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44Y1 -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44Y1
KR200201044Y1 KR2020000012407U KR20000012407U KR200201044Y1 KR 200201044 Y1 KR200201044 Y1 KR 200201044Y1 KR 2020000012407 U KR2020000012407 U KR 2020000012407U KR 20000012407 U KR20000012407 U KR 20000012407U KR 200201044 Y1 KR200201044 Y1 KR 200201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block
block
landscaping
concret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최광철
황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녹산스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녹산스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녹산스포텍
Priority to KR2020000012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하여 조경 블록을 형성하고 그 조경 블록의 상부면으로는 각각의 조경 블록이 결합되면 배수로를 이루도록 형성시킨 조경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 공사 또는 토목 공사시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콘크리트 블록체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측 경사면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은 외주면에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 내부에 관통된 식재구을 형성하여 우천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조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조경 블록의 몸체에는 중앙으로 식재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측 돌출부를 형성하여 배수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경 블록의 몸체의 네개의 측면에는 측면 돌출부와 돌출부 측면 돌출부 결합홈을 각각 2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조경 블록의 모서리부에는 배수면과 단차를 가지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안착판과 고정핀으로 형성된 결합핀을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배수면과 안착판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이 경사면에 고정되어 조경 블록을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Landscape architecture block}
본 고안은 토목 공사, 도로 공사 등을 시행하는 경우 경사면이 형성되면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한편, 특히 콘크리트, 콘크리트 폐기물 및 PE(폴리에틸렌 )을 이용하여 조경 블록을 형성하고 그 조경 블록의 상부에 조경 블록의 형상으로 인하여 배수로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 블록은 도로 공사, 토목 공사를 시행한 후 발생되는 경사면(또는 비탈면)의 상부에 콘크리트 블록체를 먼저 형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그 내부 경사면에 지면과 밀착되도록 철 구조물을 사용하여 조경 블록을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경 블록을 설치시 산 또는 경사면의 수평한 길이에 따라 경사면의 중간 및 외부 양측에 배수로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말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조경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경 블록(12)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특히 상기 조경 블록(12)은 그 재질을 콘크리트 또는 PE(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상기 조경 블록(12)은 중앙부에 식재구(14)을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몸체(16)를 형성하여 도로 및 토목 공사를 시행한 경사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조경 블록(12)의 식재구(14)에는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작은 식물들을 식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조경 블록(12)을 경사면에 설치한 경우 그 조경 블록(12)을 지면과 완전히 고정시키는 철 구조물과 조경 블록의 제일 외곽에 형성하는 콘크리트 결합체(도면상 미도시)는 일반적인 기술이라 도면상에 상술하게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조경 블록은 기존 PE를 사용하여 제작한 조경 블록인 경우에는 지면과 정확하게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홍수 등 수해가 발생하면 자중이 가벼워 PE로 제작한 조경 블록이 떠내려 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조경 블록을 기존 콘크리트로 제작한 경우에는 지면과 정확하게 자중에 의하여 적재는 되지만 홍수 등 수해가 발생하면 식재구에 아무리 식물 등이 식재되었더라도 홍수에 의해 식재구을 통해 전달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내부로만 전달되므로 식재구의 하부가 침식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연결된 조경 블록이 침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은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특히 상기 조경 블록은 상부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우천시 빗물이나 유체 등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 공사 또는 토목 공사시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콘크리트 블록체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측 경사면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은 외주면에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 내부에 관통된 식재구을 형성하여 우천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조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조경 블록의 몸체에는 중앙으로 식재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측 돌출부를 형성하여 배수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경 블록의 몸체의 네개의 측면에는 측면 돌출부와 돌출부 측면 돌출부 결합홈을 각각 2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조경 블록의 모서리부에는 배수면과 단차를 가지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안착판과 고정핀으로 형성된 결합핀을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배수면과 안착판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이 경사면에 고정되어 조경 블록을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도 1a는 종래의 조경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A-A' 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B' 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설치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b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경사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조경 블록 32 : 몸체
34 : 상측 돌출부 38 : 배수면
42 : 측면 돌출부 44 : 측면 돌출부 결합홈
48 : 식재구 52 : 안착부
54 : 안착판 58 : 고정핀
60 : 배수로 62 : 경사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 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조경 블록(30)은 지면의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될 수 있도록 몸체(32)를 형성하고 몸체(32)의 중간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도록 식재구(48)을 형성하며, 상기 조경 블록(30)에는 정중앙에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킨 식재구(48)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돌출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상측 돌출부(34)에는 그 돌출부(34)와 연접하여 우천시 배수로로 사용되는 배수면(38)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몸체(32)에는 4개의 측면에 각각 두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측면 돌출부(42)와 측면 돌출부 결합홈(44)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32)의 네모서리부에는 각각의 조경 블록(30)을 결합시키는 경우 배수면(38)과함께 배수로로 사용되는 안착부(52)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32)의 안착부(52)에는 각각의 조경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결합핀이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핀은 연결판(54)과 고정핀(58)으로 일체로 구성된 형상이며 상기 결합핀은 경사면에 조경 블록(30)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기구이며 그 재질은 철재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설치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을 경사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조경 블록(30)은 경사면(62)에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조경 블록(3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안착부(52)의 상부면에 금속 체결구로 제작된 결합핀의 안착판(54)을 밀착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안착판(54)에는 중앙 직하부로 경사면에 고정되는 고정핀(58)을 경사면(62)에 고정시키므로서 결합이 끝나게 된다.
상기 결합핀의 안착판(54)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의 고정핀(58)은 그 끝을 경사면에 정확하게 고정되도록 뾰족하게 형성한다.
산 기슭 또는 경사면(62)에 조경 블록(30)들이 안착판(54)과 고정핀(58)으로 고정되며 각각의 조경 블록(30)의 상측 돌출부(42)에 의해서 조경 블록(30)의 사이에는 배수로(60)가 형성되므로 빗물 등과 같은 유체가 흘러 내릴수 있게 된다.
상기 조경 블록(30)은 그 사용 재료를 건축 폐기물인 콘크리트 폐기물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및 합성수지 계열인 PE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조경 블록(30)의 설치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콘크리트 폐기물을 사용하여 조경 블록(30)을 제작한 뒤 도로 공사 및 토목 공사를 시행한 후 형성된 경사면(42)에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조경 블록(30)을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조경 블록(30)은 콘크리트 블록체인 하부 배수로(도면에 미도시 함)와 연접하여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차례로 설치되며, 이때 상기 조경 블록(30)은 몸체(32)의 안착부(52)에 결합핀을 구성하는 안착판(54)과 고정핀(58)이 밀착하여 고정되므로 각각의 조경 블록(30)의 사이에는 배수로(60)가 형성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조경 블록(30)이 경사면(62)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완벽하게 설치되므로 홍수 등 수재의 발생시 그 빗물은 조경 블록(30)의 배수로(60)를 통하여 자연력에 의해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실시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경 블록은 그 상부면에 배수로를 형성시키므로 자연력에 의해 하부 배수로까지 유체가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어 홍수 등과 같은 수해가 발생되더라도 조경 블록이 침식되어 경사면이 붕괴되는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상기 조경 블록은 산업 폐기물인 콘크리트 폐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작하므로 폐기물 매립장 등을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도 있다.

Claims (2)

  1. 도로 공사 또는 토목 공사시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콘크리트 블록체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측 경사면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은 외주면에 몸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중앙 내부에 관통된 식재구을 형성하여 우천시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사용되는 조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조경 블록(30)의 몸체(32)에는 중앙으로 식재구(48)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측 돌출부(34)를 형성하여 배수면(38)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경 블록(30)의 몸체(32)의 네개의 측면에는 측면 돌출부(42)와 돌출부 측면 돌출부 결합홈(44)을 각각 2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조경 블록(30)의 모서리부에는 배수면(38)과 단차를 가지는 안착부(52)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52)에는 안착판(54)과 고정핀(58)으로 형성된 결합핀을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배수면(38)과 안착판(54)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58)이 경사면에 고정되어 조경 블록(30)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 블록(30)은 콘크리트 또는 PE(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KR2020000012407U 2000-05-01 2000-05-01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KR200201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07U KR200201044Y1 (ko) 2000-05-01 2000-05-01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407U KR200201044Y1 (ko) 2000-05-01 2000-05-01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44Y1 true KR200201044Y1 (ko) 2000-11-01

Family

ID=1965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407U KR200201044Y1 (ko) 2000-05-01 2000-05-01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0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8451U (ja) 防草型歩車道境界ブロックおよび舗装歩道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200201044Y1 (ko)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JP3857124B2 (ja) 路面覆工施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覆工板
KR200201030Y1 (ko)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배수로용 조경 블록
JP3217826U (ja) 防草型境界ブロック
KR101976073B1 (ko)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JPH11222874A (ja) マンホール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KR200330338Y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416952B1 (ko) 다기능 법면 보호구조체
KR100724286B1 (ko) 식생블럭 조립체
JP3232407U (ja) 上下分割型側溝
KR200148172Y1 (ko) 조립식 암거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200251413Y1 (ko) 수로겸용 옹벽
KR200330328Y1 (ko) 개량 식생 호안블럭어셈블리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200263856Y1 (ko) 호안블록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100591498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부지조성 성토법면 안정화 구조물
KR200180861Y1 (ko) 녹화용 콘크리트 블록 구조
KR200361724Y1 (ko) 식생블럭
KR20100055778A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