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231A -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231A
KR20070051231A KR1020050108809A KR20050108809A KR20070051231A KR 20070051231 A KR20070051231 A KR 20070051231A KR 1020050108809 A KR1020050108809 A KR 1020050108809A KR 20050108809 A KR20050108809 A KR 20050108809A KR 20070051231 A KR20070051231 A KR 2007005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side opening
rubber plate
bolt hole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진석
Original Assignee
여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진석 filed Critical 여진석
Priority to KR102005010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231A/ko
Publication of KR2007005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면이 凹자형인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導水路用側溝)에 있어서, 상기 측구(1)의 전단부(前端部)의 표면(4)에 그 전단부의 단면의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얇은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의 종방향의 양단부의 저면에 가까운 일정 위치에 상기 양측 벽부(3a),(3b)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1개의 볼트공(6a),(6b)이 각각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로용 측구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조의 측구를 2개 이상 종방향으로 결합하여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 위치의 기초부상에서 도수로용 측구(1)의 얇은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는 쪽의 전단부를 인접한 측구(1)의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후단부와 대접시켜 다음, 상기 서로 인접한 측구(1),(1)를 ㄱ자형 앵글(7)을 개재하고 상기 서로 인접한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에 마련되는 볼트공(6a),(6b) 및 기초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볼트공을 통하여 이들 측구(1),(1)를 상호간 및 기초부에 대하여 볼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로용 측구의 시공 방법도 역시 기재하고 있다.
측구(側溝), 배수로

Description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SIDE GUTTER FOR ROAD WATERWAY AND METHOD THEREOF}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로용 측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도수로용 측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수로용 측구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4 및 도 5는 도수로용 측구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도수로용 측구의 우측면도.
도 7은 도수로용 측구를 2개 결합시켜 시공하는 예의 사시도.
도 8은 도수로용 측구를 2개 결합시켜 시공하는 예의 종단면도.
도 9는 도수로용 측구의 체결부 확대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수로용 측구의 서로 다른 변형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측구
2: 바닥판부
5: 고무판
6a,6b: 볼트공
7: 앵글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 자리, 또는 건물 내부(예컨대, 지하 차고, 지하철 구내)의 가장자리에 설비되는 배수로 또는 농ㆍ공업용 용수로(用水路) 등의 수로를 현장에서 조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導水路用側溝)(이하, 간단히 "측구"라고 부른다)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바와 같이, 측구는 그 목적상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그의 전통적인 단면의 기본 구조는 凹자형, U자형 또는 반원형, 역삼각형 및 이들을 다소 변형시킨 형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따라서, 현재까지 그러한 전통적인 凹자형, U자형,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 구조의 측구에 대하여 그 구조를 역학적으로 강화하는 방안 내지 수단이 부여된 다양한 형식의 측구들이 고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 등록 제192084호는 콘크리트제 수로관의 바닥 및 양측벽 구조의 내부에 철근(또는 철망)을 매입시키고 (일본국 공개 특허 제2000-54470호도 함께 참고할 것), 상단의 덮개가 닫는 부위에 보강 철판이 설치된 구조의 수로관을 기재하고 있고,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평5-83089호는 U자형의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에 있어서 양측벽의 상단면의 양쪽으로 경사지도록 성형하여 노면이 침하되더라도 노면과의 단차가 크게 생기지 않도록 구성한 수로관을 기재하고 있으며, 일본국 공개 특허 평2-58645호 및 평2-47436호는 각각 수로용 콘크리트 블럭에 있어서, 예컨대 그 블럭의 외부의 저면 등에 단면이 삼각형인 돌기를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또는 측벽의 외면의 적당한 위치에도 적절한 갯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지반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강화시킨 콘크리트 블럭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용도의 거푸집은 실용신안 공보 제1992-7181호,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소50-127929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다양한 콘크리트제의 측구에 있어서는 설치 장소의 지반과의 결합력을 도모하는 외에도, 일정 길이의 도수로용 측구를 서로 종방향으로 결합시켜 시공할 경우, 각 측구 상호의 결합 안정성 및 그 결합 부위에서의 누수의 최소화 등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종전에도 측구 상호의 결합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도수로관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타측단부에는 걸림홈을 형성한 이른바 암수형[자웅형(雌雄型)] 구조를 취하게 함으로써 도수로관의 상호 종방향으로 조립 시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있는 것(공개 실용신안 제2001-1551호), 또는 구성이 이와 다소 유사하지만 측구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적당한 볼트공을 통하여 측구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소54-69638호) 등이 있으나, 이들은 어느 것이나 그 측구 자체의 성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서로 조립ㆍ결합되는 부분들의 견고성 및 누수 방지성이 취약하므로, 예컨대 지반 침하 등 설치 부위의 환경 변동에 민감하게 되어 그 본래의 기능을 보장받을 수 없는 결점들 때문에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콘크 리트제 배수로의 내부 및 외측면이 금속판으로 되어 있는 것(등록 실룡 신안 제352869호) 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경우에는 제조 설비 및 제조 단가의 면에서 크게 불리하므로 실용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전의 결점들을 크게 개선시킴으로써 측구 상호간의 결합력의 견고성 및 상호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누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단면이 凹자형인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에 있어서, 상기 측구의 전단부(前端部)의 표면에 그 전단부의 단면의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얇은 고무판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측구의 양측 벽부의 양단부의 저면에 가까운 일정 위치에 상기 양측 벽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1개의 볼트공이 각각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도수로용 측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조의 측구를 2개 이상 종방향으로 결합하여 시공함에 있어서, 도수로용 제1 측구의 얇은 고무판이 부착되어 있는 쪽의 단부(전단부)를 인접한 제2 측구의 고무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부(후단부)와 대접시킨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측구를 ㄱ자형 앵글을 개재하고 상기 측구에 마련되는 전술한 볼트공 및 기초부에 별도 마련되는 볼트공을 통하여 이들 측구를 상호간 및 기초부에 대하여 볼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로용 측구의 시공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수용 측구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측구(1)는 바닥판부(2)와 양측 벽부(3a),(3b)로 구성되어 있는 凹자형 측구이다. 상기 바닥판부(2)와 양측 벽부(3a),(3b)가 이루는 凹자형 공간이 도수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조는 일반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의 구조에 있어서 가장 전형적인 공지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조립될 서로 인접한 동일한 구조의 도수료용 측구(1),(1)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측구(1)의 평면도, 저면도,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를 차례로 나타낸 것이다.
도 7및 도 8은 본 발명의 측구(1),(1)를 서로 결합시켜 시공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조립 사시도 및 부분 조립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의 통상의 측구(1)에 있어서, 이 도수로용 측구(1)의 전단부의 표면(4)에 그 전단부의 단면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얇은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고, 양측 벽부(3a),(3b)의 양단부의 저면에 가까운 일정 위치에 각각 상기 양측 벽부(3a),(3b)에 횡방향으로 볼트공(6a),(6b)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볼트공(6a),(6b)은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의 전후 양단 부근에 각각 1개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주위에 1개 이상 더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1개면 충분하다. 상기 볼트공(6a),(6b)들은 양측 벽부(3a),(3b)에 같은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에는 볼트공(6a),(6b)이 일체로 마련되거나, 측구(1) 성형시에 도 9와 같이 양측 벽부(3a),(3b)에 너트(9)를 매립함으로써 마련된다.
상기 고무판(5)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구(1),(1)를 결합시켜 시공하는 경우, 이들 측구 사이에서의 누수를 예방하여 주는 누수방지 역할을 한다. 상기 측구(1)의 표면(4)에 대한 고무판(5)의 부착 방식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일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고무판(5)은 통상의 테이프형의 양면 접착제를 부착하여 두는 것이 시공 작업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판(5)의 두께에도 역시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측구(1)의 규모에 관계 없이 통상 약 1 ~ 2 ㎜ 범위이면 충분하다.
도 1 및 도 7 중에 참조 부호 "7"로 나타나 있는 것은 단면이 ㄱ자형인 금속제 앵글이다. 이 ㄱ자형 앵글은 서로 인접한 측구(1),(1)를 서로 종방향으로 결합시키고 동시에 지면 아래의 기초부(도시되지 않았음)에 결합ㆍ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앵글(7)의 수직부에는 2개 1조의 슬롯(7a),(7b)이 마련되고, 수평부에는 2개 1조의 볼트공(7c),(7d)이 마련되어 있다. 슬롯(7a),(7b) 간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측구(1),(1)를 서로 결합할 때의 볼트공(6a),(6b)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또한, 볼트공(7c),(7d)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기초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볼트공(도시하지 않았음)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이들 슬롯(7a),(7b) 및 볼트공(7c),(7d)을 통하여 준비된 볼트(8)를 각각 상기 볼트공(6a),(6b) 및 기초부에 별도 형성되는 볼트공에 체결함으로써, 예컨대 상기 서로 인접한 측구(1),(1)가 서로 종방향으로 그리고 기초부에 견고하게 고정ㆍ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롯(7a),(7b) 및 볼트공(7c),(7d)의 갯수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으며, 측구(1)의 양측 벽부(3a),(3b) 및 기초부에 마련된 볼트공의 갯수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인접한 측구(1),(1)는 반대쪽 측면에서도 다른 동일한 ㄱ자형 앵글(7)에 의하여 서로 간에 그리고 기초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측구(1),(1)의 연결부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이음부의 틈새(평균 약 1 ㎜)에는 방수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넣음으로써 통상의 방식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측구(1)의 양측벽의 상단면에 그레이팅용 단차가 마련되어 있는 변형예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의 상단부 내측에 걸림턱(3c)이 각각 형성되어 그레이팅(10)이 걸림턱(3c)에 걸려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외 그 구성 및 시공 방법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1은 도 1과 유사한 측구(1)의 변혀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양측 벽부(3a),(3b)의 하단부 외측으로 약간의 돌출부(3d)가 마련된다. 이 돌출부(3d)는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에 기초부 내에서의 측구의 고정력 및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11에서는 양측 벽부(3a),(3b)의 단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凹자형 측구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는 U자형, 반원형, 사다리꼴 등의 어떠한 구조 및 단면 형상의 측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일본국 공개 특허 평2-58645호 및 평2-47436호처럼, 설치시에 기초부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측구의 외부 저면 에 삼각형 또는 파형의 요철(凹凸)을 형성한 구조의 측구, 또는 전술한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평5-83089호에서와 같이, 측구의 양측벽의 상단면이 내외측으로 경사지게 한 구조의 측구 등을 비롯하여, 무철근 또는 철근 측구 등의 모든 형식의 측구에 간편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 및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수로용 측구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하여 2개 이상의 측구가 ㄱ자형 앵글에 의하여 좌우측에서 서로 간에 그리고 기초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측구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무판에 의한 충분한 수밀(水密)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수로용 측구를 이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간단한 방법으로 단시간에 견고하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횡단면이 凹자형인 콘크리트제 도수로용 측구(導水路用側溝)에 있어서, 상기 측구(1)의 전단부(前端部)의 표면(4)에 그 전단부의 단면의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얇은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의 종방향의 양단부의 저면에 가까운 일정 위치에 상기 양측 벽부(3a),(3b)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1개의 볼트공(6a),(6b)이 각각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로용 측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판(5)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고, 그 두께는 1 ~ 2 ㎜인 것인 도수로용 측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1)의 볼트공(6a),(6b)은 상기 측구(1)의 성형시에 상기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에 너트(9)를 매립시켜 형성되는 것인 도수로용 측구.
  4.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도수로용 측구를 2개 이상 결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공 위치의 기초부상에서 도수로용 측구(1)의 얇은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는 쪽의 전단부를 인접한 측구(1)의 고무판(5)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후단부와 대접시켜 다음, 상기 서로 인접한 측구(1),(1)를 ㄱ자형 앵글(7)을 개재하고 상기 서로 인접한 측구(1)의 양측 벽부(3a),(3b)에 마련되는 볼트공(6a),(6b) 및 기초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볼트공을 통하여 이들 측구(1),(1)를 상호간 및 기초부에 대하여 볼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수로용 측구의 시공 방법.
KR1020050108809A 2005-11-14 2005-11-14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20070051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09A KR20070051231A (ko) 2005-11-14 2005-11-14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09A KR20070051231A (ko) 2005-11-14 2005-11-14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033U Division KR200435838Y1 (ko) 2006-12-05 2006-12-05 도수로용 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231A true KR20070051231A (ko) 2007-05-17

Family

ID=3827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809A KR20070051231A (ko) 2005-11-14 2005-11-14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2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3B1 (ko) * 2011-09-01 2013-03-13 김영주 측구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3B1 (ko) * 2011-09-01 2013-03-13 김영주 측구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369B1 (ko) 공동구 겸용 프리캐스트 암거 조립체
US8425153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392008B1 (ko) 시공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KR20070051231A (ko) 도수로용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5838Y1 (ko) 도수로용 측구
KR200387868Y1 (ko)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JP4596177B2 (ja) 路面用水路施設の形成方法及びその中継用水路ブロック、暗渠型水路ブロック
JPH08239930A (ja)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2412437B1 (ko) 선택적 시공이 가능한 수로시스템
CN220335606U (zh) 一种预制装配式施工结构
KR20000002621U (ko) 조립식 옹벽
KR20090061868A (ko) 관로설치용 아치형 프리캐스트 암거의 조립구조 및 이를이용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의 시공방법
KR200211323Y1 (ko) 조립식 원형관
JP3074307U (ja) 側溝用ブロック
JP4958801B2 (ja) 地下構造物の分岐部構造体
KR100564034B1 (ko) 도수로용 콘크리트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KR200240308Y1 (ko) Frp로 제작된 조립식 맨홀
JP2519176B2 (ja) 組立式溜枡及びそれを用いる側溝構築工法
KR20230028001A (ko) 배수관과 일체화된 방음벽 기초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 시공방법
JPH072643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