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226Y1 - 조립식 암거 - Google Patents

조립식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226Y1
KR940003226Y1 KR2019910013163U KR910013163U KR940003226Y1 KR 940003226 Y1 KR940003226 Y1 KR 940003226Y1 KR 2019910013163 U KR2019910013163 U KR 2019910013163U KR 910013163 U KR910013163 U KR 910013163U KR 940003226 Y1 KR940003226 Y1 KR 940003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
protrusion
front surface
culv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927U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호 filed Critical 박병호
Priority to KR201991001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226Y1/ko
Publication of KR930004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암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판 22 : 덮개판
24 : 제1측면판 26 : 제1측면판
30 : 하부판 32 : 바닥판
34 : 제3측면판 36 : 제4측면판
45 : 중앙판
본 고안은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이다.
암거는 각종 통행로를 만들거나,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가스관을 지하에 설치할 때, 지하공동구를 만들거나, 농업용수 또는 하수도와 같은 수로를 만들 때 사용된다. 최근에는 특히, 암거를 설치하는데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하기 위해서 미리 암거의 각 부분 예를 들면, 바닥판, 양쪽측판 상판을 공장에서 분할 제작하고 공사 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조립식 암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암거의 예로, 암거를 덮개판, 측면판 그리고 바닥판으로 나누어 제작하는 것으로 측면판의 전후방에는 사다리꼴형 계합돌조를 돌설하고 그 등심부에 투입공과 연통되게 밀폐접합층을 형성하여 상호계합 조립시키는 조립식 암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5-28호에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암거는 바닥판에 대하여 양쪽 측면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수직판 위에 덮개판이 올려 놓여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암거를 이루는 바닥판과 측면판은, 바닥판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의 융기밀폐접합층, 계합돌조에 측면관의 밑면에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접합층과 경사면에 의해서 서로 계합되고, 측면판과 덮개판은, 측면판의 상부면에 직선으로 형성된자형 계합요조와 덮개판에 직선으로 형성된자형 밀폐접합층이 서로 계합되어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식 암거는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가스관을 매설하기 위한 지하공동구를 설치할 경우에는 여러개의 암거, 예를 들면 4개 내지 5개의 암거가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사용되는데, 앞뒤의 다른 암거와는 전후의 요철모양의 접합형태 이외에는 계합되지 않으므로 지하공동구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게 되거나, 설치 후에 지반이 약간 침강 또는 상승되었을 때 지하공동구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그로 인한 구체의 변형으로 방추층이 파괴와 함깨 본래의 목적을 영구적으로 이룰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암거에 대해 수평수직으로 작용하는 수평수직 외력에 대해서 변형되지 않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암거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암거의의 바닥면이 고르게 될 수 있는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는, 전면상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상기 전면상에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바닥관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 모서리상으로 수직연장되며 그 중앙상부가 오목한 형상을 하면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 및 후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상에는 상기 후면상의 오목부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3측면판 및 제4측면판으로 이루어진 하부판 및 전면상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가 헝성되어 있으며 후면상에는 상기 전면상의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양측면 모서리 하방으로 수직연장되며 그 중앙 하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하면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면 및 전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측면판 및 제4측면판의 상부면 및 후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상에는 상기 전면상의 돌출부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측면판 및 제2측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관과 길이가 같은 상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이 상기 하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1/2길이 만큼 이동되어 서로 계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부판 위에 상부판이 올려놓여지는데, 먼저 필요한 길이 만큼의 하부판을 몇개 설치하며 하부관의 바닥판은 이 바닥판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와, 이 바닥판의 후면으로부터는 상기 돌출부와는 반대형태로 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뒷족 하부판의 바닥관의 앞쪽 돌출부는 바로 그 앞의 하부판의 바닥판의 오목부에 끼워지게 되고, 그 다음 하부판의 바닥관의 앞쪽 돌출부는 그 앞의 하부판의 바닥판의 오목부에 끼워지게 되어 상호 계합된다. 여기서 하부판의 설치는 각각의 하부판이 동일한 크기로 된 규격품이므로 필요한 암거의 길이에 따라 사용하는 갯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첫번째 상부판은 첫번째 하부판과 두번째 하부판에 걸쳐 올려놓여지게 되고, 두번째 상부판은 두번째 하부판과 세번째 하부판 사이에 올려놓여지게 되는데, 상부판 역시 필요한 암거의 길이에 따라 사용되는 갯수가 임의로 선택된다.
이러한 상부판은 상부판을 하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1/2정도 이동시켜서 올려놓으면 첫번째 하부판과 두번째 하부판 사이에 올려놓여지게 되는데, 이때, 하부판의 측면판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을 그 중심부에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의 측면판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판의 측면판 하부면의 돌출부가 하부판의 측면판에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 끼게 되어 상부관과 하부판이 서로 계합되게 된다.
또, 상부판의 덮개판은 이 덮개판의 앞쪽 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와, 이 덮개판의 뒷쪽면으로부터는 상기 돌출부와는 반대형태로 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부판의 측면판의 앞쪽면은 앞쪽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를 뒷쪽면은 이 돌출부와 반대형태로 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판 상호간에는 앞쪽 상부판의 덮개판의 오목부에는 뒷쪽 상부판의 돌출부가 앞쪽 상부판의 측면판의 오목부에는 뒷쪽 측면판의돌출부가 끼워지게 되어 서로 계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부판을 하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1/2정도 이동시켜서 하부판에 올려 놓으면 맨 앞쪽 하부판의 1/2과 맨 뒷쪽 하부판의 1/2에는 상부판에 올려놓여지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판을 길이에 따라 1/2로 나누어진 상부판을 제작하여 앞부분과 뒷부분에 올려놓으면 전체적으로 하부판의 길이와 상부판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완전히 계합되게 된다.
따라서, 하부판들은 상호 계합되는 형태로 되므로 지반의 침강이나 상승에 관계없이 항상 균일한 바닥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원 고안에 대해서 좀더 이해를 편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면, 조립식 암거는 서로 같은 길이를 가지고 있는 하부판(30)과 상부판(10)으로 나누어 지는데, 하부판(30)은 바닥판(32)과, 바닥판(32)과 일체로 되어 있고, 이 바닥판(32)의 한 측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측면판(34)과, 이 바닥판(32)의 다른 측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3측면판(34)과 평행한 제4측면판(36)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바닥판(32)로부터 연장되는 제3측면판(34)과 제4측면판(36)은 수직 하중에 대해 강한 힘을 발휘하게 하기 위해서 바닥판(32)과의 접합부를 삼각형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바닥판(32)은 이 바닥판의 앞쪽면으로부터는 가로방향으로 돌출부(315)가, 이 바닥판(32)의 뒷쪽면으로부터는 상기 돌출부(315)와는 반대형태로 된 오목부(317)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돌출부(315)는 바닥판의 밑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하고, 뒷면의 오목부는 공간부가 돌출부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바닥판의 밑면으로부터 절개한 형태로 하는 것이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역학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바닥판(32)으로부터는 제3측면판(37)과 상기 제3측면판(34)에 평행한 제4측면판(36)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3축면판(37)과 제4측면판(3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제3측면판(34)의 구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3측면판(34)의 구조는 제4측면판(3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3측면판(34)은 바닥판(32)과의 삼각형 형태로 접합되면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3측면판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제1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은 제1의 높이보다 낮은 제2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앞쪽은 제1의 높이로부터 제2높이를 향해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의 제2높이로부터 뒷부분은 제2의 높이로부터 제1의 높이를 향해 직선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역사다리꼴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제3측면판의 중앙축에 대해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 제3측면판(34)의 상부면에는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두개의 돌출부(301,302,311,312)와 이 두개의 돌출부(301, 302)에 의해서 정의되는 오목부(303,31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3측면판(34)의 앞쪽면은 앞쪽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뒷쪽면에는 이 돌출부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된 조립식 암거를 설치하기 위한 공정으로서는 첫째로 필요한 암거의 길이에 해당하도록 몇개의 하부판(30)을 설치한다.
각각의 하부판(30)은 동일한 규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맨앞의 하부판의 뒷쪽면의 오목부 (317)에는 그 다음단 하부판(30)의 앞쪽면에 형성된 돌출부(315)가 끼워지게 되고 그 다음단의 뒷쪽 오목부(317)에는 그 다음단의 앞쪽면에 형성된 돌출부 (315)가 끼워지게 되어 하부판(30)이 설치된다.
이때, 하부판 각각을 상호 끼워서 계합하는 경우에 오목부(317)와 돌출부 (315) 사이에 접착제와 같은 것을 사이에 투입하고 계합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는 하부판(30) 위에 상부판(10)을 올려놓는데, 상부판은 덮개판(22)과 이 덮개판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연장된 제1측면판(24)과 다른 쪽 모서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연장되고 제1측면판(22)와 평행한 제2측면판(26)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1측면판(24)과 제2측면판(2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제1측면판(24)의 구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1측면판(24)의 구조는 제2측면판(2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측면판(24)은 덮개판(22)과 삼각형 형태로 접합되면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제1측면판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제1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은 제1의 높이보다 낮은 제2의 놓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앞쪽은 제1의 높이로부터 제2높이를 향해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의 제2높이로부터 뒷부분은 제2의 높이로부터 제1의 높이를 향해 직선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다리꼴 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제1측면판(24)의 중앙축에 대해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부판(10)을 하부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1/2정도 이동시켜서 하부판(30) 위에 올려놓는데, 이때, 상부판(10)은 첫번째 하부판의 중앙 뒷부분과 두번째 하부판의 중간 앞부분 사이에 걸쳐놓이게 된다. 여기서 상부판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는 사다리꼴은 45°의 각도를 가지고 있는 등변사다리꼴이고, 상부판의 제1측면판 (24)과 하부판의 제3측면판(34)은 제1높이를 이루는 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부판(10)을 하부판(3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1/2길이 만큼 이동시켜서 설치하는 경우에 맨앞의 상부판(10)의 중간 앞부분과 또 반쪽으로 된 상부판(10)의 중간 뒷부분이 손쉽게 하부판(30)의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공간부를 채울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다리꼴의 형태는 반드시 이 45° 각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데 이는 상부판(10)의 측면판(24)에 형성되어 있는 등변사다리꼴의 각도와 하부판(30)의 측면판(34)에 형성되어 있는 등변사다리꼴의 각도의 합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부판(30)의 제3측면판(34) 상부면에는 상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두개의 돌출부(301,302)와 이 돌출부들(301,302)에 의해서 정의되는 오목부 (30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판(17)의 제1측면판(24)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돌출부(205)가 하부판(30)의 제3측면판(34)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03)에 끼게 되어 계합되게 되고, 하부판(30)의 제2측면판(34) 상부면 역시 상부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두개의 돌출부(311,312)와 이 돌출부들(311,312)에 의해서 정의되는 오목부(31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10)의 제2측면판(26)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을 따라 길게 연장된 돌출부(21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판(30)의 제4측면판(36)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13)에 끼게 되어 계합되게 된다.
또 각각의 상부판들은 상부판(10)의 앞쪽면으로부터는 돌출부(203)가, 이 상부판(10)의 뒷쪽면으로부터는 상기 돌출부(203)와는 반대형태로 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맨 앞쪽 상부판의 오목부에는 그 다음단 상부판의 돌출부(203)가 끼워지는 형태로 되어 전체적으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도, 하부판 각각을 상호 끼우서 계합하는 경우에 전기한 오목부(317)와 돌출부(315) 사이에 접착제와 같은 것을 사이에 투입하고 계합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판의 측면판의 돌출부와 하부판의 측면판의 오목부와의 계합, 상부판 상호간의 계합 역시 접착제를 투입하고 계합하여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조립식 암거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면,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암거의 단면을 좌우로 양분하는 중앙판(45)과 이 중앙판(45)를 계합하기 위한 상부판에 형성된 홈 (413)과 하부판에 형성된 홈(411)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나 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중앙판(45)는 암거를 좌우로 나누어 설치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 사용되는데 이 중앙판(45)의 구조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길게 연장된 돌출부(401,40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하부판의 가운데는 하부판의 길이방향으로 중앙판의 돌풀부(401)가 계합될 수 있는 홈(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의 가운데는 상부판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앙판의 돌출부(403)가 계합될 수 있는 홈(4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판(45)외 계합은 제1도와 제2도에 의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부판에 끼우면서 계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면상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315)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상기 전면상의 돌출부(315)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오목부(317)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바닥판(32)과, 상기 바닥판(32)의 양측면 모서리상으로 수직연장되며 그 중앙상부가 오목한 형상을 하면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그 상부면 및 후면상에는 길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오목부(30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상에는 상기 후면상의 오목부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3측면판(37) 및 제4측면판 (36)으로 이루어진 하부판(30), 및 전면상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부(203)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상에는 상기 전면상의 돌출부(203)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덮개판(22)과, 상기 덮개판(22)의 양측면 모서리 하방으로 수직연장되며 그 중앙하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하면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그 하부면 및 전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3측면판(34) 및 제4측면판(30)의 상부면 및 후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303)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면상에는 상기 전면상의 돌출부가 맞물릴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측면판(24) 및 제2측면판(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30)과 길이가 같은 상부판(10)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10)이 상기 하부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1/2길이 만큼 이동되어 서로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0)의 덮개판(22)과 상기 하부판(30)의 바닥판(32)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판(45)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암거.
KR2019910013163U 1991-08-20 1991-08-20 조립식 암거 KR940003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63U KR940003226Y1 (ko) 1991-08-20 1991-08-20 조립식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163U KR940003226Y1 (ko) 1991-08-20 1991-08-20 조립식 암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927U KR930004927U (ko) 1993-03-20
KR940003226Y1 true KR940003226Y1 (ko) 1994-05-16

Family

ID=1931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163U KR940003226Y1 (ko) 1991-08-20 1991-08-20 조립식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09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조립식 케이블 보호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51A (ko) * 2002-11-12 2004-05-20 김준기 농작물 배수로용 맨호울식 복개 접속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09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조립식 케이블 보호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927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226Y1 (ko) 조립식 암거
KR100265397B1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KR200194534Y1 (ko) 조립식옹벽블럭
KR960008710Y1 (ko) 조립식 암거
KR950006217Y1 (ko) 조립식 암거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200028192A (ko) 지수부재를 구비한 지하구조물용 벽체패널
KR200233157Y1 (ko) 조립식 암거설비
KR102298176B1 (ko) 수밀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내진성 박스암거
KR100320086B1 (ko) 조립식암거설비
KR200230439Y1 (ko) 조경용 화단 조립체
KR200148172Y1 (ko) 조립식 암거
KR20010016306A (ko) 조립식 맨홀의 시공방법
JPH0437121Y2 (ko)
KR200236768Y1 (ko) 조립식 암거
KR20240051759A (ko) 잡초 생장 억제용 보도블록 셋트
KR200201044Y1 (ko)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KR200240308Y1 (ko) Frp로 제작된 조립식 맨홀
KR101844684B1 (ko) 옹벽 구조
KR200212018Y1 (ko) 조립식 암거
KR200259998Y1 (ko) 조립식암거
JP3048627B2 (ja) ブロックを用いた凹凸曲線状擁壁
KR20200045706A (ko) 지수부재를 구비한 지하구조물용 벽체패널
KR20180073739A (ko) 맨홀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