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601B1 -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601B1
KR101505601B1 KR1020130078894A KR20130078894A KR101505601B1 KR 101505601 B1 KR101505601 B1 KR 101505601B1 KR 1020130078894 A KR1020130078894 A KR 1020130078894A KR 20130078894 A KR20130078894 A KR 20130078894A KR 101505601 B1 KR101505601 B1 KR 10150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guide plate
pin
guid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242A (ko
Inventor
양진석
Original Assignee
양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석 filed Critical 양진석
Priority to KR102013007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실 절단장치는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을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실을 공급하는 핑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thread of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핑거가 직선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함으로써 색사를 용이하게 교환 및 절단할 수 있는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기에 의해서 편성된 편성물은 실들이 둥글게 엮어지면서 이루어지는 편직으로서 한 줄의 실이 한 코, 한 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편직된다.
편성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무늬나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편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편성물을 자동으로 짜기 위한 편기의 하나로서 환편기가 보편화되어 있다.
보통 환편기의 경우 편침에 색사를 공급하기 위하여 실린더 외주에 축선방향으로 나란히 뻗도록 다수 개의 바늘홈을 형성하고, 각 바늘홈에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되도록 편침을 수용하며, 실린더와 대향되도록 편침을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캠을 캠홀더에 조립한다.
그리고, 편성시 편침과 작동하는 싱커는 수평방향으로 조립된 싱커다이얼에서 접촉되어 제어되고, 실린더의 내측에는 편침에 색사를 안내하는 다수 개의 얀가이드가 결합된 실 절단장치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여러 가지 모양의 편성물을 짤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편성패턴의 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편성물을 짜는데 사용되는 소재는 명주 실과 같은 천연 섬유를 비롯하여 나일론 실과 같은 화학가공 처리된 합성섬유 실을 주로 사용하며, 이러한 실은 유연성이 대단히 뛰어나고 강도가 있기 때문에 천을 편성할 때 다양한 편성법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환편기에 있어서 색사를 공급하는 실 절단장치(Striper)는 셀렉션 드럼과 다수의 색사 공급 핑거로 구성되며, 상기 셀렉션 드럼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핀삽입구 중 어느 하나에 핀을 삽입하면 특정 색사를 공급하는 색사 공급핑거를 선택하거나 전환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10-0458925호에서는 원단두께 등 편성물 조건에 따라 다양한 조직패턴 편직시 상가마와 하가마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에서는 편직장치의 작동을 위한 구동장치 이외에 별도의 구동장치를 추가로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많은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구조적으로도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는 한편, 또 기존 장치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기계제작시에 반드시 함께 제작해야 하는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색사를 바꾸어주기 위해 실을 변환할 때, 핑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복잡한 동력전달구조의 트랜스퍼 유닛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그 설치개수에 제약을 받는 등 이는 결국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 10-0458925호(명칭: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색사를 바꾸어주는 핑거의 작동구조를 직선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도록 개선하고, 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색사를 용이하게 편성 및 절단할 수 있는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실을 절단하는 절단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실을 공급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실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는 핑거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핑거가 수직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전후진 하여 색사의 교환 및 절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 절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실 절단장치의 핑거가 전진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실 절단장치의 핑거가 후진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 절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실 절단장치(10)는 환편기의 편직 모듈과 연동됨으로써 핑거(18)가 전후진하여 색사를 공급하거나 절단한다.
이러한 실 절단장치(10)는 동일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가 다수겹으로 겹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플레이트 구조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 절단장치(10)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14)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사이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절단부재(16)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4)를 따라 전후진함으로써 실을 공급하는 핑거(Finger;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실 절단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환편기 본체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측면에는 제 1 및 제 2핀(22,23)이 돌출되며, 제 1 및 제 2핀(22,23)은 가이드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홀(36,38)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4)는 베이스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4)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사이에 상기 절단부재(16)가 힌지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측면에는 가이드핀(24)과 고정핀(26)이 전후방으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돌출된다.
이러한 가이드핀(24)은 가이드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1관통홀(44)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핑거(18)의 제 1가이드홀(50)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핀(26)은 가이드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제 2관통홀(46)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핑거(18)의 제 2가이드홀(5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18)는 가이드핀(24)과 고정핀(26)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직진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절단부재(16)는 삽입홀(29)이 형성되어 제 2핀(23)이 관통하는 수직부(28)와; 수직부(28)에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30)와; 수평부(30)의 선단에 형성되어 실을 절단하는 나이프(32)와; 측면에 돌출되어 절단부재(16)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걸림핀(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단부재(16)는 핑거(18)의 제 1돌기(43)가 전진하면서 걸림핀(31)을 밀게 되고, 걸림핀(31)이 반시계 방향의 궤적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절단부재(16)도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반대로, 핑거(18)가 후진하는 경우, 핑거(18)의 제 2돌기(60)가 후진하면서 걸림핀(31)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걸림핀(31)이 시계방향의 궤적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절단부재(16)도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실을 절단한다.
이러한 절단부재(16)는 편직 모듈(10)측으로 실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실을 잡아주는 역할 이외에 실을 끊어주는 역할도 함께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나이프(32)에 대응되는 위치인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선단에는 커터(34)가 배치된다. 따라서, 핑거(18)의 후진시 핑거(18)가 실을 끌고 오게 되면, 이때 실은 나이프(32)와 커터(34)의 사이로 들어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젖혀져 있던 절단부재(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터(34)와 엇갈리게 되므로서 실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나이프(32)와 커터(34)가 엇갈리면서 실을 절단하는 위치와, 실이 통과하여 걸리는 실홀(62)의 위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을 절단하는 위치는 커터(34)의 높이 혹은 나이프(32)가 회전하여 정점에 도달하였을 때의 높이와 같은 위치를 의미한다.
결국, 실홀(62)에 걸린 실이 핑거(18)의 후진시 처진상태로 끌려오는 것 보다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나이프(32)와 커터(34)의 사이로 끌려오는 것이 절단에 유리하므로 실이 절단되는 위치와 실홀(62)의 높이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잘려진 실 중 남아 있는 윗쪽의 실 부분은 나이프(32)와 커터(34)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남아 있는 윗쪽의 실 부분은 핑거(18)의 전진시 함께 끌려나가게 되고, 이렇게 끌려나간 실 부분을 편직 모듈(10)의 니들이 채가듯이 잡아가서 편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에는 제 1 및 제 2홀(36,38)이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제 1 및 제 2핀(22,23)이 각각 관통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홀(36,38)의 주위에는 와셔가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홀(36,38)의 와셔에는 스프링(35)이 장착됨으로써 핑거(18)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즉, 스프링(35)의 하부(40)는 제 1 및 제 2홀(36,38)의 와셔에 감기고, 상부(41)는 상향으로 연장되며 하부와 일정 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핑거(18)가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 스프링(35)의 상부(41)가 핑거(18)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핑거(18)를 윗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14)에는 경사홀(42)이 형성되며, 이 경사홀(42)에는 절단부재(16)의 걸림핀(31)이 관통한다.
이러한 경사홀(42)은 일정 곡률로 경사진 장공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돌기(43) 및 제 2돌기(60)가 걸림핀(31)을 전후방으로 미는 경우, 걸림핀(31)이 경사진 경사홀(42)을 따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경사홀(42)은 걸림핀(31)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따라서, 걸림핀(31)이 밀려서 회전하는 경우, 원호형상의 장공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핑거(18)는 가이드 플레이트(14)의 측면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색사의 전환을 위하여 실을 공급하거나 회수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핑거(18)는 전진시에는 실을 끌고 나가 앞쪽으로 위치되면서 편직 모듈(10)의 니들이 실을 걸어서 가져갈수록 해주고, 또 후진시에는 실을 끌고 들어와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실을 잠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핑거(18)는 제 1가이드홀(50)과 제 2가이드홀(5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48)와; 상기 몸체(48)의 하부에 돌출되어 걸림핀(31)에 접촉하여 밀거나 당기는 제 1 및 제 2돌기(43,60)와; 몸체(48)의 후방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환편기 캠(62)과 접촉함으로써 핑거(18)를 전, 후진시키는 제 1돌출턱(54)과; 몸체(48)의 후방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액츄에이터(55)의 로드(59)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눌려짐으로써 핑거(18)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 2돌출턱(56)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48)의 선단에는 실이 삽입될 수 있는 실홀(62,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아래로 늘여 뜨려져 실홀(62,64)을 통과하여 하부에 배치된 편직모듈(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48)의 후방에는 제 1가이드홀(50)이 형성되며, 제 1가이드홀(50)에는 상기 가이드핀(24)이 삽입된다. 또한, 제 1가이드홀(50)의 선단에는 하향으로 제 1걸림홈(51)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하향으로 제 2걸림홈(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18)가 전,후진하는 경우, 가이드핀(24)이 제 1걸림홈(51)에서 이탈된 후 제 1가이드홀(50)에 삽입된 상태로 핑거(18)가 전,후진하게 되고 제 2걸림홈(53)에 안착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즉, 핑거(18)가 후진하는 경우, 제 2걸림홈(53)에 안착된 가이드핀(24)이 이탈한 후 제 1가이드홀(50)을 따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 1걸림홈(51)에 걸리게 됨으로써 핑거(18)의 후진거리를 제한한다.
반대로, 핑거(18)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제 1걸림홈(51)에 안착된 가이드핀(24)이 이탈한 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1가이드홀(50)을 따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 후 제 2걸림홈(53)에 걸림으로써 핑거(18)의 전진거리를 제한한다.
이때, 고정핀(26)도 제 2가이드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핑거(18)가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제 2가이드홀(52)은 전방부, 즉 실홀(62)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핑거(18)를 장착한 경우, 핑거(18)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후진하여도 고정핀(26)이 제 2가이드홀(52)의 전방부에 걸려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어 후진이 가능하다.
즉, 제 2가이드홀(52)이 폐쇄된 형상의 홀인 경우에는 핑거(18)가 후진할 때,고정핀(26)이 제 2가이드홀(52)에 걸림으로써 후진이 어렵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제 2가이드홀(52)의 일측을 개방시킴으로써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규격의 핑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18)가 전후진하는 경우, 가이드핀(24)과 고정핀(26)이 제 1 및 제 2가이드홀(50,52)에 각각 삽입된 상태이므로 핑거(18)는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돌기(43) 및 제 2돌기(60)는 몸체(48)의 하면에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하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돌기(43,60)의 사이에는 절단부재(16)의 걸림핀(31)이 위치한다. 따라서, 핑거(18)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제 1돌기(43)가 걸림핀(31)에 접촉하고, 핑거(18)가 후진하는 경우에는 제 2돌기(60)가 걸림핀(31)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핑거(18)가 전,후진 하는 경우, 제 1 및 제 2돌기(43,60)에 의하여 절단부재(16)의 걸림핀(31)이 밀림으로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돌출턱(54)은 몸체(48)의 후방에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환편기 캠(61)과 접촉한다. 이때, 환편기 캠(61)은 소정의 캠선도에 의하여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환편기 캠(61)이 전진하는 경우에는, 제 1돌출턱(54)을 전방으로 밀어서 핑거(18)도 전진하게 된다. 또한, 환편기 캠(61)이 후진하는 경우에는 제 1돌출턱(54)을 후방으로 밀어서 핑거(18)도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돌출턱(56)은 액츄에이터(55)의 로드(59)와 접촉한다. 즉, 액츄에이터(55)의 로드(59)가 하강하는 경우, 제 2돌출턱(56)을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핑거(18)의 후단도 하강한다.
이때, 핑거(18)는 복수개가 배치되는 바, 각 핑거(18)의 제 2돌출턱(56)은 그 위치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55)는 환편기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편성 패턴에 맞게 미리 설정해놓은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면서 각 핑거(18)를 하나씩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55)에는 다수개의 로드(59)가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로드(59)는 각각의 핑거(18)의 제 2돌출턱(56)에 대응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55)의 로드(59)가 하강하는 경우, 각 핑거(18)의 제 2돌출턱(56)도 선택적으로 눌림으로써 각 핑거(18)가 서로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승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결국, 각각의 핑거(18)는 편성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실 절단장치의 핑거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실 절단장치의 핑거가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5)의 로드(59)가 핑거(18)의 제 2 돌출턱(56)을 가압하게 되면, 핑거(18)의 후부는 하부로 살짝 내려간다.
그리고, 핑거(18)의 후부가 내려감에 따라 제 1돌출턱(54)도 내려감으로써 환편기캠(61)이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캠선도를 따라 구동하고 있는 상태의 환편기 캠(61)이 핑거(18)의 제 1돌출턱(54)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제 1걸림홈(51)에 안착된 가이드핀(24)이 이탈한 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 1가이드홀(50)을 따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핑거(18)가 전진함으로써 편직 모듈(10)의 니들이 핑거(18)의 실홀(62,64)에 걸려 있는 실을 잡고서 아래로 내려가 편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핑거(18)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1돌기(43)가 절단부재(16)의 걸림핀(31)을 밀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재(16)가 잡고 있던 실을 놓게 되므로 핑거(18)에 걸려 있는 실 또한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끌려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18)가 전진한 상태에서, 실을 바꾸기 위하여 다른 핑거(18)를 전진시키고 전진한 핑거(18)는 후진시킨다.
핑거(18)를 후진시키는 경우, 액추에이터(55)의 다른 로드가 핑거(18)의 제 2돌출턱(56)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핑거(18)의 후단부는 하강함으로써 제 1돌출턱(54)이 환편기 캠(61) 위치까지 내려간다.
이때, 환편기 캠(61)은 핑거(18)의 제 1돌출턱(54)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 1돌출턱(54)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핑거(18)가 후진하는 경우, 제 2걸림홈(53)에 안착된 가이드핀(24)이 이탈한 후 제 1가이드홀(50)을 따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핑거(18)가 후진하면, 이 핑거(18)에 의한 실의 공급은 중단되며, 편직 모듈(10)의 니들은 곧 이어 전진된 다른 핑거(18)의 실홀(62,64)에 걸려 있는 실을 잡고서 아래로 내려가 편직을 수행한다.
그리고, 핑거(18)가 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2돌기(60)가 절단부재(16)의 걸림핀(31)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절단부재(16)가 회전함으로써 끌려오는 실을 커터(34)와 같이 절단함과 동시에 남은 실부분을 잡게 된다.
이러한 핑거(18)의 전후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편성을 수행할 수 있다.
10: 실 절단장치
12: 베이스 플레이트
14: 가이드 플레이트
16: 절단부재
18: 핑거

Claims (7)

  1. 복수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실을 공급하는 핑거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사이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며, 측면에 걸림핀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핑거의 돌기와 연동하여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실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절단부재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함으로써 고정시키는 제 1 및 제 2핀과, 측면에는 전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한 후 상기 핑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핀과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핑거는 제 1가이드홀과 제 2가이드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과 고정핀이 관통하며, 선단에는 실이 관통하는 실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가이드홀의 전방부는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핑거가 후진하는 경우 고정핀이 제 2가이드홀의 전방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절단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1 및 제 2핀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홀과; 상기 걸림핀이 관통되는 경사홀과, 상기 가이드핀 및 고정핀이 관통하는 제 1 및 제 2관통홀과; 상기 제 1 및 제 2홀의 주위에 장착되는 와셔와; 상기 와셔에 결합되어 상기 핑거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선단에 형성되어 실을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실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핀이 관통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실을 절단하는 나이프와; 그리고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경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핑거와 연동하여 상기 절단부재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걸림핀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재가 회전궤적을 따라 정점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커터와 엇갈림으로써 실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절단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걸림핀에 접촉하여 밀거나 당기는 제 1 및 제 2돌기와;
    몸체의 후방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환편기 캠과 접촉함으로써 핑거를 전, 후진시키는 제 1돌출턱과;
    몸체의 후방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액츄에이터의 로드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핑거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 2돌출턱을 포함하는 실 절단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실홀은 커터와 동일 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실이 장력상태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절단장치.

KR1020130078894A 2013-07-05 2013-07-05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KR10150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94A KR101505601B1 (ko) 2013-07-05 2013-07-05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94A KR101505601B1 (ko) 2013-07-05 2013-07-05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42A KR20150005242A (ko) 2015-01-14
KR101505601B1 true KR101505601B1 (ko) 2015-03-26

Family

ID=5247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894A KR101505601B1 (ko) 2013-07-05 2013-07-05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75A1 (ko) * 2018-02-14 2019-08-22 양진석 환편기용 스트라이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569A (ko) * 2002-10-13 2005-07-07 가부시키가이샤 마쓰자키 마토리쿠스테쿠노 편기의 급사장치
KR20110101078A (ko) * 2010-03-05 2011-09-15 산토니 에쎄.뻬.아. 특히 편물기 등을 위한 스트라이핑 얀 핑거를 위한 실 파지 및 절단 장치
JP2011236545A (ja) 2010-05-03 2011-11-24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Gmbh 糸交換装置のためのヤーンフィンガー
KR101169326B1 (ko) * 2011-08-30 2012-07-30 양진석 환편기의 오토 스트라이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569A (ko) * 2002-10-13 2005-07-07 가부시키가이샤 마쓰자키 마토리쿠스테쿠노 편기의 급사장치
KR20110101078A (ko) * 2010-03-05 2011-09-15 산토니 에쎄.뻬.아. 특히 편물기 등을 위한 스트라이핑 얀 핑거를 위한 실 파지 및 절단 장치
JP2011236545A (ja) 2010-05-03 2011-11-24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Gmbh 糸交換装置のためのヤーンフィンガー
KR101169326B1 (ko) * 2011-08-30 2012-07-30 양진석 환편기의 오토 스트라이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175A1 (ko) * 2018-02-14 2019-08-22 양진석 환편기용 스트라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42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116B1 (ko) 실의 스플라이싱 방법 및 그 장치
US10781544B2 (en) Quilting machine
EP2806059B1 (en) Thread routing mechanism for needle-switchable type sewing machine
KR20090004735A (ko) 직물로의 장식재의 꿰매 붙임 방법, 연속 재단 장치 및재단 기능을 가진 장식 미싱
CN106283422B (zh) 缝纫机
EP3622106B1 (en) Quilting machine
US3393653A (en) Tufting machines for making carpets and like fabrics
KR20140106431A (ko) 재봉기
CN104831460B (zh) 一种针织圆机的自动调线喂纱装置
KR101169326B1 (ko) 환편기의 오토 스트라이퍼 모듈
KR101505601B1 (ko) 색사전환장치의 실 절단장치
EP2796605A1 (en) Operative head for a sewing machine
KR101206793B1 (ko) 환편기용 파일사 절단장치
JP2008280641A (ja) 給糸切換機におけるストライプ柄編成装置とその方法
CN100422417C (zh) 针织机用的给纱机构
CN108978065A (zh) 绣花簇绒机及绣花簇绒方法
WO2015033996A1 (ja) ミシン
CN204608320U (zh) 一种针织圆机的自动调线喂纱装置
KR100556704B1 (ko) 양두 환편기의 실 공급장치
JP2006149623A (ja) 環縫いミシン
CN107923096B (zh) 用于致动切线及夹线装置的方法以及相关装置
US5477793A (en) Cutting and nipping apparatus for the front yarn for embroidery machines
US4103517A (en) Straight knitting machine
KR100609317B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KR102213796B1 (ko) 환편기용 얀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