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571B1 -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571B1
KR101846571B1 KR1020120127281A KR20120127281A KR101846571B1 KR 101846571 B1 KR101846571 B1 KR 101846571B1 KR 1020120127281 A KR1020120127281 A KR 1020120127281A KR 20120127281 A KR20120127281 A KR 20120127281A KR 101846571 B1 KR101846571 B1 KR 10184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ngine mount
fluid flow
membrane
mai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686A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5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에 코어(110)가 구비되며, 하부에 유체챔버(120)가 구비되는 메인러버(100)와; 상기 메인러버(100)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형상의 브래킷(130)과; 상기 메인러버(100)의 유체챔버(120) 하부에 장착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1멤브레인(140)과; 상기 제1멤브레인(140) 하부에 구비되는 오리피스(150)와; 상기 오리피스(150)와 연동되는 실린더(160)와; 상기 브래킷(130)의 외측면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챔버(120) 및 실린더(160)와 연결되는 유체흐름부(200)와; 상기 유체흐름부(200)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흐름부(200)의 유체 흐름이 단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전동기(300)로 구성되어, 엔진 마운트에 전동기를 적용하여 유체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의 구동기를 반드시 하방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엔진 마운트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레이아웃 자유도를 확보하고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유로 입구에 스위치를 적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멤브래인을 1차와 2차 구조로 적용시켜 고장 발생 시에도 진동 저감이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Engine mount structure of electric motor type}
본 발명은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마운트의 높이를 최소화시키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파워트레인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파워트레인에서 발생된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파워트레인용 엔진마운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엔진 및 변속기를 지지하는 파워트레인용 엔진마운트는 파워트레인의 지지 외에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메인브리지(10)와, 상기 메인브리지(10)의 코어(11)에 삽입되며 엔진 측과 연결되는 볼트(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는 볼트(20)가 삽입된 메인브리지(10)에서만 엔진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하나의 메인브리지(10)를 통해 파워트레인 하중에 대한 내구와 진동 저감에 대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마운트(1) 하부에 구동기가 구비되어 진동 발생에 따른 압력 변화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여 흡인력을 발생시켜 엔진마운트(1)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을 진동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는 엔진마운트 하단에 구동기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증대되어 레이아웃 자유도 확보가 어렵고, 공간 활용도가 낮아 프레임 결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 마운트의 높이를 최소화시키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코어가 구비되며, 하부에 유체챔버가 구비되는 메인러버와; 상기 메인러버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형상의 브래킷과; 상기 메인러버의 유체챔버 하부에 장착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1멤브레인과; 상기 제1멤브레인 하부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브래킷의 외측면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챔버 및 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체흐름부와; 상기 유체흐름부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흐름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유체챔버와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저면에 구비되는 제2멤브래인;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흐름부의 제1파이프 측에는 제1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파이프 측에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위치는 볼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흐름부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엔진 마운트에 전동기를 적용하여 유체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종래의 구동기를 반드시 하방에 위치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엔진 마운트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레이아웃 자유도를 확보하고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유로 입구에 스위치를 적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멤브래인을 1차와 2차 구조로 적용시켜 고장 발생 시에도 진동 저감이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엔진마운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서 엔진 마운트 작동 시 스위치가 켜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서 엔진 마운트 작동 시 스위치가 꺼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에서 엔진 마운트 미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0)와 유체챔버(120)가 구비된 메인러버(100)와, 메인러버(100)의 외측을 형성하는 브래킷(130)과, 유체챔버(120) 하부에 구비되는 제1멤브레인(140) 및 오리피스(150)와, 오리피스(150)와 연동되는 실린더(160)와, 브래킷(130) 외측면에 구비되는 유체흐름부(200)와, 유체흐름부(200)와 연동되는 전동기(300)를 포함한다.
메인러버(1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코어(110) 외측에 구비된다.
이때, 메인러버(100) 하부에는 유체챔버(120)가 구비되어 엔진 마운트의 유체 흐름이 가능하게 한다.
브래킷(130)은 메인러버(100) 외부에 구비되며, 하우징 형상으로 이루어져 엔진 마운트의 외형을 형성한다.
제1멤브레인(140)은 엔진 마운트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메인러버(100)의 유체챔버(120) 하부에 장착된다.
오리피스(150)는 제1멤브레인(140) 하부에 구비되어 엔진 마운트의 유체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오리피스(150)는 실린더(160)와 연동되어 실린더(160)를 통해 유체를 후술하게 될 유체흐름부로 전달시킬 수 있게 한다.
유체흐름부(200)는 브래킷(130) 외측면 일단에 구비되며, 유체챔버(120) 및 실린더(160)와 연결되어 유체챔버(120) 및 실린더(160) 측의 유체가 유체흐름부(200)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유체흐름부(200)는 유체챔버(120)와 연결되는 제1파이프(210)와, 실린더(160)와 연결되는 제2파이프(220)와, 제1파이프(210)와 제2파이프(220)를 연결하는 몸체부(230)와, 몸체부(230) 저면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2멤브래인(240)을 더 포함한다.
전동기(300)는 회전식 전동기로 유체흐름부(200) 외측 상면에 장착되어 유체흐름부(200)의 유체 흐름이 단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유체흐름부(200)의 제1파이프(210) 측에는 제1스위치(211)가 구비되도록 하여 유체챔버(120)와 유체흐름부(200)의 제1파이프(210)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한다.
또한, 유체흐름부(200)의 제2파이프(220) 측에는 제2스위치(221)가 구비되도록 하여 실린더(160)와 유체흐름부(200)의 제2파이프(220)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제2스위치(221)는 볼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어 유체의 단방향 흐름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스위치(211) 및 제2스위치(221)는 전동기(300)와 연동되어 전동기(300) 작동에 따라 스위치 개폐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체흐름부(200)는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에 스크류(250)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인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발생에 의해 엔진 마운트가 작동하게 되면 전동기(300)가 유체흐름부(200) 내부의 유체를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때 유체흐름부(200)에 구비된 스크류(250)를 통해 유체흐름부(200) 내부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11)가 켜지게 되면 유체가 상방 액실로 흐르는 방향으로 유로가 개방되면서 상방 액실에 압력을 가하여 가진을 하게 되고, 제1멤브래인(140)과 유체챔버(120)는 흐르는 유체 압력에 의해 홀이 막히면서 내부 액실이 갇히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코어(110)가 상방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211)가 꺼지게 되면 유체가 상방 액실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유로가 개방되면서 상방 액실에 압력이 낮아져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진시키게 되고, 제1멤브래인(140)과 유체챔버(220)는 흐르는 유체 압력에 의해 홀이 막히면서 내부 액실이 갇히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코어(110)가 하방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발생에 의한 엔진 마운트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제2파이프(220)를 막고 있던 홀이 모터에 의한 유체 압력이 없으므로 풀리게 되어 상방에서 들어오는 힘이 제1멤브래인(140)을 가진하고, 제1멤브래인(140) 내부의 액체가 이동하면서 제2멤브래인(240)을 가진하여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엔진 마운트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멤브래인은 동일하게 작동함으로써 고장 발생 시에도 진동 저감이 가능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브래킷(130)과 전동기(300)가 수평하게 구비되어 엔진 마운트의 사이즈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엔진 마운트가 정상 작동할 때는 제1멤브래인(140)을 통해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엔진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제2멤브래인(240)을 통해서도 진동 저감이 가능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메인러버 110 : 코어
120 : 유체챔버 130 : 브래킷
140 : 제1멤브래인 150 : 오리피스
160 : 실린더 200 : 유체흐름부
210 : 제1파이프 211 : 제1스위치
220 : 제2파이프 221 : 제2스위치
230 : 몸체부 240 : 제2멤브래인
250 : 스크류

Claims (5)

  1. 상부에 코어가 구비되며, 하부에 유체챔버가 구비되는 메인러버와;
    상기 메인러버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형상의 브래킷과;
    상기 메인러버의 유체챔버 하부에 장착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1멤브레인과;
    상기 제1멤브레인 하부에 구비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와 연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브래킷의 외측면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챔버 및 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체흐름부와;
    상기 유체흐름부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흐름부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유체챔버와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저면에 구비되는 제2멤브래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의 제1파이프 측에는 제1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파이프 측에는 제2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는 볼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KR1020120127281A 2012-11-12 2012-11-12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KR10184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81A KR101846571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81A KR101846571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86A KR20140060686A (ko) 2014-05-21
KR101846571B1 true KR101846571B1 (ko) 2018-05-18

Family

ID=5088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81A KR101846571B1 (ko) 2012-11-12 2012-11-12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977A (en) 1992-11-17 1995-02-07 Boge Gmbh Hydraulically damping engine mounting
JP2002039257A (ja) 2000-07-25 2002-02-06 Toyoda Gosei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4232707A (ja) 2003-01-29 2004-08-19 Toyo Tire & Rubber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9108880A (ja) 2007-10-26 2009-05-21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977A (en) 1992-11-17 1995-02-07 Boge Gmbh Hydraulically damping engine mounting
JP2002039257A (ja) 2000-07-25 2002-02-06 Toyoda Gosei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4232707A (ja) 2003-01-29 2004-08-19 Toyo Tire & Rubber Co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9108880A (ja) 2007-10-26 2009-05-21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686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959B2 (en) ABS hydraulic unit
JP5972734B2 (ja) ブレーキユニット
KR102239011B1 (ko) 전기 발전 장치
CN104074920A (zh) 用于车辆的动力总成悬置及具有该动力总成悬置的车辆
KR101846571B1 (ko) 전동식 엔진 마운트 구조
KR101354263B1 (ko) 병렬형 엔진 마운트 구조
JP2008106927A (ja) 防振装置
JP6138608B2 (ja) 並列型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100931043B1 (ko) 차량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유닛
JP2009166647A (ja) 車両用懸架装置
CN108454339A (zh) 一种适用于分布式轮毂驱动电动汽车的悬架系统
KR101390684B1 (ko)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JP4961911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ユニット
KR20170013122A (ko)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JP2002370899A (ja) フォークリフト車両
KR102190452B1 (ko) 유압식 조향장치가 적용된 캐빈형 농작업차
KR100992704B1 (ko) 자동차용 엔진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장착구조
CN217598539U (zh) 车辆的制动系统和车辆
KR100631801B1 (ko) 작동유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유압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134779B1 (ko) 댐핑 밸브를 구비한 유압식 조향장치
KR100928640B1 (ko) 연료분사펌프의 컨트롤 랙 진동방지장치
KR101134882B1 (ko) 댐핑 밸브를 구비한 유압식 조향장치
KR100986341B1 (ko) 롤마운트와 일체로 형성된 스티어링 기어 박스 구조
CN203780597U (zh) 低振动噪音转向机壳体
KR100599269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역류방지밸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