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20Y1 - 조립식 암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20Y1
KR950006220Y1 KR2019930000715U KR930000715U KR950006220Y1 KR 950006220 Y1 KR950006220 Y1 KR 950006220Y1 KR 2019930000715 U KR2019930000715 U KR 2019930000715U KR 930000715 U KR930000715 U KR 930000715U KR 950006220 Y1 KR950006220 Y1 KR 950006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culvert
plat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383U (ko
Inventor
박명무
Original Assignee
박명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무 filed Critical 박명무
Priority to KR201993000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220Y1/ko
Publication of KR940019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암거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조립식 암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조립식 암거의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간편하고 내부의 넓은 공간을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이다.
암거는 각종 통행로를 만들거나,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가스관을 지하에 설치할 때, 지하공동구를 만들거나 농업용수 또는 하수도와 같은 수로를 만들 때 사용된다. 최근에는 특히, 암거를 설치하는데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해서 미리 암거의 각부분 예를 들면, 바닥판, 양쪽측판, 상판을 공장에서 분할제작하고 공사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조립식 암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암거의 예로, 암거를 덮개판, 측면판 그리고 바닥판으로 나누어 제작하는 것으로 측면판의 전후방에는 사다리꼴형 결합돌조를 돌설하고 그 등심부에 투입공과 연통되게 밀폐접합층을 형성하여 상호결합 조립시키는 조립식 암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5-28호에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암거는 바닥판에 대해서 양쪽 측면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수직판 위에 덮개판이 올려 놓여지는 구조로되어 있는데 암거를 이루는 바닥판과 측면판은 바닥판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의 융기밀폐접합층, 계합돌조는 측면판의 밑면에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접합층과 경사면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고, 측면판과 덮개판은 측면판의 상부면에 직선으로 형성된 凹자형 결합요조와 덮개판에 직선으로 형성된 凸자형 밀폐 접합층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식 암거는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가스관을 매설하기 위한 지하공동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여러개의 암거, 예를 들면 4개 내지 5개의 암거나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사용되는데, 앞뒤의 다른 암거와는 전후의 요철모양의 접합형태이외에는 결합되지 않으므로 지하 공둥구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게 되거나, 설치후에 지반이 약간 침강 또는 상승되었을 때 지하 공동구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게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그로 인한 구체의 변형으로 방수층의 파괴와 함께 본래의 목적을 영구적으로 이룰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암거에 대해 수평수직으로 작용하는 수평수직의 외력에 대해서 변형되지 않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암거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암거의 바닥면이 고르게 될 수 있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내부의 공간을 넓게 만들 수 있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암거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모서리의 인접부를 따라 상호 대향되게 상향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상에 상향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과 중앙측면판의 상측에 마련된 계합부와 맞물려 설치되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암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이 분할되어 상기 하나의 중앙수직판상에 동시에 계합지지되며, 상기 두개로 분할된 덮개판의 접촉부의 전방모서리 영역에서 오목함이 두개의 덮개판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각 덮개판의 오목홈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원통형 너트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는 보강판이 오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구비하여 볼트가 보강판의 볼트구멍과 오목홈의 구멍에 삽입된 원통형 너트를 통하여 조립되어 두개의 덮개판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암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암거(1)는 수평의 얇은 직육면체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바닥판(10)과, 이 바닥판(10)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수직판(20) 및 중앙수직판(30)과, 수평의 얇은 직육면체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덮개판(40)으로 이루어진다.
수평의 얇은 직육면체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바닥판(10)의 상측면에는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로 형성되는 ㄷ자형 단면의 다수의 수용홈 예를 들어 4개의 수용홈(11, 12, 13, 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중 2개의 수용홈(11, 12)은 양측단에 가까이에서 측면모서리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나머지 수용홈(13, 14)은 상기 2개의 수용홈(11, 12)의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수용홈(11, 12)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또 바닥판(10)의 하측면에는 전방 단부에서 후방단부로 형성된 사각형단면의 다수의 홈(15)이 구비되어서 조립식암거(1)의 위치설정시 좌우로 미끄러지지않도록 방지한다. 바닥판(10)의 전방단부 및/또는 후방단부에는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로 신장되는 얇은 두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가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닥판(10)의 상측면이 그대로 연장되어 바닥판(10)의 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로 되며 수용홈(11, 12, 13, 14)이 형성된 상태로 되고, 이 돌출부(16)의 하측면의 중앙에는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로 반원형단면의 돌기(17)가 길게 형성된다. 또 돌출부가 후방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바닥판(10)의 하측면이 그대로 연장되어 바닥판(10)의 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로 되며 다수의 홈(15)이 형성된 상태로 되고, 이 돌출부(18)의 상측면의 중앙에는 좌측단부에서 우측단부로 반원형단면의 오목부(19)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17)와 오목부(19)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이다.
또 여기서 4개의 수용홈(11, 12, 13, 14)을 구비하는 바닥판(10)이 두개의 바닥판(10', 1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수용홈(11, 13)을 갖는 바닥판(10')과, 수용홈(12, 14)을 갖는 바닥판(10")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바닥판(10')과 (10")은 요철결합등의 여러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중 하나의 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닥판(10')과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바닥판(10")의 측면에서는 돌출부(10a)와 결합하는 바닥판(10')의 측면에서는 돌출부(10b)가 바닥판(10')의 상면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어 바닥판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로 되며, 이 돌출부(10b)의 하면의 중앙에는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로 반원형단면의 돌기(10b')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0)의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11, 12)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얇은 직육면체 형상의 한쌍의 측면수직판(20, 20)은 서로 대칭이므로 편의상 우측의 수용홈(11)에 설치되는 하나의 측면수직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면수직판(20)의 하측단부(21)가 바닥판(10)의 수용홈(11)에 삽입되고, 상측모서리의 중앙에는 반원형단면의 긴 돌출부(22)가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또 바닥판(10)의 수용홈(11)에 삽입되는 하측단부(21)는 상측을 향하면서 한측벽 즉 내측의 측벽 두께가 곡선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완만하게 작아진다.
상기 바닥판(10)의 가운데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수용홈(13, 14)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한쌍의 얇은 직육면체 형상의 중앙수직판(30)은 상기 한 쌍의 측면수직판(20, 20)의 사이에서 측면수직판에 평행하게 위치되며, 각각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 비해 두껍게 되는 대략 I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중앙수직판(30)의 각 하측단부(31)는 바닥판(10)의 수용홈(13, 14)에 삽입되고, 중앙수직판(30)의 상측모서리(33)의 중앙에는 각각의 ㄷ자형단면의 수용홈(35)이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로 길게 형성된다. 또 중앙수직판(30)에는 좌측벽에서 우측벽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개구(37) 예를 들면 3개의 개구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측면수직판(20, 20)과 중앙수직판(30, 30)상에 놓여져 고정되는 덮개판(40)의 가운데에서 등간격으로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까지 신장하는 두개의 ㄷ자형 단면의 돌출부(42)가 하측면에 형성된다. 또 덮개판(40)의 양측모서리부근에는 측면수직판(20)의 돌출부(22)에 대응하는 형상의 반원형단면형상의 오목부(44)가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로 길게 형성된다. 덮개판(40)의 전방단부 및/또는 후방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가 덮개판(40)의 전방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덮개판(40)의 상측면이 그대로 연장되어 돌출부(46)가 덮개판의 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로 되며, 돌출부가 덮개판(40)의 후방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덮개판(40)의 하측면이 그대로 연장되어 돌출부(48)가 덮개판의 두께의 약 절반정도의 두께로 되고 돌출부(42) 및 오목부(44)가 형성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덮개판(40)은 상기 바닥판(10)의 경우와 같이 이분할되어 요철결합이나 돌기와 오목부를 구비한 돌출부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판(40)에 대해서는 다른 방식 즉 2 : 1의 비율로 분할되는 경우는 예로 들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 3 도 및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판(40)을 즉 2 : 1의 비율로 단순히 분리하고, 가령 긴 바닥판(40')은 하나의 측면수직판(20) (도면에서 좌측의 수직판)과 하나의 중앙수직판(30)(도면에서 좌측의 수직판)과 다른 하나의 중앙수직판(30) (도면에서 우측의 수직판)의 절반의 상부에 놓여지며, 짧은 바닥판(40'')은 다른 하나의 중앙수직관(30) (도면에서 우측의 수직판)의 절반과 다른 하나의 측면수직판(20)의 상부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3 도와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돌출부(42)가 반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된 덮개판(40')과 (40")을 서로 보강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접촉부의 전방모서리 즉 돌출부(42)의 바로 위에서 직육면체의 오목홈(43)의 바닥면(가장 내측면)에는 2개의 긴 구멍(44, 45)을 형성시키고, 이 4개의 구멍(45)의 각각에는 하나의 원통형 너트(47)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덮개판(40')과 (40")의 오목홈(43)의 바닥면보다 크지않은 면적을 갖는 얇은 판형상의 보강판(49)이 준비되며, 이 보강판(49)에는 각 구멍(45)에 삽입되어 고정된 원통형 너트(47)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볼트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판(40')과 (40")를 서로 접촉시킨 후 원통형너트(47)와 볼트구멍(49')을 맞추어 보강판(49)을 위치시키고 볼트(49")를 원통형너트(47)와 결합시키면 두개의 덮개판(40')과 (40")가 견고하게 보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암거(1)에서 바닥판(10), 측면수직판(20), 중앙수직판(30) 및 덮개판(40)의 길이는 경우에 따라 모두 동일하거나 다르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암거(1)에서 이웃한 바닥판(10)들은 돌출부상에 있는 돌기(17)와 오목부(19)의 결합으로 서로 이탈되지 않으며 측면수직판(20)과 중앙수직판(30)은 바닥판(10)상에 있는 수용홈(11, 12, 13, 14)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덮개판(40)은 측면수직판(20)의 돌출부(22)와 중앙수직판(30)의 수용홈(35)과 결합되어 좌우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의 공간을 크게 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되며, 조립된 후에도 서로 이탈되지 않는 조립식 암거로써, 각종 통행로를 만들거나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가스관을 지하에 설치할 때 또 지하공동구와 농업용수나 하수도와 같은 수로를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특히 암거를 설치할 때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암거의 각 부분을 미리 만들어 분할제작하고 현장에서 이들을 조립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모서리의 인접부를 따라 상호 대향되게 상향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 사이에서 상기 바닥판상에 상향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측면판과, 상기 한쌍의 측면판과 중앙측면판의 상측에 마련된 계합부와 맞물려 설치되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암거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이분할되어 상기 하나의 중앙수직판상에 동시에 계합지지되며, 상기 두개로 분할된 덮개판의 접촉부의 전방모서리 영역에서 오목홈이 두개의 덮개판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각 덮개판의 오목홈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원통형 너트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오목홈의 바닥면에는 보강판이 오목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는 볼트구멍을 구비하여 볼트가 보강판의 볼트구멍과 오목홈의 구멍에 삽입된 원통형 너트를 통하여 조립되어 두개의 덮개판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암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분할되고, 두개의 이분할되는 바닥판의 서로 연결하는 면에는 서로 계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돌출부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KR2019930000715U 1993-01-20 1993-01-20 조립식 암거 KR950006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715U KR950006220Y1 (ko) 1993-01-20 1993-01-20 조립식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715U KR950006220Y1 (ko) 1993-01-20 1993-01-20 조립식 암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83U KR940019383U (ko) 1994-08-19
KR950006220Y1 true KR950006220Y1 (ko) 1995-08-04

Family

ID=1934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715U KR950006220Y1 (ko) 1993-01-20 1993-01-20 조립식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2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22B1 (ko) * 2012-11-13 2013-04-23 선진기업(주)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022B1 (ko) * 2012-11-13 2013-04-23 선진기업(주)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83U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916B1 (ko) 양 방향 전단,좌굴 보강 콘크리트 암거
KR100411659B1 (ko)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CN105189875A (zh) 波形中空闭合止水板、利用该波形中空闭合止水板的混凝土暗渠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36069B1 (ko)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100297823B1 (ko) 암거 및 그 제조방법
KR950006217Y1 (ko) 조립식 암거
KR200387868Y1 (ko) 소켓 및 브라켓 보강 조립식 피씨 암거
KR960008710Y1 (ko) 조립식 암거
KR940003226Y1 (ko) 조립식 암거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KR200148172Y1 (ko) 조립식 암거
KR102206034B1 (ko) 내진성 가변형 수밀고무링을 구비한 박스암거
KR2001002782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10016306A (ko) 조립식 맨홀의 시공방법
KR930005348Y1 (ko) 맨홀용 조립식 수직하수관
KR100201490B1 (ko) 조립식 암거 및 조립식 암거의 설치방법
KR200435838Y1 (ko) 도수로용 측구
KR200240308Y1 (ko) Frp로 제작된 조립식 맨홀
KR100293688B1 (ko) 암거설비
KR200291583Y1 (ko) 수로관
KR20010009306A (ko) 조립식 암거
KR950006219Y1 (ko) 암거의 하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