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63B1 - 편성시작장치 - Google Patents

편성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63B1
KR101844263B1 KR1020160131923A KR20160131923A KR101844263B1 KR 101844263 B1 KR101844263 B1 KR 101844263B1 KR 1020160131923 A KR1020160131923 A KR 1020160131923A KR 20160131923 A KR20160131923 A KR 20160131923A KR 101844263 B1 KR101844263 B1 KR 10184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lat portion
knitting start
knitting
bu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589A (ko
Inventor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4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commencing goods, e.g. with non-run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횡편기에 있어서의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편성시작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베이스부(1)와, 베이스부(1)에 설치되는 편성시작바늘(2)과, 편성시작바늘(2)의 상태를 지지상태와 비지지상태의 사이에서 절체하는 바늘제어기구(3)와, 제2바늘부재(21)를 니들베드갭(GP)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체(4)를 구비하는 편성시작장치(100)이다. 바늘제어기구(3)는, 편성시작바늘(2)에 형성되는 바늘측 결합부(30)와, 베이스부(1)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바늘측 결합부(30)에 작용하는 베이스측 결합부(31w)를 갖는 작용편(31)과, 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을 따라 작용편(31)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32)를 구비한다. 바늘제어기구(3)는, 베이스측 결합부(31w)로 바늘측 결합부(30)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제1바늘부재(20)와 제2바늘부재(21)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편성시작장치{SET UP DEVIC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편성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는,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 및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와, 각 니들베드에 병렬되는 다수의 니들홈(needle groove)의 각각에 배치되는 편침(編針)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니들홈의 연신방향(延伸方向)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캐리지에는 편성캠(編成cam)이 탑재되어 있고, 이 편성캠에 의하여 편침으로 편성동작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의 하방에,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편성포를 끌어내리는 편성시작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특허문헌1의 편성시작장치는, 복수의 니들홈이 형성되는 편성시작베드(베이스부(base部))와, 각 니들홈에 배치되는 편성시작바늘과, 편성시작바늘을 구성하는 바늘본체(제1바늘부재)와 슬라이더(slider)(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slide)시키는 편성시작바늘지지 개방장치(바늘제어기구)를 구비한다. 제2바늘부재의 상단(上端)에는 편성시작부를 결합하는 훅(hook)이 형성되어 있고, 제1바늘부재의 상단에는 제2바늘부재의 훅을 수납하는 훅수납부(hook收納部)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제어기구에 의하여 제1바늘부재와 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바늘부재의 훅수납부로부터 제2바늘부재의 훅을 돌출시킴으로써 편성시작바늘은 편성시작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상태(支持狀態)가 되고, 상기 훅수납부에 상기 훅을 수납시킴으로써 편성시작바늘은 편성시작부를 결합하지 않는 비지지상태(非支持狀態)가 된다. 이 특허문헌1에서는, 제2바늘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가압체(加壓體))이 더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1의 도6을 참조). 그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일정한 편성폭별로 웨일(wale)의 편성코스수(編成course數)가 서로 다른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도, 편성포의 각 웨일에 편성코스수에 대응한 적절한 인하력(pull-down force)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오실레이션 레버(oscillation lever)를 사용한 바늘제어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바늘부재에 대하여 제2바늘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오실레이션 레버를 설치하고, 코일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제2바늘부재에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관계없이 오실레이션 레버를 움직임으로써, 편성시작바늘을 지지상태로부터 비지지상태 또는 그 반대로 절체(切替)할 수 있다.
: 일본국 특허 제3377700호 공보
종래의 편성시작장치에서는, 바늘제어기구 중에서 구동부를 제외한 오실레이션 레버나 바늘제어 플레이트, 오실레이션암(oscillation arm) 등의 구성이 편성시작장치의 두께방향(편성시작장치의 니들베드의 두께방향과 동일함)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많이 돌출된 구성은, 편성시작장치의 폭방향의 전역(全域)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편성시작장치는 큰 탑재 스페이스(搭載 space)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탑재 스페이스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편성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의 하방에 배치되고,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상기 편성포를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편성시작장치로서, 복수의 편성시작바늘과, 베이스부와, 바늘제어기구와, 가압체를 구비한다. 상기 편성시작바늘은, 훅수납부를 갖는 제1바늘부재와 훅을 갖는 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조합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편성시작바늘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바늘제어기구는,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상태를, 상기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는 지지상태와 상기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상태의 사이에서 절체한다. 상기 가압체는, 상기 제1바늘부재 또는 상기 제2바늘부재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바늘제어기구는,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 중에서 상기 가압체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바늘부재에 형성되는 바늘측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바늘측 결합부에 작용하는 베이스측 결합부를 갖는 작용편과,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을 따라 상기 작용편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를 구비한다. 이 바늘제어기구는, 상기 베이스측 결합부로 상기 바늘측 결합부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는, 양자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가압체가 상기 제2바늘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바늘측 결합부가 상기 제1바늘부재에 형성되는 버트로 구성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바늘측 결합부가 버트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측 결합부가 상기 버트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오목부로 구성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수납오목부의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버트를 하방으로 끌어내리거나 또는 상기 수납오목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버트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규정부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일 수 있다. 그 경우에 슬라이드 결합부의 일방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볼록부, 타방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볼록부를 수납하는 결합오목부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작용편에 형성되는 캠팔로워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팔로워가 결합되는 캠홈을 갖는 캠판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캠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캠홈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각각,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와 하단 플랫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팔로워와 상기 캠판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캠홈은, 상기 하단 플랫부 근방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중간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 혹은 상기 버트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중간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 플랫부는 상기 하단 플랫부보다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어 있더라도, 상기 버트는 하방으로 끌어내려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에서는, 편성시작장치의 두께방향으로 진동(oscillate)하는 오실레이션 레버를 사용한 바늘제어기구를 대신하여, 편성시작장치의 베이스부 상에서 상하이동하는 작용편을 사용한 바늘제어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시작장치는, 종래의 편성시작장치보다 컴팩트하게 된다.
훅을 갖는 제2바늘부재에 가압체를 부착함으로써, 훅에 결합되는 편성시작부에 적절한 텐션을 걸 수 있다. 또한 제1바늘부재에 형성되는 바늘측 결합부를 버트로 구성함으로써, 바늘측 결합부를 오목한 것으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제1바늘부재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편성시작바늘은 가늘고 길며 얇은 부재이다. 그 때문에 바늘측 결합부를 버트로 구성하고, 베이스측 결합부를 수납오목부로 구성함으로써, 그 반대(바늘측 결합부 = 수납오목부, 베이스측 결합부 = 버트)로 하는 경우보다 편성시작바늘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오목부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에 의하여 버트를 움직이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지상태와 비지지상태의 절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1바늘부재와 제2바늘부재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범위를 규정하는 결합볼록부와 결합오목부를 편성시작바늘에 형성함으로써, 양 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결합오목부의 내벽에 결합볼록부가 접촉되어 멈추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범위를 정밀하게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결합부에 의하여 제1바늘부재로부터 제2바늘부재가 빠지기 어렵게 된다.
캠팔로워와 캠홈의 결합에 의하여 작용편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작용편을 매끄럽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캠홈의 상단과 하단에 플랫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용편의 이동범위의 상단위치와 하단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상태에서 비지지상태로의 절체 및 비지지상태에서 지지상태로의 절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캠홈에 중간 플랫부를 형성함으로써, 캠팔로워를 상단 플랫부에서 중간 플랫부로 이동시켰을 때에 편성시작바늘이 지지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편성시작바늘에 가압체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편성시작바늘을 이 상태로 함으로써, 편성시작부에 거의 일정한 텐션을 건 상태를 유지하면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도1은, 편성시작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개략도이다.
도2는, 편성시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편성시작바늘의 제1바늘부재와 제2바늘부재의 개략도, (B)는 비지지상태에 있는 편성시작바늘의 개략도, (C)는 지지상태에 있는 편성시작바늘의 개략도이다.
도4에 있어서, (A)는 편성시작장치의 부분 확대도, (B)는 작용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5에 있어서, (A)∼(C)는 편성시작장치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바늘제어기구에 의한 편성시작바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시작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
≪전체 구성≫
도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횡편기(橫編機)(200)는,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BB)를 구비하고, 양 니들베드(FB, BB)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장치이다. 본 예의 횡편기(200)는,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GP)의 하방에 배치되는 편성시작장치(100)를 더 구비한다. 편성시작장치(100)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장치이다. 본 예의 횡편기(200)는 테이크다운 장치(take-down 裝置)(3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테이크다운 장치(300)는, 한 쌍의 테이크다운 롤러(take-down roller)(301, 302)를 구비하고 있고,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의 사이에 편성포를 끼워서 편성포를 하방으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횡편기(200)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편성시작장치(1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편성시작바늘(2)을 니들베드갭(GP)의 위치에 배치하고, 편성시작부를 편성시작바늘(2)에 의하여 포착한다. 그리고 편성시작장치(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테이크다운 장치(300)에 편성포를 끼울 수 있는 위치까지 편성포를 편성하면,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에 편성포를 끼움과 아울러, 편성시작바늘(2)로부터 편성시작부를 빼낸다. 이와 같이 편성시작장치(100)와 테이크다운 장치(300)에 의하여 항상 편성포에 소정의 텐션(tension)을 걸어 둠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시작장치(100)는, 종래의 편성시작장치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base部)(1)와, 편성시작바늘(2)과, 바늘제어기구(3)와, 가압체(加壓體)(4)를 구비한다. 이 편성시작장치(100)에 있어서의 종래와의 주된 차이점은, 바늘제어기구(3)의 구성에 있다. 이하, 편성시작장치(10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
도2는, 도1의 편성시작장치(100)를 지면(紙面)의 우측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베이스부(1)는, 니들베드갭(GP)측에 배치되는 니들베드부(needle bed部)(10)와, 후술하는 작용편(作用片)(31)이나 코일스프링(coil spring)(가압체)(4) 등의 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부(設置部)(11)를 구비한다. 니들베드부(10)에는, 후술하는 편성시작바늘(2)을 수납하는 복수의 니들홈(needle groove)(1g)(도4를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설치부(11)에는, 후술하는 작용편(31)의 작동암(作動arm)(31B)이 슬라이드(slide)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 오목부(1s)(도4를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는, 그 양단부가 브래킷(bracket)(12)을 통하여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베이스부 승강기구(base部 昇降機構)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베이스부(1)의 전체를 연직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편성시작바늘≫
편성시작바늘(2)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조합되는 제1바늘부재(20)와 제2바늘부재(21)를 구비한다. 그 편성시작바늘(2)은, 베이스부(1)의 니들홈(1g)(도4를 참조)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니들홈(1g)에 배치되는 편성시작바늘(2)은, 밴드(band)(1b)(도2를 참조)에 의하여 니들홈(1g)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가압되고 있다. 또 편성시작바늘(2)은, 니들홈(1g)에 배치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cover)나 와이어(wire) 등에 의하여 니들베드부(10) 상을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제1바늘부재]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바늘부재(20)는, 그 지면의 우측으로부터 제2바늘부재(21)를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드홈(slide groove)(2g)을 구비한다. 그 슬라이드홈(2g)에 제2바늘부재(21)를 삽입함으로써, 도3(B), 도3(C)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바늘(2)이 형성된다. 제1바늘부재(2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바늘부재(21)의 훅(hook)(2f)을 수납하는 훅수납부(hook收納部)(2c)가 형성되어 있다. 훅수납부(2c)는 대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훅수납부(2c)에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걸어두는 부분이 없다.
제1바늘부재(20)의 중간부에는, 제1바늘부재(20)와 제2바늘부재(21)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범위를 규정하는 슬라이드 결합부(slide 結合部)(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슬라이드 결합부(2a)는, 제1바늘부재(20)를 지면의 표리방향(表裏方向)으로 관통하는 사각형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 구멍은, 그 일부가 슬라이드홈(2g)보다 깊은 위치(지면 좌측의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사각형 구멍의 위치에서 슬라이드홈(2g)이 깊어지게 된다. 그 슬라이드홈(2g)이 깊어진 부분(결합오목부)이, 본 예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결합부(2a)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슬라이드 결합부(2a)와, 후술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b)의 형성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延伸方向)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좋다.
제1바늘부재(20)의 하단부에는, 베이스부(1)(도5를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트(butt)(바늘측 결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버트(30)는, 후술하는 바늘제어기구(3)(도2, 도4, 도5를 참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버트(30)의 형성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제1바늘부재(20)의 연신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좋다.
[제2바늘부재]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바늘부재(21)의 상단부에는,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걸어두는 훅(2f)이 형성되어 있다. 훅(2f)의 구성은, 특허문헌1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2f)이 제1바늘부재(20)의 훅수납부(2c)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훅수납부(2c)에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걸어두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편성시작바늘(2)은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결합할 수 없는 비지지상태(非支持狀態)가 된다. 한편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2f)이 훅수납부(2c)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는, 당해 훅(2f)에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걸어둘 수 있기 때문에, 편성시작바늘(2)은 편성시작부를 결합할 수 있는 지지상태(支持狀態)가 된다.
제2바늘부재(21)의 중간부에는, 제1바늘부재(20)의 슬라이드 결합부(결합오목부)(2a)와 같이, 제2바늘부재(21)의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슬라이드 결합부(2b)는, 제1바늘부재(20)의 슬라이드홈(2g)측(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바늘부재(20)의 결합오목부(2a)의 내부에 수납되는 돌기(결합볼록부)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바늘부재(20)의 슬라이드 결합부(2a)는, 슬라이드홈(2g)이 일부 깊어지도록 형성된 결합오목부로서, 그 결합오목부(2a)의 상하방향(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의 폭은 결합볼록부(2b)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바늘부재(20)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켰을 경우에 결합오목부(2a)의 하단(下端) 가장자리에 결합볼록부(2b)가 접촉되어 멈추고,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바늘부재(20)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켰을 경우에 결합오목부(2a)의 상단(上端) 가장자리에 결합볼록부(2b)가 접촉되어 멈춘다. 이와 같이 제1바늘부재(20)의 슬라이드를 접촉시켜서 멈추게 함으로써 제한하는 구성에 의하면, 제1바늘부재(20)와 제2바늘부재(21)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범위가 정밀하게 규정된다. 이들 슬라이드 결합부(2a, 2b)의 결합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향(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과 동일함)에 있어서 제1바늘부재(20)로부터 제2바늘부재(21)가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 제1바늘부재(20)의 슬라이드홈(2g) 내에 결합볼록부를 형성하고, 그 결합볼록부에 결합하는 결합오목부를 제2바늘부재(21)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바늘부재(21)의 하단부에는, 코일스프링(4)(도4를 참조)의 일단(一端)이 결합되는 록킹부(locking部)(2j)가 형성되어 있다. 그 코일스프링(4)의 타단(他端)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의 설치부(11)에 부착되는 훅 모양의 록킹부재(1j)에 결합되어 있다. 즉 제2바늘부재(21)와, 제2바늘부재(21)에 조합되는 제1바늘부재(20)는, 인장스프링(引張spring)인 코일스프링(4)에 의하여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1바늘부재(20)를 움직이지 않는 한, 지지상태에 있는 편성시작바늘(2)은 지지상태 그대로, 비지지상태에 있는 편성시작바늘(2)은 비지지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 니들홈(1g) 내에 있어서의 편성시작바늘(2) 전체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바늘부재(20)(제2바늘부재(21))에는, 니들홈(1g) 내에 있어서의 편성시작바늘(2)의 슬라이드 범위의 하단을 정하는 하단 규정부(下端 規定部)(2w(2x))와, 당해 슬라이드 범위의 상단을 정하는 상단 규정부(上端 規定部)(2y(2z))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 규정부(2w(2x))는, 편성시작바늘(2)이 하방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도5의 베이스부(1)의 접촉멈춤부(1t)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편성시작바늘(2) 전체의 슬라이드 범위의 하단을 규정한다. 한편 상단 규정부(2y(2z))는, 편성시작바늘(2)이 상방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도4, 도5의 베이스부(1)에 부착되는 밴드(1b)에 접촉되어 멈춤으로써, 편성시작바늘(2) 전체의 슬라이드 범위의 상단을 규정한다.
여기에서 편성시작바늘은, 제1바늘부재와 제2바늘부재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편성시작바늘이 지지상태와 비지지상태로 되는 구성이면 좋으며,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71051호 공보의 도1∼도3이나, 일본국 특허공표 특표2011-51360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편성시작바늘이더라도 상관없다. 전자(前者)의 편성시작바늘은, 훅(2f)을 갖는 제2바늘부재(21)에 상당하는 부재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지지상태가 되는 편성시작바늘이다. 후자(後者)의 편성시작바늘은, 도3에 나타내는 본 예의 편성시작바늘(2)과는 반대로, 훅수납부(2c)를 갖는 제1바늘부재(20)에 상당하는 부재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지지상태가 되는 편성시작바늘이다. 또한 제2바늘부재(21)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가압체는, 코일스프링(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재(彈性材)에 의하여 가압체를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바늘제어기구≫
본 예의 바늘제어기구(3)는, 도4,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바늘부재(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버트(30)와, 베이스부(1)의 설치부(11)에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작용편(31)과, 작용편(31)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昇降機構部)(32)(도2를 참조)를 구비한다.
[작용편]
작용편(31)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각 형상의 수납오목부(베이스측 결합부)(31w)를 갖는 판상부(板狀部)(31A)와, 판상부(31A)의 하부에 연결되는 작동암(31B)을 구비한다(도4에서는 판상부(31A)의 일부만을 도면에 나타낸다). 본 예의 작용편(31)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의 폭방향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판상부(31A)에 2개의 작동암(31B)이 연결된 부재이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암(31B)은, 베이스부(1)의 슬라이드 오목부(1s)에 삽입되어 있고, 그 때문에 작용편(31)은 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지면의 상하방향)을 따라 베이스부(1)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작용편(31)은, 설치부(11)의 표면측이며, 코일스프링(4)의 배면측에 형성된다. 작용편(31)의 작동암(31B)은 커버부재(cover部材)(13)(도2를 참조)에 의하여 덮여 있어, 작용편(31)이 베이스부(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커버부재(13)는, 코일스프링(4)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설치부(1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상부(31A)에 연결되는 작동암(31B)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편(31)의 판상부(31A)에 형성되는 수납오목부(31w)에는, 제1바늘부재(20)의 버트(30)가 배치된다. 하나의 수납오목부(31w)에 배치되는 버트(30)의 수, 즉 하나의 수납오목부(31w)에 대응하는 편성시작바늘(2)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작용편(31)에 형성되는 수납오목부(31w)의 수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오목부(31w)는, 바닥부를 갖는 오목한 것이더라도 좋고, 판상부(31A)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더라도 좋다(본 예는 후자). 즉 본 예의 구성에서는, 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에 있어서, 수납오목부(31w)의 길이의 범위에서 편성시작바늘(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정한 편성폭별로 웨일(wale)의 편성코스수(編成course數)가 서로 다른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성포의 형상에 따라 편성시작바늘(2)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4(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편성포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의 2개의 편성시작바늘(2)이, 그 이외의 편성시작바늘(2)보다 수납오목부(31w)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지면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 경우에 중앙의 2개의 편성시작바늘(2)에는, 지면의 하측방향으로의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이 다른 편성시작바늘(2)보다 강하게 작용한다. 그 결과 편성포의 일정한 편성폭별로 각 웨일의 편성코스수에 따른 인하력(pull-down force)을 편성포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수납오목부(31w)에 제1바늘부재(20)의 버트(30)가 배치되는 구성에 의하면, 판상부(31A)를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오목부(31w)의 하단 가장자리에 의하여 버트(30)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고, 판상부(31A)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오목부(31w)의 상단 가장자리에 의하여 버트(30)를 하방으로 끌어내릴 수 있다. 버트(30)의 밀어올리기 및 끌어내리기는,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2)의 지지상태와 비지지상태의 절체(切替)에 관련된다.
작용편(31)에 있어서 작동암(31B)의 하단측에는, 캠팔로워(cam follower)(31C)가 형성되어 있다. 캠팔로워(31C)는, 작동암(31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모양의 부재로서, 베어링(bearing)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팔로워(31C)는, 회전하지 않는 원통모양의 부재나, 축부(軸部)의 선단에 구체(球體)가 형성된 부재이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캠팔로워(31C) 중에서 캠홈(cam groove)(32g)에 슬라이딩하여 접촉되는 부분을 미끄러지기 쉬운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캠팔로워(31C)와 캠홈(32g)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승강기구부]
승강기구부(32)는, 상기 캠팔로워(31C)와, 캠팔로워(31C)가 결합되는 캠홈(32g)을 구비하는 캠판(cam板)(32A)과, 캠판(32A)을 움직이는 구동부(驅動部)(32B)(도2를 참조)를 구비한다. 캠홈(32g)의 수는, 캠팔로워(31C)의 수에 대응한다.
캠판(32A)은 설치부(11)의 하단측의 위치에, 베이스부(1)의 폭방향(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캠판(32A)의 표면은 커버부재(14)(도2를 참조)에 의하여 덮여 있어, 설치부(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캠판(32A)에 형성되는 캠홈(32g)은 전체적으로 경사방향(베이스부(1)의 폭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캠홈(32g)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베이스부(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上端 flat部)(320)와 하단 플랫부(下端 flat部)(329)를 각각 구비한다. 하단 플랫부(329)에 캠팔로워(31C)가 배치됨으로써 작용편(31)에 의하여 버트(30)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편성시작바늘(2)이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하단 플랫부(3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 플랫부(320)에 캠팔로워(31C)가 배치됨으로써 작용편(31)에 의하여 버트(30)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편성시작바늘(2)이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단 플랫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캠팔로워(31C)와 캠홈(32g)의 결합에 의하여 작용편(31)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작용편(31)을 매끄럽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캠홈(32g)의 상단과 하단에 플랫부(320, 329)를 형성함으로써, 작용편(31)의 이동범위의 상단위치와 하단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3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바늘(2)을 대신하여, 훅수납부를 구비하는 제1바늘부재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지지상태가 되는 편성시작바늘(일본국 특허공표 특표2011-513601호 공보를 참조)을 사용하는 경우에, 캠팔로워(31C)가 상단 플랫부(320)(하단 플랫부(329))에 배치되었을 때에 편성시작바늘이 비지지상태(지지상태)가 된다.
상기 캠홈(32g)은 하단 플랫부(329) 근방의 위치에, 베이스부(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325)를 더 구비한다. 중간 플랫부(325)에 캠팔로워(31C)가 배치되었을 때에, 작용편(31)이 버트(30)에 작용하기 직전의 위치에 정지되도록 중간 플랫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예의 캠홈(32g)과는 달리 플랫부(320, 329, 325)를 갖지 않는 캠홈(32g)으로 할 수도 있다.
캠판(32A)을 슬라이드시키는 구동부(32B)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판(32A)의 하단에 형성되는 랙(rack)(32r)과, 랙(32r)에 결합되는 피니언(pinion)(32p)과, 피니언(32p)을 회전시키는 모터(motor)(32m)로 구성된다. 즉 본 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2m)에 의하여 편성시작장치(100)에 구비되는 모든 편성시작바늘(2)의 상태를 절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작용편(31)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32)는, 편성시작장치(100)의 두께방향으로 많이 돌출되지 않는 구성이면 좋으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랙을 작용편(31)에 설치하고, 피니언에 의하여 작용편(31)을 상하이동시켜도 좋고, 크랭크 기구를 사용하여 작용편(31)을 상하이동시켜도 좋다. 이 이외에 승강기구부(32)는, 작용편(31)을 상하로 직선운동시키는 구성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solenoid)나 에어실린더(air cylinder) 등을 사용한 액추에이터(actuator)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바늘제어기구에 의한 편성시작바늘의 동작≫
도5를 참조하여, 바늘제어기구(3)에 의하여 어떻게 편성시작바늘(2)이 동작하는가를 설명한다. 도5(A)에는, 캠판(32A)의 캠홈(32g)(도4를 참조)에 의하여 캠팔로워(31C)가 하한위치(도4의 하단 플랫부(329)의 위치)까지 끌어내려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캠팔로워(31C)가 하한위치로 끌어내려지기 조금 전부터 작용편(31)의 수납오목부(31w)의 상단 가장자리가 제1바늘부재(20)의 버트(30)를 끌어내린다(중앙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을 참조). 버트(30)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짐으로써 제1바늘부재(20)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부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수납부(2c) 내에 훅(2f)이 수납된다. 즉 도5(A)에서는 편성시작바늘(2)이 비지지상태로 되어 있다.
도5(C)에는, 캠판(32A)의 캠홈(32g)(도4를 참조)에 의하여 캠팔로워(31C)가 상한위치(도4의 상단 플랫부(320)의 위치)까지 밀어올려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캠팔로워(31C)가 상한위치로 밀어올려지기 조금 전부터 작용편(31)의 수납오목부(31w)의 하단 가장자리가 제1바늘부재(20)의 버트(30)를 밀어올린다(중앙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을 참조). 버트(30)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짐으로써 제1바늘부재(20)가 상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부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수납부(2c)로부터 훅(2f)이 노출된다. 즉 도5(C)에서는 편성시작바늘(2)이 지지상태로 되어 있다.
편성시작바늘(2)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포착하는 경우에, 편성시작바늘(2)을 비지지상태(도5(A)를 참조)로 하고, 편성시작장치(100)의 베이스부(1)를 니들베드갭(GP)을 향하여 상승시켜서, 편성시작부의 위치에 편성시작바늘(2)을 배치한다. 계속하여 편성시작바늘(2)을 지지상태(도5(C)를 참조)로 하고, 베이스부(1)를 하강시켜서 편성시작바늘(2)의 훅(2f)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포착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를 하강시켜서, 편성시작부에 텐션을 걸면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가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도1)를 통과하면,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에 의하여 편성포부를 끼움과 아울러, 도4의 캠판(32A)을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편성시작바늘(2)을 비지지상태(도5(A)를 참조)로 한다.
여기에서 도4의 캠판(32A)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편성시작바늘(2)을 지지상태(도5(C)를 참조)로 하여 편성시작부를 포착한 후에, 도4의 캠판(32A)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캠팔로워(31C)를 중간 플랫부(325)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5(B)의 중앙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용편(31)의 수납오목부(31w)의 상단 가장자리가 버트(30)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그 결과 상부의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바늘(2)이 지지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버트(3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수납오목부(31w)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제한된다. 버트(30)의 이동이 한정됨으로써, 편성시작바늘(2)에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중간 플랫부(325)에 캠팔로워(31C)가 배치되었을 때에, 수납오목부(31w)의 상단 가장자리가 버트(30)에 접촉되더라도 상관없다. 다만, 편성시작바늘(2)이 지지상태로 유지되도록 중간 플랫부(325)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효과≫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편성시작장치(100)는, 구동부(32B)(도1, 도2를 참조)를 제외하면, 편성시작장치(100)의 두께방향(베이스부(1)의 두께방향과 동일함)으로 많이 돌출되는 구성을 갖지 않아, 특허문헌1의 편성시작장치보다 컴팩트하다. 그 때문에,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성시작장치(100)의 탑재 스페이스(搭載 space)는, 종래의 편성시작장치보다 작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편성시작장치(100)에 의하면, 횡편기에 있어서 테이크다운 장치(300)와 병설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편성시작장치(100)에 의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는 경우에, 편성시작장치(100)의 베이스부(1)를 니들베드갭(GP)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 때에 베이스부(1)는, 테이크다운 장치(300)의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의 사이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본 예의 편성시작장치(100)의 베이스부(1) 중에서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를 통과하는 부분에는, 베이스부(1)의 두께방향으로 많이 돌출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편성시작장치(100)가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에 접촉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편성시작장치(100)를 회피할 수 있는 위치까지 테이크다운 롤러(301, 30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기구를 설치하는 등의 특별한 설계변경을 하지 않고, 편성시작장치(100)와 테이크다운 장치(300)를 병설시킬 수 있다. 또 구동부(32B)는 베이스부(1)의 두께방향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지만, 테이크다운 장치(300)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불량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과는 달리, 제1바늘부재(20)의 하단에 코일스프링(4)을 부착하고, 훅(2f)을 갖는 제2바늘부재(21)에 버트(바늘측 결합부)(30)를 형성하더라도 상관없다. 즉 훅(2f)을 갖는 제2바늘부재(21)를 제1바늘부재(20)에 대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편성시작바늘(2)의 비지지상태와 지지상태를 절체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도4의 캠팔로워(31C)가 하단 플랫부(329)에 배치되었을 때에 편성시작바늘(2)이 지지상태로 된다. 이 편성시작바늘(2)을 통하여 편성포의 편성시작부에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편성시작바늘(2)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포착한 후에, 캠팔로워(31C)를 하단 플랫부(329)로부터 상단 플랫부(320)의 전방까지 이동시키면 좋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1, 2와 달리, 작용편(31)에 형성되는 베이스측 결합부를 버트, 편성시작바늘(2)에 형성되는 바늘측 결합부를 수납오목부로 할 수도 있다. 편성시작바늘(2)에 형성되는 수납오목부는, 편성시작바늘(2)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이외에 편성시작바늘(2)의 연신방향으로 격리되는 2개의 돌기를 편성시작바늘(2)에 형성하고, 양 돌기 사이의 부분을 수납오목부로 할 수도 있다. 수납오목부는 제1바늘부재(20)와 제2바늘부재(21)의 어느 곳에 형성하더라도 상관없다.
100 : 편성시작장치
1 : 베이스부
10 : 니들베드부
11 : 설치부
12 : 브래킷
13, 14 : 커버부재
1b : 밴드
1g : 니들홈
1j : 록킹부재
1s : 슬라이드 오목부
1t : 접촉멈춤부
2 : 편성시작바늘
20 : 제1바늘부재
21 : 제2바늘부재
2a : 슬라이드 결합부(결합오목부)
2b : 슬라이드 결합부(결합볼록부)
2c : 훅수납부
2f : 훅
2g : 슬라이드홈
2j : 록킹부
2w, 2x : 하단 규정부
2y, 2z : 상단 규정부
3 : 바늘제어기구
30 : 버트(바늘측 결합부)
31 : 작용편
31A : 판상부
31B : 작동암
31C : 캠팔로워
31w : 수납오목부(베이스측 결합부)
32 : 승강기구부
32A : 캠판
32B : 구동부
32g : 캠홈
32m : 모터
32p : 피니언
32r : 랙
320 : 상단 플랫부
329 : 하단 플랫부
325 : 중간 플랫부
4 : 코일스프링(가압체)
200 : 횡편기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GP : 니들베드갭
300 : 테이크다운 장치
301, 302 : 테이크다운 롤러

Claims (13)

  1.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에 배치되고, 편성포의 편성시작부를 포착하여 상기 편성포를 하방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장치로서,
    훅수납부(hook收納部)를 갖는 제1바늘부재와 훅(hook)을 갖는 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slide)할 수 있도록 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복수의 편성시작바늘과,
    상기 복수의 편성시작바늘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base部)와,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상태를, 상기 편성시작부를 지지하는 지지상태(支持狀態)와 상기 편성시작부를 지지하지 않는 비지지상태(非支持狀態)의 사이에서 절체(切替)하는 바늘제어기구(needle制御機構)와,
    상기 제1바늘부재 또는 상기 제2바늘부재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체(加壓體)를
    구비하는 편성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제어기구는,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 중에서 상기 가압체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바늘부재에 형성되는 바늘측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바늘측 결합부에 작용하는 베이스측 결합부를 갖는 작용편(作用片)과,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延伸方向)을 따라 상기 작용편을 상하이동시키는 승강기구부(昇降機構部)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측 결합부로 상기 바늘측 결합부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키며,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는, 양자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정하는 규정부를 포함하는
    편성시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가 상기 제2바늘부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바늘측 결합부가 상기 제1바늘부재에 형성되는 버트(butt)로 구성되는
    편성시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측 결합부가 버트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측 결합부가, 상기 버트를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오목부의 상단(上端) 가장자리가 상기 버트를 하방으로 끌어내리거나 또는 상기 수납오목부의 하단(下端) 가장자리가 상기 버트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제1바늘부재와 상기 제2바늘부재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는 편성시작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부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이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의 일방(一方)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볼록부, 타방(他方)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볼록부를 수납하는 결합오목부인
    편성시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부는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이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의 일방(一方)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볼록부, 타방(他方)이, 상기 편성시작바늘의 연신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볼록부를 수납하는 결합오목부인
    편성시작장치.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작용편에 형성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팔로워가 결합되는 캠홈(cam groove)을 갖는 캠판(cam板)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캠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驅動部)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上端 flat部)와 하단 플랫부(下端 flat部)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단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작용편에 형성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팔로워가 결합되는 캠홈(cam groove)을 갖는 캠판(cam板)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캠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驅動部)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上端 flat部)와 하단 플랫부(下端 flat部)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단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작용편에 형성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팔로워가 결합되는 캠홈(cam groove)을 갖는 캠판(cam板)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캠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驅動部)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上端 flat部)와 하단 플랫부(下端 flat部)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단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부는, 상기 작용편에 형성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캠팔로워가 결합되는 캠홈(cam groove)을 갖는 캠판(cam板)과,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상기 캠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부(驅動部)를 구비하고,
    상기 캠홈은, 그 상단의 위치와 하단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단 플랫부(上端 flat部)와 하단 플랫부(下端 flat部)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하방으로 끌어내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비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하단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작용편에 의하여 상기 버트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져서, 상기 편성시작바늘이 상기 지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단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하단 플랫부 근방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中間 flat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 혹은 상기 버트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중간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하단 플랫부 근방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中間 flat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 혹은 상기 버트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중간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하단 플랫부 근방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中間 flat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 혹은 상기 버트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중간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상기 하단 플랫부 근방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플랫부(中間 flat部)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플랫부에 상기 캠팔로워가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작용편이 상기 버트에 접촉되기 직전의 위치 혹은 상기 버트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중간 플랫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시작장치.
KR1020160131923A 2015-10-15 2016-10-12 편성시작장치 KR101844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4131 2015-10-15
JP2015204131A JP6257569B2 (ja) 2015-10-15 2015-10-15 編出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89A KR20170044589A (ko) 2017-04-25
KR101844263B1 true KR101844263B1 (ko) 2018-04-02

Family

ID=5715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23A KR101844263B1 (ko) 2015-10-15 2016-10-12 편성시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56530B1 (ko)
JP (1) JP6257569B2 (ko)
KR (1) KR101844263B1 (ko)
CN (1) CN106917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231B (zh) * 2019-06-05 2023-05-09 中山龙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梳针起底针板
CN110129980B (zh) * 2019-06-05 2023-04-14 中山龙族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起底针板
CN110438648A (zh) * 2019-08-29 2019-11-12 桐乡市强隆机械有限公司 电脑横机起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684A (en) 1989-02-08 1992-03-24 Shima Seiki Mfg., Ltd. Apparatus to engage set-up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32016A1 (ko) * 1952-09-04
JPS59169392U (ja) * 1983-04-22 1984-11-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出し櫛
JPH02210046A (ja) * 1989-02-08 1990-08-21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編み出し方法と編み出し装置
DE4030161A1 (de) 1990-09-24 1992-03-26 Stoll & Co H Gestrick-abzugsvorrichtung fuer flachstrickmaschinen
JP3612113B2 (ja) * 1995-07-13 2005-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出し装置
JPH09279442A (ja) * 1996-04-16 1997-10-28 Shima Seiki Mfg Ltd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JP3377700B2 (ja) * 1996-11-06 2003-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出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DE102006005384B4 (de) * 2006-02-03 2009-02-05 Groz-Beckert Kg Abzugskamm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
JP4943718B2 (ja) * 2006-03-01 2012-05-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案内板開閉駆動ユニット
FR2928380B1 (fr) 2008-03-05 2010-07-30 Steiger Sa Atelier Constr Peigne de tirage pou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684A (en) 1989-02-08 1992-03-24 Shima Seiki Mfg., Ltd. Apparatus to engage set-up fabric on a fla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89A (ko) 2017-04-25
CN106917184B (zh) 2019-03-19
JP2017075430A (ja) 2017-04-20
EP3156530A1 (en) 2017-04-19
CN106917184A (zh) 2017-07-04
EP3156530B1 (en) 2018-05-16
JP6257569B2 (ja)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263B1 (ko) 편성시작장치
US7716955B2 (en) Sinker set for the manufacture of plush
KR101867401B1 (ko) 편성포의 인하장치
JP6316327B2 (ja) 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CN107735520B (zh) 用于圆形针织机的支撑和控制设备
JP6280937B2 (ja) 編地の引下げ装置
KR20140106431A (ko) 재봉기
KR20100110736A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KR101576837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EP1655398A1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KR10156549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캠조립체를 구비하는 양말편직기
JP2014084538A (ja) 横編機の編出し装置およびニットウエアの編出し方法
EP3054041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KR101036862B1 (ko) 편성 타이밍 전환 장치를 갖춘 환편기
US20200270792A1 (en) Flat knitting machine mangl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CN111936687B (zh) 缝纫机
KR102544766B1 (ko) 원형 편직기 및 원형 편직기의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KR20190002530U (ko) 횡편기의 편사지지절단장치
US10612169B2 (en) Kni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200034558A (ko) 재봉기
JP5231051B2 (ja) 刺しゅう縫機能付きミシンの刺しゅう枠取付装置
JP7438016B2 (ja) ミシン
KR101505601B1 (ko)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RU2489538C2 (ru) Петельный прижимной механизм и платина плосковязальных машин
WO2024075449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