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27B1 -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27B1
KR101843327B1 KR1020170156865A KR20170156865A KR101843327B1 KR 101843327 B1 KR101843327 B1 KR 101843327B1 KR 1020170156865 A KR1020170156865 A KR 1020170156865A KR 20170156865 A KR20170156865 A KR 20170156865A KR 101843327 B1 KR101843327 B1 KR 10184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caffold
members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도
Original Assignee
박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도 filed Critical 박형도
Priority to KR102017015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일 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재, 상기 빗면에 의해 이동된 단관비계가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단관비계를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부재, 및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정렬된 단관비계를 스토퍼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PIPE SCAFFOLD RE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관비계를 기결정된 개수씩 묶음하여 재포장하기 위한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시공중인 건물의 외벽에 가설되어 작업자 등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작업발판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대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파이프를 연장시켜 일정 규격의 프레임을 형성한 후에, 그 사이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한 안전발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비계는 조립방법 등의 차이에 따라 단관비계나 틀비계 등과 같이 구별되며,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비계파이프와 각 비계파이프를 교차하는 가새 및 수직파이프의 최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비계베이스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비계파이프는 보통 대량으로 공급되어 소량으로 재공급하기 위해서는 대량으로 공급된 비계파이프를 해체후 일일히 재묶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단관비계를 재포장하기 위한 자동화 장치는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단관비계를 재포장하는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목적은, 단관비계를 재포장하는 동시에 수평으로 정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일 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재, 상기 빗면에 의해 이동된 단관비계가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단관비계를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부재, 및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정렬된 단관비계를 스토퍼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수평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는 수평골격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및 수평골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골격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 및 실린더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정렬부재 및 각각의 실린더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렬부재는 하나의 회전축에 동축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린더부재는 같은 시점에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상기 스토퍼의 타측으로 이동된 단관비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너비부재 및 상기 너비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부 중 적어도 2 개의 이동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단관비계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대량의 단관비계가 테이블에 놓인 상태에서 정렬부재 및 실린더부재를 이용해 단관비계를 낱개로 수용부로 옮길 수 있으므로, 원하는 개수의 단관비계를 용이하게 재포장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부의 위치조절부를 통해 수용된 단관비계를 수평으로 길이를 맞출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공정없이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재포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재된 효과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부터 예측되거나 기대되는 효과들 또한 본원발명 고유의 효과에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관비계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관비계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테이블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수용부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관비계 테이블(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관비계 수용부(2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단관비계 테이블(10) 및 단관비계 수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관비계 테이블(10)은 단관비계가 놓여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관비계 테이블(10)은 적어도 하나의 단관비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테이블(10)은 경사부재(100), 수평부재(200), 스토퍼(210), 정렬부재(220) 및 실린더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단관비계는 빗면에 놓이게 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빗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빗면상의 일 지점에 놓이는 단관비계는 자연스럽게 빗면의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수평부재(200)는 빗면에 의해 이동된 단관비계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재(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부재(200)는 지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즉 수평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200)와 경사부재(100)는 측면이 서로 접하게 배치되고 수평부재(200)는 빗면의 하부측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빗면에 의해 이동된 단관비계는 수평부재(200)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부재(100)와 수평부재(200)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되나, 경사부재(100)의 하부측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별도의 수평부재(200)가 구비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스토퍼(210)는 수평부재(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210)는 수평부재(20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10)는 빗면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단관비계는 빗면 및 수평부재(200)를 따라 이동하다가 스토퍼(210)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수평부재(20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정렬부재(220)는 단관비계를 스토퍼(210)의 일측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렬부재(220)는 중력에 의해 수평부재(200)까지 안착된 단관비계를 스토퍼(210)측으로 밀어서 스토퍼(210)에 보다 인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렬부재(220)는 수평부재(200) 및 경사부재(1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렬부재(220)는 일측이 회전축(221)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221)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형성되는 회전면은 지면에 대체로 수직으로 놓일 수 있다. 회전축(221)의 회전시, 정렬부재(220)의 타측이 이동되는 경로에 단관비계가 놓인 경우, 단관비계는 정렬부재(220)로부터 전달받은 운동에너지에 의해 스토퍼(210)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부재(230)는 스토퍼(210)의 일측에 인접하게 정렬된 단관비계를 스토퍼(2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린더부재(230)는 수평부재(200) 및 경사부재(1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재(230)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수평부재(200) 및 경사부재(100)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재(231)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부재(230)의 이동부재(231)는 단관비계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토퍼(210)의 일측에 위치한 단관비계는 실린더부재(230)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스토퍼(210)를 넘어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를 전체적으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경사부재(100), 수평부재(200), 스토퍼(210), 정렬부재(220) 및 실린더부재(230)는 일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이러한 세트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5 개의 세트(S1, S2, S3, S4, S5)를 구비한다.
이때, 복수의 수평부재(200)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평부재(200)는 수평골격부재(31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골격부재(310)는 상기 수평부재(2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부재(200)와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나아가, 복수의 수평부재(2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복수의 수평부재(200) 및 수평골격부재(3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골격부재(320)가 연결될 수 있다. 수직골격부재(320)는 복수의 수평부재(200) 및 수평골격부재(3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관비계 테이블의 다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정렬부재(220)는 하나의 회전축(221)을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정렬부재(220)는 하나의 회전축(221)에 동축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정렬부재(220)는 같은 시점에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부재(230)는 같은 시점에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실린더부재(230)의 이동부재(231)는 모두 함께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31)의 최대 인출 시점은 모든 이동부재(231)에 있어서 동일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조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330)는 정렬부재(220), 실린더부재(230)의 동작을 제어와 관련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의 수용부(20)를 설명하도록 한다.
수용부(20)는 단관비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단관비계 테이블(10)에서 스토퍼(210)의 타측으로 이동된 단관비계는 결과적으로 수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사용상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용부(20)는 레일부(400) 및 이동부(500a, 500b, 50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동부를 지칭하는 대표 도번으로서 500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일부(400)는 수용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부(20)의 길이 방향과 레일부(400)의 길이 방향은 같은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상기 레일부(40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500)는 레일부(40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휠(40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일부(400) 상에서 이동부(50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부(500)를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부(500a, 500b, 500c)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 개의 이동부(500a, 500b)는 상기 수용부(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이동부(500a, 500b)가 단관비계의 양단을 각각 수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단관비계를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부(20)의 양단 사이에 추가적으로 이동부(500c)가 더 배치시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단관비계를 수용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길이부재(510), 너비부재(520) 및 복수의 수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부재(510)는 상기 레일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부재(510) 하부에는 휠(401)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재(530)는 길이부재(5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부재(530)는 길이부재(51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길이부재(510)와 수직부재(530)는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결합될 수 있다.
너비부재(520)는 상기 레일부(4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수직부재(53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수직부재(530)는 너비부재(5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너비부재(520)와 너비부재(5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부재(530)에 의하여 단관비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너비부재(520)와 복수의 수직부의 내측면들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보조부재(5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보조부재(540)의 일면은 너비부재(520)의 일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단관비계는 너비부재(520)와 복수의 수직부재(5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중앙측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부(2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500)는 단관비계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600)는 수용부(20)의 길이방향 상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조절부는 위치조절판(600)과 위치조절축(60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판(600)은 단관비계의 단부와 직접 접하도록 구성되며, 일면이 평평한 판으로 이루어진다. 위치조절축(601)은 위치조절판(6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판(600)과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관비계가 수용부(20)에 수용될 때, 단부의 위치가 맞지 않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조절부(600)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단관비계의 단부의 위치가 모두 일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위치조절부(600)의 동작은 추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테이블(1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단관비계 테이블의 동작이 잘 나타나도록 도 1 에 도시된 복수의 세트 중 일 세트에 대한 단면도를 활용하여 가공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의 경사부재(100)에 놓이는 단관비계(P)는 중력에 의해 빗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된 단관비계(P)는 경사부재(100)에 연결된 수평부재(200)의 일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단관비계(P)의 위치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상황에 따라 단관비계(P)는 스토퍼(210)측에 더 인접한 위치까지 내려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관비계(P)는 정렬부재(220)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210)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렬부재(220)와 연결된 회전축(22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정렬부재(220) 역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단관비계(P)는 정렬부재(220)의 회전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재(220)는 단관비계(P)를 스토퍼(210)측으로 밀게 되고, 단관비계(P)는 스토퍼(210)측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210)에 걸리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린더부재(230)에서 이동부재(231)가 인출되면, 스토퍼(210)의 일측에 위치하던 단관비계(P)가 스토퍼(21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단관비계(P)는 수평부재(200)상에서 계속 이동하여 단관비계 테이블 아래로 떨어질 수 있으며, 떨어지는 단관비계(P)는 수용부(20)에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의 수용부(2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단관비계 수용부(20)의 동작이 잘 나타나도록 도 2에 도시된 수용부(20)의 정면도를 활용하여 가공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관비계(P1, P2)가 수용부(20)에 수용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는 채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위치조절부(600)가 원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600)는 수용부(2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치조절부(600)가 단관비계측으로 이동되며 복수의 단관비계(P1, P2)의 단부들과 접한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관비계(P1, P2)의 단부들의 위치가 맞춰질 수 있다. 여기서 단부들의 위치가 맞춰진다는 것의 의미는 수용부(20)의 길이방향 (또는 레일부(400)의 길이방향) 상에서 단부들의 위치가 같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부(600)가 원래 위치에 재위치되며 수용부(20)의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련의 동작들은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단관비계 테이블 100: 경사부재
200: 수평부재 210: 스토퍼
220: 정렬부재 221: 회전축
230: 실린더부재 231: 이동부재
310: 수평골격부재 320: 수직골격부재
330: 조작부 20: 단관비계 수용부
400: 레일부 401: 휠
500, 500a, 500b, 500c: 이동부 510: 길이부재
520: 너비부재 530: 수직부재
540: 보조부재 600: 위치조절부
601: 위치조절축 P: 단관비계

Claims (12)

  1. 일 방향으로 경사진 빗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재;
    상기 빗면에 의해 이동된 단관비계가 위치되도록 상기 경사부재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상기 단관비계를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부재; 및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인접하게 정렬된 단관비계를 스토퍼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경사부재는 측면이 서로 접하게 배치되고, 수평부재는 빗면의 하부측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경사부재와 수평부재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수평부재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수평부재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는 수평골격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경사부재, 수평부재, 스토퍼, 정렬부재 및 실린더부재는 일 세트로 구성되고 상기 세트는 5개이고,

    상기 정렬부재 및 실린더부재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정렬부재 및 각각의 실린더부재는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정렬부재는 하나의 회전축에 동축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정렬부재의 타측이 이동되는 경로에 놓인 단관비계는 상기 정렬부재로부터 전달받은 운동에너지에 의해 스토퍼측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에 걸리며,

    상기 복수의 실린더부재는 같은 시점에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로 연동되고, 상기 복수의 실린더부재의 이동부재(231)는 모두 함께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이동부재(231)의 최대 인출 시점은 모든 이동부재(231)에 있어서 동일하고,

    상기 스토퍼의 타측으로 이동된 단관비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부 중 적어도 2 개의 이동부는 상기 수용부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20)의 양단 사이에 추가적으로 이동부(500c)가 더 배치되
    는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및 수평골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골격부재가 연결되는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너비부재 및
    상기 너비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단관비계의 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KR1020170156865A 2017-11-22 2017-11-22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KR10184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65A KR101843327B1 (ko) 2017-11-22 2017-11-22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865A KR101843327B1 (ko) 2017-11-22 2017-11-22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01A Division KR101898725B1 (ko) 2018-03-22 2018-03-22 단관비계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327B1 true KR101843327B1 (ko) 2018-03-29

Family

ID=6190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865A KR101843327B1 (ko) 2017-11-22 2017-11-22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7083A (zh) * 2018-12-29 2020-07-07 乐山希尔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7057A (ja) * 2013-12-20 2015-06-25 Jfe建材株式会社 長尺材結束用整形装置及び長尺材結束方法
CN204606271U (zh) * 2015-04-20 2015-09-02 湖州人新轴承钢管有限公司 一种高效便捷的轴承钢管包装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7057A (ja) * 2013-12-20 2015-06-25 Jfe建材株式会社 長尺材結束用整形装置及び長尺材結束方法
CN204606271U (zh) * 2015-04-20 2015-09-02 湖州人新轴承钢管有限公司 一种高效便捷的轴承钢管包装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7083A (zh) * 2018-12-29 2020-07-07 乐山希尔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725B1 (ko) 단관비계 테이블
US8397437B2 (en) Method for installing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and system for installing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CN101835704B (zh) 模块化的支撑结构以及用于容器处理机器的支撑结构的模块
CN108247754A (zh) 一种家具用木板切割打磨生产线
CN102046046A (zh) 统一的设备安装系统
KR101843327B1 (ko) 단관비계 재포장 장치
KR101404244B1 (ko) 리벳팅 장치
JP6232445B2 (ja) 分配ブームを備えるコンクリートポンプ
CN106457460A (zh) 摩擦搅拌接合装置用工件固定装置
CN106044461A (zh) 用于安装导轨的方法以及导轨
JP3140123U (ja) 手延べ機の送り出し装置
SE1330011A1 (sv) Anordning
CN101386179A (zh) 用于夹紧和加工输送带的端部的装置及方法
CN107962410B (zh) 工件定位器
JP6721997B2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KR100958320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KR20100102334A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CN208575472U (zh) 一种上轨调节柱装配机的上轨搬运机构
ITMI20131256A1 (it) Disposizione di collegamento di almeno due corpi di componenti di un gruppo di automazione meccanica di movimenti con un gruppo di vincolo amovibile
JP2013189282A (ja) キャリアローラスタンド及びベルトコンベア
US20030193124A1 (en) Workpiece carrier for production lines, or pallet, with adjustable supports
JP5905465B2 (ja) ボーリング加工装置
KR101910834B1 (ko)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CN203015376U (zh) 电子元件安装设备用的调准夹具
JP2016050397A (ja) 仮設足場ユニットおよび仮桟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