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537B1 -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537B1
KR101838537B1 KR1020150120539A KR20150120539A KR101838537B1 KR 101838537 B1 KR101838537 B1 KR 101838537B1 KR 1020150120539 A KR1020150120539 A KR 1020150120539A KR 20150120539 A KR20150120539 A KR 20150120539A KR 101838537 B1 KR101838537 B1 KR 10183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us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368A (ko
Inventor
박현욱
나빈 마헤쉬와리
임목화
김강엽
김병유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28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transmission or protocol signal prior to or subsequent to the image data transmission, e.g. in 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DIS], in non standard setup [NSS] or in non standard field [NS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86Ending a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고,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 중 일부 패킷을 수신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고, 연결 요청은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제1 임계값은 모바일 단말과 통신 가능한 최소 수신 신호세기보다 큰 수신 신호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IMAGE FORMING APPARATUS FOR SUPPORT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LOUD PRINT SYSTEM FOR US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와 모바일 단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서 검색되는 화상형성장치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패킷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데 충분한 신호의 세기의 광고 패킷을 수신하면 자동으로(automatically)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기를 원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데 충분한 신호 세기를 갖는 광고 패킷을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기에 비교적 먼 거리에 떨어진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기에 충분한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거리 내로 근접하는 경우에만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화상형성장치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 중 일부 패킷을 수신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다.
상기 수신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연결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한 일부 패킷은 단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수신된 패킷이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수신한 일부 패킷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잠김(Lock)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해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잠김(Lock)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해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 단위 시간당 수신한 패킷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브로드 캐스트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이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킷을 수신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은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제2 패킷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Advertisement Packet)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 1 임계값 이하인 수신한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연결 해제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임계값은 기설정된 값이고,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은 기설정된 단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된 패킷이고,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이 수신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수신한 패킷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단위 시간, 상기 기설정된 개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 1 임계값 이하인 수신한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연결 해제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Notification)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detail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 중 일부 패킷을 수신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어 등록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다.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스캔 모듈, 팩스 모듈, 인쇄 모듈을 포함하는 작업 수행부; 및 상기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 중 일부 패킷을 수신한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킷은 상기 브로드 캐스트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디바이스와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광고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2 광고 패킷을 수신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임계값은 기설정된 값이고,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은 기설정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된 패킷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기설정된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수신한 복수의 패킷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 상기 기설정된 개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디바이스와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패킷으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Notification)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상기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통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detail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방법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컴퓨터로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무선 통신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거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서 멀어지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b-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하려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광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 패킷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도 7b에 도시된 각 영역을 위한 수신 신호 세기,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횟수 및 수신 신호 세기 및 감지 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는 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e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g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작업을 하는 동안 알림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범위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 모바일 단말에 근접한 화상형성장치를 추가하여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텐츠를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팝업 및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d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제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스캔 요청을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선택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NFC 및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로그인 타입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패스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패스코드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광고패킷을 일정 시간동안 브로드캐스트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로그아웃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서 멀어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무선 통신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한다고 가정한다.
한편, 101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존재를 알리는 패킷(어드벌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는 플래그는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가 제공할 기능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특징을 나타내는 플래그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지, 풀-프린팅(Pull-Printing) 준비가 되었는지, 스캔 준비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은 화상형성장치의 IP주소,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한 에러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토너 정보 및 문서를 스캔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은 BLE(Blutooth Low Energy) 표준에 따른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하기에는 먼 영역(3) 밖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하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단위 시간동안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에서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하기에 다소 먼 영역(3)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는 적을 것이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도 다소 작을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더 접근하여,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하기에 가까운 영역(2)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하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단위 시간동안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에서 단위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서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하기에 가까운 영역(2)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는 많을 것이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도 클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102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브로드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10)에서 전송된 연결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 무선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BLE(Blutooth Low Energy)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전송하면, 브로드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단위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된 연결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 BLE 연결할 수 있다
103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에 무선 통신 연결되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일종의 식별 정보로,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시리얼 번호, 전화번호와 같은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사용자 ID/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는 미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있고,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된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것이고,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것이다.
한편, 앞서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인증 방법의 도메인은 로컬(Local) 도메인이다. 화상형성장치에서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증 도메인이 네트워크(network) 도메인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2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아닌 서버와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로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1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0)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에서 인쇄, 스캔, 팩스 작업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가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에,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고, 스캔 작업이 수행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할 때,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인쇄, 스캔, 팩스 작업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가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를 스캔하고, 스캔 작업 결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저장된 컨텐츠를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0)은 저장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에게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알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의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과 관련하여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연결되면, 사용자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고 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에 연결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앞서 상술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거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20)는 두가지 특성을 갖는 BLE 프로파일(Bluetooth Profile)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모바일 단말이 요청을 쓰기(write) 위한 쓰기 특성(write characteristic)과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의 응답을 읽기 위한 읽기 특성(read characteristic)을 갖는 BLE 프로파일을 갖고 있다. 모바일 단말은 BLE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로 미리 정의된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로 인증 명령을 요청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BLE 프로파일의 쓰기 특성에 사용자 ID 및 암호화된 비밀번호와 같은 정보와 함께 인증 명령을 쓸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증 명령을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BLE 프로파일의 읽기 특성에 사용자 인증 결과를 업데이트하면, 모바일 단말은 BLE 프로파일의 읽기 특성에서 사용자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상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연결한다. 21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2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서비스에 대한 검색(Discover)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한다.
2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GATT 서비스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10)로 리턴한다.
2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리턴받은 GATT 서비스로부터 쓰기 특성(Write Characteristic) 및 읽기 특성(Read Characteristic)을 찾는다.
23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읽기 특성 상에 알림(Notification)을 설정한다. 이후에 읽기 특성 상에 데이터가 변경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에 통지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알림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2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쓰기 특성 상에 요청 데이터를 쓸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은 요청 데이터에 사용자 정보를 함께 사용자 인증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은 요청 데이터에 다양한 요청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25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쓰기 특성상에 쓰여진 경우, 성공적으로 데이터가 쓰여졌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26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에 의해 쓰기 특성 상에 쓰여진 데이터에 포함된 요청을 처리한다. 26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요청을 처리한 후에 읽기 특성 상에 요청에 대한 응답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27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읽기 특성 상에 변경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10)에 통지할 수 있다(Notify).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이 쓰기 속성 상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쓰면, 화상형성장치(20)는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처리하고, Wi-Fi 또는 Wi-Fi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읽기 프로파일 상에 업데이트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읽기 속성 상에 변경된 데이터(Wi-Fi 또는 Wi-Fi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모바일 단말(10)에 통지한다.
27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가 통지한 응답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28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GATT 서버(화상형성장치)(20)와의 연결 해제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한다.
28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연결 해제 요청에 따라 성공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 작업 수행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는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은 화상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에 무선 통신 연결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요청 명령에 대한 응답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 및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는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에 무선 통신 연결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요청 명령에 대한 응답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5)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와 다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연결한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5)는 스캔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는BLE모듈(3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5)는 Wi-Fi 모듈(316)을 포함할 수 있다. BLE모듈(312)은 저전력이지만,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Wi-Fi 모듈(316)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BLE모듈(312)보다 빠르기 때문에, 스캔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크기가 큰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작업 수행부(320)는 스캔 작업, 인쇄 작업 및 팩스 작업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수행부(320)는 스캔 모듈(321), 인쇄 모듈(322), 팩스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모듈(321)은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고, 스캔 작업 수행 결과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쇄 모듈(322)은 인쇄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모듈(322)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팩스 모듈(323)은 PSTN 망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그래픽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화면 디스플레이, 2 line LCD, 4 line LCD,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모바일 단말에서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전송된 연결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연결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인증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341)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UID(Unique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UID(Unique ID)에 기초하여 패스코드(passcode)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기초하여 패스코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증부(341)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패스코드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 수행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하면, 잠금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모바일 단말(10)에서 단위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전송된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고, 연결 해제 요청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해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 해제 요청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로그아웃 요청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한 경우, 브로드캐스트되기 위해 생성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로그아웃을 수행한 이후, 일정 시간동안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로그아웃이 수행된 경우, 제어부(3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에 따라 인증된 사용자가 로그인된 상태인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모바일 단말(10)로 브로드캐스트된 사용자 정보가 모바일 단말(10)에 대한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도록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Wi-Fi 연결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IP주소 정보일 수 있고,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 정보 및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스캔 모듈(321)에서 생성된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도록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에 관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화상형성장치(2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모듈 중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모듈에 따라 로그인 화면을 달리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결정된 통신 모듈이 BLE 모듈인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및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인증된 사용자에 관한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아웃 요청은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340)는 로그아웃 요청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이 수행된 이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제한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스캔 요청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수신한 스캔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하는 응답을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 저장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을 수신한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1) 및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1)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1)는 화상형성장치(20)에 무선 통신 연결할 수 있고, 요청 명령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면 요청 명령에 대한 응답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1)와 다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한다.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는 스캔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는 BLE모듈(4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는 Wi-Fi 모듈(416)을 포함할 수 있다. BLE모듈(412)은 저전력이지만, 데이터 전송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Wi-Fi 모듈(416)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BLE모듈(412)보다 빠르기 때문에, 스캔 데이터나 인쇄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의 크기가 큰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기설정된 시간, 기설정된 RSSI 값 및 기설정된 개수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30)는 사용자 ID/비밀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430)는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인쇄할 컨텐츠 및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모바일 단말(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단위 시간당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40)는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수신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기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세기가 기설정된 RSSI값 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기설정된 시간, 기설정된 RSSI값, 기설정된 개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되고, 기설정된 시간, 기설정된 RSSI 값, 기설정된 개수를 저장하도록 저장부(4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에서 단위 시간동안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연결 해제 요청의 전송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에서 수신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를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에서 수신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저장부(430)에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된다면,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화상형성장치의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저장부(43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Wi-Fi 또는 Wi-Fi 또는 Wi-Fi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따라 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경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이 수행되고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을 제한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5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브로드 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모바일 단말에서 단위 시간당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전송된 연결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청은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화상형성장치(20)와 모바일 단말(10) 간에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이때 캘리브레이션이란, 동일한 조건에서 모바일 단말마다 수신 신호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를 적어도 한번 측정하여 소정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임계값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이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20)와 모바일 단말(10) 간에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 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83069084-pat00001
이때, Thrssi는 RSSI에 관한 제1 임계값(예를 들어, 단위는 dBm)이고, N은 지역 형상(local geometry)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예를 들어, 지역 형상이 자유공간인 경우, N=2일 수 있음), d는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예를 들어, 단위는 m), A는 송신장치(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단위거리(예를 들어, 단위는 1m)만큼 떨어진 경우, RSSI값(이는 송신장치에서 전송된 패킷의 전력 또는 수신 장치의 수신 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형상이 자유공간이고, 송신장치로부터 0.5m떨어진 곳에서, 송신장치로부터 1m떨어진 경우에 -59[dBm]인 경우, Thrssi는 -53[dBm]일 수 있다.
Thrssi값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데 제한되지 않고,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 값에 일정값을 더하거나 뺌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hrssi는 송신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 지역 형상 및 송신장치에서 전송된 패킷의 송신 전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5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의 주변에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를 도시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20)의 주변에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없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없고, 따라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는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없도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부분이 포함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분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부분(예를 들어,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부분을 포함)을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나머지 부분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로그인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의 가운데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1)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동안,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다.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단위 시간당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 신호 세기가 -56(dB)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감지하고, 감지된 -56(dB)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횟수가 모바일 단말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이고, 그 상태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56(dB)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이 감지되고, 연속적으로 3번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인 2번 이상이고, 이러한 상태가 일정한 시간(1초)동안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한편, 이때, 연속적으로 3번 -56(dB)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이 감지되었으나, -56(dB)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이 이후에 감지된 경우 비록 미리 설정된 횟수인 2번 이상이지만 일정한 시간(1초)동안 그 상태가 유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고, 모바일 단말(10)이 이때,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b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해제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해제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해제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렇게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의 (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55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로그인 화면(550)으로부터 환영 화면(5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환영 화면(560)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이름과 함께 홈 화면이 준비중이라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후에 홈 화면 준비가 완료되면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c의 (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인쇄 작업이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요청되고 나서 보류(held) 상태인 경우 홈 화면 상에서, 보류(held) 상태의 인쇄 작업이 여러 개인 경우, 그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가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가 클라우드 서버에 있는지 확인(check)하는 요청을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의 개수가 몇개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홈 화면 상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의 개수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인쇄 작업이 화상형성장치(20)에서 현재 대기 중인 경우, 몇번째 대기중인 작업인지, 대략적인 대기 시간은 얼마인지를 홈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c의 (c)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의 동작모드는 절전모드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다. 사용자(1)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충분한 거리 내로 근접한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에 연결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작업 모드를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접근하여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에 연결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주소록, 설정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접근하여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에 BLE 연결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과의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주소록, 설정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같은 클로닝(Cloning)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서 멀어지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d의 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를 도시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20)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있고, 따라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제하고, 해제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d의 가운데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점점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난 경우, 무선 연결 통신이 해제되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리 떠났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5d의 하단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부터 멀리 떠났음을 인지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하고, 로그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다시 잠김 상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나서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졌음을 인지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모바일 단말(10)에서 수신하고, 단위시간당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서 결정된 연결 해제 요청을 모바일 단말(10)이 전송하면, 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d의 가운데 부분을 참조하면,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하고 있다. 사용자(1)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지면, 모바일 단말(10)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단위시간당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세기가 -65(dB)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감지하고, 감지된 -65(dB)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횟수가 모바일 단말(10)에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이고, 그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65(dB)이하인 패킷을 연속적으로 세 번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인 2번 이상이고, 이러한 상태가 일정한 시간(1초)동안 유지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해제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한편, 이때, 연속적으로 3번 -65(dB)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이 감지되었으나, -65(dB)보다 큰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이 이후에 감지된 경우 비록 미리 설정된 횟수인 2번 이상이지만 일정한 시간 1초동안 그 상태가 유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결 해제 요청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에서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해제 요청을 전송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e를 참조하면, 57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기초하여 영역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 없는 새로운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로부터 근접한 거리 내에 있음을 감지하고, 화상형성장치(20)를 영역 내 디바이스 리스트(In range device list)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e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57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인증 플래그(Auth Flag)를 확인(Check)한다. 인증 플래그가 On인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소정의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BLE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 요청을 메시지 큐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요청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인증 도메인(Domain)을 포함할 수 있다.
57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인증 요청 메시지가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한다. 도2의 쓰기 특성 상에 데이터 쓰기 요청을 전송하는 내용은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된다.
57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의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은 인증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인증부(341)로 전송하고, 인증부(341)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341)는 화상형성장치(2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방법은 로컬 도메인(Local Domain)상에서 이루어진 인증 방법인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0)의 인증부(341)는 서버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의 인증부(341)는 화상형성장치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명령을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인증부(341)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341)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로 전송한다.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11)는 인증부(34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형태로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에서 사용자 인증 결과를 모바일 단말(10)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한다. 도2의 읽기 특성 상에 데이터 업데이트하면 읽기 특성 상에 변경된 데이터를 통지하는 내용은 사용자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된다.
도 5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58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한다.
58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단위 시간당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58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582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58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연결한다.
58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58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585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58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586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스캔 작업, 전송 작업, 인쇄 작업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고, 화상형성장치(2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6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530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61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브로드 캐스트된 사용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에서 결정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610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화상형성 데이터를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b-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하려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와 함께 스캔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버튼(60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c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스캔 명령을 입력하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명령에 따라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에 연결되지 않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요청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지 않고, 비활성화된 Scan to Mobile 버튼(64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과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요청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651)를 포함하고, 활성화된 Scan to Mobile 버튼(652)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5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010-5678-5678'이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한 경우, '010-5678-5678'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여러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각각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들과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요청을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여러 모바일 단말(10)들이 화상형성장치(20)에 인접하여 등록되었는 바, 버튼(661,662,671,672)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60,6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5678-5678'이고, 사용자 B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1234-1234'이고, 사용자 A,B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 경우 먼저 전화번호 등록 요청한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인 '010-1234-1234'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60)가 화상형성장치(2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60)에서 버튼(661,662)를 선택하면, 다른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인 '010-5678-5678'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70)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가 Scan to Mobile 버튼(652, 663, 673)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여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형성장치(20)에서 스캔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화상형성장치(20)는 Stop scanning 버튼 (68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80)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Stop scanning 버튼(681)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의 수행을 중단한다.
한편 스캔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화상형성장치(20)는 스캔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9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현재 스캔이 완료된 페이지(69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문서에 대한 스캔작업이 완료되면, 생성된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현재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를 갖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도 6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650,680,690)이 화상형성장치(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과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반응이 없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64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63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때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Scan to Mobile 기능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을 실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로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에 근접하는지를 결정하고,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에 근접한다고 결정하면, 모바일 단말(1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63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가 Scan to Mobile기능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출한다. 만약,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가Scan to Mobile기능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On이라면,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의 등록을 요청한다. 모바일 단말(10)이 전화번호를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등록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전화번호 등록요청 메시지가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한다. 도2의 쓰기 특성 상에 데이터 쓰기 요청을 전송하는 내용은 전화번호 등록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한다.
63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화번호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634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문서에 대한 스캔작업이 수행되고, 이로 인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특히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On으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플래그(정보) 및 사용자 입력 수신 당시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를 더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중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636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플래그(정보) 및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한편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획득된 전화번호를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획득된 전화번호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매칭된다고 판단되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확인 명령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에서 확인 명령을 요청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한다. 도2의 쓰기 특성 상에 데이터 쓰기 요청을 전송하는 내용은 확인 명령의 요청을 전송하는 내용에 대응한다.
637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확인 명령 요청을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으로부터 수신하면,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확인 명령을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한다. 이때, 확인 명령은 화상형성장치(20)가 스캔을 곧 시작할 것임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638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확인 명령을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하면,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요청한다.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이 별도의 무선 통신(Wi-Fi,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하는 이유는 통신을 이용하여 용량이 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한편, 639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640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을 실행하고,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연결 정보를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으로 전송한다.
641단계에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은 수신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642단계에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은 스캔을 시작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또는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2)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문서에 대한 스캔작업이 수행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b,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사용자로부터, 문서에 대한 스캔작업이 수행되고, 이로 인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모바일 단말(10)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6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한다.
6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단위 시간당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전화번호 등록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6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이 615단계에서,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이 등록 요청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때, 도 5f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6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문서에 대한 스캔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625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 등록 요청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매칭되는지를 확인한다.
6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매칭된다고 확인되면,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64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6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65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625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7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Advertisement Packet)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단위 시간당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수신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상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이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720 단계에서, 710 단계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 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분석한다. 모바일 단말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분석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인지를 결정한다. 만약에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인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RSSI 값을 획득하고, RSSI 값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대략적으로 수신된 패킷의 세기(RSSI 값)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가 클수록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이지만, 각 모바일 단말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거리를 결정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동일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0.5m 떨어진 거리에서 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신호를 감지한 정도가 각각 -56dB, -58dB, -69dB로 상이할 수 있다.
만약에 동일한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의 근접 여부 결정 기준을 적용하면, 어떤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가깝다고 판단하는 반면, 어떤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멀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같은 모바일 단말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소지하는 방법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이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있더라도 수신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0.5m 떨어진 거리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손에 들고 있는 경우, -58dB, 모바일 단말을 사용자가 앞주머니에 넣고 있는 경우, -62dB, 모바일 단말을 사용자가 뒷주머니에 넣고 있는 경우 -76.5dB로 상이할 수 있다. 만약에 동일한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의 근접 여부 결정 기준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손에 들고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이 가까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뒷주머니에 넣고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이 멀리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한지 여부를 단순히 신호세기의 크기(RSSI 값) 및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떨어진 대략적인 거리에 따라, 워킹 영역(Working Area)(70), 쉐도우 영역(Shadow Area)(71) 및 리빙 영역(Leaving Area)(72)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킹 영역(Working Area)(70)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대략적인 거리가 0.5m보다 작은 영역으로, 이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20)와 사전에 정의된 기능을 동작 시킬 수 있다.
한편, 리빙 영역(Leaving Area)(72)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대략적인 거리가 2m보다 크며 이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멀어져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0)와 사전에 정의된 기능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쉐도우 영역(Shadow Area)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의 대략적인 거리가 워킹 영역과 리빙 영역 사이에 있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 모바일 단말(10)이 위치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떨어진 모바일 단말(10)의 대략적인 거리를 판단함으로써 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 워킹 영역(70)에서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크며, 리빙 영역(72)에서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작고, 쉐도우 영역(71)에서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는 워킹 영역(70)과 리빙 영역(72)에서의 수신 신호 세기 값의 사이 값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에 워킹 영역(70)에 진입했다고 판단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가 사전에 정의한 값보다 크고, 이 값을 연속으로 감지하는 횟수가 사전에 정의한 개수 이상이며, 그러한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70) 내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70) 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RSSI값, 제1감지 횟수(Detecting Count) 및 제1 체류 시간(Staying Time)과 같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RSSI값은 워킹 영역(70)을 위해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RSSI) 값으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되는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RSSI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워킹 영역(70)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횟수는 워킹 영역(70)을 위해 미리 설정된 횟수를 의미하며,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RSSI 값 이상인 패킷들이 연속으로 감지된 횟수가 제1 감지 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워킹 영역(70)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류 시간은 워킹 영역을 위해 제1 RSSI값과 제1 감지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RSSI 값 이상인 패킷들이 계속적으로 감지된 횟수가 제1 감지 횟수 이상인 상태를 체류 시간 1초동안 지속적으로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워킹 영역(70)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SSI값이 -56dB, 제1 감지 횟수가 2번, 제1 체류 시간이 1초인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56dB이상인 패킷들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개수가 2개 이상이고, 이러한 상태가 1초동안 지속되면 워킹 영역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수신된 패킷이 순차적으로 1초동안 -56dB, -55dB, -57 dB 의 패킷이 수신되었다면, 처음 두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는 -56dB이상으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만, 이후 -57dB 의 신호세기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였고, 이 경우에는 수신 신호 세기가 -56dB 이하인 패킷이 수신된 것이고 따라서 연속적으로 감지된 개수가 2개 이상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만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1초동안 제1 수신 신호 세기 및 제1 감지 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워킹 영역(70)이라고 판단하지 않는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 리빙 영역(72)에 진입했다고 판단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RSSI값)가 사전에 정의한 값보다 작고, 이 값을 연속으로 감지하는 횟수가 사전에 정의한 개수 이상이며, 현 상태가 일정시간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이 리빙 영역(72)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리빙 영역(72) 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제2 RSSI값, 제2감지 횟수(Detecting Count) 및 제2 체류 시간(Staying Time)과 같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RSSI값은 리빙 영역을 위해 미리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RSSI) 값으로, 수신되는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2 RSSI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리빙 영역(72)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감지 횟수는 리빙 영역을 위해 미리 설정된 횟수를 의미하며,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2 RSSI 값 이하인 패킷들이 연속으로 감지된 횟수가 제2 감지 횟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리빙 영역(72)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류 시간은 리빙 영역을 위해 제2 RSSI값과 제2 감지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은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제2 RSSI 값 이하인 패킷들이 계속적으로 감지된 횟수가 제2 감지 횟수 이상인 상태를 제2 체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워킹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RSSI값이 -65dB, 제2 감지 횟수가 2번, 제1 체류 시간이 2초인 경우, 모바일 단말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65dB이하인 패킷들이 연속적으로 감지된 개수가 2개 이상이고, 이러한 상태가 1초동안 지속되면 워킹 영역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수신된 패킷이 순차적으로 2초동안 -65dB, -66dB, -64 dB 의 패킷이 수신되었다면, 처음 두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는 -65dB이하로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만, 이후 -64dB 의 신호세기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였고, 이 경우에는 수신 신호 세기가 -64dB 이상인 패킷이 수신된 것이고 따라서 연속적으로 감지된 개수가 2개 이상인 조건을 지속적으로 만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2초동안 제2 수신 신호 세기 및 제2 감지 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리빙 영역(72)이라고 판단하지 않는다.
한편, 제1 수신 신호 세기, 제1 감지 횟수, 제1 체류 시간, 제2 수신 신호 세기, 제2 감지 횟수, 제2 체류 시간은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도 7b에 도시된 각 영역을 위한 수신 신호 세기,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횟수 및 수신 신호 세기 및 감지 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는 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항목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공된 다양한 항목을 미리 설정하여 모바일 단말(1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c 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항목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먼저 사용자는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옵션 항목(720)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제공받는 서비스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화상형성장치(20)에 명령을 요청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 항목(721)에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의 식별 정보를 USIM 칩 등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부터 추출하여 자동으로 디바이스 식별 정보 항목(721)에 입력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인증 정보 항목(722)에 화상형성장치(20)에서 사용자 인증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사용자 ID/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인증 도메인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스캔 설정 항목(723)은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각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미리 설정하는 항목이다. 사용자는 스캔 설정 항목(723)에서 미리 각 영역을 위한 수신 신호 세기(724), 연속적으로 감지하는 횟수(725) 및 신호세기 및 감지 횟수를 지속적으로 만족하는 시간(726)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에러 상태 알림 항목(727)에서 사용자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만 에러 알림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것인지(show) 아니면 사용자가 설정된 영역 안을 통과하는 경우에 항상 알림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백그라운드 스캔 항목(728)에서 사용자는 백그라운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스캔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다이렉트 프린트 항목(729)에서 클라우드 프린팅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 저장된 컨텐츠를 인쇄할 것인지 아니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화상형성장치에서 저장된 컨텐츠를 인쇄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7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알림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확인(check)할 수 있다.
73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은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수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74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고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은 7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e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e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로 근접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에러 또는 경고가 발생하면, 에러 또는 경고와 같은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 상태 정보가 포함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 캐스트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할 때,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워킹 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분석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획득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알림 바(Notification bar)(7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현재 토너 상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토너 상태(751), 화상형성장치의 상태(752)를 알림 바(75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 없이 화상형성장치(20)들로부터 각 화상형성장치(20)들의 상태 정보를 알림 바(750)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알림 바(750)에서 화상형성장치 상태에 대한 알림 확인 버튼(753)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좀 더 자세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좀 더 자세한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바에서 화상형성장치 상태에 대한 알림 확인 버튼(753)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소정의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다이렉트에 대한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에 대한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에 대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수행하는 중이라는 메시지(75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후에, 모바일 스마트 패널 화면(75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detail information)을 수신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입력 트레이 정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관련된 트러블 슈팅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알림 바(Notification bar)(7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이 소모품 정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이때,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는 토너와 같은 소모품에 대한 구매처의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토너와 같은 소모품에 대한 구매처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소모품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소모품에 대한 구매처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소모품 정보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항상 소모품에 대한 구매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소모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 구매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f를 참조하면, 76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를 발견(discover)한다.
76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워킹 영역이라 함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을 조작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대략적인 거리 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대략적인 값을 갖을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는 모바일 단말의 종류 및 휴대 위치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수신 신호 세기가 작아지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대략적인 수신 신호 세기 값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거리가 대략 5m 인 경우, 수신 신호 세기가 대략 -56dB 정도 된다고 실험적으로 결정된 경우, 모바일 단말은 소정의 임계값을 -56dB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임계값은 통신이 가능한 최소 수신 신호 세기보다 큰 값일 수 있다.
통신 가능한 최소 수신 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대략적인 거리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거리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이 통신 가능한 최소 수신 신호 세기보다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될 수 있으나,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소정의 임계값을 통신 가능한 최소 수신 신호 세기보다 큰 값으로 결정함으로써 소정의 임계값에 대응되는 대략적인 거리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충분히 가까운 거리가 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를 조작할 수 있는 거리 내에 위치할 때,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와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소정의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이 워킹 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이 수신한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추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이 워킹 영역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내용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76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만약에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20)가 워킹 영역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10)은 광고 패킷을 확인하고,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가 에러 상태에 있는지 또는 이전에 획득된 정보와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check)한다.
763 단계에서, 만약에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화상형성장치가 에러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거나, 이전에 획득된 정보와 차이가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show).
도 7f를 참조하면 77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디스플레이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77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과 화상형성장치(20)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과 화상형성장치(20)가 같은 AP에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어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20)의 IP 주소와 같은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Wi-Fi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하면,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과 화상형성장치(20)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77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가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통신)을 이용하여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77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상세한 화상형성장치의 에러 설명 및 트러블슈팅 비디오(troubleshooting video)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 내에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한 연결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g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g를 참조하면, 78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 및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78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단위 시간당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개수 및/또는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78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781단계에서 결정된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78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78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78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78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이 전송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을 통하여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786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787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에Wi-Fi 또는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788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789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0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715 단계에서 전송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되면, 상기 연결을 통해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 등록 요청에 따라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20)는 전화번호 등록 요청에 따라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할 수 있다.
8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전화번호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8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810 단계에서 결정된 전화번호의 매칭 여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문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 작업을 하는 동안 알림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한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때,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등록 요청을 10초마다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를 떠났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20)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Scan to Mobile 버튼을 화상형성장치(20)에서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업데이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업데이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업데이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서 획득된 전화번호와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매칭된다고 확인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확인 명령(confirmation command)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면,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스캔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확인 명령을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10)로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 요을를 수신하면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정보를 수신하면,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Wi-Fi 연결 정보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 연결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스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알림(Notification)(831)을 이용하여 모바일 상에 스캔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캔 진행 상황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을 이용하여 스캔 진행 상황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현재 1페이지를 스캔하고 있다는 스캔 진행 상황(832)를 나타내는 알림(83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에서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10)은 스캔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83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알림(833)은 View 버튼(834) 및 Send 버튼(835)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View 버튼(834)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뷰(View)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Send 버튼(835)을 선택하면,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Send 버튼(835)을 선택하면,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된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문서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된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까지의 과정은 도 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된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8c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캔 설정(크기, 컬러/흑백 스캔, 스캔 위치, 스캔파일 포맷)을 변경하거나, 프리뷰하거나 평판(FlatBed)으로부터 여러 페이지를 스캔할 수 있다.
도 8c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스캔 옵션(840)을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10)은 설정된 스캔 옵션(840)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전송된 스캔 옵션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에서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c의 우측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평판으로부터 한 페이지를 스캔 한 후에 더 스캔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845)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사용자는 더 스캔할 것을 선택하여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여러 페이지를 스캔할 수 있다.
도 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주기적으로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20)가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내 디바이스 확인부(Device in range Checker)(846)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의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범위 내 디바이스 확인부(846)는 화상형성장치(20)가 모바일 단말(10)의 근처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20)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하기 위해 범위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 추가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이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어진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10)은 범위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서 상기 화상형성장치(20)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특징 플래그(feature flag)를 추출하고, 추출된 플래그로부터 적절한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인증 플래그가 On인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인증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플래그 중 스캔 투 모바일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On인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전화번호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전화번호 등록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넣을 수 있다.
추출된 플래그 중 화상형성장치(20)에서 스캔 버튼이 입력되었다는 플래그가 On 인 경우,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해 연결 정보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큐에 추가할 수 있다. 메시지 큐는 들어온 순서대로 메시지를 통신 관리자(847)로 전송한다. 통신 관리자(847)는 화상형성장치(20)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요청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메시지 파서(848)에서 응답을 파싱하고, 파싱된 응답에 기초하여 만약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면, 사용자 알림부(849)에서 사용자에게 알림을 디스플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파서(848)는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연결 정보를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인쇄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Wi-Fi 또는 Wi-Fi 다이렉트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범위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 모바일 단말에 근접한 화상형성장치를 추가하여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8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스캔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존재를 확인한다.
85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판단한 결과, 범위 내에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86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범위 내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되면, 범위 내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된 횟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865 단계에서, 860단계에서, 범위 내 디바이스가 있다고 판단한 횟수가 정해진 횟수보다 크다면, 모바일 단말(10)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헤더(Header)를 확인(check)한다. 헤더(Header)를 확인하여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87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 디바이스가 화상형성장치라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87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를 범위 내 디바이스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를 참조하면,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접근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는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영역(3) 밖에 있는 경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이 경우에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별도로 클라우드 서버(30)로 요청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영역(2) 안에 있는 경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서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1)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함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1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MAC주소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화상형성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가 '010-6462-5961' 이고,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화상형성장치가 맵핑되어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되어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고, 각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되어 있다. 클라우드 서버(30)는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와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MAC 주소를 비교하여 매칭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매칭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3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등록된 화상형성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다만, 도 9a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에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은 후에 입력받은 소정의 명령을 저장하고 있다가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소정의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소정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요청을 요청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소정의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정의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30)는 수신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중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화상형성장치(20)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수신한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MAC주소일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다고 가정한다.
9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에서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특징 플래그를 획득한다.
903 단계에서, 획득된 정보가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경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특징 플래그를 획득하고, 획득된 플래그 중 화상형성장치(20)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check)하고, 확인된 플래그가 On인 경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904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으로 화상형성장치의 MAC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을 실행하고, 실행된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으로 화상형성장치의 MAC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90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MAC 주소를 수신한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현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906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현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컨텐츠의 상태가 펜딩(pending)된 상태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현재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907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만약에 클라우드 서버(30)에 펜딩된 컨텐츠가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될 수 있는 # 개의 펜딩된 작업이 있다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908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알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909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펜딩된 작업을 인쇄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한다.
9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30)는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수신하면,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화상형성장치(20)로 펜딩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펜딩된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911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30)는 화상형성장치(20)로 컨텐츠를 전송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으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에게 펜딩된 컨텐츠가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알림을 볼 수 있게 한다.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9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주기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92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는지를 결정하고,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922 단계에서, 획득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획득한다.
92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92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925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3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이퍼빌리티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흑백/칼라 지원 여부 등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92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 의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캐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를 캐이퍼 빌리티 정보와 관련한 화상형성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927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은 사용자가 선택한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과 함께 변경된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928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30)는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텐츠를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을 실행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로 근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에 모바일 단말(1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되어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930)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통신)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한다.
한편 연결되면, 모바일 단말(10)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30)는 수신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check)하고, 매칭되는 경우,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캐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에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로 선택되었다는 메시지(93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930)에 대한 인쇄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이 클라우드 서버(30)로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9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면, 클라우드 서버(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check)하고, 매칭되는 경우,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로 선택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30)는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지 않고,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은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20)를 이전에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캐이퍼빌리티 정보와 관련된 화상형성장치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전송하면, 변경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화상형성장치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c를 참조하여 전술한바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이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이 클라우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3)이 아닌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12)을 실행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check)하여 매칭된다면, 모바일 단말(10)은 등록된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한다. 모바일 단말(10)은 등록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 연결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e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934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한다고 판단되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한편, 93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에 요청할 수 있다.
93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연결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937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12)을 실행하고, 수신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연결정보를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11)은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12)을 실행하고, 수신된 다른 통신 표준에 따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연결할 수 있다.
938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인쇄하기를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10)의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12)은 선택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12)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인증 가능한 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의 인증방법 설정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로그인 화면을 달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10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주기적으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BLE 모듈이 활성화되면,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복수의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들 중 일부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01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결정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는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102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한 메시지에 따라,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103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establish)한다.
10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04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는 경우 사용자의 확인없이 자동적으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에 근접하였더라도 사용자에게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만 모바일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팝업 및 알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한다는 결정에 따라 팝업(10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를 사용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 팝업(1050)에서 예(1052)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1052)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만약 사용자에게 화상형성장치(20)를 사용할 의도가 없는 경우, 팝업(1050)에서 아니오(1054)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아니오(1054)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지 않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팝업(1050) 대신 알림(notification)(105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를 사용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알림(1055)에서 예(1057)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1057)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립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게 화상형성장치(20)를 사용할 의도가 없는 경우, 알림(1055)에서 아니오(1059)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아니오(1059)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지 않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c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106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소정의 통신 기능(예를 들어, BLE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의 UI를 통해 또는 화상형성장치(20)에 내장된 웹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자 설정 메뉴를 통해 소정의 통신 기능(예를 들어, BLE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통신 기능(예를 들어, BLE 기능)이란 소정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BLE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수행하고,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드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UI를 통해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1063단계에서,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BLE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란 소정의 통신(예를 들어, BLE 통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모바일 단말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백그라운드로 실행된다는 의미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메시지 없이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1066 단계에서,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ID/PW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D/PW를 입력받을 수 있다.
1069 단계에서,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20)에 접근할 수 있다.
107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소정의 통신 기능(예를 들어, BLE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107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수립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해 팝업 혹은 알림을 디스플레이한다.
1076 단계에서, 사용자(1)는 모바일 단말(10)에 디스플레이된 팝업 또는 알림에 따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1)로부터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수립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079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1)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선택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20)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08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된 ID/PW를 전송할 수 있다.
108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 ID/PW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ID/PW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086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d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제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109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1091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092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093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이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1094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09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의 제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 시간당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제거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1096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상기 결정된 메시지의 제거 여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에서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동안, 모바일 단말(10)을 휴대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제거함으로써 계속적으로 불필요하게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도 10d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10)이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의 제거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일정 시간이 도과하면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제거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111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복수의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11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1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11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1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1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1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스캔 요청을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12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2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화상형성장치(20)로 스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스캔 요청을 수신하고,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122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복수의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23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 전송에 대해 사용자 확인을 받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24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이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125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25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26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이 능동적으로 스캔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의 종류에 따라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UUID 정보와 같은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기초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팝업 디스플레이 및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 전송 및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한 사용자 정보 전송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보내려고 하더라도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크기(Size)는 일정한 크기로 제한되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켜 브로드캐스트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는 먼저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모바일 단말(10)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수신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스캔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식별 정보뿐 아니라 큰 크기를 갖고 있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하기 힘든 정보를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에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선택 및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인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인증방법 선택화면(13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증방법 선택화면(1300)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인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방법 선택화면(1300)에서 사용자는 NFC를 통한 사용자 인증(1305) 또는 BLE를 통한 사용자 인증(131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증방법 선택화면(1300)에서 BLE를 통한 사용자 인증(1310)을 선택하고 Next(1315)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10)은 로그인 화면(13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그인 화면(1320)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ID/PW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도메인(1325)을 선택할 수 있다. 인증 도메인은 로컬 도메인 또는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도메인(1325)을 로컬 도메인으로 선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도메인(1325)을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선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외부에 있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서버로 ID/PW를 전송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마다 번거롭게 ID/PW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그인 화면(1320)에서 체크박스(133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체크박스(1330)를 선택한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ID/PW를 저장하고 있다가,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ID/PW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NFC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및 BLE통신을 통한 사용자 인증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복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로그인 화면(1400)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20)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BLE 모듈 또는 그 밖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음을 가정한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UI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을 미리 설정하거나, 외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내장된 웹서버에 접근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1400)에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10)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1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음에 따라,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10)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1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는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10)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15)를 확인한 후에 휴대한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20)에 부착된 NFC 태그나 화상형성장치(20)의 NFC 모듈에 태깅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20)에 부착된 NFC 태그나 화상형성장치(20)의 NFC 모듈에 태깅하면, 모바일 단말(10)은 NFC 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20)는 NFC 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1420)에 블루투스 이용 안내 이미지(1430) 및 블루투스 이용 안내 메시지(14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BLE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음에 따라, 블루투스 이용 안내 이미지(1430) 및 블루투스 이용 안내 메시지(14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는 블루투스 이용 안내 이미지(1430) 및 블루투스 이용 안내 메시지(1435)를 확인한 후에 휴대한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 근처에 접근시킨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기초하여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과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ID/PW를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BLE 연결을 통해 ID/PW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ID/PW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는 BLE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1440)에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50) 및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5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BLE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 및 NFC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음에 따라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50) 및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5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는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50) 및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55)를 확인한 후에 휴대한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 근처에 접근시킨다.
화상형성장치(20)의 사용자는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이미지(1450) 및 블루투스 이용 및 NFC 태깅 안내 메시지(1455)를 확인한 후에 휴대한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20)에 부착된 NFC 태그나 화상형성장치의 NFC 모듈에 태깅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화상형성장치(20)에 부착된 NFC 태그나 화상형성장치의 NFC 모듈에 태깅하면, 모바일 단말(10)은 NFC 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20)는 NFC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기초하여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과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ID/PW를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BLE 연결을 통해 ID/PW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ID/PW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20)는 BLE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20)는 설정된 통신 모듈 활성화 옵션에 따라 안내 이미지 및 안내 메시지를 달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안내 메시지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NFC를 통해 NFC 카드 또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는 NFC와 동시에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NFC/BLE 통신을 지원하는 NFC 또는 BLE 통신 모듈은 화상형성장치의 액세서리 형태로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NFC 또는 BLE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으나, USB 동글 등의 NFC/BLE 모듈 액세서리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NFC 모듈 또는 BLE 통신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NFC 모듈 액세서리 또는 BLE 모듈 액세서리 또는 NFC/BLE 모듈 액세서리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데, 이때 장착된 액세서리에 따라 로그인 화면을 달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통신 모듈들 중 일부 통신 모듈만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모듈에 따라 로그인 화면을 달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로그인 화면에 따라 손쉽게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로그인 타입에 따라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15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로그인 화면이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에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20)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151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BLE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또는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5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또는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된다고 결정된 경우,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20)는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고,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모바일 단말(10)과 BLE 연결을 수립하고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NFC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고 BL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NFC 태깅을 수행하고,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52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복수의 로그인 타입 중 하나의 로그인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로그인 타입은 ID/PW 로그인 타입, ID Only 로그인 타입 및 PIN 코드 로그인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로그인 타입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로그인 타입 중 하나의 로그인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타입을 미리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로그인 타입에 따라 복수의 로그인 타입 중 하나의 로그인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153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결정된 로그인 타입이 ID/PW 로그인 타입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ID/PW가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ID/PW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일치하는 경우, 154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ID 또는 PW가 일치하지 않아 로그인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소정의 횟수이상 로그인이 실패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15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결정된 로그인 타입이 ID Only 로그인 타입인 경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ID가 저장된 ID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일치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1545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ID가 일치하지 않아 로그인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소정의 횟수이상 로그인이 실패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 모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만약 화상형성장치(20)는 결정된 로그인 타입이 PIN 코드 로그인 타입인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PIN 코드와 저장된 PIN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저장된 PIN코드는 화상형성장치(20)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PIN 코드를 의미한다. PIN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154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는 PIN 코드가 일치하지 않아 로그인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20)는 소정의 횟수이상 로그인이 실패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 모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시도를 제한할 수 있다.
154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홈 화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이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패스코드(Passcode)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 이외에 추가적으로 패스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16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162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62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UID(Unique ID)를 전송할 수 있다. UID(Unique ID)는 미리 화상형성장치(20)에 등록될 수 있다.
16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UID에 대응되어 저장된 패스코드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화상형성장치(20)는 저장된 패스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UID에 대응되도록 패스코드를 등록한 후, 다시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16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UID 에 대응되어 저장된 패스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패스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코드를 입력받기 위해 패스코드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는 패스코드 입력 화면(16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스코드 입력 화면(1650)에 따라 패스코드를 화상형성장치(20)에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6a를 참조하면, 16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패스코드가 유효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UID에 대응되어 저장된 패스코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패스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패스코드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로그인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6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패스코드가 유효한 경우,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뿐 아니라 패스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만약에 원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만으로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지 않고, 미리 화상형성장치에 등록한 패스코드를 입력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정당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증이 성공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170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17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복수의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7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로그아웃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72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결정된 로그아웃 요청의 전송여부에 기초하여 로그아웃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에 대해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172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가 로그아웃되면, 일정 시간동안 저장된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173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73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174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일정시간이 도과하면,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174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2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17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에서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가 삭제되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은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75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결정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176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립할 수 있다.
176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77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저장하고,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제한함으로써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7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에서 수신된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로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은 로그아웃 요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로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광고패킷을 일정 시간동안 브로드캐스트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18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음을 가정한다.
18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아웃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81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18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인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일정 시간동안 생성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주기적으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이때, 일정 시간동안 생성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로그인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8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 및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83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가 로그인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183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일정 시간이 도과한 경우, 로그인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18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 및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84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 및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가 일정한 개수 이상이고,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가 로그인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경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18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 및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185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기초로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86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186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에서 로그아웃이 수행되면, 일정 시간동안 로그인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고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여 모바일 단말이 연결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함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여 일정 시간동안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에 로그아웃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고,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한 단말 중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에서만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 로그아웃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19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음을 가정한다.
19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아웃을 수행함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91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192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아웃을 수행한 후에 일정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192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9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한다.
193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19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기초로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194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95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이전에 일정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하였고, 따라서 화상형성장치(2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195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일정시간 도과 후에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허용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1960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196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97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하면, 화상형성장치(20)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197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연결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립할 수 있다.
198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985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전에 화상형성장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허용한다고 결정하였는 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고 결정하고,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에서 로그아웃이 수행되면, 화상형성장치(20)는 일정 시간동안 로그인이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휴대한 채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여 일정 시간동안 모든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로그아웃한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제한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20)가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연결 요청(예를 들어, BLE 연결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연결(예를 들어, BLE 연결)을 수립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에서 멀어짐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2005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로 전송하고, 전송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음을 가정한다.
201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20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 및/또는 수신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로그아웃 요청의 전송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은 수신된 일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 중 수신 신호 세기가 제1 임계값 이하인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단위시간당 개수가 소정의 개수이상인 경우,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2020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0)은 화상형성장치(20)로 상기 로그아웃 요청의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202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20)는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은 패킷(어드벌 타이징 패킷)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20)로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8)

  1. 모바일 단말과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단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된 패킷의 개수 및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 세기와 상기 조정된 감도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 세기가 상기 조정된 감도와 관련된 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시간 및 상기 소정의 개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와 상기 조정된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모바일 단말과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것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될 신호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단위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된 패킷의 개수 및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 세기와 상기 조정된 감도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 세기가 상기 조정된 감도와 관련된 값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시간 및 상기 소정의 개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패킷의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와 상기 조정된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범위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50120539A 2014-09-03 2015-08-2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KR101838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5431P 2014-09-03 2014-09-03
US62/045,431 2014-09-03
KR20140175380 2014-12-08
KR1020140175380 2014-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368A KR20160028368A (ko) 2016-03-11
KR101838537B1 true KR101838537B1 (ko) 2018-03-14

Family

ID=5544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539A KR101838537B1 (ko) 2014-09-03 2015-08-26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1387B2 (ko)
EP (1) EP3156892B1 (ko)
KR (1) KR101838537B1 (ko)
CN (1) CN107111464B (ko)
WO (1) WO2016036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5873B2 (ja) * 2014-09-24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バイル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52385B2 (en) * 2014-10-06 2020-05-12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available devices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JP6488865B2 (ja) * 2014-12-04 2019-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WO2016088310A1 (ja) 2014-12-04 2016-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570260B2 (ja) 2015-02-13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6463163B2 (ja) * 2015-02-1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24717B2 (ja) * 2015-03-04 2019-06-0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通信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通信モード制御プログラム
JP2016178385A (ja) * 2015-03-18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30634B2 (ja) * 2015-04-22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4044040B1 (en) * 2015-08-20 2023-10-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pairing
JP6532352B2 (ja) * 2015-08-26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390113B2 (en) * 2015-09-07 2019-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JP6784136B2 (ja) * 2015-11-26 2020-11-11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714813B2 (ja) * 2015-11-27 2020-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19832B2 (en) * 2015-12-29 2017-11-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method
JP6682862B2 (ja) * 2016-01-13 2020-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US20170262739A1 (en) * 2016-03-09 2017-09-14 Seiko Epson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Equipment with Retailer and Geolocation Information
JP6908970B2 (ja) * 2016-03-24 2021-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07651B2 (ja) * 2016-03-30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272381B2 (ja) 2016-03-31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372388B2 (en) * 2016-03-31 2019-08-06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721005B2 (en) * 2016-04-22 2020-07-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gnal strength based printings
JP6772566B2 (ja) * 2016-06-06 2020-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01587A (ja) * 2016-06-30 2018-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19328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状態の制御方法
KR102130508B1 (ko) * 2016-08-04 2020-07-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JP2018056837A (ja) * 2016-09-29 2018-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284733B2 (en) * 2016-11-29 2019-05-07 Y Soft Scanning Solutions s.r.o. System for distributing image scanning tasks to networked devices
JP6300888B1 (ja) * 2016-11-29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253751B1 (ja) * 2016-11-29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KR20180093423A (ko) * 2017-02-13 2018-08-2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측정 장치
US11252553B2 (en) * 2017-04-2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nnec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JP6991740B2 (ja) * 2017-05-19 2022-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22519B2 (ja) * 2017-05-22 2022-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9068219A (ja) * 2017-09-29 2019-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12495B2 (en) * 2017-10-06 2020-10-20 Uvic Industry Partnerships Inc. Secure personalized trust-based messages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7943428A (zh) * 2017-11-10 2018-04-20 苏州大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打印系统
JP2019102005A (ja) * 2017-12-08 201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2019111711A (ja) * 2017-12-22 2019-07-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6993890B2 (ja) * 2018-01-26 2022-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46860B2 (ja) * 2018-03-30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33912B2 (en) 2018-06-11 2022-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s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electronic device
US10728403B1 (en) * 2019-02-06 2020-07-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11416191B2 (en) * 2019-02-13 2022-08-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unction executing device for executing communication of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with terminal device
US11356576B2 (en) * 2019-06-25 2022-06-07 Ricoh Company, Ltd. Computer-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control of image processing device
WO2021066842A1 (en) 2019-10-04 2021-04-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ize user interface
CN111901755A (zh) * 2020-07-09 2020-11-06 广州启盟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实现物业定位的手机感应装置、感应方法及其系统
KR20220042034A (ko) * 2020-09-25 2022-04-0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외부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한 과금 및 보안
CN112600610B (zh) * 2020-12-09 2023-03-24 内蒙古电力(集团)有限责任公司内蒙古电力科学研究院分公司 北斗通讯模块的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125376A1 (en) * 2021-10-27 2023-04-27 Norma Inc. Selection Method of dangerous Bluetooth Device based on connection with Bluetooth Device
CN116208592A (zh) * 2021-11-30 2023-06-02 上海神奕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程控仪、患者治疗设备及通信方法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829A (ko) * 2003-01-03 200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이동통신단말의 수신 감도 표시방법
JP3891167B2 (ja) * 2003-10-24 2007-03-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装置管理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管理プログラム
KR20050050497A (ko)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접근에 따른 인쇄정보 제공방법
JP4724405B2 (ja) * 2004-10-28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4245B2 (ja) * 2005-10-04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サーバ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11794B1 (ko) 2006-10-12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프린터를 제어하는방법
GB2443234B8 (en) 2006-10-24 2009-01-28 Innovision Res & Tech Plc Near field RF communicators and near field RF communications enabled devices
KR101311895B1 (ko) * 2007-01-12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US8363617B2 (en) * 2008-08-27 2013-01-29 Symbol Technologies, Inc. Selecting an access point from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US9817622B2 (en) 2010-01-20 2017-11-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oud printer with a common user print experience
US8406175B2 (en) * 2010-02-19 2013-03-26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protocol with multi-packet reception (MPR) in a wireless ad hoc network
US8612606B2 (en) 2010-10-12 2013-12-17 Juniper Networks, Inc. Preserving an authentication state by maintaining a 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 association
US9456340B2 (en) * 2011-06-29 2016-09-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Unsolicited broadcast packet transmission through close-by communication protocol
US9100790B2 (en) * 2011-11-01 2015-08-04 Newaer, Inc. Automating actions with a phone network based upon scanned wireless signals
KR101283673B1 (ko) 2011-11-30 2013-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의 액세스 포인트 탐지 시스템 및 방법
US9047541B2 (en) 2012-09-26 2015-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device printing through print service provider
CN103796303B (zh) * 2012-10-31 2017-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定位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03245345B (zh) * 2013-04-24 2016-04-06 浙江大学 一种基于图像传感技术的室内导航系统及导航、搜索方法
US9451436B2 (en) * 2013-05-31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US9380425B2 (en) * 2013-12-05 2016-06-28 At&T Mobility Ii Ll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s for generating and using a radio-frequency map of an area
JP6146334B2 (ja) * 2014-02-17 2017-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指示支援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I126635B (en) * 2014-03-18 2017-03-15 Silicon Laboratories Finland Oy Method and technical apparatus for short - distan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045A1 (ko) 2016-03-10
EP3156892A4 (en) 2018-02-21
CN107111464B (zh) 2020-08-07
CN107111464A (zh) 2017-08-29
US10091387B2 (en) 2018-10-02
KR20160028368A (ko) 2016-03-11
US20170134609A1 (en) 2017-05-11
EP3156892A1 (en) 2017-04-19
EP3156892B1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방법,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US11431857B2 (en) Information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data with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7251596B (zh) 信息处理装置、通信系统和通信方法
JP631495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0419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related to wireless sett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first type interface section with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using second type interface section with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US9794426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47743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97693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52427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1136072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transmitting print data to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network,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mobile terminal progr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552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547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JP201615805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80536A1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693173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US102777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erminal device, data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906657B2 (en) Terminal apparatus to operat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control system
JP6844107B2 (ja) プログラム、fax装置、及び携帯端末
JP610820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JP2017151762A (ja)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US88239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can data
US107400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61362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JP2010003128A (ja) ドキュメントデータ受渡システムおよびドキュメントデータ受渡支援方法
JP6638459B2 (ja) 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