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801B1 -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 Google Patents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801B1
KR101836801B1 KR1020170023011A KR20170023011A KR101836801B1 KR 101836801 B1 KR101836801 B1 KR 101836801B1 KR 1020170023011 A KR1020170023011 A KR 1020170023011A KR 20170023011 A KR20170023011 A KR 20170023011A KR 101836801 B1 KR101836801 B1 KR 10183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powder
composition
water extract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호
정영철
유경은
유경태
Original Assignee
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호 filed Critical 박용호
Priority to KR102017002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 45-55 중량%,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 18-22 중량%, 당귀 열수추출물 분말 15-17 중량%,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 및 녹차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로 구성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INGREDIENTS AND HAVING THE ACTIVITIES IMRPOVING COGNITIVE FUCTIONS AND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V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지기능 개선에 상승적 활성을 지닌 천연 소재로 구성된 복합조성물과 상기 복합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대한 것이다.
근래 급속한 고령화로 치매 노인이 급증하고 있다. 치매 인구의 증가 속도를 고려하면, 전세계 치매 인구는 2010년 약 3,560만명, 2050년에는 약 3배 증가하여 1억 1,5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만해도 2012년 치매인구는 53만5명(전체 노인인구의 9.1%)으로 2008년 42만 4명(26.8% 증가)이었으며,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25년에는 100만 1명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치매의 치료 및 관리 비용의 증가로 사회경제적 부담 가중되고 있는데, 전 세계 치매와 관련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9년 6,040억 달러로 추산(전 세계 GDP의 1%)되며, 이러한 치매의 경제적 비용은 암, 심장질환, 뇌졸중 세가지 질병을 모두 합한 비용을 초과하고 있다. 국내 치매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8조 7천 7억원으로 거의 10년마다 두배씩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2020년: 18.9조원 → 2030년: 38.9조원, 자료: 제2차 치매 종합관리 대책).
이와 같은 배경에서, 개인적 및 사회적으로 치매의 조기발견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되고 있다. 치매 고위험군의 조기발견을 통해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킬 경우 20년 후 치매 유병률이 8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매 초기 단계부터 약물 치료시 5년 후 요양비용은 연간 5,174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치매는 조기 발견 시 질병 진행의 완화 또는 정체 가능한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적절한 조기진단 및 치료방법이 부재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령화로 치매인구가 급증하여, 이에 따른 의료비 증가와 사회 경제적 부담 증가 예상되는 현실이다.
또한 세계적 인구구조의 변화로 퇴행성 신경질환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disease, AD)의 발생 규모는 2019년까지 연평균 약 10%정도로 지속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향후 노인성질환으로서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질환 등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및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치매환자들의 사후뇌를 해부하면 기억과 인지능력에 관계하는 신경세포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이 정상인에 비해 50% 이상 손실이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있다. 대뇌의 아세틸콜린은 콜린 아세틸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효소에 의해 대뇌의 콜린과 아세틸 CoA에서 합성되는데, 이 때 콜린 흡수가 낮아지면 신경세포의 구성 물질 중의 하나인 레시틴 인지질로부터 콜린을 공급 받게 됨에 따라 결국 콜린성 뉴런이 파괴되어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콜린성 뉴런의 손실을 억제하는 방법은 2가지로 대별되는데, 즉 콜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아세틸콜린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방법, 그리고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을 억제시키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실제로 AChE 효소저해제로 상품화되어 치매치료제로 사용중인 대표적인 약물인 tetrahydroaminoacridine(THA, tacrine)은 인지기능개선 활성은 우수하나, 간 독성이 지적되어 장기간 사용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노인성 치매로 유발되는 인지기능장애는 주로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손상에 기인된다는 것이 일부 규명됨에 따라, glutamate, NMDA(N-Methyl-D-Aspartate)등 각종 흥분성 아미노산에 의한 뇌세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치매 및 뇌허혈성 등 퇴행성 뇌질환을 개선 및 예방하고자 하는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나아가, 노인성 치매가 중추 무스카린성(muscarine)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손상에 따른 중추신경전달계 전반에 걸친 기능저하로 유발된다는 연구보고에 기초하여 현재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스카린성 수용체(mAChR)는 주로 중추신경계에 다량 존재하고, 심장근, 평활근 등 말초기관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길항제에 대한 친화력 정도에 따라 M1에서 M5까지 5종 이상의 subtype이 발견되었다. 이 중에서 중추신경계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면서 각종 비신경질환의 발병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M1 subtype의 기능저하를 향진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치매의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당귀, 지구자, 구기자, 홍삼, 은행잎, 녹차 등을 비롯한 몇가지 생약 재료들이 발견되었으나, 그럼에도 이들 각각의 활성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조성물의 필요성은 여전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4274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81568호
본 발명은 인지기능개선에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 45-55 중량%,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 18-22 중량%, 당귀 열수추출물 분말 15-17 중량%,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 및 녹차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로 구성되는 인지기능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 50 중량%,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 20 중량%, 당귀 열수추출물 분말 16 중량%,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 7 중량% 및 녹차 열수추출물 분말 7 중량%로 구성되는 인지기능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열수추출물 분말은, 통상의 열수 추출 및 여과 및 분말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길경, 홍삼, 당귀, 은행잎 및 녹차잎 재료를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다음, 재료 100g 당 1리터의 증류수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95-100℃로 가열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50~55℃에서 감압농축한 후 즉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과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본 발명의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은 플라티코시드 E와 플라티코시드 D의 합으로서 사포닌 함량이 10mg/g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은 진세노이드 함량은 Rg1, Rb1 및 Rg3의 합계로서 10mg/g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은 플라보놀 배당체로서 30mg/g 이상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 가공 식품조성물로서 인지기능의 유지 및 개선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인지기능저하 질환을 개선하고 예방하는 목적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건강식품 및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천연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 주스, 엑기스 파우치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대사체 및 복합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상,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첨가물로 사용시에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노년 및 장년층에 인기 있는 우리나라 전통 간식류인 유과의 재료에 첨가하여 인지기능저하 즉, 치매, 알츠하이머, 건망증, 기억력저하 등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능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새로운 성분의 한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과는 주재료인 찹쌀을 수욕 상에서 약 2주간 자연발효시킨 다음 분쇄한 다음, 분쇄된 찹쌀에 청주, 생강즙 및 정제염을 첨가하여 반죽하고 증숙시키는 단계를 거쳐, 반죽을 방아 또는 절구 등에 콩가루를 섞어 수차례 쳐서 반대기를 만든 후, 반죽을 성형기에 넣어 성형시킨 다음 27℃에서 수분 함량 0.8%가 되도록 건조하여, 튀김유에 넣어 튀겨 만드는데, 이렇게 튀겨진 유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한 맥아엿을 입히고 기호에 따라 견과류나, 쌀 튀밥 등의 옷을 입혀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지기능과 관련된 각종 활성면에서 타 천연추출물들에 비해 매우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 알츠하이머 등 인지기능의 저하에 따른 질환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및 영양제를 비롯한 천연 의약품의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의 제조
길경, 홍삼, 당귀는 건조 중량대비 물을 10배 가한 후 95℃에서 6시간 동안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용기에서 가열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40Brix로 조절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길경 동결건조 분말에는 사포닌 platycoside E와 platycodin D의 합이 1mg/g 이상 함유되어 있고, 홍삼 동결건조 분말에는 진세노이드 Rg 1, Rb 1 및 Rg 3의 합이 10mg/g 이상 함유되어 있다.
은행잎과 녹차잎은 건조 중량 대비 물을 20배 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용기에서 가열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40Brix로 조절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은행잎 동결건조 분말에는 플라보놀 배당체가 30mg/g 이상 함유되어 있고, 녹차잎 동결건조 분말에는 카테킨이 10mg/g 이상 함유되어 있다. 이들을 하기 표1과 같은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배합비율( % )
길경추출물 50%
홍삼추출물 20%
당귀 16%
은행잎추출물 7%
녹차 7%
합계 100%
제조예1 : 한약재 열수 추출물의 제조
전통적으로 한방 및 식품으로 사용해 오면서 독성이 적고, 비교적 안전한 생약재와 식품소재로부터 AChE 효소 저해활성이 있음이 보고된 소재인 당귀, 산수유, 황기, 오가피, 신약, 지구자, 구기자, 뽕잎, 감초, 도라지, 은행잎, 홍삼 및 녹차잎 재료 각각을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용기에서 가열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40Brix로 조절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실험예 1: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 Acetylcholinesterase , AChE ) 저해활성
전기뱀장어로부터 정제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EC 3,1,1,7), 기질로 사용한 아세틸콜린,효소저해물질인 THA(tetrahydroaminoacridine) 및 커플링제(coupling agent)인 DTNB를 사용하여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 대한 효소활성은 엘만 커플드 엔자임 분석(Ellman's coupled enzyme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효소반응은 25.0±0.1℃ 항온조 내에서 1㎖ 큐벳(cuvette)을 반응조로 사용하였다. 즉, 기질, 커플링제 및 검액을 함유한 반응조를 항온조 내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즉시 효소액(AChE 10unit/10㎕)을 첨가하고 60초 동안 반응시킨 다음 41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반응액 1㎖ 중 기질 아세틸티오콜린(acetylthiocholine) 검액은 0.1㎎(0.1㎖)으로 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3회 반복하여 흡광도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시료검액의 효소활성저해효과는 시료검액 대신 동량의 완충액을 넣은 대조군의 흡광도치(control test, C.T.)와 시료검액을 첨가한 검액군이 흡광도치(sample test, S.T.)를 이용하여 아래 수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저해율 (%)=100-(S.T/C.T×100)
흡광도측정은 HP8452 diode arra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Hewlett-Packard)를 사용하였다.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을 대상으로 AChe 저해활성을 열수추출액 100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제조예 1에 따른 당귀, 산수유, 탕기, 오가피, 신약, 지구자, 구기자, 뽕잎, 감초, 도라지, 은행잎, 홍삼, 녹차의 각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확인되었으나, 특히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의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2).
소재명 저해율(%)
당귀 42
산수유 51
황기 27
오가피 32
산약 38
지구자 26
구기자 15
뽕잎 26
감초 34
도라지 31
은행잎 48
홍삼 46
녹차 41
복합조성물 72
실험예 2: NMDA 수용체 친화력( glycine binding site)
수용체의 분리
실험에 사용한 NMDA 수용체는 상법에 따라 웅성흰쥐(Spague- Dawley)의 전 뇌의 시냅틱 멤브레인(synaptic membrane)로부터 분리하였다. 즉, 흰쥐(Spague -Dawley)의 전뇌를 적출하여 미세하게 절단하여 10배 용량의 cold sucrose 용액(0.32 mM)을 가한 후 테프론-글래스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균질화 시키고, 즉시 1,000g(10분, 4℃)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등액은 20,000g(20분, 4℃)로 다시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침전물에 20배 용량의 차가운 증류수를 가하여 Brinkman Polytron Homogenizer로 30초 동안 균질화시킨 후 4℃에서 30분간 교반한 다음 8,000g(20분, 4℃)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를 취하였다. 상등액을 다시 39,800g(25분, 4℃)으로 원심 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냉동보관된 침전물을 상온에서 10분간 녹인 다음 20배 용량의 0.04% Triton X-100을 함유한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pH 7.1)에 균질화 시키고, 이를 37℃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39,800g(20분, 4℃)으로 다시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은 20배 용량의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 (pH 7.1)로 3회 세척(균질화 시킨 후 원심분리)한 후 트리스-아세테이트 완충액에 현탁하여 Bradford의 방법에 따라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다음, 단백질 농도를 1㎎/㎖로 분주하여 -70℃에서 보관하였으며 이를 실험시 녹여 수용체로 사용하였다.
수용체 친화력 시험
미리 -70℃로 냉동 보관된 수용체 분획을 50 mM 트리스-아세테이트완충액(pH 7.1) 으로 현탁하여 단백질 함량을 5㎍/well 농도로 조정하였다. 분석용 버퍼(Assay buffer)로는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pH 7.1)를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최종 부피는 0.25㎖로 하였으며 50 ㎕의 핫-리간다(hot-ligand) 4nM [3H]MDL 105,519(140,000 DPM)와 10㎕의 시험약물이 포함되게 하였다. 또한 비특이 결합(nonspecific bind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5mM 글리신 50㎕를 첨가하였다. 반응의 시작은 100㎕의 리셉터 서스펜션(receptor suspension)을 첨가한 후 25℃에서 30분간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반응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0.2㎖의 차가운 50mM Tris-HCl in 0.9% saline (pH 7.4)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즉시 왈랙 글라스 파이버 필터매트 GF/C (Wallac glass fiber filtermat GF/C, Wallac, P.O. Boc 10, FIN-20101 Tutku, Finland)를 이용한 이노테크 셀 하베스터 시스템(Inotech cell harvester system)으로 여과하고 차가운 완충액으로 9회 반복 세척하였다. 상기 필터매트(Filtermat)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microwave oven)에서 건조시킨 후 래디오액티비티(radioactivity)를 리퀴드 신틸레이션 카운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여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ligand)의 결합율을 산출하였다. 각 생약시료는 소량의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에 녹인 후 완충액(buffer)로 희석하였으며 반응액 중의 DMSO농도가 0.1% 미만이 되도록 하였고, 모든 시료는 중복적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표준대조약물로는 5,7- DCKA(5,7-Di-chlorokynurenic acid)를 RBI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5,7-DCKA는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결합을 1.0μM 농도에서 50%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 대해, 흰쥐의 대뇌로부터 수획한 NMDA 수용체 분획과 이 수용체의 글리신 바인딩 사이트(glycine binding site)에 선택적인 리간드로 알려진 [3H]-MDL 105, 519와의 결합력을 저해하는 효과를 지표로 하여 친화력 검색을 조사하였다.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을 5㎍/㎖의 농도로 NMDA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을 조사한 결과, 3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인 생약재는 지구자, 산약, 오가피, 은행잎, 도라지, 홍삼, 녹차, 감초, 황기, 당귀 등 10종이었으나, 실시예1에 따른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의 경우 상기 제조예 1에 따른 추출물 각각의 활성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소재명 저해율(%)
당귀 4
산수유 -
황기 54.5
오가피 62.1
산약 62.5
지구자 -
구기자 -
뽕잎 -
감초 43.5
도라지 65.7
은행잎 68.6
홍삼 63.4
녹차 61.6
복합조성물 83.0
실험예 3: 무스카린 ( Muscarin , M 1 type)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친화력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 대해 CHO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재조합 무스카린(muscarine)성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의 결합을 저해하는 효과를 지표로 하여 친화력을 조사하였다.
미리 -70℃에 냉동 보관된 수용체 세포 분획을 250㎕/10㎖의 phos- phate buffered saline(PBS, pH 7.4)으로 현탁시켜 단백질 함량을 130㎍/㎖ 농도로 조정하였고, assay buffer로는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pH 7.4)를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최종 부피는 0.25㎖로 하였으며, 50㎕의 hot- ligand 0.5 nM[3H] N-methyl-scopolamine(24,605 DPM)와 10㎕의 시험약물이 포함되게 하였다. 또한 nonspecific bind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5μM의 atropine sulfate 50㎕를 첨가하였다. 반응의 시작은 100㎕의 receptor suspension을 첨가한 후 25℃에서 60분간 shaking incubator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0.5㎖의 차가운 50mM Tris-HCl in 0.9% saline(pH 7.4)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즉시 Wallac glass fiber filtermat GF/C(Wallac, P.O. Boc 10, FIN-20101 Tutku, Finland)를 이용한 Inotech cell harvester system으로 여과하고 차가운 완충액으로 수차 세척하였다. Filtermat를 microwave oven에서 말린 후 radioactivity를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여 수용체에 대한 ligand의 결합율을 산출하였다. 각 시료는 소량의 dimethylsulfoxide(DMSO)에 녹인 후 buffer로 희석하였으며 반응액 중의 DMSO농도가 0.1% 미만이 되도록 하였고, 모든 시료는 duplicate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표준대조약물로는 4-DAMP methiodide을 사용하였으며 4-DAMP methiodide는 수용체에 대한 ligand의 결합율을 0.024μM 농도에서 50%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1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및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을 50㎍/㎖의 농도로 조절하여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을 조사한 결과 은행잎, 당귀, 도라지, 홍삼, 녹차에서만 활성이 나타났고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서는 이들에 비해 약 2~3배 이상의 활성이 확인되었다.
소재명 저해율(%)
당귀 26.5
산수유 -
황기 -
오가피 -
산약 -
지구자 -
구기자 -
뽕잎 -
감초 -
도라지 28.5
은행잎 35.4
홍삼 21.3
녹차 15.6
복합조성물 61.2
실시예2 :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첨가된 한과의 제조
최종 중량을 100으로 할 때, 찹쌀 65중량부, 콩 19중량부, 맥아엿 6중량부, 대두유 2중량부, 백미튀밥 3중량부, 청주 1중량부, 생강즙 0.9중량부, 정제염 0.1중량부,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 3중량부(32Brix)를 정확히 칭량하여 준비한다.
선별된 찹쌀을 수욕 상에서 약 2주간 자연발효 시킨 다음 분쇄한다. 찹쌀에 청주, 생강즙, 정제염을 첨가 반죽하여 증숙시킨다. 방아에 넣어 줄이나도록 치면서 콩가루를 넣고 재차 쳐서 반대기를 만든다. 반죽된 원료를 성형기에 넣고 성형시킨 후 27℃에서 수분 0.8%까지 건조시킨다. 건조된 원료를 대두유에 넣어 튀긴다.
튀김 유과를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첨가한 맥아엿을 입힌 다음 백미튀밥애 굴려 옷을 입힌 후 건조 포장하였다.

Claims (5)

  1.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 45-55 중량%,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 18-22 중량%, 당귀 열수추출물 분말 15-17 중량%,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 및 녹차 열수추출물 분말 6-8 중량%로 구성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2. 청구항 1의 조성물은, 길경 열수추출물 분말 50 중량%, 홍삼 열수추출물 분말 20 중량%, 당귀 열수추출물 분말 16 중량%, 은행잎 열수추출물 분말 7 중량% 및 녹차 열수추출물 분말 7 중량%로 구성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3. 청구항 1의 각 열수추출물 분말은, 길경, 홍삼, 당귀, 은행잎 및 녹차잎 재료를 각각을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하여 분쇄한 다음, 재료 100g 당 1리터의 증류수를 가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95-100℃로 가열하여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제조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4. 청구항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5. 청구항 4의 식품은 한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저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KR1020170023011A 2017-02-21 2017-02-21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KR10183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11A KR101836801B1 (ko) 2017-02-21 2017-02-21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11A KR101836801B1 (ko) 2017-02-21 2017-02-21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801B1 true KR101836801B1 (ko) 2018-03-12

Family

ID=617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11A KR101836801B1 (ko) 2017-02-21 2017-02-21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8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018A (ja) 2001-06-15 2005-01-13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ー キキョウ抽出物の退行性脳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または記憶力増進のための使用
JP2011506512A (ja) 2007-12-21 2011-03-03 ドクター.ヴィルマー シュワーベ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イチョウ葉から製造された抽出物の使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018A (ja) 2001-06-15 2005-01-13 コリア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ケミカル テクノロジー キキョウ抽出物の退行性脳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または記憶力増進のための使用
JP2011506512A (ja) 2007-12-21 2011-03-03 ドクター.ヴィルマー シュワーベ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カーゲー イチョウ葉から製造された抽出物の使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11B1 (ko)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130039547A (ko)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파킨슨병 또는 간질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489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2105A (ko) 땅콩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101060308B1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6801B1 (ko)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 조성물 및 한과 제조법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434994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6964290B2 (ja) Atp産生促進用剤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125156A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0662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583435B1 (ko) 인삼이 함유된 고혈압예방용 음료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7106A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14382B1 (ko) 근력 약화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40050436A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4386B1 (ko) 근 기능 개선 및 근력 약화 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23055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