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995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995B1
KR101840995B1 KR1020177031421A KR20177031421A KR101840995B1 KR 101840995 B1 KR101840995 B1 KR 101840995B1 KR 1020177031421 A KR1020177031421 A KR 1020177031421A KR 20177031421 A KR20177031421 A KR 20177031421A KR 101840995 B1 KR101840995 B1 KR 10184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fiber
nonwoven fabric
skin
top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005A (ko
Inventor
마사시 우다
사토루 사카구치
다쿠야 미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 A61F13/512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the apertures not being formed through the complete thickness of the topsheet, e.g. blin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apertures, e.g. in a predefined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544Permeability
    • A61F2013/15552Ai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1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in thermo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a mixture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표면 시트(2)가,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201)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202)을 포함하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가, 피부 대향면측의 면으로서 상기 제2 섬유층(20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면(2a)과,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으로서 흡수체(4)와 대향하는 제2 면(2b)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면(2a)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1)와,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면(2b)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오목부(12)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11)가, 상기 부직포의 제2 면(2b)이 면하는 공극부(14)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천연 소재에 의한 안심감을 얻는 것 등을 위해, 표면 시트 등의 구성 부재로서, 천연 섬유인 코튼을 포함하는 코튼 부직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를 코튼 부직포에 의해 구성함과 함께, 상기 표면 시트의 하층으로서 상기 흡수체와의 사이에, 상기 코튼 부직포보다 저섬유 밀도이며 또한 친수성을 갖는 열융착성 섬유 시트를 개재시키고, 이들의 적층 상태에서 표면측으로부터 다수의 엠보스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유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표면 시트에 흡수된 수분을 신속히 내부로 침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4832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과 같이, 흡수체의 상면에 보수성이 높은 코튼 부직포가 표면 시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흡수체에 흡수된 뇨 등의 배설액이 증발 등에 의해 습기로서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되었을 때에, 상기 흡수체의 상면에 형성된 코튼 부직포에 흡수·유지되어 버리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표면 시트로서 코튼을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양태(양태 1)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이들 양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의 면으로서 상기 제2 섬유층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으로서 상기 흡수체와 대향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제1 면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이 면하는 공극부를 갖고 있다.
이 양태 1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표면 시트는,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제1 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제2 면측으로 오목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이 면하는 공극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에 흡수된 착용자의 뇨 등의 배설액이, 증발 등에 의해 습기로서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습기를, 상기 제1 섬유층의 코튼에 있어서 흡수·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극부에 있어서 습기의 상태로 머물게 하기 때문에(즉, 공극부를 고습 상태로 하기 때문에), 상기 공극부 내의 습기(기상)와 상기 흡수체에 흡수·유지되어 있는 배설액(액상) 사이에서 기액 평형과 같은 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로부터 이 이상의 습기가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이 되는 제1 면이 상기 제2 섬유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섬유층의 코튼에 흡수·유지된 뇨 등의 배설액을, 착용자의 피부면에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태 1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양태 2)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양태 1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고 있다.
이 양태 2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이면 시트를 통해 방출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 내에 혹은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피부면 사이에 머무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태 2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보다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3)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양태 1 또는 2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에, 코튼에 의한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양태 3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부직포의 제2 면(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제1 섬유층에, 코튼에 의한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배설액)를, 상기 제1 섬유층 내의 코튼에 의한 섬유 덩어리에 있어서 집중적으로(스폿적으로) 흡수·유지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흡수·유지한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스폿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섬유층의 제1 면측으로부터 방출되는 습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4)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1∼3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에 이면 필름을 갖고 있고, 상기 이면 필름이 상기 이면 시트보다 낮은 통기도를 갖고 있다.
이 양태 4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에, 상기 이면 시트보다 통기도가 낮은 이면 필름을 갖고 있음으로써, 상기 이면 시트로부터 상기 이면 필름에 걸쳐서 통기도가 낮아진다는 통기도 구배가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체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즉, 이면 시트측)으로 방출된 습기가, 상기 이면 시트를 통해 상기 이면 필름에 인입되기 쉽고,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즉, 이면 시트와는 반대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고,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보다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5)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1∼4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면측의 위치보다 상기 제2 면측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를 구비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면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제2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2 오목부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면측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상기 제2 면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상기 부직포 중에서 가장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제2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태 5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있어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있어서의 섬유 밀도가 상기 부직포 중에서 가장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섬유 밀도가 낮은 볼록부로부터 섬유 밀도가 가장 높은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걸쳐서 밀도 구배가 존재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의 제1 면측으로부터 공급된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스폿적으로 인입되기 쉽고, 표면 시트로서 우수한 흡수성(특히, 흡수 속도나 액이행성 등)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가,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측으로부터 제1 면측을 향하여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섬유층 중에 포함되는 코튼의 양이 많아지면, 코튼의 강성에 의해 섬유층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버리고, 상기 섬유층을 포함하는 적층 부직포의 쿠션성이나 촉감, 신체 형상에 대한 추종성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상기 양태 5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닿기 쉬운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제1 오목부의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점, 착용자의 피부에 가장 닿기 쉬운 부분이 접촉 면적이 작은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인 점, 및 부직포의 제1 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두께 방향의 응력을, 상기 제1 오목부가 상기 제2 면측으로 휨으로써 완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표면 시트가 코튼을 포함하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충분히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6)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5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2.0 mm 이하이다.
이 양태 6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제2 오목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2.0 mm 이하인 것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제1 면측으로부터 공급된 뇨 등의 배설액이,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스폿적으로 보다 인입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양태 5의 흡수성 물품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를 한층 더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양태 6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제1 섬유층 내의 코튼이,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유지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2 바닥부에 있어서 섬유층의 분열 등을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고, 부직포(표면 시트)를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7)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1∼6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1 면의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끝 가장자리까지 또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양태 7의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뿐만 아니라, 상기 흡수체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끝 가장자리(측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에 대해서도,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에 봉입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8)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1∼7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압착부를 갖고 있다.
이 양태 8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압착부를 갖고 있어, 상기 흡수체에 흡수된 배설액이, 상기 압착부에 머물기 쉽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는 남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9)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8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압착부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가,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갖고 있다.
이 양태 9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를 갖고 있어, 상기 흡수체에 흡수된 배설액이,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를 따라 확산한 상태로 머물기 쉽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는 남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갖고 있는 것, 즉, 섬유 밀도가 높고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흡액부로서 기능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를 갖고 있다는 것에 의해,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에 스폿적으로 흡수되기 쉬워짐과 함께, 상기 점상 압착부를 통해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10)의 흡수성 물품은, 양태 1∼9 중 어느 하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표면 시트가, 평면시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외측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흡수성 물품이, 상기 부직포의 상기 오목부의 제2 면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부직포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복수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가,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보다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 쪽이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양태 10의 흡수성 물품은, 뇨 등의 배설액이 공급되는 표면 시트의 상기 중앙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의 피치가, 외측 영역보다 치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의 흡수에 크게 관여하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강고히 결합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중앙 영역 내에서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를, 상기 외측 영역보다 치밀하게, 또한 많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유지하는 상기 공극부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시트로서 코튼을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도 1에 나타내는 II-II'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섬유 적층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도 4에 나타내는 V-V'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도 4에 나타내는 VI-VI'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의 도 4에 나타내는 VII-VII'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부형 장치의 한쌍의 부형 롤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한쌍의 부형 롤에 있어서의 하방측 부형 롤의 핀의 배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한쌍의 부형 롤에 있어서의 상방측 부형 롤과 하방측 부형 롤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개하여 평탄하게 펼친 상태의 흡수성 물품을, 상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간단히 「평면시」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또한, 「피부 비대향면측」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착용자의 피부면으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도 1, 도 2, 도 4∼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흡수성 물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일회용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있고,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이들 양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측부 시트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방오벽부(5, 5)와, 착용자의 대퇴부에 접촉하는 좌우의 다리 둘레부를 각각 길이 방향(L)으로 신축시키기 위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축 부재(6)와, 착용시에 일회용 기저귀의 복부 영역과 등쪽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 테이프(7)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면 시트(3)의 피부 비대향면측에는, 외장 시트(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3)는,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도 2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배출된 배설액의 투과를 방지하여 속옷이나 의복 등에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이면 시트(3)는, 배설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지는 않지만, 소정의 통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이면 시트가 통기성을 갖고 있으면, 흡수체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이면 시트를 통해 방출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 내에 혹은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피부면 사이에 머무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와의 사이에 흡수체(4)를 끼운 상태로, 상기 표면 시트(2)와 그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4)는, 뇨 등의 배설액을 흡수하는 것이고, 배설액을 흡수·유지하는 흡수성 재료를 함유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 흡수체(4)는,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L)의 양단측이 그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며,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표면 시트(2)나 이면 시트(3)보다 작은 평면시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체(4)는, 표면 시트측(즉,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 및 이면 시트측(즉,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이 모두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체의 두께나 평량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구비해야 할 특성(예컨대, 흡수성, 강도, 경량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흡수체의 두께는, 통상 0.1∼15 mm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10 mm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의 범위 내이고, 평량은, 통상 20∼1000 g/m2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50∼800 g/m2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00 g/m2의 범위 내이다. 또, 흡수체의 두께, 평량 등은, 흡수체 전체에 걸쳐서 일정해도 좋고,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는, 표면 시트측의 면에 있어서 표면 시트(2)(도 2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상면측)와, 이면 시트측의 면에 있어서 이면 시트(3)(도 2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하면측)와, 각각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표면 시트(2)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고, 그 착용자로부터의 배설액을 신속히 흡수 혹은 투과시켜, 흡수체(4)를 향하여 이행시키는 것이고, 흡수체(4)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측(도 1, 도 2, 도 4∼도 7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면 시트(2)는,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연 소재에 의한 안심감이나 흡수성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표면 시트(2)로서, 코튼(203)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204)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201)과, 상기 제1 섬유층(201)의 상면측의 면에 인접하고, 표면 시트(2)의 제1 면(2a)(상면)을 형성하는 섬유층으로서,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205)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202)을 포함하는, 2층의 섬유 적층체(200)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기 2층의 섬유 적층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적층체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코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섬도가 1.0∼15 dtex의 범위 내이고, 섬유 길이가 5∼40 mm의 범위 내인 코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 길이가 20 mm 이상의 코튼은, 제1 섬유층을 후술하는 제2 섬유층과 적층했을 때에(즉, 섬유 적층체를 형성했을 때에), 코튼 섬유의 일부가 상기 제2 섬유층 내로 들어가기 쉽고, 부직포의 액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 길이가 20 mm 이상의 코튼과, 섬유 길이가 10 mm 이하의 코튼을 혼합한 혼합 코튼은, 섬유 길이가 20 mm 이상인 코튼에 의해 부직포의 액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다가, 섬유 길이가 10 mm 이하인 코튼에 의해 부직포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층에 있어서의 코튼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흡수성이나 보수성, 유연성 등의 면에서, 예컨대, 1∼70 질량%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2∼30 질량%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코튼은, 상기 제1 섬유층 내에서, 코튼의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코튼의 섬유 덩어리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의 제2 면측(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제1 섬유층에, 코튼에 의한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고 있으면, 흡수체에 흡수·유지된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로부터 습기로서 방출되었을 때에, 상기 습기를, 제1 섬유층 내의 코튼의 섬유 덩어리에 있어서 집중적으로(스폿적으로) 흡수·유지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의 면 방향에 있어서 습기를 흡수·유지한 부분의 면적을 작게 할(스폿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섬유층의 제1 면측으로부터 더욱 방출되는 습기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후술하는 부직포의 볼록부의 공극부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공지된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심초(core-sheath)형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도/해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 자형, C 자형 등의 이형 단면형 섬유; 잠재 권축 또는 현재 권축의 입체 권축 섬유; 수류, 열, 엠보스 가공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하는 분할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구조를 갖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섬유를 병용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나 유연성, 촉감, 액투과성 등의 면에서, 통상 1.1∼8.8 dtex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5∼4.6 dtex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도는, 후술하는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직경(섬도)보다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가는 섬유 직경(섬도)을 갖고 있으면,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섬유 직경이 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코튼이나 상기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얽히기 쉽고, 코튼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해리에 따르는 섬유층의 분열이나 각 섬유층 사이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부직포가 구성 성분으로서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부직포로서 우수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나 유연성, 액투과성 등의 면에서, 통상 20∼100 mm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35∼65 mm의 범위 내이다. 이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이러한 친수화 처리로는, 예컨대, 계면활성제나 친수제 등을 이용한 처리(예컨대, 섬유 내부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이겨 넣음, 섬유 표면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도포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나 유연성 등의 면에서, 예컨대, 30∼99 질량%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70∼98 질량%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제1 섬유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 이외의 섬유나 임의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섬유 적층체의 제2 섬유층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제2 섬유층은,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소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제1 면)을 형성하는 제2 섬유층을,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제2 섬유층이, 배설액이나 습기를 흡수·유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하여,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소수성」이란, 물과 친숙해지기 어려운 혹은 수분을 유지하기 어려운 성질을 의미하고, 예컨대, 이온 교환수와의 접촉각이 80°∼100° 정도가 되는 것을 말한다. 또, 이온 교환수와의 접촉각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4010호에 있어서의 「초기 접촉각의 측정」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섬유 적층체가 제1 섬유층과 제2 섬유층의 2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제2 섬유층을 구성하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섬유끼리의 얽힘 용이성 등의 면에서,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동일한 섬유(즉,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섬유 길이를 갖는 섬유 등)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 섬유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 이외의 섬유나 임의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섬유 적층체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2층의 적층체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성이나 유연성 등에 따라 3층 이상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상기 표면 시트(2)의 제1 면(2a)(상면)이,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205)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2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의 피부가 접촉하는 표면 시트의 제1 면이, 코튼이나 친수성 섬유 등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섬유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섬유층의 코튼에 흡수·유지된 뇨 등의 배설액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표면 시트의 제1 면이 코튼을 포함하지 않는 섬유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코튼에 의한 촉감의 악화나 유연성의 저하 등도 막을 수 있어, 부직포로서 우수한 촉감 및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 이외의 그 밖의 섬유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양모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무기 섬유, 열가소성 수지 섬유 등의 합성 수지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을 들 수 있다. 또, 그 밖의 섬유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섬유 적층체의 각 섬유층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강도나 유연성, 흡수성 등의 면에서, 각각, 예컨대, 1∼60 g/m2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0∼30 g/m2의 범위 내이다. 부직포로서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10∼100 g/m2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15∼75 g/m2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g/m2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섬유 적층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0.1∼5 mm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5∼3 mm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2 mm의 범위 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요철 부형 가공 전의 섬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 적층체를 제조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각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즉, 제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 제2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등)를 이용하여, 각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플리스)를 각각 형성하고, 각 웨브 내 및 웨브 사이의 섬유끼리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전술한 제1 섬유층 및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2층의 섬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1) 시트상 부재를 일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1 단의 카딩 장치와, 상기 반송 장치의 상방에 있어서 반송 방향의 하류측(즉, 제1 단의 카딩 장치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단의 카딩 장치와, 상기 제2 단의 카딩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된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를 구비한 제조 장치를 준비한다.
(2) 상기 제1 단의 카딩 장치에, 제2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공급하고, 상기 카딩 장치 내의 회전 롤의 핀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개섬하여, 상기 제2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를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면 상에 형성한다.
(3)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면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를,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제2 단의 카딩 장치에, 제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튼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공급하고, 상기 카딩 장치 내의 회전 롤의 핀에 의해 각 섬유를 개섬하여, 상기 제1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를, 반송 중의 상기 제2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 상에 형성한다.
(4) 상기 제2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 상에 상기 제1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가 적층된 적층 웨브를, 상기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에 반송하고, 상기 가열 장치 내에서, 각 웨브 내 및 웨브 사이의 섬유끼리를 교락시키고, 임의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를 열융착시킴과 함께 코튼을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표면에 융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1 섬유층과 상기 제2 섬유층이 적층된 2층의 섬유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3층 이상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는, 카딩 장치를 3단 이상 배치한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순서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각 섬유층에 대응하는 웨브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습식법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웨브의 결합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류 교락법이나 니들 펀치법 등을 채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섬유 적층체는, 후술하는 요철 부형 가공에 의해 상기 특정한 요철 구조가 부여되고,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요철 구조를 구비한 섬유 적층체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표면 시트의 요철 구조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표면 시트(2)는,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 면(2a)과, 이 제1 면(2a)과는 반대측인 흡수체측의 제2 면(2b)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표면 시트(2)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폭 방향(W)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면(2a)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1)와, 길이 방향(L)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이들 볼록부(11) 사이에 형성된, 제2 면(2b)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오목부(1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볼록부(11)의 제2 면측에, 상기 표면 시트(2)(부직포)의 제2 면(2b)이 면하는 공극부(14)를 갖고 있다.
즉, 표면 시트(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튼(203)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204)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201)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205)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202)을 포함하는 2층의 섬유 적층체(200)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제1 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상기 볼록부(11)와 제2 면측으로 오목해지는 복수의 상기 오목부(1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볼록부(11)는, 상기 부직포의 제2 면(2b)이 면하는 공극부(14)를 갖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4)에 흡수·유지된 착용자의 뇨 등의 배설액이, 증발 등에 의해 습기로서 흡수체(4)로부터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습기를, 상기 제1 섬유층(201) 내의 코튼(203)에 있어서 흡수·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극부(14)에 있어서 습기의 상태로 머물게 하기 때문에(즉, 공극부(14)를 고습 상태로 하기 때문에), 상기 공극부(14) 내의 습기(기상)와 상기 흡수체(4)에 흡수·유지되어 있는 배설액(액상) 사이에서 기액 평형과 같은 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4)로부터 이 이상의 습기가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느끼게 하거나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2)는,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 있어서의 제1 면(2a)의 위치보다 흡수체(4)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22)를 구비한 제1 오목부(21)와, 이 제1 오목부(2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고, 제1 바닥부(22)로 개구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오목부(26)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2 오목부(26)는, 제1 바닥부(22)로부터 흡수체(4)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벽부(27)와, 이 주벽부(27)의 흡수체(4)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표면 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은 제2 바닥부(2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 있어서의 제2 면(2b)이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오목부(12)에 있어서의 제2 오목부(26)의 제2 바닥부(28)가,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에 접착제의 층(8)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의 제2 면(2b)의 일부도,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에 상기 접착제의 층(8)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11)에 관해서는, 정상부(13)를 포함하여, 제2 면(2b)의 부분은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를 이루는 제1 면(2a)의 영역 및 제2 면(2b)의 영역이, 제2 면(2b)으로부터 제1 면(2a)의 방향(즉, 흡수체(4)와는 반대측의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12)의 제1 오목부(21)는, 그 제1 오목부(21)를 이루는 제1 면(2a)의 영역 및 제2 면(2b)의 영역이, 제1 면(2a)측으로부터 제2 면(2b)측의 방향(즉, 흡수체(4)의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만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는, 폭 방향(W)에 대하여, 요철이 교대로 반복되는 단면 대략 파형의 시트상으로 되어 있다.
볼록부(11)는, 일회용 기저귀(1)의 면(시트면)의 길이 방향(L)(즉,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표면 시트(2)의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복수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볼록부(11)는, 모두 길이 방향(L)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또한 다른 볼록부(11)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11)는, 흡수체의 상기 길이 방향(제1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볼록부는, 흡수체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쪽의 끝 가장자리까지 또는 한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볼록부를 이와 같이 연장 형성하면,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으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뿐만 아니라,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제1 방향)에 있어서의 끝 가장자리(측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에 대해서도, 상기 볼록부의 제2 면측의 공극부에 봉입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는, 인접하는 다른 볼록부와의 사이의 간격이 0.25∼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2 mm이다. 여기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간격」이란, 각 볼록부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실질적으로 볼록부의 정상부) 사이의 거리를 가리킨다.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간격의 거리가 0.25 mm 미만이면, 부직포의 요철 구조가 지나치게 미세하여, 부직포의 볼록부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그다지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제1 면)의 촉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한편,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의 간격의 거리가 5 mm를 초과하면, 요철 부형 가공 전의 부직포(섬유 적층체)와의 구조상의 차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살린 유연한 촉감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는,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의 제1 면측의 높이로부터 볼록부의 정상부의 높이까지의 길이(즉, 볼록부의 높이)가, 0.25∼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2 mm이다. 이 볼록부의 높이가 0.25 mm 미만이면, 볼록부의 돌출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요철 구조를 살린 유연한 촉감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되는 한편, 볼록부의 높이가 5 mm를 초과하면, 볼록부의 돌출이 지나치게 커 예리한 구조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유연한 촉감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 있어서의 제2 면(2b)의 부분과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바닥부(22)의 제1 면(2a)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4)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11)의 정상부(13)는, 전체로서 제1 바닥부(22)의 제1 면(2a)보다, 표면 시트(2)로부터 떨어진 위치(도 5에 있어서는 상방측)에 배치된 양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제2 면(2b)과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 사이에, 공극부(14)로서의 공간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2)의 볼록부(11)에 착용자로부터의 외력, 특히, 착용자의 피부와의 마찰 등에 따르는 폭 방향의 전단력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그 외력의 방향이나 크기에 따라 볼록부(11)가 변형 또는 찌부러져 그 힘을 흡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표면 시트(2)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시트(2)의 장력이 저감되어, 흡수체(4)로부터의 박리가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가, 코튼(203)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204)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201)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205)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202)을 포함하는 2층의 섬유 적층체(200)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4)에 흡수·유지된 착용자의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4)로부터 습기로서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습기를, 상기 제1 섬유층(201) 내의 코튼(203)에 있어서 흡수·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극부(14)에 있어서 습기의 상태로 머물게 하기 때문에, 상기 공극부(14) 내의 습기(기상)와 상기 흡수체(4)에 흡수·유지되어 있는 배설액(액상) 사이에서 기액 평형과 같은 상태가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4)로부터 이 이상의 습기가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오목부(21)는, 폭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는, 그 최대 부분 두께가 표면 시트(2)에 있어서 가장 두껍게 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닥부(22)는, 전체로서 탄성이 우수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오목부(21)는, 모두 서로 동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의 제2 면(2b)은, 적어도 제1 바닥부(22)에 있어서 가장 표면 시트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볼록부(11)의 정상부(13)의 높이의 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깊이의 위치의 부분, 및 그 근방의 부분이,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오목부(26)는, 평면시로 (표면 시트(2)의 제1 면(2a)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갖고 있고, 전체로서 표면 시트(2)의 흡수체(4)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26)는, 각 오목부(12)의 길이 방향(즉, 제1 오목부(2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각 제2 오목부(26)는, 다른 제2 오목부(26)와는 서로 독립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벽부(27)는,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와, 표면 시트(2)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를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끼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끼리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에는, 제1 오목부(2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2 면(2b)으로 통하는 구멍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멍부(31)는,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의 각각에 1개씩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부(31)는, 제1 주벽부(29)에 있어서의 제2 바닥부(28) 근처의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따라서, 하나의 제1 오목부(21)에는, 2개의 구멍부(31)가 존재하고 있다). 한편, 한쌍의 제2 주벽부(30, 30)에는, 구멍부(31)에 상당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각 제2 주벽부(30)는, 흡수체(4)측의 단부의 전부가 제2 바닥부(28)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표면 시트(2)에 제2 오목부(26)를 형성한 이유 중 하나는, 오목부(12)의 바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기회를 최대한 감소시킴과 함께, 만일, 제1 바닥부(22)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았다 하더라도, 그 접촉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는, 볼록부, 계속해서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의 순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닿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고,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상기 표면 시트 중에서는 가장 유연성이 높은 볼록부가, 상기 제1 바닥부보다 착용자의 피부에 닿기 쉽다는 바람직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접촉 면적이 적은 쪽이 유연성을 느끼기 쉽다는 것을 고려하여, 전술한 제2 오목부를 형성하여 제1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분을 보다 적게 하고, 피부에 맞닿는 기회 및 접촉 면적이 가급적 적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이나 이물감을 잘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오목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기회를 가능한 한 적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표면 시트는, 전술한 특정한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갖는 구조, 즉, 상기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제1 면측의 위치보다 제2 면측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를 구비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면측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벽부 및 상기 주벽부의 상기 제2 면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제2 바닥부를 구비하는 제2 오목부를 갖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의 제1 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두께 방향의 응력을, 상기 제1 오목부가 제2 면측으로 휨으로써 완충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코튼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충분히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오목부의 깊이, 즉,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의 제1 면(상면)측의 높이로부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의 제1 면측의 높이까지의 길이는, 0.05∼2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5∼1.5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mm이다.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가 0.05 mm 미만이면, 후술하는 제2 바닥부의 강성이 확보되기 어렵고, 부직포의 두께 방향의 강도가 부족하기 쉽다. 한편,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가 2 mm를 초과하면, 흡수성 물품의 다른 부재(예컨대, 흡수체나 부직포, 필름 등)와 첩합할 때에, 두께 방향의 강도가 부족하기 쉽고, 또한, 압축했을 때에는, 강직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와 상기 볼록부의 높이와의 관계는,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즉,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의 제1 면측의 높이로부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의 제1 면측의 높이까지의 길이)가, 상기 볼록부의 높이(즉, 제1 오목부의 제1 바닥부의 제1 면측의 높이로부터 볼록부의 정상부의 높이까지의 길이)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가 상기 볼록부의 높이의 10% 미만이면, 상기 제2 오목부의 주벽부에 있어서의 구멍부의 형성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구멍부가 불충분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혹은 형성되지 않아, 부직포로서 우수한 유연성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가 상기 볼록부의 높이의 80%를 초과하면, 구멍부가 과도하게 크게 형성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 제2 오목부의 주벽부의 강도가 저하되어 보풀이 일기 쉬워지고, 부직포의 촉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오목부의 제1 방향(길이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25∼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2 mm이다. 상기 제2 오목부의 제1 방향의 길이가 0.25 mm 미만이면, 상기 제2 오목부가 지나치게 작아져, 상기 제2 오목부에 의해 발휘되는 전술한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 오목부의 제1 방향의 길이가 5 mm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오목부가 제1 방향으로 지나치게 길어져, 평탄한 부직포나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유연성에 있어서 차별화하기 어렵고, 유연한 촉감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오목부의 제2 방향(폭 방향)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25∼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2 mm이다.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방향의 길이가 0.25 mm 미만이면, 상기 제2 오목부가 지나치게 작아져, 특히 제2 바닥부의 형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상기 제2 오목부에 의해 발휘되는 전술한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방향의 길이가 5 mm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오목부가 지나치게 커져, 부직포에 접촉했을 때에 위화감이나 이물감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2 오목부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즉,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오목부끼리의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이다. 이 제2 오목부의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2.0 mm 이하이면, 부직포를 구성하는 제1 섬유층 내의 코튼이,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유지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제2 바닥부에 있어서, 제1 섬유층 내의 코튼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해리하는 것에 의한 섬유층의 분열이나 각 섬유층 사이의 층간 박리를 한층 더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치가 2.0 mm 이하인 것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제1 면측으로부터 공급된 뇨 등의 배설액이,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스폿적으로 인입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로서 한층 더 우수한 흡수성(특히, 흡수 속도나 액이행성 등)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가,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측으로부터 제1 면측을 향하여 더욱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오목부의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의 각각에, 구멍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31)를 제1 주벽부(29)에 형성한 이유 중 하나는, 구멍부(31)가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2)와 인접하는 볼록부(11)의 섬유의 인장력을 해방하여, 볼록부(11) 전체 혹은 볼록부(11)를 형성하는 섬유가 이동하는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볼록부(11)의 유연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1)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의 두께 방향으로의 유연성, 및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제1 방향)이나 폭 방향(특히 폭 방향)으로 피부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의 유연성을 향상시켜서, 매끄러운 감촉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에, 우수한 경연감(硬軟感)(두께 방향으로의 우수한 부드러움) 및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우수한 조활감(粗滑感)(표면 시트(2)의 표면(특히 폭 방향)의 우수한 매끄러움)의 양쪽을 부여하여, 표면 시트(2) 전체로서 우수한 경연감 및 조활감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유연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구멍부(31)를 제2 주벽부(30)에 형성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제1 방향), 즉, 볼록부(11)나 오목부(12)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으로 피부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제2 오목부(26)에 의한 단차가 피부에 걸리기 어려워지도록 하여,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의 매끄러움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제2 주벽부(30)는, 제1 바닥부(22) 및 제2 바닥부(28)와 연속하고, 이음매 없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를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피부는 제2 오목부(26)에 의한 제1 바닥부(22)의 단차를 그다지 느끼지 않고 볼록부(11)나 오목부(12)를 따라 매끄럽게 이동하기 쉽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유연성이나 섬유의 유연성을 살린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으로의 매끄러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31)를 제1 주벽부(29)의 제2 바닥부(28) 근처의 위치에 형성한 이유 중 하나는, 구멍부(31)를, 피부가 닿기 쉬운 볼록부(11)나 제1 바닥부(22)로부터 가능한 한 멀게 함으로써, 구멍부(31)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기회를 최대한 감소시켜서, 위화감이나 이물감을 잘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따라, 피부를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했을 때의 매끄러움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31)는, 표면 시트(2)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용융하지 않고,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파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31)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중, 파단에 의해 형성된 파단 단부를 갖는 파단 섬유에 있어서의 그 파단 단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 이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거나, 물리적으로 절단하거나 하여 파단함으로써 형성된 단부이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용융한 경우와 같이, 섬유의 단부가 녹아 둥글게 되고 섬유 직경이 커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섬유가 끊어진 것에 의해 끝이 가늘게 된 양태 혹은 섬유 직경의 변화가 거의 생기지 않은 양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만일, 착용자의 피부가 구멍부(31)의 둘레 가장자리에 닿았다 하더라도, 용융에 의해 경화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뻣뻣함이나 섬유의 걸림에 의한 위화감을 발생하는 것이 억제됨과 함께, 표면 시트(2)의 딱딱함이나 거칠음을 느끼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중의 일부의 섬유가 건너질러져 있고, 또한, 일부의 파단 섬유에 관해서는, 그 파단 단부가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는, 그 내부 공간 내에 건너질러진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일부의 연장된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혼재한 상태로 되어 있고, 완전히 개방된 공간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멍부(31)는, 내부 공간에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일부가 건너질러지거나, 연장되거나 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착용자의 피부가 구멍부(31)에 닿은 경우에도, 내부 공간 내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제2 오목부(26)의 제1 주벽부(29)나 제2 바닥부(28)와 구멍부(31) 사이의 단차를 작게 하여 감촉의 차이를 가능한 한 작게 하므로, 닿았을 때의 위화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이 때의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률은, 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20%이다.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률이 1% 미만이면, 개공률이 지나치게 낮아 볼록부나 볼록부 내의 섬유에 자유도를 부여할 수 없어, 볼록부의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률이 50%를 초과하면, 구멍부가 형성된 제1 주벽부의 강도가 낮아지기 쉬운 데다가, 구멍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경계선이 촉감상 인식하기 쉬워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구멍부의 내부 공간의 개공률은,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 상기한 범위 이외여도 좋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바닥부(28)는,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제1 면(2a)으로부터 제2 면(2b)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 중에서 가장 섬유 밀도가 높으며, 또한 강성도 가장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그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섬유 밀도가 낮은 볼록부로부터 섬유 밀도가 가장 높은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걸쳐서 밀도 구배가 존재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의 제1 면측으로부터 공급된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제2 오목부의 제2 바닥부에 스폿적으로 인입되기 쉽고, 표면 시트로서 우수한 흡수성(특히, 흡수 속도나 액이행성 등)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가,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측으로부터 제1 면측을 향하여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바닥부(28)의 제1 면(2a)(즉, 제2 오목부의 내부측의 면) 및 제2 면(2b)(즉, 흡수체(4)측의 면)은, 전체로서 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의 면은, 대략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의 면이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제2 바닥부(28)와 흡수체(4)의 접촉 면적을 가급적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의 면은,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에 대하여, 가능한 한 큰 접합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표면 시트(2)는 흡수체(4)로부터 한층 더 박리하기 어려워지는 데다가, 표면 시트(2)와 흡수체(4) 사이의 배설액의 이행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은 평탄형의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의 면은,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면과 면접촉한 상태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는, 흡수체(4)와의 한층 더 안정적인 접합이 실현되고, 서로 박리하기 어려우며, 또한, 표면 시트(2)와 흡수체(4) 사이의 배설액의 이행도 매우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오목부(2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로 지그재그형이 되도록 상기 표면 시트(2)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오목부(26)와, 상기 제2 오목부(26)에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오목부(26)와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볼록부(11)가 위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표면 시트(2)는,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오목부(26)와 제2 오목부(26) 사이에, 볼록부(11), 제1 오목부(21), 볼록부(11)의 순으로 각각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면 시트(2)를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 중 하나는, 표면 시트(2)가 흡수체(4)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지함과 함께, 볼록부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표면 시트(2)는, 제2 오목부(26)가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흡수체에 대한 제2 오목부(26)의 접합에 의해 표면 시트(2)에는 폭 방향의 장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인접하는 제2 바닥부(28, 28) 사이에, 제2 바닥부(28)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상기 제2 바닥부(28)보다 변형되기 쉬운 제1 바닥부(22)를 배치함으로써, 그 제1 바닥부(2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장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11)의 폭 방향의 자유도가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볼록부(11)의 유연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는, 오목부(12)의 제1 오목부(21)와, 그 오목부(12)와 인접하는 다른 오목부(12)의 제1 오목부(21)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연속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즉, 표면 시트(2)는, 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제1 오목부(21), 볼록부(11), 제1 오목부(21)의 순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2 오목부(26)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표면 시트(2)에 있어서, 제2 오목부(26)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오목부(26)의 배치 간격이, 그 제2 오목부(26)의 길이 방향의 크기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표면 시트(2)를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제1 오목부(21)에 있어서의 제1 바닥부(22)의 변형 용이성을 이용하여, 볼록부(11)에, 보다 높은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즉, 표면 시트(2)가, 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제1 오목부(21)와 볼록부(11)가 교대로 위치하고, 인접하는 볼록부(11) 사이에, 흡수체(4)에 접합된 제2 오목부(26)가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바닥부(28)보다 섬유 밀도가 낮고, 상기 제2 바닥부(28)에 비교하여 변형되기 쉬운 제1 바닥부(22)가, 볼록부(11)를 착용자의 움직임에 맞춰 피부면에 추종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볼록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피부에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부(22)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볼록부(11)도, 보다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 전체로서, 한층 더 높은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흡수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후술하는 표면 시트가 되는 장척의 표면 시트 연속체(즉, 섬유 적층체(부직포)에 요철 구조를 부형한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형성한 표면 시트 연속체를, 흡수체에 대하여 적층하여, 표면 시트용 부직포의 연속체와 흡수체의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임의로 적층체에 압착 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 실시한다. 또한, 상기 적층체에 대하여 이면 시트가 되는 장척의 이면 시트용의 연속 시트를 적층하여,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로부터 단체의 일회용 기저귀를 잘라내는 절단 공정을 순차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할 때에는, 예컨대, 도 8∼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조 장치(50)를 이용한다. 이 제조 장치(50)는, 흡수성 재료(61)를 적층함으로써 흡수체(4)를 형성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석션 드럼(62)을 구비한 흡수체 형성 장치(60)와, 표면 시트(2)가 되는 표면 시트 연속체(71)(즉, 섬유 적층체(200)에 요철 구조를 부형한 부직포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표면 시트 형성 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면 시트(3)가 되는 이면 시트 연속체(91)가 롤형으로 감긴 이면 시트 롤(90)과, 흡수체(4)에 표면 시트 연속체(71) 및 이면 시트 연속체(91)를 부착한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92)를 절단하여, 개개의 일회용 기저귀(1)로 하는 절단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제조 장치(50)를 이용하여 일회용 기저귀(1)를 제조하는 순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흡수체를 제조하는 공정은, 흡수체 형성 장치(60)에 있어서, 회전하고 있는 석션 드럼(62)의 외주면에 대하여, 고흡수성 폴리머(SAP) 등의 흡수체 재료(61)를 상방으로부터 공급하고, 그 흡수체 재료(61)를, 석션 드럼(62)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수체(4)의 형에 적합한 오목 형상의 성형 공간(62a) 내에 흡인하고, 흡수체 재료(61)를 퇴적시킴으로써, 흡수체(4)를 형성한다. 그 후, 회전하고 있는 석션 드럼(62)이, 그 석션 드럼(62)의 하방에 있어서 반송 방향(MD)을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캐리어 시트(65) 상에, 성형 공간(62a) 내의 흡수체(4)를 전사하여, 재치(載置)한다. 또, 캐리어 시트(65)는, 재치된 흡수체(4)와 함께 반송 방향(MD)의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흡수체를 제조하는 공정 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우선, 이후에 상술하는 표면 시트 형성 장치(70)에 의해, 표면 시트(2)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표면 시트 연속체(71)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고 있는 흡수체(4)의 제1 면(도 8에 있어서는 상면)에 대하여,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로부터 표면 시트 연속체(71)를 적층 또한 접합함으로써, 적층체(72)를 얻는다. 또, 적층체(72)는, 그 형성 후, 반송 방향(MD)의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후,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적층체(72)의 흡수체(4)측의 면(이 경우, 적층체(72)의 하면)에, 이면 시트 롤(90)로부터 권출한 이면 시트 연속체(91)를,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흡수체(4)의 하면측으로부터 순차 적층하여, 복수의 일회용 기저귀(1)가 그 길이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진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9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4)의 제1 면(상면)에 표면 시트 연속체(71)가, 제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경우, 흡수체(4)의 하면)에 이면 시트 연속체(91)가 각각 접합된,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92)가 얻어진다. 또한, 이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92)는, 반송 방향(MD)의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다음 공정에 제공된다.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 후, 절단 공정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 있어서는, 절단 장치(80)가 구비하고 있는 커터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의 연속체(92)로부터 원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단체의 일회용 기저귀(1)를 잘라낸다. 이에 따라, 제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가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포함되는, 표면 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표면 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표면 시트 연속체(71)의 원료가 되는 장척의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섬유 적층체(200))가 롤형으로 감긴 표면 시트 롤(74)로부터,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권출하고, 그 권출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대하여 예열을 가하는 예열 공정과, 예열 공정을 거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연신하고 요철 구조를 부형 가공하는 부형 공정을 순차 실시한다. 또, 표면 시트 연속체(71)의 원료가 되는 장척의 부직포(73)는, 상기한 요철 부형 가공 전의 섬유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 적층체(200)를 이용한다.
상기 표면 시트 연속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도 8∼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면 시트 형성 장치(70)를 이용하여 행한다. 이 형성 장치(70)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반송 방향(MD)의 하류측으로 권출하는 표면 시트 롤(74)과, 표면 시트 롤(74)로부터 권출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예열을 부여하는 예열 장치(76)와, 예열을 부여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연신하고 볼록부(11) 및 오목부(12)(제1 오목부(21) 및 제2 오목부(26)를 포함함)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 부형 가공을 행하는 부형 장치(7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예열 공정은, 표면 시트 롤(74)로부터 권출되고, 반송 방향(MD)을 따라 반송되어 온 장척의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예열 장치(76)의, 회전하고 있는 상하 한쌍의 가열 롤(76a, 76b)의 외주면에 순차 접촉시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양면을 순차 가열하여 예열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 롤(74)로부터 권출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우선 하방의 가열 롤(76b)의 외주면에 감고, 그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일면측을 가열한다. 다음으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하방의 가열 롤(76b)로 가열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방의 가열 롤(76a)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상방의 가열 롤(76a)에 전달하고, 그 외주면에 접하고 있는 면을 상방의 가열 롤(76a)에 의해 가열한다.
여기서, 예열 온도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컨대, 가공 대상의 부직포에 사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가소성 수지가 연화되기 시작하는 온도(연화점)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 온도가 융점 이상이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용융된 후에 경화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로서 유연한 촉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예열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미만이면, 다음 공정의 부형 공정에 있어서 가공 대상의 부직포를 부형하기 어려워져, 적절한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예컨대, 가공 대상의 부직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심초형의 복합 섬유인 경우, 상기 복합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융점 온도가 120℃이고, 50℃ 정도부터 연화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가열 롤의 외주면의 온도는, 50∼11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0℃ 정도이다.
부형 공정은, 예열 공정을 거쳐 반송되어 온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부형 장치(77)에 있어서,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있는 상하 한쌍의 연신 롤(78, 79) 사이에 삽입하고,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맞물려 있는 상방의 연신 롤(78)의 돌릉(突稜; ridge)(78a) 및 오목홈(78b)과, 하방의 연신 롤(79)의 외주면부(79b) 및 핀(79a)과의 사이에서 연신하여 부형한다. 또, 부형 공정을 실시할 때에는, 부형을 행하기 쉽도록, 연신 롤(78, 79)을 가열하면서 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예열 공정에 있어서의 예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서,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의 연신 롤(78)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롤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 상방의 연신 롤(78)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복수열 형성된 전술한 돌릉(78a)과, 인접하는 돌릉(78a, 78a) 사이에 형성된 복수열의 전술한 오목홈(78b)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하방의 연신 롤(79)은, 그 외주면에, 상방의 연신 롤(78)의 오목홈(78b)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핀(79a)과, 돌릉(78a)과 맞물리는 외주면부(79b)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핀(79a)은, 롤폭 방향에 대해서는, 상방의 연신 롤(78)의 돌릉(78a)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의 연신 롤(79)의 롤폭의 전폭에 걸쳐서 핀(79a)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롤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거의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방의 연신 롤(79)은, 복수의 핀(79a)이, 하방의 연신 롤(79)의 외주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형 공정을 실시할 때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의 연신 롤(78)은, 돌릉(78a)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하방의 연신 롤(79)에 있어서의 외주면부(79b)에 압입하고, 이에 따라 표면 시트(2)(이 단계에서는, 표면 시트 연속체(71))의 볼록부(11)를 부형한다. 한편, 하방의 연신 롤(79)은,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 있는 복수의 핀(79a)이, 그 핀(79a)의 선단 부분에 접촉하고 있는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상방의 연신 롤(78)의 동일한 오목홈(78b) 내에 압입한다. 이 때, 가공 대상의 부직포(73) 중, 핀(79a)과 비접촉 상태로 오목홈(78b) 내에 인장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그다지 연신되지 않고, 표면 시트(2)(표면 시트 연속체(71))의 오목부(12)의 제1 오목부(21)의 제1 바닥부(22)가 된다. 또한, 핀(79a)의 선단 부분과 접촉하고 있었던 부분은, 오목홈(78b) 내에 강하게 압입되어 부형되고, 이에 따라, 주벽부(27) 및 제2 바닥부(28)를 구비한, 표면 시트(2)(표면 시트 연속체(71))의 제2 오목부(26)가 형성된다.
또, 제2 오목부(26)의 제2 바닥부(28)는, 그 형성시에 있어서, 상방의 연신 롤(78)과 하방의 연신 롤(79)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문 상태에서, 핀(79a)의 선단 부분이 그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접촉 부분을 오목홈(78b) 내에 압입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섬유 밀도가 다른 부분보다 높아진다. 또한, 하방의 연신 롤(79)의 롤폭의 전폭에 걸쳐서 핀(79a)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시트 연속체(71)에는, 전폭에 걸쳐서 제2 오목부(26)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된다(도 6의 표면 시트(2)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에 있어서, 하방의 연신 롤(79)의 핀(79a)의 선단 부분의 폭 방향(롤폭 방향)의 양단부에 접촉하고 있었던 부분은, 상방의 연신 롤(78)의 돌릉(78a)이 가공 대상의 부직포(73)를 하방의 연신 롤(79)의 외주면부(79b)에 압입할 때에 발생하는 장력도 작용하여, 핀(79a)이, 제2 오목부의 주벽부 중의 제1 주벽부(29)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밀어 헤치거나, 혹은 파단하여 전술한 파단 단부를 갖는 파단 섬유를 형성하거나 한다. 이에 따라, 제2 오목부(26)에,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가 포함된 구멍부(31)가 형성되게 된다. 또,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구멍부(31)의 내부 공간에 건너질러진 상태로 남고, 또한, 일부의 파단 섬유의 파단 단부는 구멍부(31)의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구멍부(31)가 형성되는 것은, 가공 대상의 부직포(73)의 반송 방향(MD)을 따르는 방향, 즉, 연신 롤(78, 79)의 회전 방향으로서, 볼록부(11) 및 오목부(12)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구멍부(31)가, 볼록부(11) 및 오목부(12)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따르는 둘레면인 제1 주벽부(29)에 형성된다.
부형 공정이 종료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면 시트 연속체(71)가 완성ㄴ되는데, 이 표면 시트 연속체(71)는, 흡수체(4)에 적층하기 위해, 더욱 캐리어 시트(65) 상의 흡수체(4)를 향하여 반송되고, 접착제층을 통해 흡수체(4)의 상면측의 면에 적층 또한 접합되게 된다. 이 때, 표면 시트 연속체(71)는, 제1 오목부(21)에 있어서의 제1 바닥부(22)의 제2 면(2b)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오목부(26)에 있어서의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이 흡수체(4)의 상면에 접합되는 한편, 볼록부(11)의 제2 면(2b)에 관해서는 접합되지 않는다. 그 후, 전술한 각 공정을 실시하여, 제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가 완성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는, 제1 바닥부(22)의 일부가,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에 접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바닥부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가 안정적으로 접합되어 있으면, 반드시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 이 경우에도, 제2 바닥부는 흡수체에 접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록부(11)의 정상부(13)에 있어서의 제2 면(2b)의 부분과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가, 제1 바닥부(22)의 제1 면(2a)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4)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4)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박리를 안정적으로 억지할 수 있으면,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제2 면의 부분과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와, 제1 바닥부의 제1 면에 있어서 가장 흡수체에 가까운 부분과 흡수체의 표면 시트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는, 반드시 이러한 관계일 필요는 없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가, 제2 오목부(26)와, 그 제2 오목부(26)에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제2 오목부(26)와의 사이에, 적어도 2개의 볼록부(11)가 위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오목부 사이의 볼록부의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에 있어서, 오목부(12)의 제1 오목부(21)와, 그 오목부(12)와 인접하는 다른 오목부의 제1 오목부(21)가 서로 인접하는 구성이, 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연속하는 부분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는 반드시 이러한 구성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가, 상기 제2 오목부(26)의 한쌍의 제1 주벽부(29, 29)에, 제2 면(2b)으로 통하는 구멍부(31)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볼록부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상기 주벽부에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바닥부(28)의 제2 면(2b)은 평탄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2 바닥부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나 액이행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그 제2 면은 반드시 평탄형이 아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부직포가 3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적층체로서, 섬유 적층체(부직포)가, 부직포의 피부 대향면(제1 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섬유층(피부 대향면측 섬유층)과, 상기 제2 섬유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인접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코튼을 포함하지 않는 제3 섬유층(중간층)과, 상기 제3 섬유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인접한, 코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섬유층(피부 비대향면측 섬유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섬유층과 코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섬유층과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제3 섬유층이 개재하고, 상기 제2 섬유층과 제1 섬유층이 격리되어, 상기 제1 섬유층의 코튼에 흡수·유지된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제2 섬유층, 나아가서는 착용자의 피부에 전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젖은 상태를 지각시키거나 하여,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층의 섬유 적층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피부 대향면측 섬유층] (제2 섬유층)
섬도 2.8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0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중간층] (제3 섬유층)
섬도 2.8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0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피부 비대향면측 섬유층] (제1 섬유층)
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4 mm 및 평량 8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및 평량 1 g/m2의 코튼의 혼합물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이용되는 부직포가 3층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적층체로서, 섬유 적층체(부직포)가, 부직포의 피부 대향면(제1 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섬유층(피부 대향면측 섬유층)과, 상기 제2 섬유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인접한, 코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섬유층(중간층)과, 상기 제1 섬유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인접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코튼을 포함하지 않는 제3 섬유층(피부 비대향면측 섬유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코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섬유층과 상기 부직포의 볼록부에 있어서의 제2 면측(피부 비대향면측)의 공극부와의 사이에, 제3 섬유층이 개재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제3 섬유층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된 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봉입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이 때, 제3 섬유층은, 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봉입하는 보조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흡수체로부터 방출된 습기를, 상기 제1 섬유층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의 영역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3층의 섬유 적층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피부 대향면측 섬유층] (제2 섬유층)
섬도 2.8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0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중간층] (제1 섬유층)
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4 mm 및 평량 8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및 평량 1 g/m2의 코튼의 혼합물
[피부 비대향면측 섬유층] (제3 섬유층)
섬도 2.8 dtex, 섬유 길이 45 mm 및 평량 10 g/m2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1 섬유층 또는 제2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섬유층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량이 동일하고, 상기 제2 섬유층 및 제3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각각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보다 큰 섬유 직경(섬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섬유 적층체)가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섬유량(섬유 개수)이, 필연적으로 상기 제2 섬유층 및 상기 제3 섬유층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코튼을 포함하는 제1 섬유층의 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직포는, 제1 섬유층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제2 섬유층 또는 제3 섬유층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얽히기 쉬워지기 때문에,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층이 비교적 강성 높은 코튼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각 섬유층 사이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즉, 흡수체와는 반대측)에 이면 필름을 갖고 있는데, 상기 이면 필름은, 상기 이면 시트보다 낮은 통기도를 갖고 있다.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상기 이면 시트보다 통기도가 낮은 이면 필름을 갖고 있으면, 상기 이면 시트로부터 상기 이면 필름에 걸쳐서 통기도가 낮아진다는 통기도 구배가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체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즉, 이면 시트측)으로 방출된 습기가, 상기 이면 시트를 통해 상기 이면 필름으로 인입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쉬워진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즉, 이면 시트와는 반대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보다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압착부를 갖고 있다.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압착부를 갖고 있으면, 흡수체에 흡수·유지된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의 압착부에 머물기 쉽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는 남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 등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흡수체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를 갖고 있는데, 상기 흡수체는, 또한,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갖고 있다. 흡수체가, 상기와 같은 선상 압착부를 갖고 있으면, 상기 흡수체에 흡수·유지된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를 따라 확산한 상태로 머물기 쉽고,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는 남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가,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갖고 있으면, 상기 점상 압착부는, 섬유 밀도가 높고 흡액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뇨 등의 배설액이 상기 흡수체에 스폿적으로 흡수되기 쉬워짐과 함께, 상기 점상 압착부를 통해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체로부터 피부 대향면측으로 방출되는 습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자에게 습기참을 한층 더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표면 시트가, 평면시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외측 영역을 갖고 있는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부직포의 상기 오목부의 제2 면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부직포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복수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보다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 쪽이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뇨 등의 배설액이 공급되는 표면 시트의 상기 중앙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의 피치가, 외측 영역보다 치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설액의 흡수에 크게 관여하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강고히 접합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중앙 영역 내에서 상기 볼록부의 공극부를, 상기 외측 영역보다 치밀하게, 또한 많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유지하기 위한 공극부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팬티 라이너) 등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을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용하는 경우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를 일체화하는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해도 좋다.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표면 시트와 흡수체의 접합을 강고히 함과 함께,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있어서의 섬유 밀도를 높여, 표면 시트로부터 흡수체로의 배설액의 인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직포의 제조)
제1 단의 카딩 장치에, 제2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섬도 2.8 dtex, 섬유 길이 45 mm)를 공급하고, 상기 제1 단의 카딩 장치 내에서 상기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를 개섬하여, 제2 섬유층에 대응하는 평량 20 g/m2의 제1 웨브를 반송 장치의 반송면 상에 형성했다. 형성한 제1 웨브를,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반송하면서, 제2 단의 카딩 장치에, 제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A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B)와, 코튼을 공급하고, 상기 제2 단의 카딩 장치 내에서 각 섬유를 개섬하여, 제1 섬유층에 대응하는 평량 13 g/m2의 웨브(여기서, 복합 섬유 A 및 B의 평량은 10 g/m2, 코튼의 평량은 3 g/m2임)를, 반송 중의 제1 웨브 상에 형성했다. 상기 제1 웨브 상에 제2 웨브가 적층된 적층 웨브를, 에어스루 방식의 가열 장치에 반송하고, 상기 가열 장치 내에서, 각 웨브 내 및 웨브 사이의 섬유끼리를 교락시킴으로써, 제1 섬유층과 제2 섬유층이 적층된 2층의 섬유 적층체를 얻었다.
(요철 부형 가공)
얻어진 2층의 섬유 적층체(부직포)를, 도 9∼도 11에 나타내는 상하 한쌍의 연신 롤을 구비한 부형 장치를 이용하여 연신하고, 부직포에 도 3∼도 7에 나타내는 소정의 요철 구조를 부형했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평량 220 g/m2의 펄프와, 평량 156 g/m2의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혼합한 흡수성 재료를, 평량 10 g/m2의 티슈로 피복하여 흡수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체의 한쪽의 면에 요철 구조를 부형한 상기 부직포를 표면 시트로서 접합한 후, 다른쪽의 면에 평량 15 g/m2의 투습성 필름을 이면 시트로서 접합하여, 적층물을 얻었다. 또, 이들의 접합에는, 핫멜트형의 접착제(도포량: 3 g/m2)를 이용했다.
그리고, 얻어진 적층물을, 흡수성 물품의 소정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1
2층의 섬유 적층체(부직포)에 요철 부형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2
제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재료로서,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A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B)의 혼합물(평량 10 g/m2)을 이용한 것(즉, 코튼을 포함하지 않는 섬유 재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3
제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재료로서, 섬도가 상이한 2종류의 PET/PE 심초형 복합 섬유(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A와, 섬도 1.7 dtex, 섬유 길이 45 mm의 복합 섬유 B)의 혼합물(평량 10 g/m2)을 이용한 것(즉, 코튼을 포함하지 않는 섬유 재료를 이용한 것) 및 2층의 섬유 적층체(부직포)에 요철 부형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젖은 상태나 습기참 등의 발생 용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흡수성 물품이 모의 뇨를 흡수한 후의 소정 시간마다의 증산율(%)을, 이하의 요령으로 측정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흡수성 물품의 각 구성 및 증산율의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증산율의 측정 방법]
(1) 주위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측정하는 흡수성 물품 샘플을, 온도 20℃, 습도 60%의 항온 항습조 내에 재치하고, 동일 환경하에서 5일간(120시간) 방치한다.
(2) 항온 항습조로부터 흡수성 물품 샘플을 꺼내고, 흡수성 물품 샘플의 초기 질량 A0(g)을 측정한다.
(3) 수평면을 갖는 시험대 상에, 흡수성 물품 샘플을, 표면 시트가 상면이 되도록 펼치고, 그 표면 시트 상에 내경 60 mm의 원통을 설치한다.
(4) 표면 시트 상에 설치한 원통 내에, 모의 뇨 80 mL를 10초에 적하한다.
또, 모의 뇨는, 이온 교환수 10 L에, 요소 200 g, 염화나트륨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및 색소(청색 1호) 약 1 g을 용해시킴으로써 조제한다.
(5) 원통 내의 모의 뇨가 전부 흡수성 물품 샘플에 흡수된 것을 확인한 후, 표면 시트 상으로부터 원통을 제거하고, 즉시 모의 뇨 흡수 후의 흡수성 물품 샘플 질량 A1(g)을 측정한다.
(6) 모의 뇨 흡수 후의 흡수성 물품 샘플을 일정한 분위기하에서 방치하고, 상기 (5)에 있어서 표면 시트 상으로부터 원통을 제거한 시점으로부터, 1시간 후, 3시간 후, 5시간 후, 8시간 후 및 21시간 후의 흡수성 물품 샘플 질량 W1, W3, W5, W8 및 W21(g)을 각각 측정한다.
(7) 흡수성 물품 샘플의 각 경과 시간마다의 증산율 E1, E3, E5, E8 및 E21(%)을 다음 식(1)에 의해 산출한다.
Figure 112017107227427-pct00001
Figure 112017107227427-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은, 비교예 1∼3의 흡수성 물품에 비교하여, 모의 뇨 흡수 후의 증산율이 낮고, 젖은 상태나 습기참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흡수성 물품은, 모의 뇨를 흡수하여 8시간 후 및 21시간 후의 증산율이 낮고, 장시간에 걸쳐서 젖은 상태나 습기참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흡수성 물품은,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2의 흡수성 물품은, 제1 섬유층에 코튼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예 3의 흡수성 물품은,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며 또한 제1 섬유층에 코튼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각 모의 뇨 흡수 후의 증산율이 높고, 젖은 상태나 습기참 등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나 실시예 등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서수는, 상기 서수가 부여된 사항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각 사항의 순서나 우선도, 중요도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11: 볼록부
12: 오목부
13: 정상부
14: 공극부
21: 제1 오목부
22: 제1 바닥부
26: 제2 오목부
27: 주벽부
28: 제2 바닥부
29: 제1 주벽부
30: 제2 주벽부
31: 구멍부
50: 제조 장치

Claims (10)

  1.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이들 양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코튼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1 섬유층과,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구성되는 제2 섬유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의 면으로서 상기 제2 섬유층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면과,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으로서 상기 흡수체와 대향하는 제2 면을 갖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제1 면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제2 면이 면하는 공극부를 갖는 것인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통기성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층은 코튼에 의한 섬유 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이면 시트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에 이면 필름을 갖고, 상기 이면 필름은 상기 이면 시트보다 낮은 통기도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면측의 위치보다 상기 제2 면측에 위치하는 제1 바닥부를 구비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1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면의 방향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복수의 제2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바닥부로부터 상기 제2 면측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벽부(周壁部)와, 상기 주벽부의 상기 제2 면측의 단부에 그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상기 부직포 중에서 가장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제2 바닥부를 구비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가 2.0 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1 면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또는 양쪽의 끝 가장자리까지 또는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끝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압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상기 폭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상 압착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는 피부 대향면측의 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상기 표면 시트는, 평면시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외측 영역을 갖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부직포의 상기 오목부의 제2 면측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접합하는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부직포와 상기 흡수체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복수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이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보다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접합부끼리의 간격 쪽이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77031421A 2015-05-29 2015-08-26 흡수성 물품 KR101840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0913A JP6214598B2 (ja) 2015-05-29 2015-05-29 吸収性物品
JPJP-P-2015-110913 2015-05-29
PCT/JP2015/074093 WO2016194247A1 (ja) 2015-05-29 2015-08-2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05A KR20170126005A (ko) 2017-11-15
KR101840995B1 true KR101840995B1 (ko) 2018-03-21

Family

ID=5744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21A KR101840995B1 (ko) 2015-05-29 2015-08-2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133072A1 (ko)
EP (1) EP3254653B1 (ko)
JP (1) JP6214598B2 (ko)
KR (1) KR101840995B1 (ko)
CN (2) CN110478133B (ko)
BR (1) BR112017022138B1 (ko)
MY (1) MY171900A (ko)
TW (1) TWI699195B (ko)
WO (1) WO2016194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9971B1 (ja) * 2017-10-11 2018-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液透過性シート用の不織布及び不織布ロール
US10792199B2 (en) 2018-02-23 2020-10-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bstrates and laminates for absorbent articles
JP6507282B1 (ja) 2018-03-19 2019-04-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445732B1 (ja) * 2018-09-10 2018-1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82601B2 (ja) 2018-09-19 2023-05-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049084A (ja) * 2018-09-28 2020-04-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955101B (zh) * 2018-10-29 2022-06-2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卫生棉条
CN111150559B (zh) * 2018-11-08 2022-08-1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190883B2 (ja) * 2018-11-29 2022-1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24157B2 (ja) * 2018-11-30 2023-0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71150B2 (ja) * 2018-11-30 2023-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162934A (ja) * 2019-03-29 2020-10-08 Jnc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7490419B2 (ja) 2019-04-09 2024-05-27 大和紡績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不織布、吸収性物品用トップ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収性物品
JP7334056B2 (ja) * 2019-04-26 2023-08-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09654B2 (ja) * 2020-03-31 2023-07-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収容体
JP7050128B2 (ja) 2020-08-25 2022-04-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16535790U (zh) * 2020-08-31 2022-05-17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
CN114099145B (zh) * 2020-08-31 2022-09-16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及吸收性物品的制造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72A (ja) 2001-06-08 2003-04-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050538A (ja) 2007-08-28 2009-03-12 Kao Corp 吸収性物品用シート
JP2009273722A (ja) 2008-05-15 2009-11-2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990003B2 (ja) 2007-03-30 2012-08-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86035B2 (ja) 2007-11-12 2012-11-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8918A (en) * 1990-08-30 1994-11-29 Nippon Shokubai Co., Ltd. Absorbent material comprising absorbent polymeric particulate material coated with synthetic pulp
US5891118A (en) * 1995-09-05 1999-04-06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3258909B2 (ja) * 1996-06-28 2002-02-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2001032157A (ja) * 1999-07-16 2001-02-06 Unitika Ltd 短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SG116454A1 (en) * 2001-06-08 2005-11-2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US7645262B2 (en) * 2002-04-11 2010-01-12 Second Sight Medical Products, Inc. Biocompatible bonding method and electronics package suitable for implantation
US8030535B2 (en) * 2002-12-18 2011-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clean body benefit
JP3986505B2 (ja) * 2003-04-10 2007-10-03 花王株式会社 繊維シート
JP4790281B2 (ja) * 2005-02-08 2011-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67405B2 (ja) * 2004-11-02 2010-05-26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512512B2 (ja) * 2005-03-29 2010-07-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表面シート
JP4535934B2 (ja) * 2005-05-17 2010-09-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633698B2 (ja) * 2006-09-25 2011-0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75896B2 (ja) * 2009-09-24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31044A (ja) * 2009-11-24 2011-07-07 Kao Corp 吸収性物品
JP5729948B2 (ja) * 2010-08-31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性物品
US9974699B2 (en) * 2011-06-10 2018-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KR102003079B1 (ko) * 2011-07-07 2019-07-23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5498562B2 (ja) * 2011-12-21 2014-05-21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6184721B2 (ja) * 2012-09-28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08522B2 (ja) * 2012-12-06 2017-04-0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772A (ja) 2001-06-08 2003-04-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4990003B2 (ja) 2007-03-30 2012-08-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9050538A (ja) 2007-08-28 2009-03-12 Kao Corp 吸収性物品用シート
JP5086035B2 (ja) 2007-11-12 2012-11-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9273722A (ja) 2008-05-15 2009-11-26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78133B (zh) 2022-05-06
TW201701846A (zh) 2017-01-16
EP3254653B1 (en) 2019-05-29
MY171900A (en) 2019-11-06
KR20170126005A (ko) 2017-11-15
US20180133072A1 (en) 2018-05-17
CN110478133A (zh) 2019-11-22
JP2016220986A (ja) 2016-12-28
JP6214598B2 (ja) 2017-10-18
WO2016194247A1 (ja) 2016-12-08
EP3254653A1 (en) 2017-12-13
BR112017022138A2 (pt) 2018-07-03
TWI699195B (zh) 2020-07-21
EP3254653A4 (en) 2018-03-07
CN107613925A (zh) 2018-01-19
BR112017022138B1 (pt)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995B1 (ko) 흡수성 물품
CN107635521B (zh) 吸收性物品
US6803334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ibrous layer on surface
US6646178B2 (en) Absorbent article with surface member of continuous filaments
KR101961606B1 (ko) 흡수성 물품
JP6166884B2 (ja) 吸収性物品
JP2004141619A (ja) 吸収性物品
JP3880502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WO2011040043A1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bsorbent article
JP6038228B1 (ja) 吸収性物品
RU2713963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потовпитывающий лист
JP5924897B2 (ja) 吸収性物品
JP6484417B2 (ja) 吸収性物品
TWI675138B (zh) 吸收性物品用不織布
JP2016221237A (ja) 吸収性物品
JP2004229766A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73565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2014064814A (ja) 吸収性物品
WO2024034357A1 (ja) 吸収性物品用の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JP2024046551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