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61B1 -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61B1
KR101846861B1 KR1020120114372A KR20120114372A KR101846861B1 KR 101846861 B1 KR101846861 B1 KR 101846861B1 KR 1020120114372 A KR1020120114372 A KR 1020120114372A KR 20120114372 A KR20120114372 A KR 20120114372A KR 101846861 B1 KR101846861 B1 KR 10184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panel
door inner
impac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961A (ko
Inventor
남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및 차 실내 측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되는 도어 모듈을 포함하며,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모듈 사이에서, 도어 인너 패널의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의 내부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도어가 차실 내부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억제하여 탑승자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도록 도어 임팩트 빔이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임팩트 빔 이외에, 도어 임팩트 빔을 도어 인너 패널에 고정하는 브라켓과 도어 인너 패널과의 사이에 이들의 충격을 완화하는 사이드 임팩트 패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에는 래치 어셈블리와 윈도우 레귤레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한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도어 모듈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사이드 임팩트 패드의 경우, 그 강도가 크면, 충돌에너지가 승차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고, 강도가 작으면, 상대 차량이 승차자를 직접 타격하여 상해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사이드 임팩트 패드의 적용 시, 수차례의 튜닝 과정을 거치면서 사이드 임팩트 패드의 이상적인 강도를 찾게 되며, 이로 인한 제작 원가 및 시험 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다른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기배출구를 통한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패드를 도어 내부에 장착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및 차 실내 측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되는 도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모듈 사이에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의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홀을 갖는 결합 플랜지, 및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배출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조 공기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에 이웃하는 일측면과 하부에 각각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은 후방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가 끼워지는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드가 전달된 충격력에 의해 붕괴되면서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해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에어의 배출 간섭만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패드를 구성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시험 비용 및 시험 일정이 축소되며,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도어 인너 패널에 충격흡수패드가 장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도어 모듈 패널에 대한 충격흡수패드의 배치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도어 인너 패널에 충격흡수패드가 장착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도어 모듈 패널에 대한 충격흡수패드의 배치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100)는 도어 아웃터 패널(미도시)과, 이에 결합되는 도어 인너 패널(110), 및 차 실내 측에서 도어 인너 패널(110)에 장착되는 도어 모듈(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과 도어 모듈(120) 사이에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의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은 후방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및 제2 끼움홈(111, 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흡수패드(130)는 공기배출구(135)를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적용되는 충격흡수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충격흡수패드(130)는 바디부(131), 결합 플랜지(133), 및 공기배출구(135)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바디부(131)는 에어가 채워지고, 배출되도록 내부에 공간부(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플랜지(133)는 상기 바디부(13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에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 플랜지(133)의 중앙에 체결홀(134)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홀(134)을 통해 도어 인너 패널(110)에 볼팅 결합된다.
상기 공기배출구(135)는 상기 바디부(131)의 타측에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31)의 공간부(132)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다.
이러한 공기배출구(135)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바디부(131)가 붕괴되면서 공간부(132) 내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하는 홀이며, 전달되는 충격력에 따라 공간부(132) 내 에어의 배출속도에 따른 에어의 배출 간섭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31)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조 공기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136)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단(136)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상기 충격흡수패드(130)가 충돌에너지에 대응하여 이상적인 강도를 갖도록 상기 충격흡수패드(130)의 강도 크기 조절을 위한 예비 홀이 가공될 수 있는 곳이다.
즉, 상기 돌출단(136)은 차량별로 상이한 충돌에너지의 흡수강도에 따라 튜닝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패드(130)의 튜닝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튜닝을 실시할 때에는 작업자가 가공하여 보조 공기배출구인 예비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1)는 일측면과 하부 일측에 각각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137, 138)가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137, 138)는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끼움홈(111, 113)에 각각 끼워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110)에 유동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충격흡수패드(130)는 그 소재가 내열성, 강성, 내유성에 적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100)는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패드(130)가 전달된 충격력에 의해 붕괴되면서 공기배출구(135)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해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탑승객의 상해치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에어의 배출 간섭만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패드(130)를 구성함으로써, 원가가 절감되고, 시험 비용 및 시험 일정이 축소되며,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차량용 도어 110...도어 인너 패널
111...제1 끼움홈 113...제2 끼움홈
120...도어 모듈 130...충격흡수패드
131...바디부 132...공간부
133...결합 플랜지 134...체결홀
135...공기배출구 136...돌출단
137...제1 끼움 플랜지 138...제2 끼움 플랜지

Claims (6)

  1.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및 차 실내 측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되는 도어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모듈 사이에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의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 에어의 배출 간섭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홀을 갖는 결합 플랜지; 및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배출구를 구성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보조 공기배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결합 플랜지에 이웃하는 일측면과 하부에 각각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은
    후방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끼움 플랜지가 끼워지는 제1 및 제2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KR1020120114372A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도어 KR10184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72A KR101846861B1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72A KR101846861B1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61A KR20140047961A (ko) 2014-04-23
KR101846861B1 true KR101846861B1 (ko) 2018-04-09

Family

ID=5065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72A KR101846861B1 (ko) 2012-10-15 2012-10-15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8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6Y1 (ko) * 2008-10-20 2010-07-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6Y1 (ko) * 2008-10-20 2010-07-0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임팩트패드의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61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218B1 (ko) 자동차용 범퍼 빔
KR101316876B1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US9725122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KR100361299B1 (ko) 충격 분산기능을 갖는 차량의 전방실내구조
US8991907B1 (en)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US9481333B2 (en) Bumper back beam for vehicle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US20110169283A1 (en) Impact Absorbing Device and Front End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456465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KR101274470B1 (ko) 전기자동차용 측면 충격흡수유닛
KR20120127757A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유닛
KR101846861B1 (ko) 차량용 도어
KR101689571B1 (ko) 차량용 범퍼 빔의 보강유닛
KR20130136302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20140039664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US20220205506A1 (en) Impact absorbing body
CN109070941A (zh) 机动车辆的前挡泥板结构
KR20140042969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KR101272051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KR101270937B1 (ko) 차량용 범퍼 스테이 유닛
CN205149960U (zh) 一种汽车及其组合开关装置
KR101795412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609325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0183523Y1 (ko) 충격완화용 범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