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92A -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92A
KR20120069092A KR1020100130492A KR20100130492A KR20120069092A KR 20120069092 A KR20120069092 A KR 20120069092A KR 1020100130492 A KR1020100130492 A KR 1020100130492A KR 20100130492 A KR20100130492 A KR 20100130492A KR 20120069092 A KR20120069092 A KR 20120069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vise
cutter
cutting devic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섭
Original Assignee
양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섭 filed Critical 양희섭
Priority to KR102010013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092A/ko
Publication of KR2012006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바이스조의 각도변화를 수치에 맞게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소재의 길이에 따라 소재의 수평 및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공급기가 추가로 구비된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는 베이스의 상부에 커터, 커터커버 및 핸들로 구성된 커터부가 설치되고, 베이스의 상부면상에 커터부에서 절단할 소재를 고정시키는 바이스와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바이스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이스조에는 상하로 천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상부면상에는 관통공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리는 원호상에 일정 각도로 분할된 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이스 및 바이스조측으로 소재를 안내해주는 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기는 레일과, 레일의 양단에 상하 높이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는 다리와, 레일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레일의 어느 일단에는 다리가 달린 신축레일이 삽입되도록 더 설치되어 공급기의 길이가 신축될 수도 있다. 또한, 소재의 길이를 설정하여 정확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맞춤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A cutter}
본 발명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한 길이와 각도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길다란 소재가 공급될때에 이 소재들을 절단부위와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내해주도록 할 수 있는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절단기는 섀시, 철재, 환봉, 금속파이프 및 앵글 등의 소재를 절단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금속 절단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1)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하 구동하며 커터(102)와 커터커버(103) 및 핸들(104)로 이루어진 커터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베이스(101)의 표면에 설치된 바이스(110)의 바이스조(111)에 고정된 공작물(200)을 절단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때, 바이스조(111)를 고정하고 있는 제1고정볼트(112) 및 제2고정볼트(113)는 바이스조(111)를 회동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 절단기의 바이스조를 회동시켜 작업자가 공작물을 편안한 각도로 고정하려면, 스패너와 같이 볼트를 조이고 풀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바이스조를 고정하고 있는 제1,2고정볼트를 먼저 풀고, 바이스조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다시 풀렸던 제1,2고정볼트를 조임하는 것으로서 공작물을 바이스조에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상 공구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과 아울러 공구를 사용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5812호(2004.03.27. 공고)에 의해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작업자들이 볼트를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레버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바이스조를 쉽게 회동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시킴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기의 베이스(11) 표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볼트공(21, 22)이 형성된 가이드블록(20)과;
축공(31)과 만곡된 작동공(32)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블록(20)의 표면에 접촉 마련되는 바이스조(30)와;
상기 바이스조(30)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스조(30)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축공(31) 및 작동공(32)과 축선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1 및 제2작동공(41, 42)이 형성된 인디케이터(40)와;
상기 인디케이터(40)의 제1작동공(41)과 상기 바이스조(30)에 형성된 축공(31)을 관통하되 상기 인디케이터(40) 및 바이스조(30)의 회동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볼트공(21)에 체결된 제1볼트(50)와;
상기 인디케이터(40)의 제2작동공(42)과 상기 바이스조(30)에 형성된 작동공(32)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20)의 제2볼트공(22)에 체결되는 볼트프레임(61)을 갖는 제2볼트(60)와;
상기 제2볼트(60)의 볼트프레임(61)에 삽입되어 상기 제2볼트(60)의 회동을 간섭하며 내주연부에 거치부(72)가 형성된 삽입공(71)을 갖는 레버(70)와;
상기 제2볼트(60))와 상기 인디케이터(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7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40)를 상기 가이드블록(20) 표면에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고정링(74)과;
상기 제2볼트(60)의 상부 영역에서 체결되는 너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량된 구조에도 불구하고, 인디게이터(40)가 바이스조(30)의 눈금에 정확하게 일치시키도록 수치를 제어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소재의 각도 절단은 다른 소재와 결합되기 위해 정밀 절단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바이스조(30)를 손으로 움직여 바이스조(30)에 표시된 눈금을 인디게이터(40)의 바늘에 정확하게 일치시키도록 맞추는 작업으로는 정밀 수치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 절단기에 사용되는 금속 파이프나 형재들은 길이가 수 내지 수십미터짜리가 사용되는데, 이 소재들이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받침목 등과 같은 받침을 서너개 구비하여 사용하여 잘 끌려오지도 않고 수평도 잘 맞지 않아 절단작업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절단할 소재의 길이를 맞출때에 기존에는 소재의 끝부분과 커터부분까지의 거리를 줄자를 대고 눈대중으로 맞추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이스조의 각도변화를 수치에 맞게 정확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소재의 길이에 따라 소재의 수평 및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공급기 및 소재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맞춤대가 추가로 구비된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부에 커터, 커터커버 및 핸들로 구성된 커터부가 설치되고, 베이스의 상부면상에 커터부에서 절단할 소재를 고정시키는 바이스와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바이스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절단장치에 있어서,
바이스조에는 상하로 천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상부면상에는 관통공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리는 원호상에 일정 각도로 분할된 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바이스 및 바이스조측으로 소재를 안내해주는 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기는 레일과, 레일의 양단에 상하 높이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는 다리와, 레일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레일의 어느 일단에는 다리가 달린 신축레일이 삽입되도록 더 설치되어 공급기의 길이가 신축될 수도 있다.
또한, 신축레일이 삽입되는 레일의 단부측에는 신축레일의 입출을 단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롤러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더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소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재의 절단되는 부위쪽에는 눈금이 형성된 측정바아와, 측정바아의 하부면상에 부착되어 소재를 받쳐주는 받침판과, 측정바아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바퀴와, 측정바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재의 절단될 길이를 설정하는 맞춤클램프로 구성되는 맞춤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많이 사용되는 각도를 지정하여 바이스조를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소재의 정밀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길이 가변형 및 슬라이딩되는 공급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길다란 소재들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절단부쪽으로 무거운 소재들을 쉽게 끌고 올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맞춤대를 더 구비하여 소재의 길이를 정확하게 설정해 줄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스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절단기보다 개량된 종래기술의 절단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기를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이스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공급기를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공급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맞춤대를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를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10)는 크게 분류하여 절단기(100)와, 공급기(200)와 맞춤대(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절단기(1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01)를 가지면서 베이스(101)의 일측에서 상,하 회동하는 커터부로 이루어지며, 커터부는 커터(102), 커터커버(103) 및 핸들(104)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01)의 상부면상에는 커터부의 후위에 바이스(110) 및 바이스조(111)가 형성된다.
바이스(110)는 바이스판(110a)이 핸들에 의해 회전하면서 왕복운동을 하는 것으로, 바이스조(111)와 바이스판(110a)의 사이에 소재(A)를 놓고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때, 바이스판(110a)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소재(A)가 일직선상이나 사선방향으로 진입하여도 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해 진다.
바이스조(11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베이스판(101)상에 힌지(1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어느 상부면상에는 관통공(116)이 형성되며, 베이스판(101)의 상부면상에는 관통공(116)이 힌지(115)를 중심으로 선회되는 원호의 동선상에 다수의 핀홀(117)이 형성되어 관통공(116)과 핀홀(117)에 핀이 삽입되어 바이스조(111)를 일정한 각도로 셋팅시킨다. 이때, 핀홀(117)은 주로 많이 사용되는 각도로 형성되며, 0도에서 45도 범위내이면 족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힌지(115)는 베이스판(101)에 보스가 장착되고, 이 보스에 바이스조(111)가 결합되어 바이스조(111)의 원활한 회전이나 흔들림이 없게 된다.
다음으로 공급기(20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다란 레일(210)과, 이 레일(2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다리(220)와, 레일(2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롤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210)은 평행한 두 개가 한쌍으로 된 구조를 갖는 것이 좋으며, 이 레일(210)의 어느 일단에는 또 다른 신축레일(210a)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져 필요에 의해 신축레일(210a)이 레일(210)속으로 들어가거나 인출되어서 신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신축레일(210a)이 삽입되는 쪽 레일(210)의 상부면상에는 신축레일(210a)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40)가 설치되어져 신축레일(210a)이 선택적으로 움직인 후, 이를 스토퍼(240)를 조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신축레일(210a)의 바깥쪽 단부에는 레일(210)쪽에 형성된 것과 동일한 다리(220)가 더 설치되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다리(220)는 회전식 레버형으로 레버(221)를 돌리면 다리가 하강하거나 승강하게 되어 공급기(200)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롤러(230)는 소재(A)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레일(210) 및 신축레일(210a)의 길이방향쪽으로 회전하도록 레일(210) 및 신축레일(210a)과 교차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230)는 레일(210) 및 신축레일(210a)상에 "ㄷ"자 형 브라켓(231)을 상측이 개방되게 부착한 후, 이 브라켓(231)의 내부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이때, 브라켓(231)의 양단은 롤러(230)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하여 롤러(230)위에 올려진 소재(A)가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232)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맞춤대(30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재(A)의 절단될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눈금(311)이 형성된 측정바아(310)와, 측정바아(310)의 하부면상에 부착되어 소재(A)를 받쳐주는 받침판(320)과, 측정바아(3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바퀴(330)와, 측정바아(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맞춤클램프(340)로 구성된다.
즉, 원하는 길이를 미리 맞춤클램프(340)를 이동하여 고정한 다음 소재(A)를 바이스(110)쪽에서 밀면 소재(A)의 끝부분이 맞춤클램프(340)에 닿으면서 멈추게 되고 그 멈추어진 상태가 원하는 길이가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100 : 절단기 101 : 베이스
102 : 커터 103 : 커터커버
104 : 핸들 110 : 바이스
110a : 바이스판 111 : 바이스조
115 : 힌지 116 : 관통공
117 : 핀홀 200 : 공급기
210 : 레일 210a : 신축레일
220 : 다리 221 : 레버
230 : 롤러 231 : 브라켓
232 : 걸림턱 240 : 스토퍼
300 : 맞춤대 310 : 측정바아
311 : 눈금 320 : 받침판
330 : 이동바퀴 340 : 맞춤클램프

Claims (6)

  1. 베이스(101)의 상부에 커터(102), 커터커버(103) 및 핸들(104)로 구성된 커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01)의 상부면상에 상기 커터부에서 절단할 소재(A)를 고정시키는 바이스(110)와 힌지(115)에 의해 회동되는 바이스조(111)를 포함하여 구성된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조(111)에는 상하로 천공된 관통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1)의 상부면상에는 상기 관통공(116)이 상기 힌지(115)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그리는 원호상에 일정 각도로 분할된 핀홀(1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110) 및 바이스조(111)측으로 소재(A)를 안내해주는 공급기(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기(200)는 레일(210)과, 상기 레일(210)의 양단에 상하 높이조절이 되도록 형성되는 다리(220)와, 상기 레일(210)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롤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10)의 어느 일단에는 다리(220)가 달린 신축레일(210a)이 삽입되도록 더 설치되어 상기 공급기(200)의 길이가 신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레일(210a)이 삽입되는 레일(210)의 단부측에는 상기 신축레일(210a)의 입출을 단속하는 스토퍼(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30)의 양단에는 상측으로 더 돌출된 걸림턱(2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A)의 절단되는 부위쪽에는 눈금(311)이 형성된 측정바아(310)와, 상기 측정바아(310)의 하부면상에 부착되어 상기 소재(A)를 받쳐주는 받침판(320)과, 상기 측정바아(3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동바퀴(330)와, 상기 측정바아(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재(A)의 절단될 길이를 설정하는 맞춤클램프(340)로 구성되는 맞춤대(30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KR1020100130492A 2010-12-20 2010-12-20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KR20120069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92A KR20120069092A (ko) 2010-12-20 2010-12-20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92A KR20120069092A (ko) 2010-12-20 2010-12-20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92A true KR20120069092A (ko) 2012-06-28

Family

ID=4668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92A KR20120069092A (ko) 2010-12-20 2010-12-20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09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00B1 (ko) * 2012-10-16 2013-03-07 마성환 고속절단기의 절단물 높이조절장치
KR101400055B1 (ko) * 2012-08-30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의 절단길이 맞춤용 장치
CN108080721A (zh) * 2017-12-12 2018-05-29 湖南太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切割机
CN109014390A (zh) * 2018-10-06 2018-12-18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母线槽型材切割机送料装置
KR20180134261A (ko) * 2017-06-08 2018-12-18 서진호 절단기용 가이드
CN110315382A (zh) * 2019-07-31 2019-10-11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配合移动锯锯切钢板桩(h型钢)的移动辊道
CN110434398A (zh) * 2019-07-31 2019-11-12 滨州亚泰雅德动力配件有限公司 活塞镶圈长毛坯锯断机及锯断方法
CN112338274A (zh) * 2020-10-30 2021-02-09 苏州创智汇峰信息科技有限公司 金属管材自动化智能制造加工装置
KR102217343B1 (ko) * 2020-08-13 2021-02-18 김재관 절단유닛
KR20210119943A (ko) * 2020-02-11 2021-10-06 남영석 전동 절단기
CN118357517A (zh) * 2024-05-22 2024-07-19 无锡亨通特种合金制造有限公司 一种镍基合金分割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055B1 (ko) * 2012-08-30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의 절단길이 맞춤용 장치
KR101239900B1 (ko) * 2012-10-16 2013-03-07 마성환 고속절단기의 절단물 높이조절장치
KR20180134261A (ko) * 2017-06-08 2018-12-18 서진호 절단기용 가이드
CN108080721A (zh) * 2017-12-12 2018-05-29 湖南太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切割机
CN109014390A (zh) * 2018-10-06 2018-12-18 东台市飞凌电气设备有限公司 母线槽型材切割机送料装置
CN110315382A (zh) * 2019-07-31 2019-10-11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配合移动锯锯切钢板桩(h型钢)的移动辊道
CN110434398A (zh) * 2019-07-31 2019-11-12 滨州亚泰雅德动力配件有限公司 活塞镶圈长毛坯锯断机及锯断方法
KR20210119943A (ko) * 2020-02-11 2021-10-06 남영석 전동 절단기
KR102217343B1 (ko) * 2020-08-13 2021-02-18 김재관 절단유닛
CN112338274A (zh) * 2020-10-30 2021-02-09 苏州创智汇峰信息科技有限公司 金属管材自动化智能制造加工装置
CN118357517A (zh) * 2024-05-22 2024-07-19 无锡亨通特种合金制造有限公司 一种镍基合金分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9092A (ko) 맞춤절단이 가능한 절단장치
US6505659B1 (en) Tool support
KR101181141B1 (ko) 센터 플랜지 조립용 지그
US4580345A (en) Laser pipe layout device
US2291999A (en) Tool holder
CN209334988U (zh) 一种割管机
JP2011073088A (ja) パイプ切断用治具
US3384135A (en) Guide means for saws
CN207629488U (zh) 一种托辊横梁的焊接夹具
TWM549782U (zh) 晶棒切片設備及其調整裝置
US4972773A (en) Registration system for silk screen equipment
KR20100076598A (ko) 관단 절삭기
CN205691286U (zh) 一种支撑架以及带有该支撑架的风机动平衡机
CN205522018U (zh) 瓷砖切割机
KR2013000826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밀링머신용 바이스
CN113218626A (zh) 标准玻璃线纹尺夹持装置
KR200497296Y1 (ko) 철판 원형 절단장치
KR200495633Y1 (ko) 이동식 샤프트 런아웃 측정 장치
JPH01148460A (ja) スリット穿設装置
KR20100009514U (ko) 양방향 핀 절단기
CN210549780U (zh) 方便调节水平伸缩及角度的切割机床用挡尺
US4053145A (en) Cutting torch guide
CN210231718U (zh) 一种圆锯切割机
CN209425388U (zh) 一种方管切割固定台
KR20140002128U (ko) 부재 끝단 오프셋 마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