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22B1 -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22B1
KR101254022B1 KR1020120128212A KR20120128212A KR101254022B1 KR 101254022 B1 KR101254022 B1 KR 101254022B1 KR 1020120128212 A KR1020120128212 A KR 1020120128212A KR 20120128212 A KR20120128212 A KR 20120128212A KR 101254022 B1 KR101254022 B1 KR 10125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illar block
pillar
culvert
spee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선진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기업(주) filed Critical 선진기업(주)
Priority to KR102012012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거 1연식, 2연식, 3연식, … N연식 등 연속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양쪽 측면부를 판재형 마감블럭으로 마감시 맨홀, 우수저류조로 적용이 가능한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최소의 형틀로 현장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접목이 가능한 기술의 제공을 통하여 종래의 현장요구 사항에 충족하기 위하여 수백종의 거푸집을 제작, 보유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문제를 해소가 가능하며, 종래의 기술로는 공장에서 제작이 불가능 하였던 초대형 구조의 암거 및 맨홀, 저류조 등의 문제점을 본 고안의 기술을 통하여 건설현장에 제공함으로써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비의 저감 등 효과도 기대되며, 또한 기둥블럭과 "┏형" 기둥블럭의 하단부를 별도의 콘크리트로 마감하는 구조로 하단부의 누수를 방지하고 부동침하에 관한 저항성 향상되어 구조적으로 장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된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MULTIFUNCTIONAL CULVERTS THE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하수암거, 지하공동구, 지중화맨홀, 지하저류조 등에 적용하는 박스암거에 관한 기술로서,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조체로 "┏형" 몸체와 주기둥으로 구성되어 시공되어지는 형상으로 최소의 거푸집으로도 다양한 현장과 다양한 용도에 적용이 가능한 다기능 암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들은 용도와 현장여건에 따라 수십종에서 수백종의 거푸집을 제작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변형 등으로 인해 소멸되는 구조로 이와 같이 종래 현장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기 위해서 많은 량의 금형 제작비가 발생되고, 그에 따른 원가의 상승 등으로 경쟁력에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의 제공을 통하여 최소의 경비로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조체의 개발 보급을 통하여 보다 경쟁력 있고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 방지 등 경제성이 탁월한 다기능 암거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제작 방식은 인건비의 상승과 공기단축 등의 문제로 최근 들어 전문제조 공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조하여 현장에서 즉시 설치하는 구조로 많은 종류의 콘크리트 구체가 공장제조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른 지하 구조물로 사용되는 도 2a 암거는 용도에 따라 지하 하수암거 또는 공동구, 전력구 등으로 사용되며 통수량 및 현장요구 성능에 따라 도 2b 예시도와 같이 2개 또는 도 2c와 같이 3개, 4개 등의 일체화되는 병렬식 암거의 형태로도 요구되고 있다. 규격 또한 높이 기준해서 작게는 30㎝에서 많게는 3,500㎝까지 그 크기와 규모도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제품제조에 따른 규격별로 많은 량의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며 대형화 추세에 따른 보다 많은 량의 거푸집을 추가로 필요로 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운반과 현장장비의 제약에 따라 시공성을 고려하여 그 대안책으로 도 2d에서와 같이 상, 하 분리형이 개발 보급되었으며, 도 2f에서와 같이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구조체의 개발 또는 도 2g에서와 같이 ㄷ형상 구체 몸체의 잔여공간을 상판, 하판으로 조립되는 구조의 제품도 개발 보급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접합부에 수밀성 유지를 위한 특허기술의 보급이 많이 보급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측면부와 상부에는 수밀성 유지에 관하여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었으나, 하단부에는 아직도 수밀성을 위한 기술의 보급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사항이다.
이와 같이 기술한 사항을 미루어 볼 때 현장의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는 수십종에서 수백종의 거푸집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투자비용의 발생도 많으며, 어느 시점에서는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어 소모성 자산에 의한 비경제적 요소의 발생이 크며 또한, 초기 투자비용의 환원을 위한 제품의 제조단가도 비례하여 상승함으로써 경쟁력을 상실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 해소를 위해 창출한 것으로, 각 규격별, 용도별로 현장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거푸집을 공장에서 확보하여 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유지관리비의 발생 등의 문제점 및 투자비 발생에 따른 제품 단가의 상승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 일정기간 사용 후 폐기하여야 하는 자원의 낭비 등 제반문제 해소와 하단부 조립기술의 부재로 인한 누수 방지의 한계 등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기술로서, “┏형” 기둥블럭과 연설되는 기둥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여건에 따라 “┏형” 기둥블럭의 높이와 폭의 조절이 가능하고, 기둥블럭 또한 높이와 폭의 조절이 가능한 형상으로 거푸집을 제작하여 현장요구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구조체로 구성되었으며 “┏형” 기둥블럭의 상부측 일단면에는 또 다른 “┏형” 기둥블럭이 연설되도록 구성되었으며, 기둥블럭을 기준으로 하여 현장의 요구 사항에 따라 “┏형” 기둥블럭이 1개, 2개, 3개,… N개 연결되는 1연식 또는 2연식, 3연식, … N연식 등 계속적으로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종래의 각 규격별로 거푸집을 제작하여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의 해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종래의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하단부는 현장에서 철근을 매설하고 타설하는 구조로 수밀성 증대와 전체구체의 안정성도 배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용성 면에서도 종래의 기술들이 각 요소별 용도와 적용성이 제한되어 있음으로 불필요한 금전적 손실이 극대화 되었으나, 본 발명은 현장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서 최근 도시화에 따른 지중화 산업의 발전으로 도로 위에 가설되었던 전주, 기초대, 맨홀 등이 지하로 옮겨지며 시공되고 있는 지중화 사업에 소요되는 맨홀에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성 소나기 및 태풍 등으로 인한 도시의 침수, 하천의 범람 등 자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지하우수저류조로서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체이다. 이와 같이 최소의 거푸집으로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체의 개발로 보다 저렴하며, 안전하고, 시공성이 향상된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사항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체로서 기둥블럭(30)의 상부측에 형성된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1)에 “┏형”기둥블럭(20)의 상부 일단면을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형”기둥블럭(20)은“┏형”으로 형성하고, 또 “┏형”기둥블럭(20)의 일단면을 “┏형”기둥블럭(20)에 연설이 가능하게 “┏형” 기둥블럭(20)의 상부측에 “┏형”기둥블럭 연설받침대(80)를 구성되어 있다.
현장여건에 따라 2연식, 3연식, … N연식 등 계속적으로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구조로 종래의 각 규격별로 제작하여 보관하던 방법을 최소의 거푸집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형” 기둥블럭(20)의 하단부에는 기초 바닥과 연설이 가능한 구조로 볼트 또는 철근에 의해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 되었으며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 또는 “┏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과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일단면에 철근의 매설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 설치 후 잔여공간을 현장에서 콘크리트로 마무리함으로써, 종래의 구조물들의 가장 큰 문제점인 하단부의 누수 방지가 가능하며, 또한 종래의 구조물들의 취약부인 부동침하에도 저항성이 향상되도록 하단부 연결부는 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로 마무리하는 공정으로 구성하였다.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이 연설되는 양 측면부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요부(90)와 철부(70) 또는 지수제 설치를 위한 요부(90)와 철부(70)가 형성되어 현장요구 성능에 따른 수밀성을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형” 기둥블럭(20)은 현장여건에 따라 더욱더 적용성 향상을 위하여 높이 방향의 일단면을 소켓형 연결부(150) 또는 강제 연결장치 등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제공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초대형 암거의 기능 실현과 운반 및 시공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단면을 별도로 분리하고 현장에서 재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을 극대화 하였다.
또한, 측면부에는 맨홀 또는 지하 우수저류조로서의 적용시 판재형상인 마감블럭(100)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인서트넛트(5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기둥블럭(20)은 일자형 구조체로서 상부 일단면에는 “┏형” 기둥블럭(20)이 연설될 수 있도록 “┏형”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기초부에 설치된 고정용 앙카볼트(180)와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홈 또는 철근이 매립되어 있으며 하단부 일단면에는 조립, 설치 후 전체 구체의 안정성 증진을 위한 철근이 일정간격으로 매설이 가능한 구조로 현장에서 철근을 연설하고 잔여공간을 콘크리트로 마무리하여 일체성을 향상시켰으며 또한, 종래의 구조물의 문제점인 하단부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형” 기둥블럭(20)의 양 측면부는 또 다른 기둥블럭인 “┏형” 기둥블럭(20)이 연설되도록 요부(90)와 철부(7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누수 차단을 위한 지수제 등의 설치가 가능한 요부(90)와 철부(70)가 형성되어 있으나, 종래의 보편적 기술로서 보다 상세한 연결부 설명은 기술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공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암거블럭이 설치될 장소의 기초부에 각 기둥이 연설될 위치에 “┏형” 기둥블럭(20), 기둥블럭(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 앙카볼트(18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이 연설되며 시공계획 구간에 따라 조립 시공한 후, 하단부는 각 기둥블럭에 매설된 철근을 또 다른 철근으로 연설하고 잔여 공간을 콘크리트로 마무리하는 것으로 시공은 완료되며, 본 발명의 제품의 용도에 따라 별도로 기둥블럭과 “┏형” 기둥블럭의 일단면에 별도의 유입구(160) 또는 별도의 장비의 진, 출입 또는, 각종 기계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다양한 성능 제공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술로서 기술하지 않았다.
따라서 외부에는 용도에 따라 우수저류조 또는 맨홀로 사용시 주 기둥블럭(30)과 “┏형”기둥블럭(20)의 측면부에는 양쪽 측면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측면부용 판재의 마감블럭(100)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되었으며 시공 후 전체 구체의 연결성 증대를 위한 별도의 공법으로 강선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강선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제공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수밀성 증대를 위하여 외부, 내부면에는 별도의 코팅 또는 방수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현장여건에 따른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의 해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들은 각 용도별, 규격별로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거푸집을 제작 보관하고 있어야 함으로써 거푸집제작에 따른 제작비의 발생 그로 인한 제품 원가의 상승과 많은 양의 거푸집 보관을 위한 토지의 확보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문제 등 원가 상승으로 인한 경쟁력 상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용도별로 주된 용도 이외의 적용에 한계가 발생되어 영업적 측면에서도 제한된 영업에 의한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의 불확실성 등 문제가 있으며, 최종적으로 막대한 자금으로 투자된 거푸집은 부식, 변형 등에 의하여 어느 일정기간 경과 후 폐기되어짐으로써 자원의 낭비 등 환경적 문제의 발생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둥블럭과 “┏형” 기둥블럭으로 조립되어지는 구조로서 현장여건에 따라 1연식 암거, 2연식 암거, 3연식 암거, … N연식 암거 등의 적용이 가능하며, 공동구, 맨홀, 지하 우수저류조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로써 초기 투자비용 절감에 따른 경쟁력 상승과 자원의 낭비 방지 등 경제적 효과와 시공성면에서도 종래의 기술들은 제품의 최고 높이가 3.5M 이상일 경우 고도제한에 의한 운반이 불가능한 구조로 현장적용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구조물은 높이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현장의 요구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수암거 또는 지하우수저류조의 적용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술은 3연식 이상의 구현은 불가능한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현장 요구에 따라서 3연식, 4연식, 5연식 암거는 물론 현장여건 따라 N연식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현장 적용성도 배가 되도록 하였다.
대형 구조물은 장비의 제약에 따른 구체의 중량적용에 한계가 있어 시공, 운반 등을 고려하였을 때 규격의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구조물은 판넬식, 기둥식, “┏형” 기둥블럭식 구조로 현장용도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대표적인 효과를 기술하였으나 안정성 면에서도 하단부의 누수방지 효과 및 부동침하 저항성 향상 효과 등 더욱더 다양한 효과도 기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관한 예시도
도 2a는 종래의 1연식 암거, 또는 공동구에 관한 예시도
도 2b는 종래의 2연식 암거, 또는 공동구에 관한 예시도
도 2c는 종래의 3연식 암거, 또는 공동구에 관한 예시도
도 2d는 종래의 상하분리형 암거에 관한 예시도
도 2f는 종래의 상부블럭이 하부기초에 연설되는 암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g는 종래의 ㄷ형 구조에 상부, 하부를 연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 기둥블럭에 관한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형 기둥블럭의 측면도 예(좌,우 대칭)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형 기둥블럭의 정면도 예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형 기둥블럭의 사시도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에 관한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의 측면도로(좌,우) 대칭을 이룬 예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의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의 평면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블럭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1연식 암거의 설치 사시도 예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2연식 암거의 설치 사시도 예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3연식 암거의 설치 사시도 예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5연식 암거의 설치 정면도 예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암거외의 맨홀 또는 우수저류조 등으로 적용시 설치도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 블럭 변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 기둥블럭 중간 연결도 예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형 ┏형 기둥블럭 중간 연결도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형 기둥블럭 또는 기둥블럭의 하단부 기초부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적용 예시도로 맨홀, 우수저류조의 적용시 측면부 마감블럭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 평면도 예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 측면도 예(좌,우 대칭)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 사시도 예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대표도이며, 본 발명에 다기능 암거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둥블럭(30)과 “┏형” 기둥블럭(20)으로 연설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별도의 유출구(170) 또는 유입구(160)의 추가 기능부여도 가능한 구조이다. 종래의 암거가 3연식 이상은 제작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이상의 연설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 예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한 관한 예시도로서,
도 2a는 종래의 1연식 암거에 관한 정면예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2연식 암거에 관한 정면예시도이고,
도 2c는 종래의 3연식 암거에 관한 정면예시도이고,
도 2d는 종래의 상,하 분리형 암거에 관한 정면예시도이고,
도 2f는 종래의 상부와 하부기초에 연설되는 암거를 나타내는 정면예시도이고,
도 2g는 종래의 ㄷ형 구조에 상부, 하부를 연설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종래의 기술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로 형틀을 제작하여 보관하는 구조체로 다용성에는 한계가 있는 형상을 하고 있음을 예시한 도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형” 기둥블럭에 관한 예시도로서,
도 3은 “┏형” 기둥블럭의 측면도이며, 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된 철부(70)가 결합되게 측면부의 타측은 요부(90)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시도로서 특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형도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형” 기둥블럭(20) 상부측에는 또 다른 “┏형” 기둥블럭(20)이 안치되어 연설이 가능하도록 “┏형”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0)가 형성되어 있어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위해 구성된 것이다.
“┏형” 기둥블럭(20)의 하단부에는 기초부(130)의 기설된 고정용 앙카볼트(180) 또는 철재와 연설되어 고정이 되도록 볼트연결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몸체보다 설치 시 안정성을 위하여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하단부의 연설철근(60)은 일단면에 블럭과의 연결성 증대를 위한 철근(110)이 일정간격으로 매설되어 제작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며, 현장에서 철근을 보강하여 연설한 후 콘크리트(120)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을 나타낸다.
도 3b는 “┏형” 기둥블럭(20)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인서트넛트(50)의 설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 저류조 및 맨홀로 적용시 마감블럭(100)의 판재가 마감부로 설치될 경우 조립이 가능하도록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c는 “┏형”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기둥블럭에 관한 도예로서,
일자 형상의 기둥블럭(30)의 상부측에는 “┏형” 기둥블럭(20)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기둥블럭 연설 받침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몸체보다 넓은 단면의 형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형상화 하였으며 하단부의 일정 단면부에는 기초부(130)에 기설된 고정용 앙카볼트(180) 또는 철근과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 연결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초부의 보강 또는 안정성 향상을 위해 연설철근(60)이 매립되어 제조도 가능한 것을 나타내며, 현장에서 연설철근(60)을 별도의 철근(110)으로 연설한 후 그 잔여공간을 콘크리트(120)로 마무리 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또한, 측면부에 서로 대칭되어 연접되는 철부(70)와 요부(90)가 형성되어 있어 시공 후 누수방지를 위한 요부(90)와 철부(70)가 동시에 연결부 보강기능 충족을 위해 형성된 것으로 보다 더 수밀성 증진을 위한 지수제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일반적인 기술로 상세한 기능은 기술하지 않았다. 또한, 측면부 일단면에는 조립 강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별도의 강선구의 추가 설치도 가능한 구조이다.
도 4a는 기둥블럭(30)의 측면도로 좌,우 대칭을 이룬다.
도 4b는 기둥블럭(30)의 정면도이며, 마감블럭(100)이 연설될 경우에는 인서트넛트(50)를 매설하여 제작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4c는 기둥블럭(30)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기둥블럭(3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예로
도 5a는 하수암거, 전력구, 공동구 등 설치시 본 발명의 1연식 설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2연식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예이고
도 5c는 3연식 설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예이며,
도 5d는 5연식 설치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예이다.
또한 본 발명 기술은 도 5e와 같이 양쪽 측면부를 마감블럭(100)으로 마감하여 우수저류조 또는 지하맨홀 등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형” 기둥블럭(20)의 변형예에 관한 도예로서 초대형 구조물은 현장요구에 따라 수송과 설치 등을 고려 하였을 때 “┏형” 기둥블럭(20)의 몸체 일단면을 2등분하여 제작하고 운반한 후 설치시 몸체 연결부의 연결에 관한 상세도 예로서, 도 6a는 용도에 따라 유량과 물의 흐름 등을 고려하였을 때 몸체부의 내, 외부에 별도의 영향이 없도록 스트레이트로 고정하는 예를 나타내며, 상기 “┏형” 기둥블럭(2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분리된 단면(21)에 요부(22)와 철부(23)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연설철근(60)을 삽입하여 타측에 형성된 수납부(140)에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6b는 소켓형 연결부 도예로서, 연결부의 연결성 증대를 위해 소켓형 연결부(150)에 의해 연설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또한, 구체의 연결성 증대를 위하여 일 단면(21)에는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는 범위까지의 연설철근(60) 또는 환봉, 볼트 등을 매설하고 상기 연설철근, 환봉, 볼트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140)가 매설되어 있어 연설 후 잔여공간을 에폭시 등 특수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 또는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의 하단부 기초면 연설에 관한 예시도로서 연설철근(60)과 연설철근(60)을 별도의 철근(110)으로 연설한 후 잔여공간을 콘크리트(120)로 마무리 하는 것을 나타내는 기초부 마감도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용도예 중 맨홀, 우수저류조의 적용시 양쪽 측면부를 마감블럭(100)으로 마감하여 우수저류조 또는 맨홀로서 기능충족을 위해 구성된 것으로, 마감블럭(100)은 판재형상으로 측면부의 상부,하부와 양 측면부는 요부(凹)(92)와 철부(凸)(72)를 형성함은 물론 상면과 하면에도 각각 철부(72')와 요부(92')를 형성한다.
그리고 “┏형” 기둥블럭(20)을 기둥블럭(30)의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1)에 안착하여 연결되게 형성한 후, 마감블럭(100)의 철부(72')를 “┏형”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 및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의 철부(70)가 형성된 내측으로 삽입하여 벽면을 마감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마감블럭(100)의 철부(72)는 마감블럭(100)의 요부(92)에 삽입되어 연결함으로써, 수밀성과 연결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의 연설이 가능하도록 인서트넛트(50)가 내장되어 있다.
도 8a는 마감블럭(100)의 평면도 예이고, 도 8b는 마감블럭(100) 정면도 예이며,
도 8c는 마감블럭(100)의 사시도 예이다.
블럭과 블럭이 연설되는 측면부에는 별도의 지수제 설치가 가능한 요부(90)가 형성되었으나 일반적인 기술로서 도시화 하지는 않았다.
(20) "┏형" 기둥블럭
(30) 기둥블럭
(40) 볼트연결홈
(50) 인서트넛트
(60) 연설철근
(70) (72)(72')철부(凸)
(80) "┏형" 기둥블럭 연설 받침대
(81) 기둥블럭 연설 받침대
(90) (92)(92')요부(凹)
(100) 마감블럭
(110) 철근
(120) 콘크리트
(130) 기초부
(140) 수납부
(150) 소켓형 연결부
(160) 유입구
(170) 유출구
(180) 고정용 앙카볼트

Claims (9)

  1. 기초부(130)에 고정용 앙카볼트(180)로 기둥블럭(30)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기둥블럭(30)의 상부측에 형성된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1)의 위로 기초부(130)에 고정용 앙카볼트(180)로 고정된“┏형”기둥블럭(20)의 일단면을 안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형” 기둥블럭(20)의 상부측에 형성된 “┏형”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0)에 “┏형” 기둥블럭(20)의 일단면을 안착하여 고정되는 암거형상을 1연식, 2연식, 3연식, … N연식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 기둥블럭(20)은 "┏형" 형상이고, “┏형” 기둥블럭(2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상부측에 “┏형”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0)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은 기초부(130)와 연설이 가능하도록 볼트 연결홈(4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부에는 요부(90)와 철부(70)가 형성되어 시공 가이드라인의 제공과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지수제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형” 기둥블럭(2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분리된 단면(21)에 요부(22)와 철부(23)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연설철근(60)을 삽입하여 타측에 형성된 수납부(140)에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형” 기둥블럭(2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분리된 단면(21)에 소켓형 연결부(150)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연설철근(60)을 삽입하여 타측에 형성된 수납부(140)에 수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블럭(30)은 상부측에 “┏형” 기둥블럭(20)이 연설이 되도록 “┏형”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1)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의 일단면에는 기초부(130)의 고정용 앙카볼트(180) 또는 철근이 삽입되는 볼트 연결홈(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면부에는 각각 요부(90)와 철부(70)가 형성되어 있어 시공 가이드라인 제공과 지수제의 설치가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연설철근(60)을 수평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 기둥블럭(20)을 기둥블럭(30)의 기둥블럭 연설받침대(81)에 안착하여 연결되게 형성하고, 마감블럭(100)의 상면에 형성된 철부(72')를 “┏형”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 및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의 철부(70)가 형성된 내측으로 삽입하여 형성하고, 또 “┏형” 기둥블럭(20)의 하단부 일단면에는 기초부(130)의 고정용 앙카볼트(180) 또는 철근이 삽입되는 볼트 연결홈(40)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럭(100)의 상, 하, 좌, 우측면에는 누수방지와 연결설 증대를 위한 요부(92)와 철부(72)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블럭(100)의 요부(92)에 마감블럭(100)의 철부(72)를 삽입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 기둥블럭(20)과 기둥블럭(30), “┏형” 기둥블럭(20)과 “┏형” 기둥블럭(20)의 하단부에 기초 연설철근(60)을 별도의 철근(110)으로 연설하고 잔여공간을 콘크리트(120)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
  9. 제 1항, 제 2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된 조립식 다기능 암거구조로 하수암거, 공동구, 맨홀, 우수저류조를 조립 및 설치하여 시공되는 조립식 다기능 암거의 시공방법.
KR1020120128212A 2012-11-13 2012-11-13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54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12A KR101254022B1 (ko) 2012-11-13 2012-11-13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12A KR101254022B1 (ko) 2012-11-13 2012-11-13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022B1 true KR101254022B1 (ko) 2013-04-23

Family

ID=4844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12A KR101254022B1 (ko) 2012-11-13 2012-11-13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109B1 (ko) * 2018-08-28 2020-01-10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Pc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지하구조물 및 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20Y1 (ko) * 1993-01-20 1995-08-04 박명무 조립식 암거
KR100297822B1 (ko) 1999-03-27 2001-10-29 박병무 암거설비
KR200387408Y1 (ko) 2005-03-28 2005-06-17 정형교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20080004835U (ko) * 2007-12-07 2008-10-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20Y1 (ko) * 1993-01-20 1995-08-04 박명무 조립식 암거
KR100297822B1 (ko) 1999-03-27 2001-10-29 박병무 암거설비
KR200387408Y1 (ko) 2005-03-28 2005-06-17 정형교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20080004835U (ko) * 2007-12-07 2008-10-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109B1 (ko) * 2018-08-28 2020-01-10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Pc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지하구조물 및 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30143097A (ko) 설치 기초
KR101822330B1 (ko) 수직구용 다중결합 쐐기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CN214614154U (zh) 一种用于建造地下污水池的装配式沉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CN103821180A (zh) 一种混凝土伸缩缝双止水结构及其制造和施工方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US20030233798A1 (en) Post-tensioned, below-grade concrete foundation system
CN206467788U (zh) 一种混凝土楼板磁性栓接连接结构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54022B1 (ko) 다기능 암거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KR102300113B1 (ko) 교각 보강 거푸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교각 보강 공법
KR20030044940A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CN113047327A (zh) 一种多联筒矩形拼装井壁结构及其拼装方法
CN209260748U (zh) 一种阶形塔吊基础
KR101983650B1 (ko) 직벽형 블록 조립식 옹벽
KR102137389B1 (ko) 지하박스구조물의 비개착 보강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8221973B (zh) 一种phc管桩作支撑体系格构柱的连接器
KR101248173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