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320B1 -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20B1
KR100958320B1 KR1020080102315A KR20080102315A KR100958320B1 KR 100958320 B1 KR100958320 B1 KR 100958320B1 KR 1020080102315 A KR1020080102315 A KR 1020080102315A KR 20080102315 A KR20080102315 A KR 20080102315A KR 100958320 B1 KR100958320 B1 KR 10095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guide
guide bar
display panel
pair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327A (ko
Inventor
박금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08010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조립 및 검사공정에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작업대 상에 정확하고 안정하게 놓여지도록 정렬시키고 지지시켜 주기 위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 상기 베이스판(110) 상면에 상기 x축가이드바(121,122)와 교차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y축가이드바(131,132); 한 쌍을 이루는 모든 x축가이드바(121,122)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160); 한 쌍을 이루는 모든 y축가이드바(131,132)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170); 일측의 x축가이드바(121)와 일측의 y축 가이드바(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공간부(101)에 놓여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의 인접하는 두 일측면을 밀어주는 푸셔(140); 및 상기 푸셔(140)와 마주보는 타측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타측의 y축가이드바(131,1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140)들에 의해 이동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타측면과 간섭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정렬, 얼라인, LCD

Description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Align apparatus for TFT-LCD pannel}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조립 및 검사공정에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작업대 상에 정확하고 안정하게 놓여지도록 정렬시키고 지지시켜 주기 위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나 PDP 또는 유기EL과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음극선관(CRT)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여 휴대폰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그리고 텔레비전의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제작공정이나 조립공정 또는 검사공정을 거치게 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공정마다 다음 작업을 위하여 소정의 이송장치를 통해 대기위치에서 작업대 상부의 작업위치로 이송된다. 일단 작업대에 놓여진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은 필수적으로 작업대에 설치된 얼라인장치를 통해 자세가 정확하게 교정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얼라인장치(10)는 베이스판(1)과, 베이스판(1) 상부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x축가이드바(2a,2b)와 상기 한 쌍의 x축가이드바(2a,2b)와 교차하는 한 쌍의 y축가이드바(3a,3b)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바 들(2a,2b,3a,3b)은 각각 상호간에 이격 또는 근접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가이드바들(2a,2b,3a,3b)을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면, 그 중앙에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놓여지는 공간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x축가이드바(2a,2b)와 일측의 y축가이드바(3a,3b)의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4)에 놓여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2측면을 밀어주는 푸셔(5)가 설치되고, 이 푸셔(5)와 마주하는 타측의 x축가이드바(2a,2b)와 타측의 y축가이드바(3a,3b)의 상부에는 상기 푸셔(5)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의 다른 2측면을 지지하여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6)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4)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이 놓여지면, 푸셔(5)가 스토퍼(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을 이동시키게 되고, 그 결과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은 푸셔(5)와 스토퍼(6)에 의해 4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가이드바들(2a,2b,3a,3b)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볼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의 제작, 조립 및 검사공정은 작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각 해당 작업이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메인 작업대(M) 상에서 여러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들이 동시에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만일 규격이 다른 평판디스플레이 패널(P)이 메인 작업대에 공급되는 경우, 사전에 미리 각 얼라인장치(10) 마다 위치셋팅을 새로 해야 한다.
이러한 위치셋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그작업대(20)에서 정밀 지그장비(30)를 이용하여 x축가이드바(2a,2b)와 y축가이드바(3a,3b)의 위치를 셋팅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10)는 셋팅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오차가 크고, 작업라인 전체가 대기상태로 중지되어야 하므로 막대한 생산차질이 벌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 변화에 따른 위치셋팅이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x축가이드바와,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상기 x축가이드바와 교차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y축가이드바와, 한 쌍을 이루는 모든 x축가이드바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와, 한 쌍을 이루는 모든 y축가이드바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와, 일측의 x축가이드바와 일측의 y축 가이드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x축가이드바와 y축가이드바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공간부에 놓여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일측면을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푸셔와 마주보는 타측의 x축가이드바와 타측의 y축가이드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들에 의해 이동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타측면과 간섭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는 베이스판의 상면 양측 중앙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양축모터와, 상기 제1양축모터의 양축에 각각 연결되어 x축가이드바들의 단부를 차례로 관통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x축가이드바들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도록 각 관통부 외주면에는 반대방향의 나선홈이 교대로 형성된 한 쌍의 제1나선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는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설치된 제2양축모터와, 상기 제2양축모터의 양축에 각각 연결되어 y축가이드바들의 단부를 차례로 관통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y축가이드바들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 되도록 각 관통부 외주면에는 반대방향의 나선홈이 교대로 형성된 한 쌍의 제2나선봉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이 달라지더라도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와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가 해당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맞도록 미리 프로그램된 위치로 각각의 x축가이드바들과 y축가이드바들을 자동으로 이송시키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는 상관없이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셋팅이 신속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100)는 베이스판(110)과,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x축가이드바(121,122) 및 y축가이드바(131,132)와, 상기 x,y축가이드바들(121,122,131,132)을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x,y축가이드바 이송장치(160,170)와, 상기 x,y축가이드바(121,122,131,132)의 상부에 설치되어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 바(131,132)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공간부(101)에 놓여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을 지지해주는 푸셔(140)와 스토퍼(15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수평면을 이룬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에는 x축과 y축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가 교차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는 나란하게 복수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가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각각 2개씩 배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수량으로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는 각각 x축과 y축 방향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판(110)의 상면에는 중앙으로 십자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를 통해 x,y축가이드바(131,132)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방향의 공간부(101)를 이용하여 이송장치가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한 쌍을 이루는 모든 x축가이드바(121,122)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160)와, 한 쌍을 이루는 모든 y축가이드바(131,132)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170)로 구분된다.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160)는 베이스판(110)의 상면 양측 중앙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양축모터(161)와, x축가이드바(121,122)들의 일측단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상기 제1양축모터(161)의 양축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1나선봉(1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나선봉(162)의 관통부 외주면에는 제1양축모터(161)의 정역회전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x축가이드바(121,122)들이 이격되거나 근접이동되도록 반대방향의 나선홈(162a,162b)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양축모터(161)는 베이스판(110)의 상면 양측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x축가이드바(121,122)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17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에 설치된 제2양축모터(171)와, 상기 제2양축모터(171)의 양축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y축가이드바(131,132)들의 중앙을 차례로 관통하는 한 쌍의 제2나선봉(1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양축모터(171)는 제1양축모터(16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양축모터(171)의 정역회전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각각의 y축가이드바(131,132)들이 이격되거나 근접이동되도록 반대방향의 나선홈(172a,172b)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은 교차하는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한 쌍의 y축가이드바(131,132)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공간부(101)에 놓여지게 되는데,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공간부(101)를 제공하는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한 쌍의 y축가이드바(131,132)의 상면에 가장자리가 걸쳐져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간부(101)에 놓여진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정 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공간부(101)를 제공하는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한 쌍의 y축가이드바(131,132) 중 일측의 x축가이드바(121)와 일측의 y축가이드바(131)의 상부에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일측면을 밀어주도록 푸셔(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140)와 마주보는 타측의 x축가이드바(122)와 타측의 y축가이드바(132)의 상부에는 상기 푸셔(140)들에 의해 이동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타측면과 간섭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5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양축모터(161,171)의 상부를 커버하는 별도의 커버(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80)는 y축가이드바(131,132)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81)와 베이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핀(182)을 통해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얼라인시키게 된다.
먼저, 공급될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맞추어 제1양축모터(161)와 제2양축모터(171)가 동작된다. 상기 제1양축모터(161)와 제2양축모터(171)들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별로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된다. 이때 상기 제1,제2양축모터들(161,171)은 작업자가 미리 공급될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을 확인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지정하거나, 이전 공정에서 전달된 패널규격정보를 인지한 양축모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동작명령을 하달받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양축모터(161)와 제2양축모터(171)가 동작되면 각 모터들(161,171)의 양회전축에 연결된 제1나선봉(162)과 제2나선봉(172)이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2나선봉들(162,172)에 결합된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들이 해당 나선봉을 따라 서로 근접되거나 이격되면서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러한 가이드바들(121,122,131,132)의 동작은 상기 나선봉들(162,172)의 관통부 외주면에 반대방향의 나선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공급될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따라 제1, 2양축모터(161,171)가 자동으로 동작되면서 모든 x축가이드바(121,122)와 y축가이드바(131,132)의 위치셋팅이 동시에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얼라인 작업을 단시간내에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각 가이드바들(121,122,131,132)의 위치셋팅이 완료되면, 평판디스플레이 패널들이 각 공간부(101)에 하나씩 놓여지는데, 각 평판디스플레이 패널들은 공간부(101)를 제공하는 한 쌍의 x축가이드바(121,122)와 한 쌍의 y축가이드바(131,132)의 상단에 가장자리부가 지지되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 수평상태로 지지되면, 푸셔(140)들이 작동되면서 x축과 y축으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소량 이동시키게 되는데, 평판디스플레이 패 널들은 푸셔(140) 맞은편에 위치된 스토퍼(150)와 간섭되면서 그 이동이 중지된다. 이때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는 셋팅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로서, 모든 평판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상기 푸셔(140)들과 스토퍼(150)들에 의해 4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은 회전축(190)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 구간의 공간부(101)는 대기구역(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구역)으로 설정하고 다른 구간의 공간부(101)는 작업구역으로 설정한 다음 베이스판(110)을 90도 간격으로 회전시켜 가면서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가 셋팅지그를 통해 x축가이드바와 y축가이드바의 위치가 셋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에 회전축이 부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얼라인장치 101...공간부
110...베이스판 121,122...x축가이드바
131,132...y축가이드바 140...푸셔
150...스토퍼 160,170,...x,y축가이드바 이송장치
161...제1양축모터 162...제1나선봉
162a,162b,172a,172b...나선홈 171...제2양축모터
172...제2나선봉 180...커버
181...돌출부 182...지지핀
190...회전축

Claims (4)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x축가이드바;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상기 x축가이드바와 교차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y축가이드바;
    한 쌍을 이루는 모든 x축가이드바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
    한 쌍을 이루는 모든 y축가이드바들을 동시에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
    일측의 x축가이드바와 일측의 y축 가이드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x축가이드바와 y축가이드바의 중앙에서 형성되는 공간부에 놓여지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일측면을 밀어주는 푸셔; 및
    상기 푸셔와 마주보는 타측의 x축가이드바와 타측의 y축가이드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들에 의해 이동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접하는 두 타측면과 간섭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축가이드바 이송장치는
    베이스판의 상면 양측 중앙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양축모터;
    상기 제1양축모터의 양축에 각각 연결되어 x축가이드바들의 단부를 차례로 관통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x축가이드바들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도록 각 관통부 외주면에 반대방향의 나선홈이 교대로 형성된 한 쌍의 제1나선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y축가이드바 이송장치는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설치된 제2양축모터;
    상기 제2양축모터의 양축에 각각 연결되어 y축가이드바들의 단부를 차례로 관통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을 이루는 y축가이드바들이 상호 이격 또는 근접되도록 각 관통부 외주면에 반대방향의 나선홈이 교대로 형성된 한 쌍의 제1나선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하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장치.
KR1020080102315A 2008-10-20 2008-10-20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KR10095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15A KR100958320B1 (ko) 2008-10-20 2008-10-20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15A KR100958320B1 (ko) 2008-10-20 2008-10-20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27A KR20100043327A (ko) 2010-04-29
KR100958320B1 true KR100958320B1 (ko) 2010-05-17

Family

ID=4221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15A KR100958320B1 (ko) 2008-10-20 2008-10-20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333B1 (ko) 2015-09-18 2017-01-20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고중량 고정밀 4축 얼라인 스테이지
CN109285491A (zh) * 2018-11-13 2019-01-29 苏州东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压接点灯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0631A (ja) * 1996-11-29 1998-06-19 Micronics Japan Co Ltd 液晶パネルのアライメント装置
KR19990064647A (ko) * 1999-04-23 1999-08-05 정문술 엘씨디 패널 얼라이너의 위치결정장치
KR20070117185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0631A (ja) * 1996-11-29 1998-06-19 Micronics Japan Co Ltd 液晶パネルのアライメント装置
KR19990064647A (ko) * 1999-04-23 1999-08-05 정문술 엘씨디 패널 얼라이너의 위치결정장치
KR20070117185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패널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27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2557B (zh) 机器人单位设备和生产系统
EP2199035B1 (en) Transfer robot
JP6148025B2 (ja) 受渡位置教示方法、受渡位置教示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CN101946154A (zh) 视觉检测系统及使用该系统的检测方法
EP3674574B1 (en) Ball arrangement method for ball bearing, ball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chin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CN104576474A (zh) 具有多臂的搬运机器人
KR100958320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KR20100102334A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CN1854743B (zh) 在线电子束测试系统
US7249485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132447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정렬장치
KR101480804B1 (ko) 다양한 가공물을 가공하는 다축가공장치와 그를 이용한 로딩과 언로딩 및 가공 방법
CN111319063B (zh) 机器人的制造方法
KR20160066741A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에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2186362B1 (ko) 기판 정렬 장치 및 기판 정렬 방법
KR100641817B1 (ko) 유리기판용 핸들러
CN214291583U (zh) 一种激光加工初步定位结构
CN108054126B (zh) 一种xxy定位平台的增量定位方法
US20210222731A1 (en) Ball arrangement method for ball bearing, ball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chin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CN105382655A (zh) 液晶面板磨边机及对液晶面板进行打磨的方法
KR100924267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면취기
JP4952992B2 (ja) ガラス板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ガラス板スクライブ装置
KR100895024B1 (ko) 2열 패턴 상에 코팅액을 공급하기 위한 듀얼 노즐장치 및이를 구비한 코팅장치
KR20180035660A (ko) 기판 배열 장치 및 기판 배열 방법
CN104617028B (zh) 一种方形基片和圆形基片兼容的定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