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955B1 -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 Google Patents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955B1
KR101841955B1 KR1020170025493A KR20170025493A KR101841955B1 KR 101841955 B1 KR101841955 B1 KR 101841955B1 KR 1020170025493 A KR1020170025493 A KR 1020170025493A KR 20170025493 A KR20170025493 A KR 20170025493A KR 101841955 B1 KR101841955 B1 KR 10184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crew
horizontal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인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인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인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7002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8Methods for obtaining spatial resolution of the property being measured
    • G01N2021/1785Three dimensional
    • G01N2021/1787Tomographic, i.e. computerised reconstruction from projectiv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이하, "자동차 부품검사장치"라고 약칭함)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다이얼식으로 개별적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동시에 승하강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추후에 동일 부품에 대한 검사를 할 때 먼저 설치했던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 틀체형 프레임(1) 내측에 모터(2)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가 수평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3)에는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설치유닛(4)은, 이송스크류(3)와 너트 형태로 관통 체결되는 암나사관체가 상측에 설치되는 암나사관체 설치부(20)를 구비한 수평이송대(5)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암나사관체 설치부(20)의 하측에 하향 설치되는 수직몸체(21)의 가운데에 하부가 개방된 안내홈(22)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몸체(21)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자형 스크류체결대(24)가 설치되며, 스크류체결대(24)에는 하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된 스크류(26)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되고,
상기 수직몸체(21)의 전면에는 양측에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각각 설치되는 수평대(6)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이 수평대(6)의 가운데에는 안내홈(22)에 승하강 안내되는 사각축볼트(33)와 후방돌출부(35)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되고, 스크류(26)의 선단부가 후방돌출부(35)에 공회전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6)의 일측 단부에는 통공(39)이 형성되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는 후방에 통공(39)을 관통하는 볼트부(36b)를 구비한 회전판(36)이 수평대(6)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통공(39)을 통하여 수평대(6)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6b)에는 잠금너트(35c)가 체결되며, 회전판(36)의 전면에는 레이저조사기 설치용 브래킷(37)이 나사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6)의 타측 단부에는 회전손잡이(41)를 돌림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8)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대(44)를 회전시키는 카메라설치부(18)가 구비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A camera installation unit of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parts using 3d camera}
본 발명은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이하, "자동차 부품검사장치"라고 약칭함)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다이얼식으로 개별적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동시에 승하강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추후에 동일 부품에 대한 검사를 할 때 먼저 설치했던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자동차부품 검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 틀체형의 프레임(1) 내측에 모터(2)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가 수평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3)에는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설치유닛(4)은 상측에 이송스크류(3)와 너트 형태로 관통 체결되는 암나사관체(도시생략)가 설치되는 수평이송대(5)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수평이송대(5)의 하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수개의 볼트구멍(7)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수평이송대(5)에 볼트구멍(7)을 이용하여 수평대(6)가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평대(6)에는 양단에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카메라(8)가 설치되는 수평대(6)의 일측 단부에는 2개의 호형장공(10)이 원형을 이루도록 마주보게 관통 형성되고, 이 호형장공(10)의 전면에 브래킷(11)을 설치하되, 브래킷(11)의 후방에는 힌지핀(12)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이 브래킷(11)의 힌지핀(12)이 2개의 호형장공(10)의 형성되는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대(6)의 후방에서 각각의 호형장공(10)으로 2개의 볼트가 전방을 향하도록 관통되어 그 들 볼트의 선단 나사부가 브래킷(11)에 체결되며, 이 브래킷(11)의 전면에 카메라(8)가 볼트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8)가 힌지핀(12)을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이저조사기(9)는 카메라(8)가 설치된 수평대(6)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 결합되며 내주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13)을 볼트로서 마주 결합한 뒤에 후방측 브래킷(13) 중심부를 수평대(6)에 1개의 볼트(14)로서 체결하여 브래킷(13)을 볼트(14)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조절이 가능하고, 한 쌍의 브래킷(13)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 공간에 레이저조사기(9)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부품 검사장치(100)에 설치되는 카메라(8)는, 호형장공(10)에 설치되는 2개의 볼트를 느슨하게 풀어서 중앙의 힌지핀(12)을 중심으로 브래킷(11)을 포함한 카메라(8)를 회전시키면서 카메라(8)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카메라(8)의 설치각도를 조절한 뒤에는 2개의 볼트를 조임에 따라 카메라(8)의 설치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조사기(9)의 설치각도조절은 수평대(6)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체결된 볼트(14)를 느슨하게 풀은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브래킷(13)을 포함한 레이저조사기(9)를 돌려서 원하는 각도를 맞춘 뒤에, 수평대(6)의 후방에서 볼트(14)를 조임에 따라 설치위치를 조절한 레이저조사기(9)의 설치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를 검사할 부품에 맞도록 세팅한 뒤에,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설치된 카메라 설치유닛(4)의 하방에 검사부품(15)을 배치한 상태로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 그리고 모터(2)를 가동시키게 되면,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에 의해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 이동하면서 레이저조사기(9)로는 검사부품(15)에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그 레이빔이 조사된 검사부품(15)의 외주면을 카메라(8)로서 단층 촬영한다.
이렇게 단층 촬영된 영상신호는 콘트롤박스의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제품정보와 비교하여 검사부품(15)의 정상과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설치유닛(4)은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의 설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수단과,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초기 세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와, 검사할 부품이 변경될 때마다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의 설치 위치를 새로이 맞추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다이얼식으로 개별적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동시에 승하강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최적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먼저 검사했던 부품을 재검사하는 경우에는 검사부품마다 설치했던 위치를 저장해두고 그 위치대로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틀체형 프레임 내측에 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이송스크류가 수평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에는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유닛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설치유닛은, 이송스크류와 너트 형태로 관통 체결되는 암나사관체가 상측에 설치되는 암나사관체 설치부를 구비한 수평이송대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암나사관체 설치부의 하측에 하향 설치되는 수직몸체의 가운데에 하부가 개방된 안내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몸체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자형 스크류체결대가 설치되며, 스크류체결대에는 하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스크류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되고;
상기 수직몸체의 전면에는 양측에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가 각각 설치되는 수평대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이 수평대의 가운데에는 안내홈에 승하강 안내되는 사각축볼트와 후방돌출부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되고, 스크류의 선단부가 후방돌출부에 공회전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의 일측 단부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는 후방에 통공을 관통하는 볼트부를 구비한 회전판이 수평대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통공을 통하여 수평대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에는 잠금너트가 체결되며, 회전판의 전면에는 레이저조사기 설치용 브래킷이 나사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의 타측 단부에는 회전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대를 회전시키는 카메라설치부가 구비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다이얼식으로 개별적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동시에 승하강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와 레이저조사기를 최적의 위치에 효율적으로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먼저 검사했던 부품을 재검사하는 경우에는 검사부품마다 설치했던 위치를 저장해두고 그 위치대로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작업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발명의 카메라 설치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종래발명의 카메라 설치유닛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배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설치유닛(4)는, 도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 틀체형의 프레임(1) 내측에 모터(2)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가 수평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3)에는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스크류(3)에는 이송스크류(3)와 너트 형태로 관통 체결되는 암나사관체(도시생략)가 상측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대(5)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이송대(5)는 도 5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에 암나사관체가 설치되는 암나사관체 설치부(20)의 하측에 수직몸체(21)가 하향 설치되며, 이 수직몸체(21)는 가운데에 하부가 개방된 안내홈(22)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안내홈(22)의 가장자리에는 눈금표시부(23)가 형성되며, 수직몸체(21)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자형 스크류체결대(24)가 설치되며, 스크류체결대(24)에는 하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된 스크류(26)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수직몸체(21)의 전면에는 양측에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각각 설치되는 수평대(6)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이 수평대(6)의 가운데에는 안내홈(22)에 승하강 안내되는 사각축볼트(33)와 후방돌출부(35)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26)의 선단부가 후방돌출부(35)에 공회전되게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26)의 상단부는 후방돌출부(35)에 끼워지는 단부가 스크류(26)의 외경보다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돌출부(35)에 헐겁게 관통되고, 후방돌출부(35)의 상측으로 관통된 축소직경부(35a)에는 스냅링(35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축볼트(33)는 수평대(6)의 후면에 결합되는 사각돌출부(31)의 길이(L)가 안내홈(22)의 전후 깊이, 즉 수직몸체(21)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이 사각돌출부(31)의 후방에 볼트부(3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각축볼트(33)가 안내홈(22)을 관통하여 볼트부(32)에 잠금너트(34)를 체결했을 때, 잠금너트(34)의 조임력으로 수평대(6)가 수직몸체(21)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수평대(6)의 일측 단부에는 레이저조사기(9)를 설치하기 위한 레이저조사기 설치부(17)가 구비된다. 이 레이저조사기 설치부(17)는 수평대(6)의 일측 단부에 통공(39)이 형성되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는 후방에 통공(39)을 관통하는 볼트부(36b)를 구비한 회전판(36)이 수평대(6)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통공(39)을 통하여 수평대(6)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6b)에는 잠금너트(35c)가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판(36)의 전면에는 레이저조사기 설치용 브래킷(37)이 나사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회전판(36)이 설치되는 수평대(6)의 전면에 눈금표시부(40)가 표시되고, 회전판(36)의 전면에는 눈금표시부(40)를 지시하는 지시부(36a)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대(6)의 타측 단부에는 회전손잡이(41)를 돌림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카메라(8)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대(44)를 회전시키는 카메라설치부(18)가 구비된다.
이 카메라설치부(18)는 수평대(6)의 타측 단부에 통공(43)이 형성되어 카메라설치대(44)의 후방축(45)이 끼워지며, 통공(43)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축(45)에는 카메라설치대(44)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46)가 끼워진 뒤에 종동기어(46)를 관통한 후방축(45)의 볼트부에는 잠금너트(47)가 체결된다.
그리고, 통공(43) 안쪽의 수평대(6)에는 또 다른 통공(48)이 형성되어 이 통공(48)으로 회전손잡이(41)의 후방축(42)이 끼워지고, 통공(48)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축(42)에는 회전손잡이(41)를 돌림에 따라 후방축(42)과 함께 회전하면서 종동기어(4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49)가 끼워진 뒤에 구동기어(49)를 관통한 후방축(42)의 볼트부에는 잠금너트(50)가 체결된다.
상기 각각의 후방축(42,45)과 그에 끼워지는 구동 및 종동기어(49,46)는 축결합시 헛돌지 않게 키이(미도시)를 결합하거나, 또는 구동 및 종동기어(49,46)에 사각구멍을 형성하고 후방축(42,45)에는 사각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및 종동기어(49,46)를 서로 맞물리게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회전손잡이(41)와 카메라설치대(4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구동 및 종동기어(49,46)의 사이에 아이들기어(51)를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들기어(51)는 수평대(6)의 후면에 회전축을 설치하여 회전되게 설치됨은 당연하다.
또한, 후방축(42,45)의 볼트부를 제외한 길이(L1)가 수평대(6) 전면부터 구동 및 종동기어(49,46)의 후면까지의 거리(L2)보다 짧아서 각각의 볼트부에 잠금너트(50,47)를 조였을 때, 잠금너트(50,47)가 구동 및 종동기어(49,46)를 구속하여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손잡이(41)가 설치되는 수평대(6)의 전면에 회전손잡이(41)를 돌린 각도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표시부(48a)가 표시되고, 회전손잡이(41)의 전면에는 눈금표시부(48a)를 지시하는 지시부(41a)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6"은 카메라(8)로 검사부품(15)을 단층 촬영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설치유닛(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카메라 설치유닛(4)이 설치되는 바와 같이 설치되어 사각 틀체형의 프레임(1) 내측에 설치된 모터(2)가 정역 회전함에 따라 이송스크류(3)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이송스크류(3)에 상측 암나사관체(도시생략)가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 설치유닛(4)의 하방에 검사부품(15)을 배치한 상태로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를 가동시키면서 카메라 설치유닛(4)을 이송스크류(3)에 의해 수평 이동시키면, 레이저조사기(9)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검사부품(15)에 조사되게 되고, 그렇게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검사부품(15)의 외주면에 선상으로 조사되는 부분을 카메라(8)로서 단층 촬영한다.
이렇게 단층 촬영된 영상신호는 콘트롤박스의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의 제품정보와 비교하여 검사부품(15)의 정상과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설치유닛(4)을 이용하여 검사부품(15)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는 검사부품(15)의 외관 형상에 따라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각도위치와 카메라(8)가 촬영하는 각도위치를 조절해야 하는데, 그 조절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5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부품(15)을 카메라 설치유닛(4)의 하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검사부품(15)의 외형 크기에 맞게 수평대(6)의 높이를 맞추는데, 이때는 스크류(26)의 하측에 설치된 손잡이(25)를 돌림에 따라 스크류(26)가 회전한다.
상기 스크류(26)는 나사부가 스크류체결대(24)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서 스크류(26)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26)가 승하강하게 되고, 이 스크류(26)의 상단의 축소직경부(35a)는 수평대(6)의 후방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후방돌출부(35)에 공회전하게 설치되어서 스크류(26)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26)와 수평대(6)가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26)의 상단의 축소직경부(35a)는 스크류(26)의 직경보다 직경이 축소되어서 그 직경의 차이만큼의 단턱 부분에 후방돌출부(35)의 하단이 얹혀서 스크류(26)가 상승할 때는 후방돌출부(35)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고, 반대로 스크류(26)가 하강할 때는 후방돌출부(35)를 관통한 축소직경부(35a)의 상측에 스냅링(35b)이 설치되어서 스냅링(35b)이 후방돌출부(35)를 끌어 내리게 된다.
이렇게 수평대(6)가 승하강할 때 후방돌출부(35)와 그 상측의 사각축볼트(33)는 안내홈(22)에 안내되면서 수평대(6)가 수평한 상태에서 승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나사식으로 승하강하는 수평대(6)의 승하강 위치가 수직몸체(21)의 전면에 표시된 눈금표시부(23)에 의해 승하강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몸체(21)에 형성된 안내홈(22)의 하부가 개방된 것은 수평대(6) 하측이 수직몸체(21)의 하측보다 하측으로 내려올 때, 수평대(6)의 후방 하측에 형성된 후방돌출부(35)가 안내홈(22)의 하방으로 이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렇게 후방돌출부(35)가 안내홈(22)의 하방으로 내려온 경우에 사각축볼트(33)의 사각돌출부(31)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안내홈(22)에 안내되어 수평대(6)가 수평상태로 승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수평대(6)를 필요로 하는 위치로 맞춘 뒤에는 안내홈(22) 후방측의 잠금너트(34)를 잠그는데, 안내홈(22)에서 돌아가지 않도록 사각으로 형성된 사각돌출부(31)의 길이(L)가 안내홈(22)을 형성한 수직몸체(21)의 두께 보다 짧으므로 잠금너트(34)를 조이는 동작에 의해 수평대(6)가 수직몸체(21)의 전면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 다음에는 레이저조사기(9)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데, 이 경우는 회전판(36)의 전면과 브래킷(37)의 후면 사이에 레이저조사기(9)를 끼움 설치하고 브래킷(37)을 나사로서 고정함에 따라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에 레이저조사기(9)가 설치되게 되고, 회전판(36)의 후방에 후방 돌출되게 설치된 볼트부(36b)를 수평대(6)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통공(39)에 후방으로 관통되게 끼운 뒤에 수평대(6)의 후방으로 돌출된 볼트부(36b)의 단부에 잠금너트(36c)를 체결하여 레이저조사기(9)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이저조사기(9)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금너트(36c)를 풀어서 회전판(36)이 느슨해지게 한 상태에서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를 돌리면서 필요로 하는 각도로 맞추며, 회전판(36)의 전면에 표시된 지시부(36a)가 수평대(6)의 전면에 표시된 눈금표시부(40)가 지시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다음에 그 부품을 검사할 때, 그 위치에 지시부(36a)에 맞춤 뒤에 후방의 잠금너트(36c)를 잠가서 레이저조사기(9)의 각도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카메라(8)의 조절상태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경우는 수평대(6)의 타측에 설치된 회전손잡이(41)와 카메라설치대(44)의 볼트부에 체결된 각각의 잠금너트(50,47)를 살짝 풀어 회전손잡이(41)와 카메라설치대(44)를 돌릴 수 있게 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41)를 돌리면, 회전손잡이(41)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축(42)이 회전하면서 이 후방축(42)에 끼워진 구동기어(49)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49)가 회전함에 따라 그 와 맞물린 아이들기어(51)가 회전하게 되고, 그와 더불어 아이들기어(51)에 맞물린 또 다른 종동기어(46)가 회전하게 되는데, 종동기어(46)와 구동기어(49)의 사이에 아이들기어(51)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구동기어(49)와 종동기어(4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종동기어(46)에는 카메라(8)를 설치하는 카메라설치대(44)의 후방축(45)이 축결합되어 후방축(45)이 회전하면서 카메라설치대(44)와 카메라설치대(44)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8)가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전손잡이(41)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후방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49,51,46)가 회전하면서 카메라(8)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각각의 기어(49,51,46)는 기어 이빨간의 간격, 즉 피치가 작아서 카메라(8)의 회전각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손잡이(41)를 돌리면서 카메라(8)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때 회전손잡이(41)의 전면에 표시된 지시부(41a)와, 그 지시부(41a)가 지시하는 눈금표시부(48a)를 확인하여 카메라(8)가 경사진 각도를 확인하여 다음에 동일한 부품을 검사할 때, 그 위치에 지시부(41a)를 맞추어 카메라(8)의 각도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카메라(8)에 대한 각도조절을 맞춘 뒤에는 회전손잡이(41)와 카메라설치대(44) 후방의 볼트부에 체결된 잠금너트(50,47)를 조이면, 도 9와 같이 후방축(42,45)의 볼트부를 제외한 길이(L1)가 수평대(6) 전면부터 구동 및 종동기어(49,46)의 후면까지의 거리(L2)보다 짧아서 각각의 볼트부에 잠금너트(50,47)를 조였을 때, 잠금너트(50,47)가 구동 및 종동기어(49,46)를 구속하여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이렇게 검사하고자 하는 부품에 적합하게 수평대(6)와, 레이저조사기(9) 및 카메라(8)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킨 뒤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사부품(15)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1 : 프레임 2 : 모터 3 : 이송스크류
4 : 카메라 설치유닛 5 : 수평이송대 6 : 수평대
7 : 볼트구멍 8 : 카메라 9 : 레이저조사기
10 : 호형장공 11 : 브래킷 12 : 힌지핀
13 : 브래킷 14 : 볼트 15 : 검사부품
16 : 단층촬영상태 도면 17 : 레이저조사기 설치부
18 : 카메라설치부 20 : 암나사관체 설치부
21 : 수직몸체 22 : 안내홈 23,40 : 눈금표시부
24 : 스크류체결대 25 : 손잡이 26 : 스크류
31 : 사각돌출부 32 : 볼트부 33 : 사각축볼트
34 : 잠금너트 35 : 후방돌출부 36 : 회전판
37 : 브래킷 38 : 레이저조사기 설치대
39,43,48 : 통공 41 : 회전손잡이 42,45 : 후방축
44 : 카메라설치대 46 : 종동기어 47,50 : 잠금너트
49 : 구동기어 51 : 아이들기어
100 :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Claims (4)

  1. 사각 틀체형 프레임(1) 내측에 모터(2)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가 수평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3)에는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유닛(4)이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설치유닛(4)은, 이송스크류(3)와 너트 형태로 관통 체결되는 암나사관체가 상측에 설치되는 암나사관체 설치부(20)를 구비한 수평이송대(5)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설치되며, 암나사관체 설치부(20)의 하측에 하향 설치되는 수직몸체(21)의 가운데에 하부가 개방된 안내홈(22)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직몸체(21)의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자형 스크류체결대(24)가 설치되며, 스크류체결대(24)에는 하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된 스크류(26)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되고,
    상기 수직몸체(21)의 전면에는 양측에 카메라(8)와 레이저조사기(9)가 각각 설치되는 수평대(6)를 승하강되게 설치하되, 이 수평대(6)의 가운데에는 안내홈(22)에 승하강 안내되는 사각축볼트(33)와 후방돌출부(35)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되고, 스크류(26)의 선단부가 후방돌출부(35)에 공회전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6)의 일측 단부에는 통공(39)이 형성되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레이저조사기 설치대(38)는 후방에 통공(39)을 관통하는 볼트부(36b)를 구비한 회전판(36)이 수평대(6)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통공(39)을 통하여 수평대(6)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부(36b)에는 잠금너트(36c)가 체결되며, 회전판(36)의 전면에는 레이저조사기 설치용 브래킷(37)이 나사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6)의 타측 단부에는 회전손잡이(41)를 돌림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8)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대(44)를 회전시키는 카메라설치부(18)가 구비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설치부(18)는 수평대(6)의 타측 단부에 통공(43)이 형성되어 카메라설치대(44)의 후방축(45)이 끼워지며, 통공(43)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축(45)에는 카메라설치대(44)를 회전시키는 종동기어(46)가 끼워진 뒤에 종동기어(46)를 관통한 후방축(45)의 볼트부에는 잠금너트(47)가 체결되고,
    통공(43) 안쪽의 수평대(6)에는 또 다른 통공(48)이 형성되어 이 통공(48)으로 회전손잡이(41)의 후방축(42)이 끼워지고, 통공(48)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축(42)에는 회전손잡이(41)를 돌림에 따라 후방축(42)과 함께 회전하며 종동기어(46)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49)가 끼워진 뒤에 구동기어(49)를 관통한 후방축(42)의 볼트부에는 잠금너트(50)가 체결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2)의 가장자리에는 눈금표시부(23)가 형성되며, 회전판(36)이 설치되는 수평대(6)의 전면에 눈금표시부(40)가 표시되고, 회전판(36)의 전면에는 눈금표시부(40)를 지시하는 지시부(36a)가 표시되고, 회전손잡이(41)가 설치되는 수평대(6)의 전면에 눈금표시부(48a)가 표시되며, 회전손잡이(41)의 전면에 눈금표시부(48a)를 지시하는 지시부(41a)가 표시되고,
    상기 스크류(26)의 상단부는 후방돌출부(35)에 끼워지는 단부가 스크류(26)의 외경보다 축소된 상태에서 후방돌출부(35)에 헐겁게 관통되고, 후방돌출부(35)의 상측으로 관통된 축소직경부(35a)에는 스냅링(35b)이 설치되며,
    상기 사각축볼트(33)는 수평대(6)의 후면에 결합되는 사각돌출부(31)의 길이(L)가 수직몸체(21)의 두께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이 사각돌출부(31)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볼트부(32)가 안내홈(22)을 관통한 뒤에 잠금너트(34)가 체결되고,
    후방축(42,45)의 볼트부를 제외한 길이(L1)가 수평대(6) 전면부터 구동 및 종동기어(49,46)의 후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종동기어(49,46)의 사이에 아이들기어(51)가 맞물리게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KR1020170025493A 2017-02-27 2017-02-27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KR10184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93A KR101841955B1 (ko) 2017-02-27 2017-02-27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93A KR101841955B1 (ko) 2017-02-27 2017-02-27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955B1 true KR101841955B1 (ko) 2018-05-14

Family

ID=6218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93A KR101841955B1 (ko) 2017-02-27 2017-02-27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9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02A (ko) * 2018-08-10 2020-02-19 한국지능기계 주식회사 제품 검사용 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CN113996947A (zh) * 2021-11-18 2022-02-01 苏州久泰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动柔性激光新型胶黏制品用切割装置
KR102380626B1 (ko) * 2022-01-18 2022-04-01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에지 측정장치
CN117109877A (zh) * 2023-07-17 2023-11-24 上海领路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光谱分析的led灯具寿命预测系统
CN117245217A (zh) * 2023-11-20 2023-12-19 苏州昆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误差补偿功能的机器人焊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61Y1 (ko) 2000-08-10 2001-02-15 김학균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WO2010041429A1 (ja) 2008-10-06 2010-04-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炭化室の炉底際壁面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661Y1 (ko) 2000-08-10 2001-02-15 김학균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WO2010041429A1 (ja) 2008-10-06 2010-04-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炭化室の炉底際壁面の補修方法及び補修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002A (ko) * 2018-08-10 2020-02-19 한국지능기계 주식회사 제품 검사용 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KR102086678B1 (ko) 2018-08-10 2020-03-09 한국지능기계 주식회사 제품 검사용 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CN113996947A (zh) * 2021-11-18 2022-02-01 苏州久泰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动柔性激光新型胶黏制品用切割装置
CN113996947B (zh) * 2021-11-18 2024-03-22 苏州久泰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动柔性激光新型胶黏制品用切割装置
KR102380626B1 (ko) * 2022-01-18 2022-04-01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에지 측정장치
WO2023140551A1 (ko) * 2022-01-18 2023-07-27 주식회사 엔비컨스 필름 에지 측정장치
CN117109877A (zh) * 2023-07-17 2023-11-24 上海领路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光谱分析的led灯具寿命预测系统
CN117109877B (zh) * 2023-07-17 2024-03-01 上海领路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光谱分析的led灯具寿命预测系统
CN117245217A (zh) * 2023-11-20 2023-12-19 苏州昆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误差补偿功能的机器人焊接装置
CN117245217B (zh) * 2023-11-20 2024-02-02 苏州昆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误差补偿功能的机器人焊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955B1 (ko) 3d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검사장치의 카메라 설치유닛
KR101424630B1 (ko) 파이프 교정기용 교정롤러의 각도 조정장치
KR101457472B1 (ko) 파이프 교정기용 교정롤러의 상,하 조정장치
CN109623057A (zh) 一种薄壁五金件夹具
KR20120069092A (ko)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EP0381795B1 (de) Röntgendiagnostikvorrichtung
JP2006321614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CN111730411A (zh) 一种刀具视觉自动化检测系统及其操作方法
CN201229310Y (zh) 用于辐射装置的调节定位装置
JP7446428B2 (ja) 放射線源コンポーネントの調節位置決め装置及び方法並びに放射走査結像機器
KR20120066441A (ko) 자동차헤드램프 배광시험기용 배광판 이송장치
CN203787095U (zh) 一种用于双视角辐射检测的可调节准直器
KR101886216B1 (ko) 판재 슬리팅 모사 장치
JP2013086112A (ja) 矯正機
KR101475731B1 (ko) 파이프 교정기용 교정롤러의 각도 조정장치
CN101603928B (zh) 用于辐射装置的调节定位装置
CN212658609U (zh) 一种视觉检测设备
CN110899748A (zh) 一种金属件的多方位加工装置
CN114354205B (zh) 乘用车内部凸出物方向盘免除区域的标定装置
CN209927738U (zh) 电镀产品在线影像检测设备
CN110879049B (zh) 数控车床导轨直线度校准装置及校准方法
CN213021444U (zh) 一种方针泡点检测系统打光结构
CN110044903B (zh) 电镀产品在线影像检测设备
CN113878533A (zh) 一种防错拧螺丝设备
KR102018636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및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