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08B1 -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08B1
KR102130508B1 KR1020160099621A KR20160099621A KR102130508B1 KR 102130508 B1 KR102130508 B1 KR 102130508B1 KR 1020160099621 A KR1020160099621 A KR 1020160099621A KR 20160099621 A KR20160099621 A KR 20160099621A KR 102130508 B1 KR102130508 B1 KR 10213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signal strength
forming apparatus
log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957A (ko
Inventor
임목화
김강엽
이학주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6009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08B1/ko
Priority to CN201780042676.9A priority patent/CN109479166A/zh
Priority to PCT/KR2017/000079 priority patent/WO2018026074A1/ko
Priority to EP17837126.6A priority patent/EP3451686B1/en
Publication of KR2018001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957A/ko
Priority to US16/257,767 priority patent/US105948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86Ending a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소한다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METHOD FOR AUTO LOGOUT USING BLUETOOTH LOW ENERG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한 상황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최근 소비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간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한 경우, 사용자가 원치 않는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적절한 로그아웃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한 상황에서, 로그아웃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소한다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입출력부;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소한다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한 상황에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거나, 모바일 단말에서 직접 로그아웃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게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감소한 경우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감소한 경우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 및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서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서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수행하는 모든 제어 동작들(e.g. 인증 수행, 유니크 ID의 생성, 어드버타이징 패킷 데이터의 변경, 응답 패킷의 수신 간격 체크 등)은 실질적으로 제어부(120)가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이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며, 따라서 통신부(130)는 BLE 칩셋(131)을 포함할 수 있다. BLE 칩셋(131)은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단말(200)이 수행하는 모든 제어 동작들(e.g. 유니크 ID의 비교,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 측정 및 대표값 결정 등)은 제어부(220)가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에의 로그인에 성공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요청하면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제어부(120)의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1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로그인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200)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P2P 통신을 이용하여 로그인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로그인 요청에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및 도메인 등에 대한 정보, 즉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3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면, 303 단계에서 로그인 결과(성공) 및 유니크 ID(unique ID)를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유니크 ID란 화상 형성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다른 장치의 식별 정보와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정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시리얼 넘버, MAC 주소 또는 해시값(hash value) 등을 이용해서 유니크 ID를 생성할 수 있다.
3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의 제어부(220)는 수신한 유니크 ID를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30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데이터를 변경한다. 자세하게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데, 로그인에 성공했으므로 제어부(120)는 상태 정보를 ‘로그아웃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외부 장치들은 이미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그인 한 사용자가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3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BLE 칩셋(131)을 통해 어드버타이징 패킷과 유니크 ID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때, 유니크 ID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패킷으로 함께 브로드캐스트 될 수도 있다.
307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의 제어부(2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상태 정보 및 유니크 ID를 확인한 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로그아웃 버튼을 입출력부(210)의 화면에 표시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상태 정보가 ‘로그아웃 가능 상태’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로그아웃 가능 상태’라면, 수신한 유니크 ID와 메모리(240)에 저장된 유니크 ID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유니크 ID가 일치한다면, 화면에 로그아웃 버튼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0)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200)의 제어부(220)는 308 단계에서 로그아웃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로그아웃 요청은 사용자 ID, 패스워드, 도메인 및 유니크 ID 등의 로그아웃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09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수신한 로그아웃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310 단계에서 로그아웃 결과(성공)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한다.
31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데이터를 변경한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로그인 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또는, 제어부(120)는 로그아웃이 성공하고 바로 상태 정보를 ‘로그인 가능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일정 시간 기다렸다가 ‘로그인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종래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로그인 성공시 유니크 ID를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하지 않았으며, 또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할 때 유니크 ID를 함께 브로드캐스트하지 않았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해도,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로그인이 된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패킷인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에서의 직접 로그아웃을 지원할 수 없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니크 ID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은 화면에 로그아웃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로그아웃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에서 직접 로그아웃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 각각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자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다. 4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에 실패하면 404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인 결과(실패)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하지만, 인증에 성공하면, 403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인 결과(성공) 및 유니크 ID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40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로그아웃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유니크 ID와 함께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40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면, 407 단계에서는 수신한 로그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 수행 결과, 인증에 실패하면 409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아웃 결과(실패)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하지만, 인증에 성공하면 408 단계로 진행하여 로그아웃 결과(성공)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4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로그인 가능 상태’로 변경한 후,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로그아웃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한다.
5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로그인 결과(성공) 및 유니크 ID를 수신하고, 5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수신한 유니크 ID를 저장한다.
5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이때,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상태 정보 및 유니크 ID를 포함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아웃 가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로그아웃 가능 상태라면, 506 단계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유니크 ID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유니크 ID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유니크 ID가 일치하면 모바일 단말은 507 단계에서 화면에 로그아웃 버튼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수신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드스 하는데, 모바일 단말(200)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멀어질 수록 모바일 단말(200)에서 감지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신호 세기는 단순히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간의 거리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200)을 주머니에 넣은 경우 갑자기 신호 세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도 신호 세기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신호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로그아웃을 수행한다면, 실제로는 모바일 단말(200)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외에도 로그아웃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일정 시간 이상 신호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에 로그아웃을 수행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 7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로그인 결과(성공)를 수신한다.
로그인에 성공하면, 모바일 단말은 7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7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감소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기준이 되는 일정 시간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세기가 감소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에서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판단 결과,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신호 세기가 감소했다면, 7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704 단계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은 704 단계의 조건이 충족되면,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로그아웃을 할 것인지를 묻는 알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알림을 통해 로그아웃을 선택하면 로그아웃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증감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측정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정하고, 신호 세기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감소한 경우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의 표에는 시간 단위로 측정된 신호 세기 및 매 초에 대한 대표값이 기재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은 5Hz의 샘플링 레이트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특정한다. 물론, 샘플링 레이트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신호 세기를 측정한 후 미리 설정된 주기(period)에 대해서 대표값을 결정하는데, 도 8에서는 매 초(second)에 대해서 대표값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8에서는 각 초에 포함되는 5개의 측정값 중에서 최소값 및 최대값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값을 평균한 값을 대표값으로 결정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된 대표값들이 도 8에 기재되었다. 대표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초에 포함된 모든 측정값들을 평균하거나, 또는 매 초에 포함된 측정값들 중에서 중간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매 초에 대해서 신호 세기의 대표값들이 결정되었으면, 모바일 단말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세기의 대표값들이 계속해서 감소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3초라면, 모바일 단말은 3초 동안 연속해서 신호 세기의 대표값들이 감소하는지를 판단한다. 도 8에서는 5초 동안 연속해서 신호 세기의 대표값들이 감소했으므로, 모바일 단말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는 다양한 예시 상황들에 대한 그래프들을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그래프들을 참조하면, 910 그래프의 경우 계속해서 신호 세기가 감소하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920 그래프의 경우 처음 1초 동안은 신호 세기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일정 시간(3초) 이상 신호 세기가 감소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을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930 그래프의 경우 신호 세기가 처음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일정 시간(3초) 동안 계속해서 감소했으므로, 모바일 단말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로그아웃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한다.
940 그래프의 경우 신호 세기는 계속해서 감소 및 증가를 반복하므로, 모바일 단말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지 않는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감소한 경우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 10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로그인 결과(성공)를 수신한다.
10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의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서 측정하고, 10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초 단위로 신호 세기의 대표값을 결정할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신호 세기의 대표값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감소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 세기의 대표값이 계속해서 감소했다면, 100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세기에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까지 고려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되는 실시예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 및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기초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 11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로그인 결과(성공)를 수신한다.
11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및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는,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11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신호 세기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감소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 세기의 대표값이 계속해서 감소했다면, 1105 단계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했다면, 110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신호 세기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까지 함께 고려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을 위한 움직임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만을 고려하여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대응되는 실시예를 도 12 및 13에 도시하였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서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동 로그아웃에 대응되도록 미리 약속된 동작, 즉 모바일 단말(200)을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면, 모바일 단말(200)의 가속도는 순간적으로 증가하여 임계값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0)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가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자동으로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서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13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요청을 전송하고, 13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로그인 결과(성공)를 수신한다.
13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내부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센서를 측정하고, 13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측정된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임계값을 초과했다면, 13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6 내지 도 13의 실시예들에서, 제어의 기준이 되는 값들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상황 및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수신 간격, 신호 세기 측정의 샘플링 레이트, 신호 세기가 연속해서 감소해야 하는 일정 시간 및 가속도의 임계값 등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이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하는 응답 패킷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만약, 모바일 단말(200)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원이 꺼진 경우라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일정 시간 이상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한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일정 시간 이상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출력부(110)의 화면에 로그아웃을 할 것인지를 묻는 알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알림을 통해 로그아웃을 선택하면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15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의 로그인이 성공한다.
15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하고, 15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응답 패킷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한다.
15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미리 타임아웃(timeout)을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응답 패킷이 다시 수신되면 타임아웃을 리프레쉬(refresh)하고, 다시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된 경과 시간이 타임아웃 이상이 되면 1506 단계로 진행한다.
15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자동으로 로그아웃을 수행한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로그아웃을 할 것인지 문의하는 알림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입출력부(110)의 화면에 표시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도 있다.
15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에 로그인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를 ‘로그인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트캐스트 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면 자동 로그아웃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16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인 성공 후, 모바일 단말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는 시간 간격을 체크하고, 16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정 시간 동안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16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아웃 진행 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을 화상 형성 장치의 입출력부의 화면에 표시한다.
16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알림을 통해 로그아웃을 요청하는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화상 형성 장치는 응답을 수신하였다면 1606 단계로 진행하여 로그아웃을 수행한다.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가 응답을 수신하지 않았다면, 1605 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즉 타임아웃(timeout)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1606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아웃을 수행한다.
이어서 16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로그인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되는 상태 정보를 ‘로그인 가능 상태’로 전환한 후,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예들에서, 제어의 기준이 되는 값들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상황 및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는 기간과 비교되는 일정 시간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CD 및 DVD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인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300)에 포함되는 메모리(340)가 될 수도 있다.
100: 화상 형성 장치 200: 모바일 단말

Claims (17)

  1.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및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소한다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에 따라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대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은,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둘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을 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은,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셋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 중 최소값 및 최대값은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을 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은,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셋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 중 중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된 주기 각각에 대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이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로그아웃 진행 여부를 묻는 알림을 모바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을 통해 로그아웃 진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입출력부;
    화상 형성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 및 화상 형성 장치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가 계속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소한다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에 따라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대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둘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을 평균한 값을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셋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 중 최소값 및 최대값은 제외하고, 나머지 값들을 평균한 값을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 주기에 대해서 측정된 셋 이상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들 중 중간값을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연속된 주기 각각에 대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신호 세기의 대표값이 계속해서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가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임계값을 초과하면, 로그아웃 진행 여부를 묻는 알림을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알림을 통해 로그아웃 진행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아웃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60099621A 2016-08-04 2016-08-04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13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21A KR102130508B1 (ko) 2016-08-04 2016-08-04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N201780042676.9A CN109479166A (zh) 2016-08-04 2017-01-04 用蓝牙低功耗通信的自动登出方法及执行方法的成像设备
PCT/KR2017/000079 WO2018026074A1 (ko) 2016-08-04 2017-01-04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EP17837126.6A EP3451686B1 (en) 2016-08-04 2017-01-04 Automatic logout method using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xecuting same
US16/257,767 US10594891B2 (en) 2016-08-04 2019-01-25 Automatic logout method using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xecu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621A KR102130508B1 (ko) 2016-08-04 2016-08-04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957A KR20180015957A (ko) 2018-02-14
KR102130508B1 true KR102130508B1 (ko) 2020-07-06

Family

ID=6107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621A KR102130508B1 (ko) 2016-08-04 2016-08-04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4891B2 (ko)
EP (1) EP3451686B1 (ko)
KR (1) KR102130508B1 (ko)
CN (1) CN109479166A (ko)
WO (1) WO20180260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49B1 (ko) * 2021-04-05 2021-10-20 (주)이노소프트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6442A1 (en) * 2004-02-11 2005-08-11 Wen-Hua Ju Estimating the location of inexpensive wireless terminals by using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US20050213542A1 (en) * 2003-02-28 2005-09-29 Microsoft Corporation Vertical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through improved wireless network cell boundary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54B1 (ko) * 2002-08-29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통신망/이동전화 연동시스템에서 wlan 신호세기에 기반한 접속 시스템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03856605B (zh) * 2012-11-28 2016-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363010B2 (en) * 2012-12-03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CN103645802A (zh) * 2013-12-05 2014-03-19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应用自动关闭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111464B (zh) * 2014-09-03 2020-08-0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图像形成设备和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以及云打印系统
CN107004172B (zh) * 2014-09-03 2020-09-29 云叶公司 用于资产状态确定的系统、方法和设备
JP6265873B2 (ja) * 2014-09-24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バイル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14834B (zh) * 2015-05-18 2018-02-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用电器的控制方法、家用电器的控制装置和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3542A1 (en) * 2003-02-28 2005-09-29 Microsoft Corporation Vertical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through improved wireless network cell boundary detection
US20050176442A1 (en) * 2004-02-11 2005-08-11 Wen-Hua Ju Estimating the location of inexpensive wireless terminals by using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49B1 (ko) * 2021-04-05 2021-10-20 (주)이노소프트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4891B2 (en) 2020-03-17
CN109479166A (zh) 2019-03-15
WO2018026074A1 (ko) 2018-02-08
EP3451686B1 (en) 2023-09-20
EP3451686A4 (en) 2019-12-18
US20190191053A1 (en) 2019-06-20
KR20180015957A (ko) 2018-02-14
EP3451686A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1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op-up window
US20200159486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apparatus includ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101486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2417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nabling communication settings to be made with eas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741943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US2015006264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52427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1402682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708059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情報処理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4038A (ko) 컴퓨팅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디바이스 연관 데이터의 동기화
KR20130068361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294913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97536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ting a storage destination of data in an exter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o an image forming device for acquiring the data
US2017016384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130508B1 (ko)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 로그아웃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80015958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정보 전송 방법
JP6215043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14059697A (ja) 出力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出力システム
KR20180059207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JP2017151762A (ja)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20190058132A (ko)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US201602417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control method
JP7447070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2004237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サーバー装置
KR102087988B1 (ko) 호스트 기기의 종속 기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기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종속 기기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