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648B1 -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648B1
KR100925648B1 KR1020090033010A KR20090033010A KR100925648B1 KR 100925648 B1 KR100925648 B1 KR 100925648B1 KR 1020090033010 A KR1020090033010 A KR 1020090033010A KR 20090033010 A KR20090033010 A KR 20090033010A KR 100925648 B1 KR100925648 B1 KR 10092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rain gutter
collecting tank
sidewalk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1020090033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 측 그레이팅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가 형성되어 보도 측으로 안내되고 연결관부에 의해 집수조부로 연결되며, 보도 측 청소용 뚜껑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조부는 상기 연결관부와 연결되는 상측공간부와 하부 측면의 배수관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와 하측공간부 사이에는 침사조바구니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걸림턱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부의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단턱부에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집수조부에 퇴적되어 부패된 잡물을 보도 측에서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오염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분위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에 의하면, 보도 측에 집수조부를 형성하여 차도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고 상기 집수조부에 퇴적되어 부패된 잡물을 보도 측에서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 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오염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분위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차도 측 그레이팅, 보도 측 청소용 뚜껑, 보도 측 집수조부, 침사조바구니, 개폐문, 악취, 청소

Description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ystem considering driving safety}
본 발명은 하수도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 측 그레이팅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가 형성되어 보도 측으로 안내되고 연결관부에 의해 집수조부로 연결되며, 보도 측 청소용 뚜껑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조부는 상기 연결관부와 연결되는 상측공간부와 하부 측면의 배수관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와 하측공간부 사이에는 침사조바구니가 상기 집수조부의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단턱부에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집수조부에 퇴적되어 부패된 잡물을 보도 측에서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오염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분위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양측 또는 일측부에는 강우시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로가 도로를 따라 형성되고, 배수로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빗물받이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고, 이 빗물받이 구조물에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토사나 잡물을 여과하여 하수구로 배출되게 하고 있으며, 빗물받이 상측 개방부에는 빗물 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지 등의 비교적 큰 잡물의 유입을 걸러주기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빗물받이 구조물은 대체로 강우시 노면에 흐르는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기능만을 주로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음으로, 빗물받이 구조물의 대부분이 상부 유입구측이 넓게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고, 노면과 접하는 상부 유입구측에 격자상의 그레이팅만을 재치 가설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배수로 및 하수구와 연통되는 빗물받이 구조물의 상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배수로는 물론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날파리 등의 각종 해충이나 노폐물 또는 퇴적물의 부폐로 인한 악취가 빗물받이 구조물을 통하여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 주변 환경을 악취나 해충으로 오염시키는 현상이 고질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는 주위 사람이나 통행자 등에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현상은 장마철 또는 기온이 높은 계절에 심하게 나타나 심각한 환경 위생문제를 대두시키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하절기의 폭 우나 집중호우 등과 같이 노면수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수로의 노면배수처리 능력이나 하수도의 처리 능력부족 현상이 발생될 때에는 저지대에 위치하는 노면의 빗물받이 구조물을 통하여 하수도나 배수로의 빗물이 빗물받이 구조물의 상부에 개방된 유입구를 통해 노면으로 역류되어 빗물받이 구조물 주위의 노면을 침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일반 도로와 같이 토사 특히 모래가 적은 도로에서와 같이 집사조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빗물받이 구조물에 상기한 여과 구조없이 빗물받이 구조물의 하방에 침사조만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으로 된 뚜껑만을 덮어두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비닐 또는 담배꽁초 등의 생활 폐기물 등의 잡물이 그대로 빗물받이 구조물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배수로나 하수구에 그대로 퇴적되어 부폐됨으로써 악취나 해충발생의 우려가 높아, 침사조에 쌓여있는 토사나 각종 잡물등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연후 빗물받이 구조물 내부에 쌓여 있는 잡물등을 털어내고 청소해야 하는 등, 빗물받이 구조물내의 청소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워 많은 인력과 노고가 요구되는 한편, 장기간 이를 방치한 경우에는 비닐 등의 잡물이 과다히 퇴적되어 하수구가 막혀 작은 강우에도 쉽게 우수가 도로로 범람하거나 역류되는 현상이 나타나 배수로의 기능을 상실케 되는 결함이 있고, 빗물받이 구조물내에 퇴적된 낙엽 등의 잡물이 부폐하여 주변에 심한 악취가 발생하거나 하수를 크게 오염시키는 등 환경상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로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빗물받이 구조물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로 상에 설치되므로 교통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교통을 통제한다든지 차량의 교통량이 적은 심야시간대를 이용하여야 하는 유지, 관리상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빗물받이 구조물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도 측에 집수조부를 형성하여 차도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고 상기 집수조부에 퇴적되어 부패된 잡물을 보도 측에서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오염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분위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차도 측 그레이팅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가 형성되어 보도 측으로 안내되고 연결관부에 의해 집수조부로 연결되며, 보도 측 청소용 뚜껑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조부는 상기 연결관부와 연결되는 상측공간부와 하부 측면의 배수관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와 하측공간부 사이에는 침사조바구니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걸림턱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부의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단턱부에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부는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부연결관부와 하부연결관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연결관부는 상기 집수조부 측이 폐쇄되고 폐쇄된 측에 하부연결관부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관부는 상측 내주연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개폐문이 상기 집수조부 측으로 열리고 상기 유도관부 측으로 닫히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상기 하부연결관부의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고 폐쇄된 측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상기 개폐문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되거나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에 의하면, 보도 측에 집수조부를 형성하여 차도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걸러주고 상기 집수조부에 퇴적되어 부패된 잡물을 보도 측에서 손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어 도로나 보도 주변을 오염시키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 분위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하수도 빗물받이의 측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외부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측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중앙 종단면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2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도(40) 측 그레이팅(10)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80)가 형성되어 보도(50) 측으로 안내되고 연결관부(90)에 의해 집수조부(60)로 연결되며, 보도(50) 측 청소용 뚜껑(30)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6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조부(60)는 상기 연결관부(90)와 연결되는 상측공간부(61)와 하부 측면의 배수관(70)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62)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61)와 하측공간부(62) 사이에는 침사조바구니(65)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걸림턱(653)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부(60)의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단턱부(63)에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 공(651)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6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차도 측에 집수조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하수도 빗물받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차도(40) 측에서 유입된 빗물이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유도관부(80)를 따라 흘러 내리고 상기 연결관부(90)를 통과하여 보도(50) 측 상기 청소용 뚜껑(30) 하측으로 형성된 상기 집수조부(6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도 측에 상기 집수조부(60)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에 쓸려온 잡물은 상기 침사조바구니(65)에 의해 걸러져 퇴적되고 부패된 잡물을 청소하고자 할 때 보도(50) 측 상기 청소용 뚜껑(30)을 열고 상기 침사조바구니(65)를 꺼내어 비움으로써 손쉽게 잡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의 특징은 빗물이 유입되는 공간은 차도(40) 측에 형성되고 빗물을 걸러주고 걸러진 잡물이 퇴적되는 상기 집수조부(60)는 보도(50) 측에 형성하여 보도(50) 측을 통하여 도로 상황이나 교통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하수도 빗물받이의 경우 상기 그레이팅의 바로 밑에 집수조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집수조부(60)는 상기 그레이 팅(10)에 의해 닫혀 있다고는 하나 거의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집수조부(60)에 쌓인 잡물들에 의해 발생하거나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유출되기가 매우 쉬운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의 경우 차도(40) 측 상기 그레이팅(10) 하측으로는 상기 유도관부(80) 및 연결관부(90)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부(60)는 보도(50) 측 하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유출되기가 매우 곤란하여 악취나 해충으로 인해 차도나 보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상부 측면부의 측면배출공(651)과 바닥면의 바닥면배출공(652)이 형성되어 상기 차도(40) 측 유입관부(80)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면배출공(651)과 바닥면배출공(652)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그레이팅(10)을 통과하여 빗물과 함께 쓸려온 담배꽁초 등의 잡물은 걸러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2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부(90)는 상측 내주연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개폐문(911)이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열리고 상기 유도관부(80) 측으로 닫히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개폐문(911)은 강우시 상기 그레이팅(10)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유도관부(80)를 따라 유입되는 빗물의 힘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열리게 되고 평상시에는 닫혀 있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 퇴적되어 부패한 잡물에 의해 발생하거나 배수로 또는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2, 도5a, 그리고 도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부(90)는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부연결관부(91)와 하부연결관부(92)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연결관부(91)는 상기 집수조부(60) 측이 폐쇄되고 폐쇄된 측에 하부연결관부 배출공(92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관부(91)는 상측 내주연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개폐문(911)이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열리고 상기 유도관부(80) 측으로 닫히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연결관부(91)로는 빗물이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흘러들어가고 상기 하부연결관부(92)로는 비중이 물보다 커서 가라앉는 잡물이 유입되게 되어 빗물에 쓸려오는 잡물 중 비교적 큰 잡물이 1차적으로 걸러지고 빗물은 상기 하부연결관부 배출공(921)을 통과하여 상기 집수조부(60)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침사조바구니(65)를 통화하면서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부(90)는 상부연결관부(91)에 형성된 상기 개폐문(911)에 의하여 악취나 해충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연결관부(92)는 상기 집수조부(60)와 함께 걸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상기 하부연결관부(92)의 상기 배출공(921)이 형성되고 폐쇄된 측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하부연결관부(92)는 상기 집수조부(60) 측이 폐쇄되어 잡물이 퇴적되게 되는데 상기 집수조부(60) 측에서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침사조바구니(65)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도(50) 측 상기 청소용 뚜껑(30)을 열어서 보도(50) 측에서 청소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상기 개폐문(911)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되거나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개폐문(911)은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빗물의 힘에 의하여 수축하여 열리고 탄성 회복력에 닫히게 되거나 힌지결합 등과 같이 결합되어 빗물의 힘에 의하여 밀려서 열리고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 자체 하중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개폐문(911)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2와 도6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도(40) 측 그레이팅(10)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80)가 형성되어 보도(50) 측으로 안내되어 집수조부(60)로 연결되며, 보도(50) 측 청소용 뚜껑(30)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60)가 형성되어지되,
내부에 차도(40) 측의 상기 집수조부(60)와 보도(50) 측의 상기 유도관부(80)로 구획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차도(40) 측으로 상기 그레이팅(10)이 안착되는 그레이팅 단턱부(101)와, 보도(50) 측으로 상기 청소용 뚜껑(30)이 안착되는 청소용 뚜껑 단턱부(102)와, 상기 그레이팅 단턱부(101)와 상기 청소용 뚜껑 단턱부(102)사이에 경계석(20)이 안착되는 경계석 단턱부(103)와, 내부 하부 측면에 배수공(104)이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유도관부(80)의 하단부 하측으로 상기 유도관부(80) 측으로 열리고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닫히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문(105)과;
상기 유도관부(80)로 연결되는 상측공간부(61)와 하부 측면의 상기 배수공(104)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62)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61)와 하측공간부(62) 사이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침사조바구니받침 배출공이 형성된 침사조바구니받침(106)이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침사조바구니받침 걸림턱에 의하여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받침 단턱부(107)에 안착되고 상기 침사조바구니받침(106)에는 침사조바구니(65)가 삽입되어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공(65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652)이 형성되는 집수조부(60)와;
상기 침사조바구니받침(106)의 상기 유도관부(80) 측 단부와 상기 개폐문(105)의 하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경사면을 이루는 배수로(10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차도(40)와 보도(50) 사이에 매립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10), 경계석(20), 청소용 뚜껑(30)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단턱부(101, 102, 103)가 구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보도(50) 측의 상기 집수조부(60)와 차도(40) 측의 상기 유도관부(80)로 구획된다.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차도 측에 집수조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하수도 빗물받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차도(40) 측에서 유입된 빗물이 경사면을 이루는 상기 유도관부(80)를 따라 흘러 내리고 상기 연결관부(90)를 통과하여 보도(50) 측 상기 청소용 뚜껑(30) 하측으로 형성된 상기 집수조부(60)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도 측에 상기 집수조부(60)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에 쓸려온 잡물은 상기 침사조바구니(65)에 의해 걸러져 퇴적되고 부패된 잡물을 청소하고자 할 때 보도(50) 측 상기 청소용 뚜껑(30)을 열고 상기 침사조바구니(65)를 꺼내어 비움으로써 손쉽게 잡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의 특징은 빗물이 유입되는 공간은 차도(40) 측 에 형성되고 빗물을 걸러주고 걸러진 잡물이 퇴적되는 상기 집수조부(60)는 보도(50) 측에 형성하여 보도(50) 측을 통하여 도로 상황이나 교통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하수도 빗물받이의 경우 상기 그레이팅의 바로 밑에 집수조부(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집수조부(60)는 상기 그레이팅(10)에 의해 닫혀 있다고는 하나 거의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집수조부(60)에 쌓인 잡물들에 의해 발생하거나 배수로나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유출되기가 매우 쉬운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의 경우 차도(40) 측 상기 그레이팅(10) 하측으로는 상기 유도관부(80) 및 연결관부(90)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부(60)는 보도(50) 측 하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유출되기가 매우 곤란하여 악취나 해충으로 인해 차도나 보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상부 측면부의 측면배출공(651)과 바닥면의 바닥면배출공(652)이 형성되어 상기 차도(40) 측 유입관부(80)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면배출공(651)과 바닥면배출공(652)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그레이팅(10)을 통과하여 빗물과 함께 쓸려온 담배꽁초 등의 잡물은 걸러지게 된다.
상기 침사조바구니받침(106)은 상기 침사조바구니(65)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 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이에 의하지 않고 상기 침사조바구니받침 단턱부(107)에 직접 안착시켜 설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상기 그레이팅(10)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유도관부(80)를 따라 유입되는 빗물의 힘에 의하여 상기 배수공(104) 측으로 상기 개폐문(105)이 열리게 되어 빗물에 쓸려오는 잡물은 상기 침사조바구니(65)에 가라앉아 걸리지게 되고 빗물은 직접 상기 개폐문(105)을 밀고 나가 상기 배수공(104) 측으로 배수되게 되고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문(105)은 닫혀 있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 퇴적되어 부패한 잡물에 의해 발생하거나 배수로 또는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지상으로 누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6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단턱부(103)에 접하여 차도(40) 측에는 그레이팅 보강받침(101')이 형성되고 보도(50) 측에는 청소용 뚜껑 보강받침(10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그레이팅 단턱부(101)과 상기 청소용 뚜껑 단턱부(102)는 상기 경계석 단턱부(103) 측으로는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그레이팅 보강받침(101')과 청소용 뚜껑 보강받침(102')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그레이팅(10)과 상기 청소용 뚜껑(3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6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차도 측 상부에는 다수개의 투수공(10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도로(차도)의 투수콘 포장공법은 물이 포장체 속을 투과, 노반에 흡수되는 새로운 보도포장공법으로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몸체부(100)의 차도(40) 측 상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투수공(109)을 형성하여 투수콘이 포장된 차도에서 투수콘을 투과하여 흡수된 물이 상기 다수개의 투수공(109)을 통하여 유입되도록 하여 차도의 빗물 등의 물을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는 도6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용 뚜껑(30)과 상기 청소용 뚜껑 단턱부(102) 사이에 상하가 관통되고 상단 내측으로 상기 청소용 뚜껑(30)이 안착되는 청소용 뚜껑 받침턱(3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32)가 개재되어 상기 경계석(20)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계석(20)은 그 높이가 다양한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높이를 달리하는 상기 높이조절구(32)를 상기 상기 청소용 뚜껑(30)과 상기 청소용 뚜껑 단턱 부(102)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상기 경계석(20)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구 빗물받이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종래 하수도 빗물받이의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외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중앙 종단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의 다른 실시예의 몸체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그레이팅 20. 경계석
30. 청소용 뚜껑 31. 청소용 뚜껑 받침턱
32. 높이조절구 40. 차도
50. 보도 60. 집수조부
61. 상측공간부 62. 하측공간부
63. 침사조바구니 단턱부 65. 침사조바구니
651. 측면배출공 652. 바닥면배출공
70. 배수관 80. 유도관부
90. 연결관부 91. 상부연결관부
911. 개폐문 92. 하부연결관부
921. 하부연결관부 배출공
100. 몸체부 101. 그레이팅 단턱부
101'. 그레이팅 보강받침 102. 청소용 뚜껑 단턱부
102'. 청소용 뚜껑 보강받침 103. 경계석 단턱부
104. 배수공 105. 개폐문
106. 침사조바구니받침 107. 침사조바구니받침 단턱부
108. 배수로 109. 투수공
110. 잡물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차도(40) 측 그레이팅(10) 하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유도관부(80)가 형성되어 보도(50) 측으로 안내되고 연결관부(90)에 의해 집수조부(60)로 연결되며, 보도(50) 측 청소용 뚜껑(30) 하측으로 상기 집수조부(6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집수조부(60)는 상기 연결관부(90)와 연결되는 상측공간부(61)와 하부 측면의 배수관(70)으로 연결되는 하측공간부(62)로 구획되며, 상기 상측공간부(61)와 하측공간부(62) 사이에는 침사조바구니(65)가 상단 외측으로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걸림턱(653)에 의하여 상기 집수조부(60)의 내주연에 형성된 침사조바구니 단턱부(63)에 안착되며, 상기 침사조바구니(65)는 상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측면배출공(651)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바닥면배출공(65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부(90)는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상부연결관부(91)와 하부연결관부(92)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연결관부(92)는 상기 집수조부(60) 측이 폐쇄되고 폐쇄된 측에 하부연결관부 배출공(92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결관부(91)는 상측 내주연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개폐문(911)이 상기 집수조부(60) 측으로 열리고 상기 유도관부(80) 측으로 닫히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관부(92)의 상기 배출공(921)이 형성되고 폐쇄된 측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911)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개폐되거나 자체 하중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33010A 2009-04-16 2009-04-16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KR10092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10A KR100925648B1 (ko) 2009-04-16 2009-04-16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10A KR100925648B1 (ko) 2009-04-16 2009-04-16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732A Division KR101136508B1 (ko) 2009-09-01 2009-09-01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648B1 true KR100925648B1 (ko) 2009-11-06

Family

ID=4156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010A KR100925648B1 (ko) 2009-04-16 2009-04-16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55B1 (ko) * 2017-04-13 2018-04-04 (주)에코이노텍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CN114263080A (zh) * 2021-12-27 2022-04-01 苏州净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线高压冲洗疏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8373U (ko) 1976-02-19 1977-09-29
US6015489A (en) 1998-01-19 2000-01-18 Larry J. Allen Plastic self-relieving curb inlet filter
KR200327756Y1 (ko) 2003-06-30 2003-09-22 주식회사 일건건축사사무소 도로 배수구조
KR20050103147A (ko) * 2005-01-05 2005-10-27 최세영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8373U (ko) 1976-02-19 1977-09-29
US6015489A (en) 1998-01-19 2000-01-18 Larry J. Allen Plastic self-relieving curb inlet filter
KR200327756Y1 (ko) 2003-06-30 2003-09-22 주식회사 일건건축사사무소 도로 배수구조
KR20050103147A (ko) * 2005-01-05 2005-10-27 최세영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55B1 (ko) * 2017-04-13 2018-04-04 (주)에코이노텍 직선 또는 곡선 구간 설치 가능한 조립형 프리캐스트 측구
CN114263080A (zh) * 2021-12-27 2022-04-01 苏州净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线高压冲洗疏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8804B2 (en) Storm water pretreatment chamber
US20090101591A1 (en) Storm drain inlet protection device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1136508B1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0925648B1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KR20090120987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80113514A (ko) 악취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물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090017869A (ko)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20050103147A (ko)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US11298635B2 (en) Storm water pretreatment chamber
KR101293048B1 (ko) 하수의 악취 방지시스템
KR100951061B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100557657B1 (ko) 쓰레기 수거망
KR200324404Y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