기 개폐레버(10)를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배분판(8)과 하배분판(11)에 천공된 원료유출구멍(8'), (11')를 차단 또는 개폐함으로써 이 유출구멍(8'), (11')을 통하여 하부로 공급되는 원료의 량을 조절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배분회전대(7)의 축(7a) 하단에는 상부 커플링부재(19)가 보울트로써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2)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커플링부재(18)와 맞물리는 하부커플링(19)이 체결되어 회전력을 배분회전대(7)에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의 하부에는 베이스(5) 저면에 고착된 전자석(20)과 전자클러치(22)가 동축으로 삽입설치되어 있고 이 전자클러치(22)의 키이(21)로 회전축(12)에 결착되며, 클러치조정부재(23)에 의해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 스프라켓(24)이 관십되어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분장치(6)와 믹싱장치(44) 사이에는, 케이스(26) 내에 일측으로 배출공(27')이 천공된 밑판(27)이 결착되고 그 중앙에 일정간격 떨어져 축(28), (29)이 설치되며, 축(28)에는 스프라켓(30)을, 축(29)에는 이 축(29)이 관삽된 장공(31')이 형성된 슬라이더(31)와 풀리(32)가 설치된 구조로 된 이송장치(25)가 연결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30)과 풀리(32) 사이에는 지지판(33)과 벨트 조정 슬라이더(34)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 스프링(35)를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30)과 풀리(32)에 벨트(36)를 권취하고 이 벨트(36)의 일측에 밀대판(3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장치(44)는 그 둘레에 수직날(51)과 경사날(52)이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2)는 상하방향으로 파형을 이루는, 체인(100)을 무한궤도식으로 설치하고, 이 체인(100)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행거부재(101)가 부착설치되며, 이 행거부재(101)에 일단에 망통(102)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2)를 체인(100)의 파형 구동에 의해 행거부재(101)에 매달린 망통(102)이 하강시마다 상기 1차 가열부(104), 냉각부(105), 2차 가열부(106)를 통과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9. 제14항에 있어서, 행거부재(101)에 부착된 망통(102) 저면에 받침대(109)를 형성하되, 그 일단에 절곡하여 걸림부(109')를 형성하여 일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10)의 축(110')와 결합되어 개폐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면 장치.
KR1019920017958A 1992-09-30 1992-09-30 자동 제면 장치 KR95000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958A KR950009028B1 (ko) 1992-09-30 1992-09-30 자동 제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958A KR950009028B1 (ko) 1992-09-30 1992-09-30 자동 제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473A KR940006473A (ko) 1994-04-25
KR950009028B1 true KR950009028B1 (ko) 1995-08-14

Family

ID=1934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958A KR950009028B1 (ko) 1992-09-30 1992-09-30 자동 제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8303A1 (en) * 2005-02-21 2006-08-24 Metatek Co., Ltd. Cooking device of chinese noodles and the cooking method thereof
WO2022180611A1 (en) * 2021-02-25 2022-09-01 Subbiah Muthukumaran A smart noodle ma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000A (ko) * 2001-07-04 2003-01-14 신맹균 제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8303A1 (en) * 2005-02-21 2006-08-24 Metatek Co., Ltd. Cooking device of chinese noodles and the cooking method thereof
WO2022180611A1 (en) * 2021-02-25 2022-09-01 Subbiah Muthukumaran A smart noodle m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473A (ko) 199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712A (en) Process for making bread
US5630358A (en) Countertop appliance for making disc-shaped edibles
CN1092024C (zh) 生产匹萨饼的方法和装置
US20050123659A1 (en) Pizza making method and system
KR100949167B1 (ko) 쌀국수 제조장치
CN110325047B (zh) 用于对产品团进行搅拌揉捏的搅拌揉捏装置和方法
KR950009028B1 (ko) 자동 제면 장치
JPH11514267A (ja) 食品分与機械
CN217218086U (zh) 具有微波杀菌烘焙熟化干燥功能的宠物食品生产线
KR101426688B1 (ko) 호떡 성형기
CN210094575U (zh) 一种面类食品即时制作的全自动设备
KR100456904B1 (ko) 봉 형상 강정 성형 장치
KR101849013B1 (ko) 알밥 성형장치
EP1629717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dapted to supply dosed amounts of flour and of bread improver to a dough mixing machine
KR101131453B1 (ko) 원통형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0287622Y1 (ko) 크레페용 전병 자동 제조장치
KR100425808B1 (ko)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0282352Y1 (ko)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CN214210264U (zh) 一种面粉加工用搅拌设备
KR200341249Y1 (ko) 일인분용 연속 제면기
JP3447100B2 (ja) 煎餅製造のための蒸煮方法と蒸練装置
KR200292998Y1 (ko) 봉 형상 강정 성형 장치
KR20220089007A (ko) 떡의 제조장치
KR20210131553A (ko) 누룽지 제조시스템의 밥 성형장치
KR20230010371A (ko) 누룽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