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355B1 -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 Google Patents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355B1
KR101845355B1 KR1020170047819A KR20170047819A KR101845355B1 KR 101845355 B1 KR101845355 B1 KR 101845355B1 KR 1020170047819 A KR1020170047819 A KR 1020170047819A KR 20170047819 A KR20170047819 A KR 20170047819A KR 101845355 B1 KR101845355 B1 KR 10184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delete delete
groove
curve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에코이노텍
정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이노텍, 정지용 filed Critical (주)에코이노텍
Priority to KR102017004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00)가 패널 형태로 거푸집 성형되고; 상기 몸체(10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양쪽 측변에 대칭된 경사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다른 몸체의 연속 반복적인 배열시 직선 또는 곡선 배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선구간에서는 상호 대칭된 형태로 연속 반복 설치하고, 곡선 구간에서는 동일 형태를 취한 상태에서 양쪽 변이 서로 접하여 곡선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경제적 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A precast gutter}
본 발명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제조된 단일 형태의 측구를 통해 도로상의 직선 및 곡선 구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 주행을 위한 차도와 보행자 보행을 위한 인도 사이에는 경계 및 배수를 위해 측구 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측구는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도로상의 우수를 유입하면서 유입된 우수를 하수관 등을 통해 하수 처리시설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구의 일정 위치에는 도로를 통해 유입되어 흐르는 우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집수정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정의 상측에는 도로변의 쓰레기, 나뭇잎 등의 이물질 등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레이팅 덮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측구는,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타설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 공사 과정에서 설치되어 왔었고, 설계시 교통 안정성, 배수량, 경제적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시공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프리캐스트로 공장에서 제조한 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공법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패널 형태로 미리 프리캐스트 제조됨으로써, 균등한 품질 관리가 가능한 장점 그리고 계절 변화에도 빠른 시공이 가능한 장점, 및 별도의 양생 기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벽체 또는 암거 시공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경우 일정크기로 제작하여 연속 반복 설치하는 것이어서 직선 설치는 가능하였지만 곡선 등에는 설치가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실용신안등록 제20-0346107호 공고일 2004년 03월 26일 KR 실용신안등록 제20-0333974호 공고일 2003년 11월 1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프리캐스트로 제조함은 물론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도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배수를 위한 집수정과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하되 그레이팅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프리캐스트 측구를 통해 도로상의 직선 및 곡선 구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몸체가 하나의 패널로 거푸집 성형되며,
상기 몸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대칭된 경사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서로 동일한 다른 몸체의 측면 경사라인을 서로 접하도록 하면서 연속 반복적인 배열시 직선 또는 곡선 배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연속 반복적인 설치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각각 한쪽 상면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경계석의 하단이 안치되어 고정되도록 경계석 안착홈이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저면 일측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경계석이 안착되도록 경계석 안착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대해 다른 몸체가 조인트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인트가, 서로 접하는 접합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몸체와 다른 몸체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 안내홈과, 상기 너트 안내홈과 너트 안내홈을 서로 연결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너트 안내홈에 삽입된 너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다른 몸체를 고정하는 나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표면에 사각형태의 배수홀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의 상단에 그레이팅이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선구간에서는 상호 대칭된 형태로 연속 반복 설치하고, 곡선 구간에서는 동일 형태를 취한 상태에서 양쪽 변이 서로 접하여 곡선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경제적 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측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직선형 조립 상태도,
도 3은 도 1의 평면 곡선형 조립 상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측단면이며 경계석이 안치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프리캐스트 측구의 고정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상태로 평면 곡선형 조립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측구의 제4실시예로 평면 조립도,
도 10은 도 9의 평면 곡선형 조립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측구의 양면 사용을 보인 제5실시예,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측면에 패드가 결합됨을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와 몸체의 결합을 보인 제6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측구에 집수정이 설치됨을 보인 사용상태 평면 요부도,
도 16은 도 15의 "F-F"선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 개략도,
도 18은 도 16의 다른 실시예,
도 19는 도 18의 평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의 경우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성형된 하나의 몸체(100)를 통해 직선 및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은, 몸체(100)가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공장 등에서 거푸집 성형 제조된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제조시 상기 몸체(100)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대칭된 경사라인(120)(130)이 형성되도록 성형 제조한다.
그러면, 상기 몸체(100)를 경사라인(130)에 다른 몸체(100a)의 경사라인(120)를 접하는 형태로 연속 반복하게 되면 곡선(A) 형태의 측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에 대해 또 하나의 다른 몸체(100a)을 뒤집어 경사라인(130)에 다른 몸체(100a)의 경사라인(130)이 접하도록 하면 직선(L) 형태의 측구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a)를 동일 방향 또는 상호 대칭된 방향에 따라 도 2의 직선(L) 및 도 3의 곡선(A)형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 공장에서 제조시 하나의 몸체(100) 제조를 통해 직선(L) 및 곡선(A) 구간의 측구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와 동일 형상이며 뒤집어진 형태로 서로 접하는 몸체(100a)는 조인트(30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300)는, 서로 접하는 경사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a)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310)가 삽입되는 너트 안내홈(320)과, 상기 너트 안내홈(320)과 너트 안내홈(320)을 서로 연결하는 레일홈(340)과, 상기 레일홈(340)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너트 안내홈(320)에 삽입된 너트(31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a)를 고정하는 나사부재(360)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에따라 조립시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a)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대칭된 레일홈(340)에 양단에 너트(310)가 결합된 나사부재(360)을 삽입시킨 후 상기 너트 안내홈(320)에 위치된 너트(310)를 각각 조임시키면 몸체와 이웃한 몸체가 서로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후 상기 너트 안내홈(320) 및 레일홈(340)에 콘크리트 몰탈을 채움시키면 된다.
<제2실시예>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100)와 몸체(100) 그리고,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a)의 서로 접하는 접합면 틈새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의 경사라인,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a)가 접하는 경사라인의 표면에 패드(400) 삽입을 위한 패드 삽입홈(42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패드 삽입홈(420)에 패드(400)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따라, 조립시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의 경사라인,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a) 경사라인에 형성된 패드 삽입홈(420)에 패드(4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30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틈새가 패드(400)를 통해 차단되어 콘크리트 몰탈 없이 수분이 지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7 및 도 8의 도시에 의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300a)는, 서로 접하는 경사라인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 또는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a)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310)가 삽입되는 너트 안내홈(320)과, 상기 너트 안내홈(320)과 너트 안내홈(320)을 서로 연결하는 안내공(340a)과, 상기 안내공(340a)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너트 안내홈(320)에 삽입된 너트(31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a)를 고정하는 나사부재(360a)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면 된다.
상기 나사부재(360a)는, 공지의 직선형이 가능하지만 휘어짐이 가능한 와이어(370a)의 양단에 연결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9 내지 도 10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100)에 경계석(D)이 안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조인트(300)를 통해 연결됨을 보인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 경계석(D)의 하단이 안치될 수 있도록 경계석 안착홈(600)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 타측에 경계석(D)의 하단이 안치될 수 있도록 경계석 안착홈(600a)이 형성되도록 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 상기 몸체(100)와 뒤접어져 접하는 다른 몸체(100a)가 서로 접하는 경사라인에 서로 대칭되게 패드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조립시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가 접하는 경사라인, 상기 몸체(100)와 몸체(100a)가 접하는 경사라인 사이에 패드(4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조인트(30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 후 상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경계석 안착홈(600)(600a)에 경계석(D)을 각각 안치시킨 후 콘크리트 몰탈 등으로 고정하면 된다.
<제5실시예>
도 11 내지 도 13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몸체(100)의 평면 일측과 저면 타측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경계석의 하단이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되어 고정되도록 경계석 안착홈(600)이 형성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이는 공장에서의 제조시 상기 몸체(100)를 하나의 형태로 성형되도록 한 후 현장에서 직선 배열시 하나의 몸체(100)에 대해 다른 몸체(100)를 뒤집어 배열시키도록 하여 직선 배열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제6실시예>
도 14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몸체(100)과 다른 몸체(100)의 상호 배열시 접합면이 암수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 몸체(100)와 다른 몸체(100) 간의 상호 접합시 암형돌기(910)에 숫형돌기(920)가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어 면진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7실시예>
도 15 내지 17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00b)의 표면에 사각형태의 배수홀(800)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800)의 상단에 이물질 걸림을 위한 그레이팅이 걸림 고정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배수홀(800)에는 배수 가능한 그레이팅이 설치되며 그 하측에 집수정(70)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70)의 일측에 상기 집수정(70)과 통로(73)를 통해 연통되며 배수홀(74)이 형성된 배수조(72)가 마련된다.
즉, 상기 집수정(70)이 설치된 위치에는 표면에 배수홀(800)이 형성된 몸체(100b)를 적용하면 된다.
상기 통로(73)는 상기 집수정(70)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이물질 등이 배수조(72)로 이동됨을 방지하고, 또한 통로(73)에는 일방향 개폐밸브(75)가 설치되어 유체 이동시에는 개방되고 유체가 이동되지 않을 경우 자중력을 통해 회전되어 상기 통로(73)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밸브(75)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통로(73)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 배수조(72)의 악취가 통로(73)를 통해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상기 집수정(70)이 상기 배수조(72)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됨을 보인 것이다.
즉, 중간에 상기 배수조(72)가 형성되고 양쪽에 집수정(70)(70a)가 위치되어 집수정(70)(70a)으로 각각 오수 등의 유체가 이동되면 무게가 무거운 찌꺼기 등의 이물질은 바닥으로 가라앉고 유체가 통로(73)(73a)에 각각 설치된 개폐밸브(75)를 각각 밀어내면서 배수조(72)의 배수홀(74)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100a: 몸체
120,130: 경사라인
300,300a: 조인트
400: 패드
600,600a: 경계석 안착홈
800: 배수홀

Claims (9)

  1. 몸체가 하나의 패널로 거푸집 성형되며,
    상기 몸체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대칭된 경사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서로 동일한 다른 몸체의 측면 경사라인을 서로 접하도록 하면서 연속 반복적인 배열시 직선 또는 곡선 배열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평면 일측과 저면 타측에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경계석의 하단이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안치되어 고정되도록 경계석 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와 몸체의 접합면에 패드의 양측이 각각 끼워져 삽입되도록 패드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 다른 몸체가 조인트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인트가,
    서로 접하는 접합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몸체와 다른 몸체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 안내홈과, 상기 너트 안내홈과 너트 안내홈을 서로 연결하는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너트 안내홈에 삽입된 너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다른 몸체를 고정하는 나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도록 하며;
    상기 몸체 중 집수정이 위치된 몸체의 표면에 배수를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형태의 배수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47819A 2017-04-13 2017-04-13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KR10184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19A KR101845355B1 (ko) 2017-04-13 2017-04-13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19A KR101845355B1 (ko) 2017-04-13 2017-04-13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355B1 true KR101845355B1 (ko) 2018-04-04

Family

ID=6197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19A KR101845355B1 (ko) 2017-04-13 2017-04-13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93B1 (ko) * 2018-12-21 2019-06-1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내진보강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99983B1 (ko) * 2021-02-25 2022-05-18 박태선 자전거 도로용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48B1 (ko) * 2009-04-16 2009-11-06 권혁중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JP2009270332A (ja) * 2008-05-07 2009-11-19 Advance:Kk 消雪ブロック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0332A (ja) * 2008-05-07 2009-11-19 Advance:Kk 消雪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100925648B1 (ko) * 2009-04-16 2009-11-06 권혁중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393B1 (ko) * 2018-12-21 2019-06-1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내진보강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99983B1 (ko) * 2021-02-25 2022-05-18 박태선 자전거 도로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355B1 (ko)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US20140255098A1 (en)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100810424B1 (ko) 상단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US20140227030A1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101515104B1 (ko) 팽이형 관로 단면 구조를 갖는 노견겸용 프리캐스트 배수구조물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WO2006082569A1 (en) Adjustable haevy-duty manhole head
JP4596177B2 (ja) 路面用水路施設の形成方法及びその中継用水路ブロック、暗渠型水路ブロック
KR101215875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조 방법
KR100859262B1 (ko) 보도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보도용 블록 조립체
CN114411578B (zh) 一种下穿铁路的箱涵结构及施工方法
JP3074307U (ja) 側溝用ブロック
KR101215873B1 (ko) 누수 및 부식 방지가 완벽한 빗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작방법
KR200337293Y1 (ko) 도로의 측면 배수용 엘형 측구 박스
KR200214402Y1 (ko) 엘형 측구용 원형관
CA2840696C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200435838Y1 (ko) 도수로용 측구
KR100801890B1 (ko) 보강금속링과 수밀링이 일체로 형성된 우·오수받이용합성수지 플랜지
CN210216193U (zh) 拼装式整体涵洞
KR100417801B1 (ko) 측구용 배수관
KR20240066631A (ko) 우수 저류성이 향상되고 다변형이 가능한 측구 저류관로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KR20070051231A (ko)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